KR200401136Y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36Y1
KR200401136Y1 KR20-2005-0023833U KR20050023833U KR200401136Y1 KR 200401136 Y1 KR200401136 Y1 KR 200401136Y1 KR 20050023833 U KR20050023833 U KR 20050023833U KR 200401136 Y1 KR200401136 Y1 KR 200401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ain
bus bars
breake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20-2005-0023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2Layouts for duplicate bus-ba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부스바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여 배선을 간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전반은,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주배선 차단기와, 상기 주배선 차단기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주입력 터미널과, 일측이 상기 주입력 터미널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상부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메인 부스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종 방향 부스 바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되, 상기 종 방향 부스 바와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횡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횡방향 부스 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전반{Distributing Panel}
본 고안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부스바를 베이스 플레이트 하측의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여 배선을 간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주배선 차단기,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가 설치되고, 각 차단기는 다수의 연결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전소로부터 송전배선을 통해 부하측으로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장치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러한 분전반은 주로 건설 현장이나 토목 공사 현장 등에 임시로 가설되어, 현장에 분산되어 있는 전동 모터나 용접기 및 건설기계와 같은 전기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빌딩과 같은 대형 건물의 벽 속에 설치되어 사무실내에 설치된 각종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배선 및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로 이루어진 배선 차단기는 입력 터미널을 통하여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원을 각 전기 부하로 분산 공급함에 있어서, 과부하 발생시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을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선 차단기 주위에는 입력선에 연결되는 입력 터미널과 각 전기 부하로의 출력선에 연결되는 출력 터미널이 구비되어 있다. 이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은 각 연결선을 통하여 배선 차단기의 입력 측과 출력 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을 구비한 분전반은 출력 터미널의 결선을 가변시키더라도 배선 차단기에 직접 연결되는 결선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배선 차단기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분전반은, 베이스 플레이트상의 다수의 배선 차단기 주위에서 각 배선 차단기의 입력 측과 출력 측에 연결되는 입력 터미널과 출력 터미널이 전선을 통해 연결됨으로 그 결선이 매우 복잡해져 분전반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물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전반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결선을 편리하게 하여 그 구성을 단순하게 하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분전반은, 사각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주배선 차단기와, 상기 주배선 차단기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주입력 터미널과, 일측이 상기 주입력 터미널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상부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메인 부스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종 방향 부스 바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되, 상기 종 방향 부스 바와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횡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횡방향 부스 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각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가 형성되는 쪽의 상기 연장부에는 두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가 상기 절개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의 각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막대 형상의 지지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선 차단기 중 일부는 누전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메인 부스바의 연결형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분전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인 부스바의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1)은 대략 사각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 중앙 상단부에 설치되는 주배선 차단기(20)와; 주배선 차단기(20)와 대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타측 하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주입력 터미널(30)과; 일측이 주입력 터미널(30)에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주배선 차단기(20)에 상부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메인 부스바(4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서 주배선 차단기(20)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41)와, 각각의 종 방향 부스 바(41)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횡 방향 부스 바(42)와, 각각의 횡 방향 부스 바(42)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전반(1)의 배전 방식은 3상의 전류를 네 줄의 전력선으로 배전하는 3상 4선식이 바람직하나 3상 3 선식이나 단상 3선식 등도 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그 배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주배선 차단기(20)와 보조 배선 차단기(50)는 전력선에 고장이 없을 때 정상 전류의 개폐는 물론, 단락(短絡)등의 고장으로 인해 과전류/지락 전류가 흐를 경우, 즉 정격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전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보조 배선 차단기(50) 중 일부는 누전 차단기로 이루어져 전기가 배선이 아닌 다른 곳으로 흘러 누전되는 경우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측부는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연장부(11)가 형성되어 하측에서 보았을 때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사각 함의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주입력 터미널(30)과 주배선 차단기(20)가 형성되는 쪽의 연장부(11)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두 개의 절개부(12)가 형성되어 메인 부스바(40)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측으로 상기 두 개의 절개부(12)를 관통하여 길게 연장되어 주입력 터미널(30)과 주배선 차단기(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주입력 터미널(30)은 메인 부스바(40)를 통해 주배선 차단기(20)에 연결되는 것과 함께 소정의 고정 수단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절개부(12)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메인 부스바(40)는 그 일측이 주 입력 터미널(30)에 연결되고 타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절곡되어 주입력 터미널(30)에 연결된다. 또한, 메인 부스바(40)는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하여 합선되지 않도록 절연 물질(도면 번호 미부여)로 피복되어 있으며, 주 입력 터미널(30)과 주 배선 차단기(20)를 상호 연결하도록 그 양단에 대략 원형의 연결구(41-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메인 부스바(40)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받는 주 배선 차단기(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측 상단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주 배선 차단기(20)의 일측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단부 측에 위치하는 메인 부스바(40)의 선단 연결구(41-1)가 연결된다.
상기한 주 배선 차단기(20)의 타측에는 복수개의 종 방향 부스바(41)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종 방향 부스바(41)는 메인 부스바(40)와 같이 종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메인 부스 바(4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측에 위치하고, 종방향 부스바(41)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종 방향 부스 바(41)의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막대 형상의 지지편(43)이 제공된다.
상기한 각각의 종 방향 부스 바(41)는 복수개의 횡 방향 부스 바(42)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되, 종 방향 부스 바(41)와 횡 방향 부스 바(42)와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진다. 물론, 일대일로 대응되는 부분에는 원형의 연결구(도면번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 방향 부스 바(41)와 횡 방향 부스 바(42)는 메인 부스 바(40)와 마찬가지로 절연 물질(미도시)로 피복되어 있고, 상호 연결되는 부분만 절연 물질이 제거되어 있다.
각각의 횡방향 부스 바(42)의 양단에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 배선 차단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보조 배선 차단기(50)가 다수의 횡방향 부스 바(42)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배치됨으로써 분전반의 폭을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은,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 부스바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길게 형성하고,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를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하여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의 배선을 간결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줄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메인 부스바와 주배선 차단기와의 연결형태를 나타낸 분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인 부스바의 사시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설명>
1 :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연장부
12 : 절개부 20 : 주배선 차단기
30 : 주입력 터미널 40 : 메인 부스바
41 : 종 방향 부스 바 42 : 횡 방향 부스 바
50 : 보조 배선 차단기

Claims (4)

  1. 사각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주배선 차단기와,
    상기 주배선 차단기와 대향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 하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주입력 터미널과,
    일측은 상기 주입력 터미널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상부로 절곡되어 연결되는 메인 부스바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종 방향 부스 바에 일대일 대응 연결되되, 상기 종 방향 부스 바와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횡 방향 부스 바와,
    상기 각각의 횡방향 부스 바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보조 배선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부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가 형성되는 쪽의 상기 연장부에는 두 개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부스바가 상기 절개부 사이를 관통하여 상기 주입력 터미널과 주배선 차단기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종 방향 부스 바의 각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막대 형상의 지지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선 차단기 중 일부는 누전 차단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KR20-2005-0023833U 2005-08-18 2005-08-18 분전반 KR200401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833U KR200401136Y1 (ko) 2005-08-18 2005-08-18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833U KR200401136Y1 (ko) 2005-08-18 2005-08-18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36Y1 true KR200401136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833U KR200401136Y1 (ko) 2005-08-18 2005-08-18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80A (ko) * 2020-04-08 2021-10-18 심상민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180A (ko) * 2020-04-08 2021-10-18 심상민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KR102378764B1 (ko) 2020-04-08 2022-03-28 주식회사 이천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398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y
CN102844947A (zh) 具有并联馈电线分布的配电板
CA2737815C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20100009432A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200401136Y1 (ko) 분전반
KR101406934B1 (ko) 적층 구조식 모듈형 전원 연결을 위한 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200431626Y1 (ko) 수배전반용 배선차단기의 부스바 접속장치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JP5289169B2 (ja) 単相3線式分電盤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20100107883A (ko) 조립식 일체형 분전반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KR200302957Y1 (ko) 분전반
KR20080025894A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JP2010206894A (ja) 配電盤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200370969Y1 (ko) 분전반용 모선지지대
JP2008271710A (ja) ブレーカユニット
KR100665044B1 (ko) 저압용 배전반
KR102357979B1 (ko) 분전반
JP6433336B2 (ja) 分電盤
KR102580337B1 (ko) 부스바 분기 장치의 부스바 접속용 어댑터, 이를 갖는 부스바 분기 장치, 및 부스바 분기 장치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KR102595685B1 (ko)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