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177B1 -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 Google Patents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177B1
KR101508177B1 KR20140090144A KR20140090144A KR101508177B1 KR 101508177 B1 KR101508177 B1 KR 101508177B1 KR 20140090144 A KR20140090144 A KR 20140090144A KR 20140090144 A KR20140090144 A KR 20140090144A KR 101508177 B1 KR101508177 B1 KR 101508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image
phase
uni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귀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주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주왕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주왕산업
Priority to KR2014009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 H02H3/25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for multiphase applications, e.g. phase interrup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상 4선식, 3상 3선식, 2상 2선식 차단기에서 연결되는 부스바 지지대에서결상을 감지 및 발광표시하는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SUPPORTER FOR BUS BAR CAPABLE OF DETECTING PHASE OPEN}
본 발명은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3상 4선식, 3상 3선식, 2상 2선식 차단기에서 연결되는 부스바 지지대에서결상을 감지 및 발광표시하는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단상3선식 및 3상4선식 중성선 결상보호용 차단기를 구비하며, 상기 중성선 결상보호용 차단기는 상기 분전반의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제어전원을 상선(R, S, T상)-중선선(N)이 아닌 상선(R, S, T상)-상선((R, S, T상)에 연결하여 제어회로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은 단상 3선식, 2상 2선식, 3상 3선 또는 3상 4선식으로 구성되며, 중성선이 결상되더라도 제어전원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제어회로의 구동 및 차단기를 트립시키는데에 특별하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예를 들어, 단상 2선식 회로에서 중성선이 결상된 경우는 닫혀있는 접점을 통하여 전압이 그대로 부하에 인가되어 있는 상태임에 따라 단상과 접점 사이에 사용전압이 그대로 걸려있게 된다.
그러므로 중성선의 결상으로 차단기의 제어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누전차단기가 누전에 대한 보호기능을 상실한 상태에서 연결된 부하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부하의 손상 및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중성선이 결상되면 부하의 구동상태가 즉시 확인됨에 따라 중성선의 결상을 감지하기 위한 기술이 주를 이루는 대신 상선의 결상으로 인한 부하의 수명단축이나 고장 및 파손되는 문제점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중성선이 아닌 상선(R, S, T중 하나 이상)이 결상 될 경우에는, 예를 들면, 3상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가 한시적으로 정상작동하고, 결상여부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기술이 전무함에 따라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오판하게 되어 장기적으로 부하에 파손 및 고장이 발생되어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2645호(2009.08.11일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029577호(2011.04.0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류전원에서 상선(R, S, T)의 결상여부를 감지하고, 상선의 결상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표시하는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 부피 및 용량이 증가되지 않도록 부스바 지지대에 상선의 결상을 감지할 수 있는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에 부스바의 연결 및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부스바 지지대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는 메인차단기와 하나 이상의 서브차단기가 상호 연결되어 전원을 통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스바; 상기 메인차단기에서 연장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스바를 고정 및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대; 상기 부스바의 통전여부에 따라서 결상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차단기에 결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결상감지부; 및 상기 결상감지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부스바 지지대에서 결상된 해당 부스바를 발광표시하는 발광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차단기는 상기 결상감지부의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차단스위치를 온시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지지대는 상기 부스바가 각각 설치되도록 상면에서 하나 이상이 분할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는 구획벽; 상기 설치부에서 연장된 상면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설치부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측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판이 일체로 이루어져 분전반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교류전원에서 상선(R, S, T)의 결상여부를 감지하여 시각적으로 식별가능하도록 발광표시함에 따라 상선의 결상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선에 연결되는 부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대에 상선의 결상을 감지할 수 있는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와 달리 차단기에 결상을 감지한는 장치 및 회로를 추가하지 않기에 이로 인한 차단기의 설계변경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및 설치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부스바의 연결작업과 부스바 지지대의 고정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어용 전원을 통전 및 차단하는 메인차단기(100)와, 상기 메인차단기(100)에서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 및 설치되어 각각 서로 다른 부하에 제어용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차단기(200')와, 상기 메인차단기(100)에서 연결되어 제어용 전원을 통전시키는 부스바(300)를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제어용 전원을 상기 부스바(300)에 인가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차단기(200')에 공급한다. 상기 서브차단기(200')는 각각 서로 다른 부하에 연결되어 제어용 전원을 공급 및 이상감지시에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서브차단기(200')는 각각의 전원을 통전 및 차단하도록 스위칭되는 차단스위치(210)가 구비된다.
상기 부스바(300)는 하나 이상으로서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부스바 지지대(10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부스바(300)(도 1참조)와, 상기 서브차단기(200') 사이에서 수평방향(도 1참조)으로 연결되는 서브부스바(300')(도 1참조)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스바(300)는 R, S, T의 상선과, 중성선별로 연결되고, 상기 서브차단기(200')는 연결되는 부하의 특성에 따라서 3상 4선, 3상 3선, 단상 2선, 2상 2선식중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부스바(300)는 연결되는 서브차단기(200')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부스바(300)와 서브부스바(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으로 각각 연장되면서 상호 통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메인차단기(100)의 제어용전원을 상기 서브차단기(200')에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부스바 지지대(100) 사이로 연장되는 R, S, T의 상선과 중성선에 모두 연결되는 메인부스바(300)를 부스바(300)로 총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는, 예를 들면, 벽면에 고정되어 상선과 중성선에 각각 연결되는 부스바(300)의 한쪽 끝단이 고정되는 몸체(110)와, 상선에 연결되는 부스바(300)의 통전여부를 감지하여 상선의 결상여부를 발광표시하는 결상감지장치(140)(도 3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상면에서 상선과 중성선에 연결되는 부스바(300)의 끝단이 각각 설치되는 공간으로 분할된 하나 이상의 설치부(111)와, 상기 설치부(111)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111)를 구획시키는 구획벽(112)과, 상기 설치부(111)의 양 끝단에서 밀착 고정되어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에서 결상이 감지되면 발광표시되는 발광표시부(141)가 설치되는 지지블럭(120)을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111)는 상면에서 상선에 연결되는 부스바(300)와 중성선에 연결되는 부스바(300)의 끝단이 상면에 안착되도록 분할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부(111)는 상기 부스바(300)를 고정 및 통전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내향 형성되는 고정공(111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공(111a)은 내면이 전도성 금속재질로서 형성되는 부스바전극(1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공(111a)은 상기 부스바(300)의 끝단에서 관통형성되는 관통공(도시되지 않음)과 일치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300)의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을 연통한 나사 또는 리벳(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설치부(111)는 상기 부스바(300)가 고정되도록 상기 나사 또는 리벳(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고정공(111a)의 내면에서 부스바(300)의 통전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부스바전극(142)이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12)은 상기 설치부(111) 사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벽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112)은 상기 부스바(300)의 폭과 일치되는 간격만큼 상호 이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양측 끝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판(132)과, 상기 수직판(132)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벽면에 밀착되는 고정판(13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133)은 관통형성된 삽입공(131)이 형성되어 분전반 또는 기타 벽면에서 나사 또는 리벳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양측에서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131)을 통하여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장치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를 벽면에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 지지블럭(120)은 상기 설치부(11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돌출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지지블럭(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300)가 연장된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럭(120)은 상선에 연결된 부스바(300)가 설치되는 설치부(111)와 일치되는 위치에서 결상여부를 발광표시하는 발광표시부(141)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R상에 연결된 부스바(300)가 설치된 설치부(111)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돌출되는 지지블럭(120)의 상면에는 R상의 결상여부를 발광표시하는 발광표시부(141)가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S상과 T상의 결상여부를 감지하는 발광표시부(141)가 상기 지지블럭(120)의 상면에서 해당 설치부(111)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서 설치된다.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와 메인차단기(100)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장치(140)가 구비된 부스바 지지대(100)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결상감지장치(140)는 상기 부스바전극(142)으로부터 결상여부를 감지하는 결상감지부(143)와,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제어에 의하여 결상을 발광표시하는 상기 발광표시부(141)와,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신호로 상선의 결상을 경보하는 부저(144)와, 상기 메인차단기(100)에 결상감지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표시부(141)는 상기 설치부(111)별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로서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제어에 의하여 발광표시된다.
상기 통신부(14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서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결상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부저(144)는, 예를 들면, 스피커로서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상선의 결상을 경보한다.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전극의 전원통전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발광표시부(141), 부저(144) 및 통신부(14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는 일실시예와, 릴레이와 같은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부(143', 도 4참조)가 구비된 다른 실시예중에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의 결상감지부(143)를 적용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며, 상기 접점출력부에 의한 결상감지부의 다른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설치부(111)의 부스바전극(142)을 통하여 상선에 연결되는 부스바(300)의 통전여부를 확인하여 결상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R상의 부스바(300)가 연결되는 전극(142)으로부터 전원(전류 또는 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결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R상의 결상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141)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S상의 부스바(300)가 연결되는 전극(142)으로부터 전원(전류 또는 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결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S상의 결상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141)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T상의 부스바(300)가 연결되는 전극(142)으로부터 전원(전류 또는 전압)이 감지되지 않으면, 결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T상의 결상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141)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결상이 감지되면, 상기 부저(144)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145)를 통하여 상기 메인차단기(100)에 결상감지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상기 결상감지장치(140)로부터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차단스위치(210)를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의 결상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메인통신부(230)와, 상기 메인통신부(230)의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차단스위치(210)를 오프시키는 스위칭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의 통신부(145)와 통신연결된 장치로서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의 결상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위칭제어부(220)에 인가한다.
상기 스위칭제어부(220)는 상기 메인통신부(230)의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단스위치(210)를 오프시켜 각 서브차단기(200')에 공급되는 제어용 전원을 차단시켜 상선이 결상된 상태에서 부하가 구동되지 않도록 정지시켜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전반 내에 상기 메인차단기(100)를 설치하고, 상기 메인차단기(100)의 하측에서 동일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서브차단기(200')를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의 양측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판(133)을 분전반의 벽면에 밀착시킨뒤, 상기 삽입공(131)에 나사, 리벳, 못과 같이 벽면에 고정가능한 장치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30)을 벽면에 밀착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는 양측 끝단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30)이 벽면에 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수직으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와 부스바 지지대(100) 사이에 부스바(300)를 각각 연결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의 R상전극(142)에 제1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안착시키고, S상 전극(142)에 제2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T상 전극(142)에 제3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N상 전극(142)에 제4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한쪽 끝단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의 반대쪽 끝단에 관통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의 제1설치부(111)의 고정공(111a)을 일치시켜 설치부(111)의 상면에 설치하고,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장치를 관통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후에 상기 제2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 내지 제4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를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각각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부스바(300)는 상기 고정공(111a)의 내면에 형성된 부스바전극(142)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결상감지부(143)에서 각 부스바(300)의 통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상선이 연결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3부스바(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전원의 통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결상감지신호를 상기 부저(144)와 통신부(145)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결상감지부(143)는 해당 부스바(300)와 직선상으로 동일 위치에 설치된 발광표시부(141)를 발광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상기 결상감지장치(140)의 통신부(145)로부터 결상감지신호를 상기 메인통신부(230)에서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제어부(220)는 상기 메인통신부(230)를 통하여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단스위치(210)를 오프시켜 연결된 부하를 모두 오프시켜 결상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부하의 파손을 방지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상기 부저(144)의 경보음을 청취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차단기(100)의 차단스위치(210)가 오프되면, 결상이 발생됨을 인지하여 상기 부스바 지지대(100)에 설치된 발광표시부(141)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각 상선에 연결된 부스바(300)와 동일 위치에 설치된 발광표시부(141)중에서 점등된 부스바(300)를 확인하여 결상이 발생된 상선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점신호를 이용한 결상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상감지장치를 구비한 부스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부스바전극(142)으로부터 결상여부를 감지하여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부(143')와, 상기 접점출력부에서 출력된 접점신호에 의하여 결상을 발광표시하는 상기 발광표시부(141)와, 상기 접점출력부(143')의 접점신호가 수신되면 음성신호로 상선의 결상을 경보하는 부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출력부(143')는 상기 결상감지부(143)의 다른 실시예로, 예를 들면, 릴레이와 같은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소자로 구성될 수있다. 상기 접점출력부(143')는 상선이 연결되는 부스바 전극에서 전원이 통전되지 않으면 스위칭온되어 스위칭신호를 상기 부저(142)와 발광표시부(141) 및 메인차단기(200)에 각각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결상감지부(143)는 전극의 전원통전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서 발광표시부(141), 부저(144) 및 통신부(145)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며, 다른 실시예의 결상감지부(143')는 릴레이와 같은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접점출력부(143')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표시부(141)는 상기 설치부(111)별로 각각 설치되는 발광소자로서 상기 접점출력부(143')에서 부스바 전극의 전원이 차단되면 스위칭온되어 출력되는 접점신호에 의하여 발광되어 결상을 표시한다.
상기 부저(144)는, 예를 들면, 스피커로서 상기 접점출력부(143')로부터 접점신호가 인가되면, 음성신호로서 상선의 결상을 경보한다.
상기 접점출력부(143')는 상기 설치부(111)의 부스바전극(142)별로 각각 스위칭소자가 설치되어 각 부스바 전극(142) 중 어느 하나가 전원이 차단되면, 스위칭온 또는 오프되어 상기 부저(144)와 발광표시부(141) 및 메인차단기(200)에 각각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접점출력부(143')는 R상의 부스바(300)가 연결되는 전극(142)으로부터 전원(전류 또는 전압)이 차단되면, R상의 상선이 연결되는 부스바 지지대에 설치된 상기 발광표시부(141)와 부저(144) 및 메인차단기(200)에 연결되는 전원 라인과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전원라인을 스위칭온하여 접점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R 상의 상선이 연결되는 부스바 지지대에 설치된 발광표시부가 점등된다.
상기 메인차단기(100)는 상기 스위칭제어부(220)가 상기 접점출력부(143')로부터 접점신호가 인가되면,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차단스위치(210)를 오프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부스바 지지대 110 : 몸체
111 : 설치부 111a : 고정공
112 : 구획벽 120 : 지지블럭
130 : 고정브라켓 131 : 삽입공
132 : 고정판 133 : 수직판
140 : 결상감지장치 141 : 발광표시부
142 : 부스바전극 143 : 결상감지부
143' : 접점출력부 144 : 부저
145 : 통신부 200 : 메인차단기
200' : 서브차단기 210, 210' : 차단스위치
300 : 부스바

Claims (2)

  1. 메인차단기와 하나 이상의 서브차단기가 상호 연결되어 전원을 통전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스바;
    상기 메인차단기에서 연장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스바를 고정 및 지지하는 부스바 지지대;
    상기 부스바의 통전여부에 따라서 결상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차단기에 결상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결상감지부; 및
    상기 결상감지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부스바 지지대에서 결상된 해당 부스바를 발광표시하는 발광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차단기는 상기 결상감지부의 결상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차단스위치를 온시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칭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 지지대는
    상기 부스바가 각각 설치되도록 상면에서 하나 이상이 분할된 설치부;
    상기 설치부 사이에서 상향 돌출되는 구획벽;
    상기 설치부에서 연장된 상면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설치부의 양 끝단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측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판이 일체로 이루어져 분전반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결상 감지 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2. 삭제
KR20140090144A 2014-07-17 2014-07-17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KR101508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144A KR101508177B1 (ko) 2014-07-17 2014-07-17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144A KR101508177B1 (ko) 2014-07-17 2014-07-17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177B1 true KR101508177B1 (ko) 2015-04-07

Family

ID=5303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0144A KR101508177B1 (ko) 2014-07-17 2014-07-17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77B1 (ko) 2017-03-17 2017-09-07 해림계전(주) 부스바 접속 감지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864772B1 (ko) 2017-10-18 2018-07-04 태일전기(주) 전위차를 이용한 배전반 이상 검출용 ir 데이터 송신센서
KR102291360B1 (ko) * 2021-01-11 2021-08-23 (주)케이엔 면진 구조가 적용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50941B1 (ko) 2023-05-17 2024-03-26 주식회사 주왕산업 부스바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88B1 (ko) * 2005-01-29 2005-12-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차단기
KR100672960B1 (ko) * 2006-07-13 2007-01-22 청석전기 주식회사 부스바 지지대
KR100912645B1 (ko) 2009-03-20 2009-08-17 주식회사 대륙 중성선 결상시에도 트립기능을 갖는 단상2선식 회로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588B1 (ko) * 2005-01-29 2005-12-08 (주)제일피앤피 전력장치용 차단기
KR100672960B1 (ko) * 2006-07-13 2007-01-22 청석전기 주식회사 부스바 지지대
KR100912645B1 (ko) 2009-03-20 2009-08-17 주식회사 대륙 중성선 결상시에도 트립기능을 갖는 단상2선식 회로차단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77B1 (ko) 2017-03-17 2017-09-07 해림계전(주) 부스바 접속 감지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1864772B1 (ko) 2017-10-18 2018-07-04 태일전기(주) 전위차를 이용한 배전반 이상 검출용 ir 데이터 송신센서
KR102291360B1 (ko) * 2021-01-11 2021-08-23 (주)케이엔 면진 구조가 적용된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의 모니터링 장치
KR102650941B1 (ko) 2023-05-17 2024-03-26 주식회사 주왕산업 부스바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분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177B1 (ko) 결상 감지가능한 부스바 지지대
JP6048927B2 (ja) 停電検出方法、停電検出器、照明装置、及び電源装置
KR200384041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EP1343016A3 (en) Faulty wiring detection device for air conditioner
KR101898126B1 (ko)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2332531B1 (ko) 함체의 진동감지 및 제어장치
US8305222B2 (en) Device for detecting and signalling malfunctions in the use of electrical appliances
KR101541163B1 (ko) 부스바 지지대를 이용한 배전반용 결상감지장치
KR101865609B1 (ko) 누전표시장치
JP2005017243A (ja) 電流表示装置
KR20150001232A (ko) 저항성 누전 측정 및 경보기가 장착된 배전 및 분전반
KR200462647Y1 (ko) 고장상태를 알리는 보안등 점멸기
CN103270425A (zh) 供电器和具有这种供电器的供电系统
US6300598B1 (en) Electrical monitor for floor heating systems
KR101539318B1 (ko) 자동 및 계장 제어반용 부스바지지대를 이용한 결상감지장치
KR101706708B1 (ko)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0386954Y1 (ko)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의 부스바 온도표시기 결합구조
JP6281903B2 (ja) 差込接続ユニット
KR20060091556A (ko) 감전보호용 전원차단장치
JP2902492B2 (ja) 分電システム
JP6741314B2 (ja) 差込接続ユニット
KR101370530B1 (ko) 전자식 콘센트
JP6521408B2 (ja) 差込接続ユニット
JP3101589U (ja) 分電盤
JP2010205569A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