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960B1 - 부스바 지지대 - Google Patents

부스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960B1
KR100672960B1 KR1020060065906A KR20060065906A KR100672960B1 KR 100672960 B1 KR100672960 B1 KR 100672960B1 KR 1020060065906 A KR1020060065906 A KR 1020060065906A KR 20060065906 A KR20060065906 A KR 20060065906A KR 100672960 B1 KR100672960 B1 KR 10067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wer
busbar
suppor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공환
Original Assignee
청석전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석전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청석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상(電源相)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원상 지지면과, 전원차단기의 N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N상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N상 지지면을 구비하며, 전기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전원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와 결합되는 전원상 체결부; 상기 N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N상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체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N상 전원으로부터 다수의 접점을 분기하는 배선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스바 지지대{Apparatus for supporting bus-bar}
도 1은 종래의 부스바 지지대가 설치된 분전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전반의 "A"부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가 설치된 분전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평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Ⅵ-Ⅵ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주전원차단기 12 : 보조전원차단기
13 : 누전차단기 30 : 보조부스바
41 : 전원상 부스바 42 : N상 부스바
100 : 부스바 지지대 110 : 본체
111 : 전원상 지지면 112 : N상 지지면
121 : 전원상 체결부 122 : N상 체결부
131 : 제1지지면 132 : N상 분기체결부
133 : 통전부재 141 : 제2지지면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분전반에 입력되는 3상 교류 전원 중 N상 전원으로부터 다수의 접점을 분기하는 배선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주전원차단기(11)와, 주전원차단기(11)로부터 전원을 분배받는 복수의 보조전원차단기(12) 및 전력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13)와, 주전원차단기(11), 보조전원차단기(12) 및 누전차단기(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의 모선부스바(21)(22) 및 자선부스바(23)와, 모선부스바(21)(2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대(14)와, N상 모선부스바(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부스바(24)를 포함한다.
한편, 주전원차단기(11)의 R상, S상, T상과 연결된 모선부스바(21)는, 주전원차단기(11)부터 부스바 지지대(14)까지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나, N상과 연결된 모선부스바(22)는, 주전원차단기(11)부터 부스바 지지대(14)까지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여 사용한다. N상 모선부스바(22)를 부스바 지지대(14)로부터 돌출되게 결합하고, 그 연장된 일단부에 다수의 N상 전원을 추출하기 위한 보조부스바(2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보조부스바(24)의 일단부는 N상 모선부스바(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 고, 타단부는 분전반의 베이스 패널(미도시)에 부착되는 지지부(15)에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부스바 지지대(14)와 지지부(15)는 동일한 높이로 제작되므로, 보조부스바(24)의 일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하지 않으면, 지지부(15)의 높이에 맞추어 보조부스바(24)와 N상 모선부스바(22)를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15)의 높이에 맞게 보조부스바(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N상 모선부스바(14)와 결합되는 보조부스바(24)의 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하여 N상 모선부스바(14)를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전반에서는, 상기 보조부스바(24)와의 결합을 위하여 N상과 연결되는 모선부스바(22)의 길이를, R상, S상, T상과 연결된 모선부스바(21)의 길이보다 길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相)에 관계없이 모선부스바의 길이를 동일하게 규격화할 수 없고, N상 모선부스바는 따로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스바 지지대를 사용하여 N상 모선부스바와 보조부스바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N상 모선부스바의 연장된 단부에 관통공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고, N상 모선부스바의 연장된 단부에 결합되는 보조부스바의 일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해야만 했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홀작업과 절곡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전체 분전반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되고, 생산효율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대 내에 N상 체결부와 별도로 N상 분기체결부를 마련하여 N상 체결부와 N상 분기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분전반을 제작함 에 있어서 N상 전원으로부터 다수의 접점을 분기하는 배선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부스바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상(電源相)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원상 지지면과, 전원차단기의 N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N상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N상 지지면을 구비하며, 전기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전원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와 결합되는 전원상 체결부; 상기 N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N상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체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전원상 체결부는, 전원차단기의 R상과 연결되는 R상 체결부와, 전원차단기의 S상과 연결되는 S상 체결부와, 전원차단기의 T상과 연결되는 T상 체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상 지지면 및 N상 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상 지지면 및 N상 지지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격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지지면과 이 격되게 배치되어, 그 제1지지면과 함께 상기 보조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상(電源相)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원상 지지면과, 전원차단기의 N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N상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N상 지지면을 구비하며, 전기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전원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와 결합되는 전원상 체결부; 상기 N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N상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체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측에 놓여지는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제1지지면과 함께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에 지지되며,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와, 상기 제1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가 설치된 분전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 의 Ⅵ-Ⅵ 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차단기(11), 보조전원차단기(12), 누전차단기(13), 전원상 부스바(41), N상 부스바(42), 자선부스바(23), 부스바 지지대(100) 및 보조부스바(30)를 포함하는 종래의 분전반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100)는, 종래의 분전반에 사용되는 부스바 지지대와 그 구성과 기능면에서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100)는, R상, S상, T상에 연결된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에 연결된 N상 부스바(42) 각각의 일단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부스바(30)를 N상 부스바(42)와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는, 본체(110), 전원상 체결부(121), N상 체결부(122), N상 분기체결부(132), 통전부재(13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에는, 전원상 지지면(111)과 N상 지지면(112)이 일렬로 마련되어 있고, 전원상 지지면(111)은, R상 지지면, S상 지지면 및 T상 지지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 부스바(42)의 일단부는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N상의 단자부에, 그 타단부는 상기 본체(110)의 R상 지지면, S상 지지면, T상 지지면 및 N상 지지면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본체(110)는,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수지 계통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 부스바(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차단기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전원상 지지면(111) 및 N상 지지면(112) 각각의 간격도 다르게 제작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제1지지면(131)과 제2지지면(141)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면(131)은, 보조부스바(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상 지지면(111)과 N상 지지면(112)이 이루는 열과 일렬로 배치되지는 않고, N상 지지면(11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면(141) 역시, 제1지지면(131)과 함께 보조부스바(3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면(131)과 일렬로 배치되며 제1지지면(13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면(141) 상에 놓여지는 보조부스바(30)를 고정하기 위하여 제2지지면(141)에는 암나사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부스바(30)는 그 위에 가급적 많은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해 길게 제작되는 것이 보통인데, 긴 길이의 보조부스바(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N상 지지면(112)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전원상 지지면(111)의 후방에 제2지지면(1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에는, 전원상 지지면(111)과 제1지지면(131)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113)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격벽(113)은 전원상 지지면(111)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자의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감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분전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 후 작업할 수 있지만, 불가피하게 전력이 공급된 상태에서 분전반을 보수하거나 점검해야 하는 경우, 상기 격벽(113)으로 인해 작업과정에서 노출된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 부스바(42)와의 접촉으로 인한 고압전류 감전의 위험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상 체결부(121)는, 상기 전원상 지지면(111)에 각각 배치되며, R상과 연결되는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R상 체결부와, S상과 연결되는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S상 체결부와, T상과 연결되는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T상 체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상 체결부(121)에는, 전원상 지지면(111)에 놓여지는 전원상 부스바(41)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상 체결부(121)의 암나사부와 전원상 부스바(41)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나사부재(50)가 나사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전원상 부스바(41)는 전원상 지지면(1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N상 체결부(122)는, 상기 N상 지지면(112)에 배치되며, N상 지지면(112)에 놓여지는 N상 부스바(42)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N상 체결부(122)의 암나사부와 N상 부스바(42)의 일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나사부재(50)가 나사결합됨으로써, N상 부스바(42)는 N상 지지면(112)에 고정될 수 있다. N상 체결부(122)는 후술할 N상 분기체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구리합금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N상 분기체결부(132)는, 상기 제1지지면(131)에 배치되며, 제1지지면(131)에 놓여지는 보조부스바(30)를 고정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N상 분기체결부(132)의 암나사부와 보조부스바(30)에 형성된 관통공(31)을 관통하는 나사부재(50)가 나사결합됨으로써, 보조부스바(30)는 제1지지면(131)에 고 정될 수 있다. N상 분기체결부(132)는, N상 체결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구리합금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통전부재(133)는, 상기 N상 분기체결부(132)와 N상 체결부(1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리합금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전부재(133)는, N상 분기체결부(132) 및 N상 체결부(122) 각각의 단부와 접촉되어 N상 분기체결부(132)와 N상 체결부(122)를 통전시킨다. 상기 통전부재(133)는, N상 분기체결부(132) 및 N상 체결부(122)에, 예컨대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N상 분기체결부(132) 및 N상 체결부(122)에 밀착되는 상태로 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N상 분기체결부(132) 및 N상 체결부(1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하여 N상 부스바와 보조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보조부스바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원리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N상에 연결될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 부스바(42)를 같은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한 각 부스바의 양단부를 전원차단기의 단자부와 부스바 지지대(100)의 전원상 지지면(111) 및 N상 지지면(112)에 놓은 후, 나사부재(50)와 R상 체결부(121), S상 체결부(121), T상 체결부(121) 및 N상 체결부(122)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전원상 부스바(41) 및 N상 부스바(42)를 고정시킨다. 한편, 나사부재(50)를 보조부스바(30) 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31)을 관통하여, N상 분기체결부(132)의 암나사부 및 제2지지 면(141)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42)와 각각 나사결합함으로써, 보조부스바(30)를 제1지지면(131) 및 제2지지면(141)에 고정시킨다.
N상 체결부(122)와 N상 분기체결부(132)는 상기 통전부재(13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원상 부스바(41)와 같은 길이로 절단한 N상 부스바(42)를 N상 체결부(122)에 연결하고, 보조부스바(30)를 N상 분기체결부(132)에 연결하는 것만으로도, 다수의 N상 전원을 추출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다. 즉, 전원차단기의 N상 전원은, N상 부스바(25), N상 체결부(122), 통전부재(133), N상 분기체결부(132)를 통하여 보조부스바(30)에 전달되며, 보조부스바(30) 상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31)을 통하여 N상 전원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하면, 전원상 및 N상의 구별없이 같은 길이의 부스바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相)에 관계없이 모선부스바의 길이를 동일하게 규격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부스바 지지대를 사용하면 추가적으로 수행하여야 했던, N상 부스바 상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작업이나 보조부스바의 일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분전반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분전반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는, 도 4에 도시된 부스바 지지대의 모든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통공(31)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 나사부재(50)에 전선 등을 연결하 여 N상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고, 암나사부를 형성하지 않고 나사부재(50)와 너트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부재(50)에 전선 등을 연결하여 N상 전원을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 역시, 도 4에 도시된 부스바지지대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R상, S상, T상, N상 등 네 개의 상에 연결된 부스바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의 상 및 N상에 연결된 부스바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 즉 N상을 반드시 포함하고, 두 개의 상 또는 세 개의 상에 연결된 부스바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선부스바를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모선부스바로부터 분기되는 자선부스바를 지지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지지면은, 전원상 지지면과 N상 지지면을 연결하는 선상에서 이격되게 N상 지지면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나, N상 체결부와 N상 분기체결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원상 지지면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전원상 지지면과 N상 지지면을 연결하는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부스바를 체결하는 데 용이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변형례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예들의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스바 지지대가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스바 지지대는, 전원상 부스바와 N상 부스바를 같은 길이로 절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지지대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相)에 관계없이 부스바의 길이를 동일하게 규격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N상 부스바 상에 보조부스바와 결합을 위한 관통공 형성하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보조부스바의 일단부를 단차지게 절곡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분전반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고, 분전반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상(電源相)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원상 지지면과, 전원차단기의 N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N상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N상 지지면을 구비하며, 전기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전원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와 결합되는 전원상 체결부; 상기 N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N상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체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를 지지하는 제1지지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상 체결부는,
    전원차단기의 R상과 연결되는 R상 체결부와, 전원차단기의 S상과 연결되는 S상 체결부와, 전원차단기의 T상과 연결되는 T상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원상 지지면 및 N상 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상 지지면 및 N상 지지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지지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제1지지면과 함께 상기 보조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대.
  5. 전원차단기의 R상, S상, T상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상(電源相)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전원상 지지면과, 전원차단기의 N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N상 부스바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N상 지지면을 구비하며, 전기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전원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원상 부스바와 결합되는 전원상 체결부; 상기 N상 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N상 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체결부;를 포함하는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상측에 놓여지는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제1지지면과 함께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면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에 지지되며, 다수의 N상 전원 접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부스바와,
    상기 제1지지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분기체결부와 상기 N상 체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통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지지대.
KR1020060065906A 2006-07-13 2006-07-13 부스바 지지대 KR10067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06A KR100672960B1 (ko) 2006-07-13 2006-07-13 부스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06A KR100672960B1 (ko) 2006-07-13 2006-07-13 부스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2960B1 true KR100672960B1 (ko) 2007-01-22

Family

ID=3801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906A KR100672960B1 (ko) 2006-07-13 2006-07-13 부스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9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5B1 (ko) 2007-01-09 2007-04-27 청석전기 주식회사 분전반
KR100948131B1 (ko) 2007-12-10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고정구조
KR101508177B1 (ko) * 2014-07-17 2015-04-07 유한회사 주왕산업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KR101541163B1 (ko) 2014-11-05 2015-08-03 유한회사 주왕산업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한 배전반용 결상감지장치
KR200480163Y1 (ko) * 2011-12-30 2016-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KR20210108211A (ko) 2020-02-25 2021-09-02 김상진 부스바 지지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45B1 (ko) 2007-01-09 2007-04-27 청석전기 주식회사 분전반
KR100948131B1 (ko) 2007-12-10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고정구조
KR200480163Y1 (ko) * 2011-12-30 2016-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KR101508177B1 (ko) * 2014-07-17 2015-04-07 유한회사 주왕산업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KR101541163B1 (ko) 2014-11-05 2015-08-03 유한회사 주왕산업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한 배전반용 결상감지장치
KR20210108211A (ko) 2020-02-25 2021-09-02 김상진 부스바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US8684758B2 (en) Terminal unit having fused combiner/distribution bus bar assembly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101642855B1 (ko) 양면복합 배전용 분전반에서의 전기 배선장치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KR102398754B1 (ko)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JP2010263674A (ja) 単相3線式分電盤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JP2006230152A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KR20080025894A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709981B1 (ko)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KR100967635B1 (ko)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KR101825604B1 (ko)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JPH1118216A (ja) 絶縁配線配電盤及び裏配線用端子台
KR101326329B1 (ko) 전력용 접속 도체
KR100735860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0735862B1 (ko) 전력장치용 접속 고정부를 구비한 자선부스바
JP2008271710A (ja) ブレーカユニット
KR200302957Y1 (ko)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