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754B1 -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 Google Patents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754B1
KR102398754B1 KR1020210091040A KR20210091040A KR102398754B1 KR 102398754 B1 KR102398754 B1 KR 102398754B1 KR 1020210091040 A KR1020210091040 A KR 1020210091040A KR 20210091040 A KR20210091040 A KR 20210091040A KR 102398754 B1 KR102398754 B1 KR 10239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in circuit
circuit opening
connec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조
Original Assignee
신우전기제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전기제조(주) filed Critical 신우전기제조(주)
Priority to KR102021009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상의 전류를 각각 부하측에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를 지지하기 위한 절연커넥터를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하여 열반도체 통전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열반도체 통전 작업을 위한 부품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하개폐기 소호 방식을 진공 인터럽터 방식으로 하면서 탱크 내부를 친환경 소재인 드라이 에어로 절연시킨 다회로 개폐기에 있어서, 진공 인터럽터 방식의 주회로 개폐부(VI);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을 복수의 서브회로 개폐부에 전기적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3상 전원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도체부 및 절연부를 포함하는 열반도체; 및 상기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열반도체 사이에 설치되어 열반도체를 지지하며,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류를 각 열반도체에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절연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커넥터는 풀림방지수단을 통해 상기 주회로 개폐부에 결합되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에 대응되는 각각의 열반도체가 통과되는 내부공을 갖는 복수의 연결관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 내경은 다른 연결관의 내부공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에는 주회로 개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통전단자가 설치되며,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양측의 열반도체 절연부는 연결관의 내부공에서 압축되어 절연할 수 있도록 하고,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열반도체 도체부는 통전단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The same Phase circuit connection and insulation structure of multi-circuit switchs}
본 발명은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3개 이상의 스위치가 연결된 다회로 개폐기에서 각 상의 주회로로부터 분기되어 나온 도체를 동상끼리 연결해주고 대지간, 상간 절연을 유지해주는 연결통전구조와 분기되어 나온 주회로 도체와 연결통전구조의 도체를 연결해주고 동시에 절연을 유지하며 주회로부와 연결통전구조를 지지해주는 새로운 분기구조를 갖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로부터 약 154/345/765/kV 정도의 전압을 가진 전기가 송전에 적합하도록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되고, 1차 변전소로 송전된 전기는 강압되어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된다. 2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기는 가공(架空) 배전선과 지중(地中) 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 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 설비로 공급된다. 그리고 각 수용가의 수전 설비로 공급된 전기는 특고압 수용가, 고압 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저압 수용가까지 공급된다. 이러한 전기 사용 수용가의 증가와 전기 사용 형태가 복잡해짐에 따라 전기 공급자는 개개의 장소에 지중 배선 선로용 다회로 개폐기 및 차단기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전류를 개폐 또는 차단하고 있다.
다회로 개폐기는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수만 볼트의 배전급 배전선로에서 고전압의 전력 공급회로를 개폐하거나 분기시켜주는 고전압용 전력기기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 개폐부(10), 모듈 접속부(20) 및 개폐기 모듈(30)을 포함한다.
기본 개폐부(10)는 부하측 선로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기본 개폐부(10)는 인입측 선로와 연결되어 주회로 개폐부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복수의 서브회로측 모선에 공급할 수 있다. 기본 개폐부(10)는 주회로 개폐부와 접속되는 3상의 전원 접속 단자부(11,12,13), 부하측 선로와 모선과 접속되는 3상의 부하 접속 단자부(14,15,16), 전원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17)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상의 전원 접속 단자부(11,12,1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반도체(40)를 통해 부하 접속 단자부(14,15,16)에 연결되며, 일체형 열반모선(40)은 전원 접속 단자부(11,12,13)에 설치된 하우징(41)과, 하우징(41)에 설치되어 전원 접속 단자부(11,12,13)의 3상 전원을 통전시키는 R상 원통형 단자(41a), S상 원통형 단자(41b), T형 원통형 단자(41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회로 개폐기는 일체형 열반모선(40)을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일체형 열반모선(40)은 작업자가 원통형 단자(41a,41b,41c)를 조립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일체형 열반모선(40)은 작업자가 각 상의 원통형 단자(41a,41b,41c)를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조립시켜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원통형 단자(41a,41b,41c)는 사이즈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작업자가 통전을 위한 열반도체 설치 작업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용 지그가 제공되고 있으나 장비 사용에 따른 맨아워 증가 및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일체형 열반모선(40)은 사이즈가 크고 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 불량률 및 제조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 기술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열반도체는 주회로 개폐부에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50)를 통한 단순 나사 결합으로 인해 나사 체결이 쉽게 풀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주회로 개폐부와 일체형 열반모선(40)의 하우징 사이에 스프링 와셔를 개재시키거나 주회로 개폐부의 나사홈에 록타이트를 도포하여 풀림 방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스프링 와셔의 경우 주회로 개폐부와 일체형 열반모선(40) 사이의 접촉 면적이 줄어 통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록타이트 도포의 경우 주회로 개폐부의 나사홈으로부터 록타이트가 새어나와 주회로 개폐부와 열반도체를 이격시킬 수 있어 통전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의 스터드 볼트(50)를 이용한 일체형 열반모선(40)과 주회로 개폐부 사이의 나사 체결시 스터드 볼트(50)의 직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스터드 볼트(50)가 일체형 열반모선(40)측 또는 주회로 개폐부에서 기울어질 경우 주회로 개폐부와 일체형 열반모선(40)간 접촉 부위에 볼트 풀림이 발생하여 통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9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3개 스위치 이상이 연결된 다회로 개폐기에서 스위치간 동상의 도체를 연결해주고 상, 대지간 절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절연커넥터를 적용하여 주회로 개폐부의 도체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통전면적을 확보하면서 풀림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열반도체를 적용하여 동상간 도체 연결 및 상, 대지간 절연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이면서 조립시간도 단축할 수 있고 설치 공간도 줄이고 통전면적을 확보하면서 풀림방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하개폐기 소호 방식을 진공 인터럽터 방식으로 하면서 탱크 내부를 친환경 소재인 드라이 에어로 절연시킨 다회로 개폐기에 있어서, 진공 인터럽터 방식의 주회로 개폐부(VI);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을 복수의 서브회로 개폐부에 전기적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3상 전원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도체부 및 절연부를 포함하는 열반도체; 및 상기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열반도체 사이에 설치되어 열반도체를 지지하며,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류를 각 열반도체에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절연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커넥터는 풀림방지수단을 통해 상기 주회로 개폐부에 결합되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에 대응되는 각각의 열반도체가 통과되는 내부공을 갖는 복수의 연결관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 내경은 다른 연결관의 내부공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에는 주회로 개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통전단자가 설치되며,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양측의 열반도체 절연부는 연결관의 내부공에서 압축되어 절연할 수 있도록 하고,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열반도체 도체부는 통전단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절연커넥터는 주회로 개폐부가 결합되는 상부를 기준으로 역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연결관은 절연커넥터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연커넥터는 통전단자가 절연커넥터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양측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타입과, 통전단자가 절연커넥터의 하부 모서리에 연결관에 설치된 제2타입으로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전단자에는 양측이 관통되어 연결관의 내부공과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열반도체의 절연부는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둘러싸여 제공되되 중공(中空)의 중앙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전단자에 밀착되어 주회로 개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도체부의 중앙공 및 상기 통전단자의 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전산볼트; 맨 외측에 설치된 절연커넥터의 연결관을 통해 노출된 전산볼트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된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체결너트의 조임에 의해 절연부 및 도체부는 전산볼트를 따라 이동하여 도체부로 하여금 통전단자의 양측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절연커넥터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부; 상기 체결홈부에 대향되며, 주회로 개폐부에 형성된 나사홈부; 상기 체결홈부에 위치되며 상기 나사홈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되, 상기 체결홈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볼트; 상기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와셔; 및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나사홈부 사이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볼트의 움직임을 장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절연커넥터는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됨으로써, 3상의 각 열반도체 통전 작업을 위한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각 3상의 열반도체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절연커넥터 상에 3개의 연결관이 구성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선 연결 작업에 대한 공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은 단일 몸체로 이루어진 절연커넥터에 의해 상간 연결 통전을 위한 부품수 및 부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다회로 개폐기의 연결 통전을 위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절연커넥터측 나사홈에 고정볼트 및 고정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프링 와셔를 함께 삽입시킴으로써, 주회로 개폐부와 통전단자간 접촉 면적을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주회로 개폐부와 통전단자간 풀림 방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절연커넥터측 나사홈과 고정볼트 사이에 고정볼트의 움직임을 위한 유격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주회로 개폐부와 절연커넥터의 나사 체결시 고정볼트의 움직임을 통해 고정볼트의 직진성 보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중심의 불일치로 인한 볼트의 불완전 조립을 방지하여 도체 간 통전을 완벽하게 구현하고 조립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주회로 개폐부와 3상 열반도체간 통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의 3상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와 주회로 개폐부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의 열반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절연커넥터에 주회로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제1타입 절연커넥터와 제2타입 절연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I-I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II-II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는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와, 이 열반도체를 지지하기 위한 절연커넥터의 구조를 새롭게 개발하여 열반도체 설치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고, 주회로 개폐부와 열반도체 간 결합 후 풀림 방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회로 개폐부(100)와, 열반도체(200)와, 절연커넥터(300)와, 풀림방지수단(400)을 포함한다.
주회로 개폐부(Vacuum interrupter)(100)는 접점을 통해 선로 투입 및 선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이며, 선로 투입시 3상(R,S,T)의 전류를 보낸다. 주회로 개폐부(1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챔버(110)와, 가동단자(120)와, 고정단자(130)를 포함한다. 진공챔버(110)는 전극의 접점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진공상태로 제공하며, 진공챔버(110) 안에서 고정단자(130)를 향한 가동단자(120)의 움직임을 통해 선로 개방 및 투입이 이루어진다. 주회로 개폐부(100)는 후술하는 절연커넥터(300)에 설치되며 풀림방지수단(400)을 통해 결합된다.
열반도체(200)는 주회로 개폐부(100)으부터 공급되는 3상의 전류를 각각 통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류가 3상으로 제공되는 만큼 상기 열반도체(200) 역시 각 상에 대응되는 3개로 제공된다. 즉, 열반도체(200)는 R상을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 S상을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 T상을 통전시키기 위한 열반도체로 제공되는 것이다. 열반도체(200)는 도 4,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210)와, 도체부(220)와, 전산볼트(230)와, 체결너트(240)를 포함한다. 절연부(210)는 도체부(220)를 감싸는 절연물질로 제공되며, 후술하는 절연커넥터(300)의 연결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절연부(210)는 원형의 관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절연부(210)의 외경은 연결관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때, 절연부(210)는 복수로 분할 구성된다. 절연부(210)는 연결관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으로 제공되더라도 후술하는 절연커넥터(300)에 마련된 통전단자에 막혀 모든 연결관을 한번에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절연부(210)는 통전단자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분할 구성되는 것이다.
열반도체(200)의 도체부(220)는 주회로 개폐부(100)의 전류와 통전되기 위한 구성이며 절연부(210)에 의해 상,대지간 절연을 유지하게 된다. 도체부(220)는 구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공(中空)의 중앙공(221)을 형성한 관체로 제공된다. 도체부(220)는 절연부(210)의 길이에 대응된다. 전산볼트(230)는 체결너트(240)와 함께 도체부(220)를 절연커넥터(300)의 통전단자에 압착시키는 구성으로써, 전산볼트(230)의 직경은 도체부(220)의 중앙공(221)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체결너트(240)는 도체부(220)를 통과한 전산볼트(230)의 양단부에 나사 체결되어 절연부(210) 및 도체부(220)를 연결관에 고정시키고, 체결력을 이용해 도체부(220)를 후술하는 통전단자(320)에 압착시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열반도체(200)의 구성에 의해 복수로 분할된 절연부(210)는 체결너트(240)의 조임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것이다.
절연커넥터(300)는 주회로 개폐부(100)와 열반도체(200) 사이에 설치되어 열반도체(200)를 지지하면서 주회로 개폐부(100)의 3상 전류를 각 열반도체(200)에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연커넥터(300)는 주회로 개폐부(100)와 열반도체(200) 사이에 설치되며, 주회로 개폐부(100)의 3상 전류를 구분하여 통전시키되,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된다. 즉, 절연커넥터(300)는 3상의 전류를 구분하여 통전시키기 위한 각각의 몸체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하나의 몸체에 3상의 전류가 구분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절연커넥터(300)는 작업자의 통전 작업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절연커넥터(300)는 주회로 개폐부(100)와 연결되는 부분과, 열반도체(200)와 연결되는 부분 그리고 주회로 개폐부(100)와 열반도체(200)를 연결하는 통전단자(320)로 구성되고 외부는 에폭시로 절연되는 구조이다. 절연커넥터(300)는 도 3,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관(310)을 형성한다. 절연커넥터(300)에 형성된 연결관(310)의 개수는 3상의 전류에 대응되는 3개로 제공된다. 이때, 연결관(310)은 열반도체(200)의 절연부(210)가 통과되기 위한 내부공(311)을 갖는 관체로 제공된다. 이때, 복수의 연결관(310) 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310)에 형성된 내부공(311)의 내경은 다른 연결관(310)의 내부공(311)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내부공(311)이 작은 어느 하나의 연결관(310)에는 통전단자(32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결관(310) 중 통전단자(320)가 위치된 내부공(311)을 작게 형성함에 따라, 열반도체(200) 고정시 열반도체(200)의 절연부(210)는 통전단자(320)를 사이에 두고 연결관(310)에서 압축되어 절연이 되도록 한다.
또한, 절연커넥터(3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각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연결관(310)은 절연커넥터(3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다. 한편, 절연커넥터(300)에는 주회로 개폐부(100)와의 통전을 위한 통전단자(320)가 설치된다. 이때, 절연커넥터(300)에 통전단자(320)가 설치된 방향은 2가지 타입으로 제공된다. 즉, 3상의 전류가 구분되어 통전되도록한 만큼, 통전단자(320)의 위치도 각 상의 위치에 맞는 방향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절연커넥터(300)는 도 5a에 도시된 제1타입(300A)과 도 5b에 도시된 제2타입(3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타입의 절연커넥터(300A)은 통전단자(320)가 절연커넥터(300)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양측의 연결관(310) 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내부공이 작은 연결관)(310)을 향해 설치되어 있으며, 3상의 전류 중 R상 전류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R상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제1타입(300A)은 T상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절연커넥터(300)와 대칭되므로, T상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절연커넥터(300)와 공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상과 T상의 절연커넥터(300)이 공용될 수 있으므로 3상 전류를 통전시킨다 하더라도 2가지 타입의 절연커넥터(300)만 제공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제2타입의 절연커넥터(300B)은 통전단자(320)가 절연커넥터(300)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관(310)을 향해 설치되어 있으며, 3상의 전류 중 S상 전류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연결관(310)을 향해 통전단자(3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연결관(310)에 열반도체(200)를 설치할 때, 열반도체(200)의 절연부(210)는 통전단자(320)에 막혀 연결관(31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통전단자(320)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321)이 형성되며, 통공(321)은 연결관(310)의 내부공(311)에 통하게 형성된다. 통공(321)은 전산볼트(230)만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풀림방지수단(400)은 주회로 개폐부(100)와 절연커넥터(300)를 결합시키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부(410)와, 나사홈부(420)와, 체결볼트(430)와, 스프링와셔(440)와, 고정너트(450)를 포함한다. 체결홈부(410)는 통전단자(3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주회로 개폐부(100)를 향해 개구된 형태로 제공된다. 정확하게는 체결홈부(410)는 통전단자(320)에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나사홈부(420)는 체결홈부(410)에 대향되는 주회로 개폐부(100)에 형성되며 나사산을 형성한다. 나사홈부(420)는 주회로 개폐부(100)의 고정단자(130)에 형성된다. 체결볼트(430)는 주회로 개폐부(100)에 절연커넥터(300)를 나사 체결시키기 위한 구성이며, 체결볼트(430)의 헤드부측은 체결홈부(410)에 삽입되고 체결볼트(430)의 나사부는 나사홈부(42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때, 체결볼트(430)의 헤드부 직경은 체결홈부(41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볼트(430)와 체결홈부(410)간에는 유격이 발생하며 체결볼트(430)는 체결홈부(410)에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풀림방지수단(400)의 스프링와셔(440)는 체결볼트(430)의 풀림 방지력을 높이기 위한 구성이며, 체결홈부(410)에 위치된다. 즉, 체결볼트(430)의 풀림 방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스프링와셔(440)가 체결홈부(410)에 위치됨으로써, 스프링와셔(440)의 노출로 인한 주회로 개폐부(100)와 절연커넥터(300)간에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일 없이 풀림 방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고정너트(450)는 체결홈부(410)에 위치된 체결볼트(4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체결볼트(430)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너트(450)는 무드볼트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홈부(4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부(460)가 용접 형성된다. 체결홈부(410)는 통전단자(320)에 형성되어 있는바, 통전단자(320)에는 나사산 형성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고정너트(45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별도의 고정부(460)를 마련하여 체결홈부(410)에 용접시켜 놓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T 3상의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절연커넥터(300)를 복수로 배열한다. 이때, 절연커넥터(300)의 배열은 R,S,T상에 대응된 타입의 절연커넥터(300)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타입 절연커넥터(300A) - 제2타입 절연커넥터(300B) - 제1타입 절연커넥터(300A)의 순차 배열이 연이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는 풀림방지수단(400)을 통해 절연커넥터(300)에 주회로 개폐부(1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체결볼트(430)가 나사홈부(42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주회로 개폐부(100)와 절연커넥터(300)간 결합이 완료되며 스프링와셔(440)에 의해 체결볼트(430)의 풀림 방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열반도체(200)의 절연부(210)를 각 연결관(310)에 삽입시킨다. 이때, 각 절연부(2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310)의 내부공(311)을 통과하다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통전단자(320)의 일면에 막히고, 작업자는 통전단자(320)의 타면에 다른 절연부(2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후의 연결관(310)을 통과시킨다. 이때, 절연부(210)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는 도체부(220)의 단부는 통전단자(320)를 사이에 두고 통전단자(320)의 양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도 6 및 도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 상에 해당되는 열반도체(200)의 설치 위치는 상이하며, 통전단자(320)에 맞닿아 있는 도체부(220)의 위치도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맨 외측의 도체부(220)에 형성된 중앙공(221)을 시작으로 전산볼트(230)를 삽입시킨다. 이때, 전산볼트(230)는 일측 도체부(220)의 중앙공(221)을 통해 통전단자(320)의 통공(321)을 거쳐 타측 도체부(220)의 중앙공(221)으로 노출된다. 이후, 작업자는 전산볼트(230)의 양단부에 체결너트(240)를 체결시킨다. 체결너트(240)의 조임에 의해 절연부(210)는 체결너트(24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체부(220)를 통전단자(320)의 양면에 더욱 압착시킨다. 이에 따라, 도체부(220)와 통전단자(320)는 유격없이 통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의 설치가 완료되며, 3상의 전류는 주회로 개폐부(100)의 단자(120,130)를 통해 절연커넥터(300)의 각 모서리 부위에 위치된 통전단자(320)로 공급된 후, 복수의 서브회로 개폐부 모선으로 공급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는 주회로 개폐부(100)와 열반도체(200)간 통전구조를 새롭게 개발하여 3상 전류 통전 작업에 대한 효율성 및 편의성을 높이고, 풀림방지수단(400)을 통해 주회로 개폐부(100)와 절연커넥터(300)간 나사 체결이 풀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였다. 즉, 본 발명은 3상의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것에 있어서, 단일 몸체로 이루어진 절연커넥터(300)에 3상의 열반도체(200)가 모두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전 작업을 위한 부품 제작 비용을 줄이고, 통전 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주회로 개폐부 110 : 진공챔버
120 : 가동단자 130 : 고정단자
200 : 열반도체 210 : 절연부
220 : 도체부 221 : 중앙공
230 : 전산볼트 240 : 체결너트
300 : 절연커넥터 310 : 연결관
311 : 내부공 320 : 통전단자
321 : 통공 400 : 풀림방지수단
410 : 체결홈부 420 : 나사홈부
430 : 체결볼트 440 : 스프링와셔
450 : 고정너트 460 : 고정부

Claims (5)

  1. 부하개폐기 소호 방식을 진공 인터럽터 방식으로 하면서 탱크 내부를 친환경 소재인 드라이 에어로 절연시킨 다회로 개폐기에 있어서,
    진공 인터럽터 방식의 주회로 개폐부(VI);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을 복수의 서브회로 개폐부에 전기적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3상 전원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도체부 및 절연부를 포함하는 열반도체; 및
    상기 주회로 개폐부와 상기 열반도체 사이에 설치되어 열반도체를 지지하며, 상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류를 각 열반도체에 통전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절연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커넥터는 풀림방지수단을 통해 상기 주회로 개폐부에 결합되며, 주회로 개폐부의 3상 전원에 대응되는 각각의 열반도체가 통과되는 내부공을 갖는 복수의 연결관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 내경은 다른 연결관의 내부공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연결관 내부공에는 주회로 개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통전단자가 설치되며,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양측의 열반도체 절연부는 연결관의 내부공에서 압축되어 절연할 수 있도록 하고,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열반도체 도체부는 통전단자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넥터는 주회로 개폐부가 결합되는 상부를 기준으로 역삼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 연결관은 절연커넥터의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넥터는 통전단자가 절연커넥터의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양측의 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타입과, 통전단자가 절연커넥터의 하부 모서리에 연결관에 설치된 제2타입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단자에는 양측이 관통되어 연결관의 내부공과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열반도체의 절연부는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체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둘러싸여 제공되되 중공(中空)의 중앙공을 형성하며, 상기 통전단자에 밀착되어 주회로 개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상기 도체부의 중앙공 및 상기 통전단자의 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전산볼트;
    맨 외측에 설치된 절연커넥터의 연결관을 통해 노출된 전산볼트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된 체결너트를 포함하여,
    체결너트의 조임에 의해 절연부 및 도체부는 전산볼트를 따라 이동하여 도체부로 하여금 통전단자의 양측에 압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수단은,
    상기 절연커넥터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부;
    상기 체결홈부에 대향되며, 주회로 개폐부에 형성된 나사홈부;
    상기 체결홈부에 위치되며 상기 나사홈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공되되, 상기 체결홈부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체결볼트;
    상기 체결홈부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와셔; 및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나사홈부 사이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볼트의 움직임을 장지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KR1020210091040A 2021-07-12 2021-07-12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KR10239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40A KR102398754B1 (ko) 2021-07-12 2021-07-12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040A KR102398754B1 (ko) 2021-07-12 2021-07-12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754B1 true KR102398754B1 (ko) 2022-05-17

Family

ID=8180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040A KR102398754B1 (ko) 2021-07-12 2021-07-12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534Y1 (ko) * 2005-12-30 2006-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부하 개폐기
KR100940243B1 (ko) * 2009-02-12 2010-02-04 (주)서전기전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KR101874988B1 (ko) 2011-12-30 2018-08-03 한국전력공사 부하개폐기
KR102177358B1 (ko) * 2020-02-07 2020-11-11 신우전기제조(주) VI(Vacuum Interrupter)를 적용한 진공개폐부에 보조 절연구간을 갖는 이중 절연구조의 고압 개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534Y1 (ko) * 2005-12-30 2006-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부하 개폐기
KR100940243B1 (ko) * 2009-02-12 2010-02-04 (주)서전기전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KR101874988B1 (ko) 2011-12-30 2018-08-03 한국전력공사 부하개폐기
KR102177358B1 (ko) * 2020-02-07 2020-11-11 신우전기제조(주) VI(Vacuum Interrupter)를 적용한 진공개폐부에 보조 절연구간을 갖는 이중 절연구조의 고압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19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7572133B2 (en) Separable loadbreak connector and system
US20050284739A1 (en) Multiple-hole terminal lug, bussing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US11901709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2398754B1 (ko)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US11107652B2 (en) Circuit breaker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CZ20012325A3 (cs) Hybridní vysokonapě»ová rozvodna s přípojnicemi zapouzdřenými v kovovém pláąti a záloľní fází izolovanou vzduchem
US9537251B2 (en) Securing device for GIS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CN202434941U (zh) 一种高压大电流干燥压缩空气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CN111193218B (zh) 一种三相共箱母线拐弯结构及gis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KR20180109549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418102B1 (ko) 개폐기의 가동단자 접압구조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KR101327233B1 (ko) 부하개폐기 접속 장치
US4620758A (en) Connecting device for stiff electric conductors
CN110416747B (zh) 用于电压互感器的电连接系统
KR101633768B1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JPH067842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CN113410582B (zh) 电池包高压安全防护装置
KR102127631B1 (ko) 부싱 교체 구조를 가지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