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764B1 -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764B1
KR102378764B1 KR1020200042521A KR20200042521A KR102378764B1 KR 102378764 B1 KR102378764 B1 KR 102378764B1 KR 1020200042521 A KR1020200042521 A KR 1020200042521A KR 20200042521 A KR20200042521 A KR 20200042521A KR 102378764 B1 KR102378764 B1 KR 10237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ircuit breaker
auxiliary
main b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180A (ko
Inventor
심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천
Priority to KR102020004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7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기가 메인 부스바의 상부에 적층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에 따른 분전반의 크기를 컴팩트화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이루는 다수의 메인부스바(11)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비된 메인차단기(10)와, 상기 메인부스바(11)와 보조부스바(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보조차단기(20)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스바(11)의 길이방향으로 절연 재질의 가이드지그(30)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지그(30)의 상부에는 보조차단기(20)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보조차단기(20)는 메인부스바(11)와 보조부스바(21)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CIRCUIT BREAKER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에 구성되는 차단기의 부스바 연결 구조 개선을 통하여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외부에서 인입되는 전력을 사용처별로 공급 및 차단 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분전반은 덮개부를 가지는 직사각형상의 패널로 외형을 이루며, 이 패널에는 배선차단기에 해당하는 메인차단기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세컨더리 차단기)들과 그 외 각종 누전차단기들이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조립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차단기와 보조차단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부스바(bus-bar)를 설치하게 되는바, 이에 관련된 구성을 도 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통상 분전반(1)은 직사각형상의 베이스패널(2) 상에 배선차단기에 해당하는 메인차단기(3)와 다수개의 보조차단기(4) 및 그 외 각종 누전차단기(5)들이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조립된 구조를 구성된다. 또한, 분전반(1)에는 사용상 안전을 위해 각 차단기의 스위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한편, 분전반(1)은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장착 사용되는 수량이 각기 다르게 구성된다.
이때, 분전반(1)에는 각각의 차단기(3,4,5)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다수의 부스바(bus-bar)(6)를 설치되는데, 즉 메인차단기(3)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메인부스바(6a)와, 메인부스바(6a)로부터 연결되어 전력을 보조차단기(4) 및 누전차단기(5)에 공급하는 보조부스바(6b)를 설치하고, 이러한 메인부스바(6a)와 보조부스바(6b)들은 상호 열십자(+)형태로 교차하여 접촉부위를 볼트나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7)으로 체결 고정하여 상호 연결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분전반에서는 차단기가 메인부스바의 양쪽에 대칭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분전반의 크기가 증가되어 설치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6402호(2018.05.28.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89925호(2007.02.26.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05392호(2008.02.1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메인부스바와 차단기의 연결 구조 개선을 통하여 차단기가 적층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설치 공간을 간소화하고 이에 따른 분전반의 크기를 컴팩트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이루는 다수의 메인부스바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비된 메인차단기와, 상기 메인부스바와 보조부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보조차단기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스바의 길이방향으로 절연 재질의 가이드지그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지그의 상부에는 보조차단기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보조차단기는 메인부스바와 보조부스바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지그는, 일정 높이로 지지를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부와, 메인부스바가 안내되는 메인부스바 안내홈과, 보조차단기가 안착되는 차단기 안착부와, 상기 보조부스바가 안내되는 보조부스바 안내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부스바는 중단부가 "U"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전반은, 차단기가 메인 부스바의 상부에 적층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에 따른 분전반의 크기를 컴팩트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가이드 지그에 의한 차단기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분전반에 부스바가 연결된 상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지그와 메인 부스바 분리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지그와 메인 부스바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지그 부품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가이드 지그와 메인 부스바 분리상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지그와 메인 부스바 결합상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보조 부스바 연결상태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 연결부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분산플레이트 단면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선된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를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분전반은 메인차단기(10)와 연결된 4개의 메인부스바(11)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메인부스바(11)의 상부에는 보조차단기(20)가 가이드지그(30)에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합성수지 재질의 보조부스바(21)에 의해 메인부스바(11)와 통전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지그(30)는 일정 높이로 지지를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부(31)와, 메인부스바(11)가 안내되는 메인부스바 안내홈(32)과, 보조차단기(20)가 안착되는 차단기 안착부(33)와, 상기 보조부스바(21)가 안내되는 보조부스바 안내홈(34)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보조부스바(21)는 상부에 안착되는 보조차단기(20)와 하부의 메인부스바(11)의 개별적인 연결을 위해 중단부가 "U"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부스바(11)는 보조부스바(21)와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가압구(40)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지되, 가압구(40)에는 가압력 전달을 위한 가압볼트(41)가 체결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5는 가이드지그(30)를 분전반 패널(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 체결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연결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분전반의 조립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메인차단기(10)에 일정 길이로 절단 제작된 4개의 메인부스바(11)의 양단부가 받침대(미도시)에 의해 분전반 패널(100) 상면에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메인부스바(11)의 경로상에 가이드지그(30)를 고정피스(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가이드지그(30)의 하부에 메인부스바 안내홈(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에서와같이 메인부스바(11)의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각 메인부스바(11)에 도 10에서와같이 가압구(40) 및 가압볼트(41)를 이용하여 보조부스바(21)의 일측을 접지 고정시킨 후, 가이드지그(30) 상부의 차단기 안착부(33)에 보조차단기(20)를 안착시키게 되다.
그리고, 보조부스바(21)의 타측은 보조차단기(20)에 볼트 체결을 통하여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보조부스바(21) 연결작업이 반복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가이드지그(30)에서 길이를 달리하는 4개의 보조부스바(21)가 측부에 연결되어 상부에 안착된 보조차단기(20)와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립과정을 통하여 분전반의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보조차단기(20)가 메인 부스바(11)의 길이방향 경로를 따라서 상부에 적층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하고 이에 따른 분전반의 크기를 컴팩트화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별도의 가이드 지그(30)에 의한 보조차단기(20)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보조부스바(21)의 일측에는 가압볼트(41)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합금재질의 분산플레이트(42)가 구성되며, 상기 분산플레이트(42) 내부에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패드(43)가 내장 구비된다.
또한, 상기 분산플레이트(42) 저면과 보조부스바(21)에는 상호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톱니 형상의 요철홈(21a,42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분산플레이트(42) 및 요철홈(21a,42a) 구조로 인해 가압볼트(41)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보조부스바(21)에서 볼트 가압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변형 발생이 방지됨과 함께 메인부스바(11)와 안정적인 통전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분산플레이트(34) 내부에는 완충재질의 완충패드(35)가 내장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지지력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부스바 연결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분전반에는 하나의 메인차단기(10)와 함께 보조차단기(20)는 다수개가 조립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누전차단기가 함께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메인차단기 11 : 메인부스바
20 : 보조차단기 21 : 보조부스바
30 : 가이드지그 31 : 다리부
32 : 메인부스바 안내홈 33 : 차단기 안착부
34 : 보조부스바 안내홈 35 : 고정볼트 체결공
40 : 가압구 41 : 가압볼트
100 : 분전반 패널

Claims (5)

  1. 일정 길이를 이루는 다수의 메인부스바(11)가 일정 간격으로 연결 구비된 메인차단기(10)와, 상기 메인부스바(11)와 보조부스바(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보조차단기(20)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스바(11)의 길이방향으로 절연 재질의 가이드지그(30)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지그(30)의 상부에는 보조차단기(20)가 안착 구성되며;
    상기 보조차단기(20)는 메인부스바(11)와 보조부스바(21)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부스바(11)는 보조부스바(21)와 "ㄷ"형상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가압구(40)에 의해 접촉이 이루어지되, 가압구(40)에는 가압력 전달을 위한 가압볼트(41)가 체결되고,
    상기 보조부스바(21)의 일측에는 가압볼트(41)의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합금재질의 분산플레이트(42)가 부착 구성되며, 상기 분산플레이트(42)의 내부에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패드(43)가 내장 구비되고, 상기 분산플레이트(42)의 저면과 보조부스바(21)에는 상호 접촉면적 증대를 위한 톱니 형상의 요철홈(21a,4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그(30)는, 일정 높이로 지지를 위해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부(31)와, 메인부스바(11)가 안내되는 메인부스바 안내홈(32)과, 보조차단기(20)가 안착되는 차단기 안착부(33)와, 상기 보조부스바(21)가 안내되는 보조부스바 안내홈(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스바(21)는 중단부가 "U"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200042521A 2020-04-08 2020-04-08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KR10237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21A KR102378764B1 (ko) 2020-04-08 2020-04-08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21A KR102378764B1 (ko) 2020-04-08 2020-04-08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80A KR20210125180A (ko) 2021-10-18
KR102378764B1 true KR102378764B1 (ko) 2022-03-28

Family

ID=78271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521A KR102378764B1 (ko) 2020-04-08 2020-04-08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7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36Y1 (ko) 2005-08-18 2005-11-15 정재현 분전반
KR100543963B1 (ko) 2005-05-03 2006-01-23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방법 및 장치
KR100641031B1 (ko)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배전반
KR100825379B1 (ko) *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967386B1 (ko) * 2008-05-07 2010-07-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스바 체결 클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402B1 (ko) 1996-02-14 1999-03-20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온도 감지 보상 방법 및 회로
KR100689925B1 (ko) 2006-03-17 2007-03-08 추인엽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100805392B1 (ko) 2006-11-21 2008-02-20 박명자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63B1 (ko) 2005-05-03 2006-01-23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방법 및 장치
KR200401136Y1 (ko) 2005-08-18 2005-11-15 정재현 분전반
KR100641031B1 (ko) 2006-03-31 2006-11-02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배전반
KR100825379B1 (ko) * 2006-09-19 2008-04-29 (주)제일피앤피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967386B1 (ko) * 2008-05-07 2010-07-0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스바 체결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180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147B2 (en) Switchgear conductors and connections therefore
KR101085990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장치
US7616431B2 (en) Electrical enclosure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US6317312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102378764B1 (ko)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2083420B1 (ko) 분전반
KR102378763B1 (ko) 분전반의 부스바 연결구조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10146632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KR101584296B1 (ko) 배전반
KR101186275B1 (ko) 아크발생이 방지되는 친환경 산업용 안전 분전반
KR20200063518A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100937398B1 (ko) 배전반용 인슐레이터 모듈
KR20040016840A (ko) 도체의 접속구조
WO2021171968A1 (ja) 外装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934275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1806242B1 (ko)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