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131B1 - 버스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버스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131B1
KR100948131B1 KR1020070127727A KR20070127727A KR100948131B1 KR 100948131 B1 KR100948131 B1 KR 100948131B1 KR 1020070127727 A KR1020070127727 A KR 1020070127727A KR 20070127727 A KR20070127727 A KR 20070127727A KR 100948131 B1 KR100948131 B1 KR 100948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fastening
bus bar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791A (ko
Inventor
고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1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조인트박스(100)의 외관은 하우징(10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1)에는 안착틀(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120)은 상기 하우징(101)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120)에 형성된 안착면(123)에는 버스바(130)가 안착된다. 상기 버스바(130)에는 상기 안착면(123)에 요입되게 형성된 결합공(125)과 연통되도록 체결공(133')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3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결합공(125) 방향으로 체결삽입부(1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삽입부(140)의 선단은 상기 결합공(125)의 내면을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공(125)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버스바가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가 고정되므로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해지고, 너트 없이도 버스바에 형성된 체결삽입부에 볼트를 끼워 조인트박스에 버스바를 고정시킬 수 있어 부품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70127727
조인트박스, 하우징, 안착틀, 버스바, 체결공, 체결삽입부

Description

버스바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bus-bar}
본 발명은 조인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인트박스에 결합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이 의한 버스바 고정구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의 엔진룸 내부에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각 부품에 전달하는 조인트박스(1)가 구비된다. 조인트박스(1)의 외관은 하우징(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상기 조인트박스(1)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안착틀(1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12)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 대전류단자(미도시), 그리고 너트(N)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틀(12)에는 안착면(1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3)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안착부(23)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너트(N)의 결합공(N')과 안착부(23)에 형성된 체결공(23')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버스바(2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2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되어, 하우징(10)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21)에는 안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3)는 상기 안착면(13)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23)에는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23')은 볼트(미도시)에 의해 관통되어 너트(N)의 결합공(N')과 체결됨으로써, 안착부(23)가 상기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버스바(20)는 차량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여 분해하기 위해 연결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안정적인 연결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20)를 상기 안착면(13)에 안착시킬 때는, 상기 너트(N)의 결합공(N')에 상기 안착부(23)의 체결공(23')을 정확히 일치하게 위치시켜서 볼트로 체결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너트(N)는 상기 버스바(20)를 상기 조인트박스(1)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와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20)와는 별개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버스바(20)를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N)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수 및 너트를 고정하기 위한 공수가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가 하우징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체결삽입부가 구비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스바 고정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고,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공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안착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틀에 안착되고, 결합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버스바; 그리고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면을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공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지지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는 커링에 의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을 향해 절곡된다.
삭제
삭제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체결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삽입에 의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에 형성된 체결삽입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안착면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버스바가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따라서, 버스바에 형성된 체결공과 안착면의 결합공이 연통되게 위치되어 고정되므로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의 체결삽입부가 너트 역할을 하므로, 너트 없이도 체결삽입부에 볼트를 끼워 버스바를 조인트박스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조인트박스를 예를 들어 설 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조인트박스(100)의 외관은 하우징(10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1)의 상면에는 상기 조인트박스(100)에 설치되는 부품들이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101)에는 안착틀(1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120)은 상기 하우징(101)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120)은 버스바(130) 및 대전류단자(150)가 안착되어 서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틀(120)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틀(120)에는 안착면(12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23)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130)의 안착부(13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면(123)의 중앙에는 결합공(12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5)은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25)은 아래에서 설명될 안착부(133)에 형성된 체결삽입부(140)가 삽입되어 버스바(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1)에는 버스바(130)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130)는 배터리나 발전기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모든 전장부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3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31)는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되어, 하우징(101)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131)는 판상의 금속을 소정 폭과 길이로 절단하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30)에는 상기 몸체부(131)로부터 연장되어 안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33)는 도시되지 않은 상대단자 또는 퓨즈 등과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상기 몸체부(13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안착부(133)에는 체결공(133')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133')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안착부(133)를 상대 단자 및 상기 하우징(10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구는 볼트(B)이다.
상기 체결공(133')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체결삽입부(14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삽입부(140)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상기 결합공(125)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공(125)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삽입부(140)는 상기 결합공(125)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130)가 상기 안착부(133)에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삽입부(140)는 재료의 전성을 이용하여 통 모양의 제품을 성형하는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가공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삽입부(140)의 골격은 삽입부(1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1)는 상기 체결공(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공(125)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내면에는 상기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1)는 상기 삽입부(141)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공(133')을 향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141')에 의해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 다. 상기 삽입부(14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41)는 상기 볼트(B)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볼트(B)가 상기 체결공(133')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부(141)가 상기 결합공(125)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입부(141)의 선단에는 걸이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142)는 커링(curling)에 의해 상기 결합공(125)의 내면을 향해 절곡된다. 이는, 상기 체결삽입부(140)에 상기 볼트(B)가 체결될 경우, 상기 걸이부(142)가 상기 결합공(125)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체결삽입부(140)가 상기 결합공(125)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걸이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삽입부(140)에 상기 볼트(B)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공(125)의 내면을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공(125)의 가장자리에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다.
대전류단자(150)는 와이어(미도시)와 결합되어 와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버스바(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전류단자(150)에는 상기 버스바(130)의 체결공(133')에 대응되는 체결공(1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대전류단자(150)는 상기 버스바(13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볼트(B)에 의해 두 체결공(133',150')이 관통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고정구조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버스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도 2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에 버스바(130)를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130)의 몸체부(131)를 상기 하우징(101)에 안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안착부(133)를 상기 안착면(123)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버스바(13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삽입부(140)가 상기 안착면(123)의 결합공(125)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삽입부(140)가 상기 결합공(125)에 삽입되면, 상기 안착부(133)의 체결공(133')과 상기 결합공(125)이 서로 연통되게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대전류단자(150)를 상기 버스바(130)가 위치한 하우징(1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대전류단자를 상기 버스바(13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대전류단자(150)에 형성된 체결공(150')와 상기 결합공(125)이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B)가 상기 대전류단자(150)의 체결공(150') 및 상기 안착부(133)의 체결공(133')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공(125)에 삽입되도록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B)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버스바(130)는 상기 안착면(123)에 밀착되고, 상기 대전류단자(150)는 상기 버스바(103)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볼트(B)가 삽입되면서 상기 체결삽입부(140)의 삽입부(141)가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공(125)의 내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걸이부(142)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이부(142)가 상기 결합공(125)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므로, 상기 볼트(B)를 조일 때 볼트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버스바(1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삽입부(140)가 상기 결합공(1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130)는 상기 안착면(123)에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33)의 체결공(133')과 상기 안착면(123)의 결합공(125)이 연통되게 위치되어 볼트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의한 버스바 고정구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바의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조인트박스 101: 하우징
120: 안착틀 123: 안착면
125: 결합공 130: 버스바
131: 몸체부 133: 안착부
133': 체결공 140: 체결삽입부
141: 삽입부 141': 절개부
142: 걸이부 150: 대전류단자
150': 체결공 B: 볼트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고,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공이 요입되게 형성되는 안착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틀에 안착되고, 결합공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버스바; 그리고
    상기 버스바의 일측에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선단이 상기 결합공의 내면을 향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결합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체결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선단으로부터 상기 체결공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져 지지되는 걸이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는 커링에 의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을 향해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체결구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의 삽입에 의해 상기 결합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삽입부는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의 고정구조.
KR1020070127727A 2007-12-10 2007-12-10 버스바 고정구조 KR100948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27A KR100948131B1 (ko) 2007-12-10 2007-12-10 버스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727A KR100948131B1 (ko) 2007-12-10 2007-12-10 버스바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791A KR20090060791A (ko) 2009-06-15
KR100948131B1 true KR100948131B1 (ko) 2010-03-18

Family

ID=4099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727A KR100948131B1 (ko) 2007-12-10 2007-12-10 버스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1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4255A1 (de) * 2020-12-18 2022-06-2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ammelschienenkontakt zur Anbringung an einer Sammelschiene, und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s Sammelschienenkontak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51Y1 (ko) * 2001-09-11 2001-12-24 윤여관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100672960B1 (ko) 2006-07-13 2007-01-22 청석전기 주식회사 부스바 지지대
KR100759524B1 (ko) * 2006-03-28 2007-09-18 안석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KR200437691Y1 (ko) 2006-12-15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851Y1 (ko) * 2001-09-11 2001-12-24 윤여관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100759524B1 (ko) * 2006-03-28 2007-09-18 안석곤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KR100672960B1 (ko) 2006-07-13 2007-01-22 청석전기 주식회사 부스바 지지대
KR200437691Y1 (ko) 2006-12-15 2007-1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791A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20130217262A1 (en) Terminal block structure
EP2624366B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20090140585A1 (en) Interface connector for a motor and a motor incorporating the interface connector
KR101517708B1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CN109792140B (zh) 电连接箱
JP2004192882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108352689A (zh) 用于车辆配电装置的环绕式汇流条
CN110832712B (zh) 充电用插座
CN103477413B (zh) 熔丝单元
US8932071B2 (en) Attachable plug-type connector
US20150015062A1 (en) Vehicle electrical center
KR100948131B1 (ko) 버스바 고정구조
US7942706B1 (en) Configurable power distribution block
US6033269A (en) Electrical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on box having a junction block therein
JP2004208429A (ja) 電気接続箱のアース接続構造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US20180331344A1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contac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nergy storage arrangement
JP2012109099A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200437691Y1 (ko) 버스바 장착구조
WO2017110789A1 (ja) ワイヤハーネスの端子接続構造
KR100814935B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장치 및 방법
KR100748614B1 (ko) 퓨즈박스의 퓨즈장착구조
LU101924B1 (de) Antrieb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Verdichtersystem zur Drucklufterzeugung bei einer Fahrzeugbremse
KR200365242Y1 (ko) 멀티 어스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