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243B1 -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 Google Patents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243B1
KR100940243B1 KR1020090011420A KR20090011420A KR100940243B1 KR 100940243 B1 KR100940243 B1 KR 100940243B1 KR 1020090011420 A KR1020090011420 A KR 1020090011420A KR 20090011420 A KR20090011420 A KR 20090011420A KR 100940243 B1 KR100940243 B1 KR 10094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ylinder
locking
terminal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근 홍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090011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01H33/3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pneum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배전반의 내부에 고정단자와 가동단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퍼퍼실린더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소호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설치된 고압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설치된 고압배전반은, 금속 함체를 포함하는 고압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함체를 상부의 인입공간부와 하부의 인출공간부로 구획하는 수평격판과; 상기 수평격찬을 관통하여 인입공간부와 인출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는 세 개의 부하개폐기와;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입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인출부스바에 형성된 접지고정단자에 접지가동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인출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인출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반, 배전반, 차단기, 소호, 퍼퍼, 실린더, 압축공기, 접지

Description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High Voltage Switchgear Having Compressed Air Puffer-Type Load Break Switch(LBS) With A Housing}
본 발명은 고압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배전반의 내부에 고정단자와 가동단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퍼퍼실린더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소호하는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설치된 고압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고압배전반은 고압 상용 전력을 받아 각 기기로의 송전 제어에 사용하는 것으로, 기기 및 배선의 보호, 고장에 따른 영향이 파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호 기능이 있다.
이러한 고압배전반에는 전기 선로를 개폐하는 부하개폐기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단로기(Disconnection Switch)는 무전류나 무전류에 가까운 상태에서 전로를 개폐하는 것이나 부하개폐기(LBS; Load Break Switch)는 전류가 흐르는 상태에서 전류를 개폐하는 것이다.
부하개폐기는 접점사이에서 발생한 아크를 소호하는 매질의 종류에 따라 유 입개폐기(OCB), 진공개폐기, 자기개폐기(MBB), 공기개폐기(ACB), SF6 가스개폐기(GCB)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SF6 가스개폐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6불화황 가스(SF6)는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등과 함께 대표적인 온실가스로서, 앞으로는 온난화방지 및 탄소발생저감 정책에 따라 사용이 어렵게 되었다.
한편, 부하개폐기는 가동접점이 움직이는 방식에 따라서 회동형, 회전형 및 슬라이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형 부하개폐기는 가동접점이 회동하여 고정접점과 접촉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이고, 회전형 부하개폐기는 고정접점 사이에 설치된 가동접점이 회전하면서 고정접점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이며, 슬라이드형은 가동접점이 직선운동하여 고정접점과 접촉하거나 분리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회동형 부하개폐기는 가동접점의 운동반경이 크기 때문에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어렵고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대기중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상간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반면에 회전형 부하개폐기는 가동접점의 운동반경이 작아서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유리하고 절연력을 가진 SF6 가스를 충진할 수 있으나 지락이나 단락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면 내부의 가스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부하개폐기가 폭발할 우려가 있다. 슬라이드형 부하개폐기는 가동접점의 운동반경이 비교적 작고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SF6 가스를 충진할 수 있고,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6불화황 가스(SF6)로 고정전극과 가동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가스인 6불화항 가스만으로는 아크를 완전히 소호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6불화황 가스를 이용한 퍼퍼(Puffer)방식으로 아크를 소호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6불화황 가스를 이용한 퍼퍼 소호방식의 부하개폐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601), 고정단자(601)와 접촉하도록 이 고정단자(601)에 대향하게 배치된 가동단자(602), 가동단자(602)를 고정단자쪽 및 반대쪽으로 구동하는 구동축(611), 고정피스톤(612), 고정피스톤(612)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고정된 퍼퍼실린더(613), 그리고 퍼퍼 실린더(613)에 접속되고 가동단자(602)를 둘러싸는 제1 및 제2절연노즐(614,615)을 포함한다. 고정피스톤(612), 구동축(611) 및 퍼퍼실린더(613)는 서로 상호작용하여 퍼퍼실린더(613) 내에 퍼퍼챔버(617)를 형성한다.
제2가스유로(618)는 제1 및 제2절연노즐(614,615) 사이에 형성되고 열 퍼퍼 챔버(620)와 통한다. 열 퍼퍼 챔버(602)는 퍼퍼실린더(613) 내부에 제공된 분할부재(625)에 의해 퍼퍼챔버(617)로부터 분리된다. 제1가스유로(619)는 가동단자(602)와 제1절연노즐(614) 사이에 그리고 가동단자(602)와 분할부재(625) 사이에 형성된다. 제1가스유로(619)는 퍼퍼챔버(617)와 통한다.
구동축(611)이 오른쪽으로 구동될 때, 가동단자(602)와 고정단자(601)의 접촉이 떨어져 두 단자 사이에 아크(626)가 발생한다. 구동축(611)의 우측이동과 관 련하여 퍼퍼챔버(617)의 소호성 가스가 고압으로 압축된다. 또한, 열 퍼퍼 챔버(620) 내의 소호성 가스도 아크(626)의 열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고압이 된다.
그 후, 퍼퍼챔버(617) 내의 고압 소호성 가스가 제1가스유로(619)를 통해 아크(626) 위에 불어 넣어지며, 또한 열 퍼퍼 챔버(620) 내의 소호성 가스도 제2가스유로(618)를 통해 아크(226)위에 불어 넣어져 소호작용이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퍼퍼(puffer) 소호방식의 부하개폐기는 온실가스인 6불화황 가스(SF6)를 충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방지에 역행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6불화황 가스(SF6)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부하개폐기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온실가스인 6불화황 가스(SF6)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고압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단자와 가동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air)를 이용하여 소호하는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압배전반에 설치하기 용이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구비하며 접지스위치를 구비하는 LSC1등급(Loss of Service Continutiy Class)을 만족시키는 부하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은, 금속 함체를 포함하는 고압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함체를 상부의 인입공간부와 하부의 인출공간부로 구획하는 수평격판과; 상기 수평격판을 관통하여 인입공간부와 인출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는 세 개의 부하개폐기와;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입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인출부스바에 형성된 접지고정단자에 접지가동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인출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인출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는, 상단에 고정단자가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단자에 대응하는 가동단자가 형성되고 원통형의 금속통으로 이루어진 퍼퍼실린더와; 상기 가동단자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퍼퍼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측은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로드와; 상기 퍼퍼실린더가 하부로 이동할 때 퍼퍼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퍼퍼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피스톤과; 상기 퍼퍼실린더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슬라이드단자와; 상기 슬라이드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인출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퍼퍼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길이의 로드부와,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통해 제1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통로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단자는 퍼퍼실린더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환형금속판과, 이 환형금속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금속편과 스프링밴드로 구성된 탄성접촉부와, 환형금속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인출부스바가 설치되는 수직절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피스톤은 퍼퍼실린더의 금속통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고정시키는 고정로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퍼퍼실린더의 하부에는 퍼퍼실린더의 외측을 이격되게 감싸도록 절연물질로 코팅된 도전링과, 상기 도전링과 연결되고 슬라이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퍼퍼실린더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환형도전판으로 구성된 와류전류 제거장치가 더 설치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원통부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퍼퍼실린더의 현재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공이 더 형성된다.
상기 인출부스바에는 인출부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력퓨즈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전력퓨즈의 상단에 설치된 돌출핀에 의해서 작동하는 링크부재를 더 설치한다.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은, 상기 인출부스바에 설치된 접지고정단자와 접촉가능하도록 회동하는 접지가동단자와; 상기 접지가동단자를 고정시켜 회동하는 소정 길이의 접지회동로드와; 상기 접지회동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접지회동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접지회동축과 제2회동축 사이에는 제2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편심판과; 상기 편심판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지회동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돌출편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선단이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커버가 상하로 이루어진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커버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1회전축에 일체로 결합하고 타측은 제1구동부의 커버와 함체에 고정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된 인터록커버와; 상기 인터록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잠금판과;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대응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잠금모듈 및 제2잠금모듈과; 상기 제1잠금모듈 및 제2잠금모듈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잠금판과 연동하는 제1잠금봉과; 상기 제2잠금모듈과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잠금구멍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2잠금봉;을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제1회전축에는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설치 되고 제1잠금모듈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부회전판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에는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2잠금모듈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부회전판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잠금모듈은 작동레버의 원통부가 삽입되고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폐쇄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제1회전축을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외통과 함께 회전하여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내통과; 상기 외통에 형성되어 제1잠금봉의 상단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잠금모듈은 작동레버의 원통부가 삽입되고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폐쇄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제2회전축을 삽입할 수 있으며 외통과 함께 회전하여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내통과; 상기 외통에 형성되어 제1잠금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잠금홀과 제2잠금봉의 상단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실가스인 SF6 가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온난화방지 및 탄소발생저감 정책에 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방된 하우징을 사용하고,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시키며, 가동단자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가동함으로써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배전반은 회동로드를 회동시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분리시키는 동시에 퍼퍼실린더를 신속하게 하강시켜 퍼퍼챔버의 공기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공기를 가동단자의 선단으로 분사시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 사이의 아크를 소호함과 아울러 아크로 인해 발생한 고온의 열가스를 노즐구멍과 상부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은 회동로드를 회동시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접속시키면, 퍼퍼실린더의 금속통과 항상 접촉되어 있는 슬라이드단자와 인출부스바를 통해서 2차측으로 전류를 전송하는 동시에 퍼퍼실린더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류전류를 도전링을 통해 인출부스바로 제거하여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은 인출부스바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력퓨즈를 이용하여 인출부스바에 이상전류가 흐를 경우,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자동으로 분리시켜 후단에 설치된 기기를 보호하고,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분리된 경우, 인출부스바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고정단자에 접지부스바와 연결되어 있는 접지가동단자를 접속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압배전반은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된 투시공을 통해서 퍼퍼실린더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안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구비된 고압배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압배전반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구비된 고압배전반(100)(이하 '고압배전반'이라 한다)는 함체(200)의 내부에 세 개의 부하개폐기(1)를 나란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함체(200)는 수평격판(210)에 의해 상부의 인입공간부(210a)와 하부의 인출공간부(210b)로 구획된다. 함체(200)의 전면에는 인출공간부(210b)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230)가 설치된다.
인입공간부(210a)에는 가동단자(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3)과 부하개폐기(1)의 상부케이스(11)가 설치되고, 하부의 인출공간부(210b)에는 부하개폐기(1)의 인출부스바(88)와 접지고정단자(99) 그리고 접지가동단자(120)가 설치된다.
그리고 함체(200)의 전면에는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0)가 설치된다. 제1회전축(3)은 인입공간부(210a)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세 개의 부하개폐기(1)의 회동로드(40)를 회전시킨다. 제2회전축(5)은 인출공간 부(210b)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접지회전축(110)을 회전시킨다.
제1회전축(3)은 가동단자(30)를 이동시켜 고정단자(20)와 접속시키거나 분리시켜 전로를 개폐시키고, 제2회전축(5)은 접지가동단자(120)를 회동시켜 접지고정단자(99)와 접속시키거나 분리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한다.
인입공간부(210a)에는 세 개의 부하개폐기(1)가 수평격판(210)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수평격판(210)에는 부하개폐기(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211)이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부하개폐기(1)는 설치공(21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부하개폐기(1)의 상부케이스(11)는 수평격판(210) 위에 위치하고, 중간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2)는 수평격판(210)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에 설치된 인출부스바와 전력퓨즈를 모두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1)(이하 '부하개폐기'라 함)는 회동로드(40)와 퍼퍼실린더(50)가 수용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절연 플라스틱을 원통형으로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은 상단에 고정단자(20)가 고정된 상부케이스(11)와, 상부케이스(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로드(40)를 수용하는 중간케이스(12)와, 중간케이스(12)의 하단에 결합되고 퍼퍼실린더(50)가 상하로 이동하는 하부케이스(13)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11)와 중간케이스(12) 그리고 하부케이스(13)는 서로 결합하여 볼링핀 형상의 하우징(10)을 형성한다. 이때, 중간케이스(12)와 하부케이스(13)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다수 개의 환기홀이 형성되어 외부 공기(air)가 하우징(10) 내부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주름돌기(14)가 형성되어 절연거리를 줄일 수 있고,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회동로드(40)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삼각돌출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삼각돌출부(15)는 상부케이스(11)의 하단과 중간케이스(12)의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삼각돌출부(15)의 선단에는 제1회전축(3)이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관통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로드(40)에는 제1회전축(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44)이 형성되어 제1회전축(3)에 일체로 결합한다. 따라서 제1회전축(3)이 회전하면 회동로드(40)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동로드(40)가 회동하면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퍼퍼실린더(50)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고정단자(20)는 봉형상으로 상부케이스(11)의 상단에서 수직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퍼퍼실린더(50)의 상단 내부에는 고정단자(20)와 결합가능하도록 가동단자(30)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단자(30)는 고정단자(2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튜울립 단자이다.
퍼퍼실린더(50)는 원통형 금속통(5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퍼퍼실린 더(50)의 상단에는 절연노즐(60)이 설치된다. 절연노즐(60)은 절연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상단에는 고정단자(20)가 밀접하게 삽입되는 노즐구멍(6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가동단자(30)가 설치되는 내부 공간(6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절연노즐(60)은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다단 형상의 원통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절연노즐(60)의 하단은 격벽(63)에 의해서 밀폐되고, 가동단자(30)의 측면에는 압축공기통로(64)가 형성된다. 이 압축공기통로(64)는 피스톤(52)과 격벽(63) 사이의 퍼퍼챔퍼(54)에서 압축된 공기가 가동단자(30)의 선단쪽으로 분사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동단자(30)의 하단은 퍼퍼실린더(50)의 금속통(51)의 내주면에 접속된다. 따라서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가 접촉되면 퍼퍼실린더(50)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어,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가 분리되면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한다. 아크는 절연노즐(60)의 내부 공간(62)에서 발생된다.
퍼퍼실린더(50)의 하부에는 슬라이드단자(80)가 설치된다. 슬라이드단자(80)는 하부케이스(13)의 상단에 고정된다. 슬라이드단자(80)는 퍼퍼실린더(5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환형금속판(82)과, 이 금속판(82)의 저면에 다수 개의 금속편(83)과 스프링밴드(84)로 구성되어 퍼퍼실린더(50)의 외주면에 항상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원통형의 탄성접촉부(8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환형금속판(82)의 일측에는 수직절곡부(86)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단자(80)의 수직절곡부(86) 에는 인출부스바(88)가 연결된다. 따라서 퍼퍼실린더(50)의 금속통(51)은 항상 슬라이드단자(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인출부스바(88)로 전류를 전송한다.
즉, 퍼퍼실린더(50)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접촉되면, 고정단자(20)와 접속되어 있는 인입부스바(21)를 통해서 인입되는 전류는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 그리고 금속통(51)과 슬라이드단자(80)를 통해서 인출부스바(88)로 흐르게 된다. 반면에 퍼퍼실린더(50)가 아래로 이동하여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분리되면, 인입부스바(21)로 인입된 전류는 차단되어 인출부스바(88)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
퍼퍼실린더(50)는 회동로드(4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하 수직이동한다. 예를 들어, 회동로드(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퍼퍼실린더(50)는 위쪽으로 이동하고, 회동로드(4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 퍼퍼실린더(50)는 아래쪽으로 수직이동한다.
한편, 회동로드(40)는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축(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로드(4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도록 퍼퍼실린더(50)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길이의 로드부(42)와 제1회전축(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은 원통로드(43)로 이루어진다. 로드부(42)는 퍼퍼실린더(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통로드(43)는 제1회전축(3)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3)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결합홈(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로드(43)는 로드부(42)의 자유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으로 이루어지고, 로드부(42)의 외주면과 원통로드(43)의 내주면에는 로드부(42)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돌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축(3)에 의해 원통로드(43)가 일측으로 회동하면, 로드부(42)는 원통로드(43)와 함께 상하로 회동하는 동시에 자유단이 원통로드(43) 속으로 삽입되어 그 길이가 조절되므로 퍼퍼실린더(50)를 상하로 원활하게 수직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로드(40)의 회동에 따라 퍼퍼실린더(50)가 아래로 이동하여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가 분리되면,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이 아크(arc)는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므로 신속히 제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전류가 흐르고 있는 단자를 분리시킬 때 가동단자와 고정단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제거하는 것을 소호라한다. 본 발명은 퍼퍼실린더(50)에 소호수단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퍼퍼실리더(50)가 아래로 신속히 이동할 때 퍼퍼실린더(5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아크를 불어 끄는 방식이다. 아크를 불어서 끄는 방식을 퍼퍼방식이라고 하는데 특히, 본 발명은 공기를 압축하여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압축분사형 소호수단은 퍼퍼실린더(50)의 금속통(51)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밀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피스톤(52)과, 피스톤(52)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로드(53)와, 상기 피스톤(52)과 절연노즐(60) 사이에 형성된 퍼퍼챔버(54) 및 절연노즐(60)에 형성된 압축공기통로(64)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52)은 퍼퍼실린더(5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 피스톤(52)은 아크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절연소재로 이루어진다. 피스톤(52)은 고정로드(53)를 통해서 하부케이스(13)의 하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스톤(52)은 퍼퍼실린더(50)의 이동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다.
피스톤(52)과 절연노즐(60) 사이 즉, 피스톤(52)의 상면과 절연노즐(60) 하단의 격벽(63) 사이에는 퍼퍼챔버(puffer chamber)(54)가 형성된다. 퍼퍼챔버(54)는 공기가 압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회동로드(40)가 회동하여 퍼퍼실린더(50)가 아래로 이동하면, 퍼퍼실린더(50)의 하강에 따른 상대운동으로 피스톤(52)이 절연노즐(60)쪽으로 신속하게 접근하여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어서, 퍼퍼챔버(54)에서 압축된 공기는 압축공기통로(64)를 따라 가동단자(30)의 선단으로 분사되어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 사이의 아크를 소호시킨다.
퍼퍼실린더(50)의 선단에 설치된 절연노즐(60)은 가동단자(30)의 주위를 감싸는 동시에 퍼퍼실린더(50)의 상단에서 일정 길이 돌출되어,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분리되기 전까지, 즉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 사이에 아크가 발생되기 전까지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충분히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분리되어 아크가 발생할 때, 퍼퍼챔버(54)의 압축공기가 압축공기통로(64)를 따라 가동단자(30)의 선단 쪽으로 분사되어 아크를 소호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퍼퍼실린더(50)가 계속 하강하여 고정단자(20)가 노즐구멍(61)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퍼퍼챔버(54)의 압축공기는 절연노즐(60) 내부의 열가스와 함께 노즐구멍(61)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압축공기는 절연노즐(60) 내부에 있는 고온의 열가스를 신속히 배출시켜 절연노즐(60)이나 가동단자(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절연노즐(60)의 노즐구멍(61)을 통해 배출된 열가스는 고정단자(20)가 설치된 상부케이스(11)에 설치된 가스배출구(28)를 통해서 배출된다. 즉, 상부케이스(11)의 상단에는 봉형상의 고정단자(20)를 포함하는 고정단자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부(22)는 고정단자(20)가 일체로 설치되고 인입부스바(21)가 설치되는 베이스부(26)와, 다수 개의 금속편(23)과 스프링밴드(24)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탄성고정부(25)로 이루어진다. 탄성고정부(25)는 퍼퍼실린더(5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스배출구(28)는 베이스부(26)와 탄성고정부(25)를 연결하는 수직벽에 형성되어 탄성고정부(25)의 내부로 분사되는 열가스를 하우징(10)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하개폐기(1)는 회동로드(40)의 회동 동작으로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의 접속을 단속함과 아울러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가동단자(30)의 선단으로 분사시켜 아크를 소호시키고,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절연노즐(61)과 고정단자부(22)의 열가스를 하우징(11)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퍼퍼실린더(50)에는 와류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퍼퍼실린더(50)의 금속통(51)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이 전류의 방향과 수직하는 평면 내에서 와류전류가 생긴다. 이 와류전류는 금속통(51)에 주울열을 발생시키고 통과하는 전류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케이스(12)의 하단에 와류전류 제거장치를 설치하여 퍼퍼실린더(50)에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와류전류 제거장치는 와류전류의 평면과 일치하도록 퍼퍼실린더(50)의 외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도전링(71)과, 퍼퍼실린더(50)의 외측을 감싸는 도전링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된 접속부와 접속되고 중간케이스(12)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환형도전판(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환형도전판(73)은 하부케이스(13)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드단자(80)의 환형금속판(82)과 볼트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전링(71)은 금속통(51)과의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물질로 코팅된다. 따라서 퍼퍼실리더(50)의 금속통(51) 주위에서 발생하는 와류전류는 도전링(71)과 환형도전판 및 환형금속판(73)(82)을 통해 인출부스바(88)로 제거 된다.
하부케이스(13)는 슬라이드단자(8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상판부(17)과, 퍼퍼실린더(5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의 공간이 마련된 원통부(18)로 이루어진다. 원통부(18)의 하단에는 고정로드(53)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래킷(34)이 설치된다. 고정브래킷(34)은 원통부(18)와 고정로드(53)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35)를 통해서 고정된다. 고정브래킷(34)은 인출부스바(88)에 고정된다.
또한, 하부케이스(13)의 원통부(18)에는 퍼퍼실린더(50)의 현재 위치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공(19)이 형성된다. 이 투시공(19)은 퍼퍼실린더(50)가 하강하였을 때 퍼퍼실린더(50)의 하단에 설치된 녹색 띠(19a)가 보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투시공(19)을 통해 녹색 띠(19a)가 보이면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할 수 있다.
슬라이드단자(80)의 수직절곡부(86)는 하부케이스(13)의 상판부(17)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서 하부케이스(13)의 외부로 노출된다. 하부케이스(13)는 다수 개의 체결볼트를 통해 중간케이스(12)와 결합된다. 이 때, 와류전류를 제거하는 도전판(73)과 슬라이드단자(80)의 환형금속판(8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출부스바(88)는 수직절곡부(86)에 연결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13)의 원통부(18)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한편, 인출부스바(88)와 나란하게 전력퓨즈(90)가 설치될 수 있다. 전력퓨즈(90)는 인출부스바(88)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프(91)를 통해서 고정된다. 전력퓨즈(90)는 인출부스바(88)에 고장 전류가 흐를 때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돌출핀(92)을 상부로 돌출된다.
하부케이스(13)의 일측에는 전력퓨즈(90)의 돌출핀(92)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부재(94)가 설치된다. 링크부재(94)는 하부케이스(13)의 상판부(17) 일측에 돌설되어 있는 브래킷(95)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부재(94)의 타단은 돌출핀(92)이 돌출되어 링크부재(94)가 회동할 때 제1회동축(3)을 구동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스위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장 전류 발생시 구동스위치가 작동하여 제1회전축(3)이 회전시키면 상술한 회동로드(40)의 회동에 따라 고정단자(20)과 가동단자(30)가 분리되므로 후단에 설치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인출부스바(88)의 하단에는 잔류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접지고정단자(99)가 설치된다. 즉, 고정단자(20)과 가동단자(30)가 분리되어 전로가 차단된 경우라도 인출부스바(88)와 퍼퍼실린더(60) 및 슬라이드단자(80) 등에는 잔류전류가 존재한다. 따라서 고정단자(20)와 가동단자(30)가 분리된 후, 접지고정단자(99)에 접지가동축(110:도7)에 따라 회동하는 접지회동단자(120)를 접속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해야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하개폐기(1)는 회동로드(40)를 회동시켜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를 분리시키는 동시에 퍼퍼실린더(50)를 신속하게 하강시켜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공기를 가동단자(30)의 선단으로 분사시켜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 사이의 아크를 소호함과 아울러 아크로 인해 발생한 열가스를 노즐구멍(61)과 상부케이스(11)의 상단에 형성된 가스배출구(28)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부하개폐기(1)는 회동로드(40)를 회동시켜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를 접속시키면, 퍼퍼실린더(50)의 금속통(51)과 항상 접촉되어 있는 슬라이드단자(80)와 인출부스바(88)를 통해서 2차측으로 전류를 전송하는 동시에 퍼퍼실린더(5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와류전류를 도전링(71)을 통해 인출부스바(88)로 제거하여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부하개폐기(1)는 인출부스바(88)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력퓨즈(Power Fuse)(90)를 이용하여 인출부스바(88)에 이상전류가 흐를 경우,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를 자동으로 분리시켜 후단에 설치된 기기를 보호하고, 가동단자(30)와 고정단자(20)가 분리된 경우, 인출부스바(88)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고정단자(99)에 접지가동단자(120)를 접속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하개폐기(1)는 하우징(10)의 하단에 형성된 투시공(19)을 통해서 퍼퍼실린더(5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안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입공간부(210a)에는 가동단자(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회전축(3)이 설치된다. 상부케이스(11)의 삼각돌출부(15)는 모두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이 삼각돌출부(15)의 선단의 수평관통공(15a)에 제1회전축(3)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각 부하개폐기(1)의 회동로드(40)는 제1회전축(3)에 일체로 결합된다.
각 부하개폐기(1)의 상단에는 인입케이블이 접속되는 인입부스바(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인입공간부(210a)에는 접지부스바(15)의 상단이 수평격판(2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수평격판(210)은 접지케이블(160a)을 통해 접지부스바(160)에 접지된다. 따라서 수평격판(210)의 잔류전류를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케이블(160a)은 부하개폐기(1)의 하우징(10) 등에도 접속될 수도 있다.
이어서, 인출공간부(210b)에는 하부케이스(13)의 외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인출부스바(88)와 전력퓨즈(90) 그리고 인출부스바(88)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고정단 자(99)가 설치된다. 또한, 인출공간부(210b)의 일측에는 접지고정단자(99)에 접촉가능하도록 접지가동단자(120)와 이 접지가동단자(120)를 회동시키기 위한 접지회전축(110) 그리고 접지회전축(1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축(5)으로 이루어지는 접지스위치(Earthing Switch)(111)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스바(88)는 하부케이스(13) 외측으로 노출된 수직절곡부(86)에 연결되어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고, 인출케이블(89)은 인출부스바(88)의 일측에 접속된다. 그리고 인출부스바(88)의 하단은 상부로 절곡되고 그 저면에 접지고정단자(99)가 설치된다.
전력퓨즈(90)는 인출부스바(8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전류퓨즈(88)의 상단에는 이상전류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돌출핀(92)이 설치되고, 이 돌출핀(92)의 상부에는 돌출핀(92)에 대응하여 작동되는 링크부재(94)가 설치된다. 링크부재(94)는 이상전류에 반응하여 튀어오르는 돌출핀(92)에 의해서 회동하여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어 접지고정단자(99)와 접속하여 잔류전류를 접지시키는 접지스위치(111)는, 인출부스바(88)의 하단에 설치된 접지고정단자(99)와 접촉가능하도록 회동하는 접지가동단자(120)와, 접지가동단자(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체(2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접지회동축(110)과, 접지회동축(110)에 일체로 고정되고 그 선단에 접지가동단자(120)가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접지회동로드(130)로 이루어진다. 접지가동단자(120)는 세 개의 접지고정단자(99)와 동시에 접촉가능한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접지회동축(110)은 제2회전축(5)에 의해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지회동축(110)과 제2회전축(5)은 동일축선상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접지회동축(110)과 제2회전축(5)이 동일축선상에 있지 않은 경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해서, 접지회동축(110)과 제2회동축(5) 사이에는 이격되어 있는 두 축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동력전달부재(150)는 제2회전축(5)에 고정되어 있는 편심판(152)과, 이 편심판(15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수직봉(154)과, 수직봉(154)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지회동축(1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돌출편(15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회전축(5)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편심판(152)의 회전에 의해 수직봉(154)이 상하로 이동하고, 수직봉(154)의 상하운동은 돌출편(156)을 회동시켜 접지회동축(110)을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접지가동단자(120)가 접지고정단자(99)에 접속될 경우, 인출부스바(88)와 부하개폐기(1)에 잔류하는 전류는 접지부스바(160)를 통해 제거된다. 접지부스바(160)는 인출공간부(210b)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접지케이블(160b)(160c)을 통해 수직봉(154)과 편심판(152)이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함체(200)의 전면에는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00)가 구비된다. 구동부(300)는 다시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로 이루어진다. 제1구동부(310)는 제1회전축(3)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거나 작동레버(400)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기구가 설치된다. 제2구동부(320)는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거나 작동 레버(400)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기구가 설치된다.
도 8은 구동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9는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작동레버(400)에 의해서 작동하는 작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진 커버(311)(321)가 구비되고 이 커버(311)(321)에는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이 관통하는 관통홀(3a)(5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구동부(310)의 커버(311)의 내부에는 제1회전축(3)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이 코일스프링(330)의 일단은 제1회전축(3)에 일체로 결합하고 타단은 커버(311)와 함체(200)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작동레버(400)를 이용하여 제1회전축(3)을 회전시킬 때, 즉 가동단자(30)을 하강시켜 전로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제1회전축(3)을 일측으로 회전시킬 때, 코일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이 제1회전축(3)에 작용하여 제1회전축(3)을 강하고 빠르게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1회전축(3)에 연결된 회동로드(40)가 신속하게 회동함에 따라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가 강하게 압축된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330)은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키고 분사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코일스프링(33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구동부(310)는 제1회전축(3)의 선단이 관통하여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1회전축(3)에는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회전판(360)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361)가 설치된다. 또한, 제1회전축(3)에는 제1구동부(310)의 커버(311)에 형성된 호형 안내장공(371)에 삽입되는 회전안내 편(372)이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제2구동부(320)에는 제2회전축(5)의 선단이 관통하여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2회전축(5)에는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된 하부회전판(380)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381)가 설치된다. 또한, 제1회전축(3)에는 제1구동부(310)의 커버(311)에 형성된 호형 안내장공(391)에 삽입되는 회전안내편(392)이 일체로 설치된다.
이어, 구동부(300)의 전면에는 도어(230)의 열림,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의 회전을 연동시켜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록(interlock) 또는 연동장치(連動裝置)(500)가 구비된다.
인터록 장치(500)는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인터록커버(510)를 포함한다. 이 인터록커버(5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작동레버(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제1 및 제2관통홀(3b)(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홀(3b)은 제1회전축(3)에 대응하고 제2관통홀(5b)은 제2회전축(5)에 대응한다.
인터록 장치(500)는 인터록커버(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잠금판(530)과,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에 대응하도록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잠금모듈(550) 및 제2잠금모듈(560)과, 제1잠금모듈(550) 및 제2잠금모듈(56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잠금판(530)과 연동하는 제1잠금봉(620)과, 제2잠금모듈(560)과 도어(230)의 잠금구멍(240:도6)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2잠 금봉(640)으로 구성된다.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은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에는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에 형성된 돌기(42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에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를 삽입하여 돌리면 제1잠금모듈(550) 및 제2잠금모듈(560)의 작용에 의해서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킬 수 있다.
잠금판(530)은 인터록커버(5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3b)이나 제2관통공(5b)을 폐쇄하거나 제1관통공(3b) 및 제2관통공(5b)을 모두 폐쇄시킴으로써 임의로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키거나 접지스위치(111)가 작동하기 전에 도어(23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판(530)은 직사각형의 금속판으로, 그 상단이나 하단이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 중 어느 하나를 막을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잠금판(530)에 형성된 손잡이(532)를 이용하여 잠금판(530)을 위로 이동시키면 제1관통공(3b)이 폐쇄되어 작동레버(400)를 삽입할 수 없게 되지만 제2관통공(5b)은 개방되어 작동레버(400)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잠금판(530)은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을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잠금판(530)을 제1관통공(3b)과 제2관통공(5b)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시키고, 잠금판(530)과 인터록커버(510)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고리(533)를 일치시켜 열쇠고리를 끼우면,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 모두를 회전시킬 수 없는 잠금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인터록커버(510)와 잠금판(530)에는 다수 개의 투시구멍(534)이 형성되어 있다. 투시구멍(534)은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회전축(3)과 제2회전축(5)의 회전 위치를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한다. 이를 위해,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는 다수의 기호가 표기되어 있는 회전판(360,380:도9)이 제1잠금모듈(550) 및 제2잠금모듈(56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잠금모듈(550)과 제2잠금모듈(562)은 제1관통공(3b) 및 제2관통공(5b)을 통해 삽입된 작동레버(400)를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의 선단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잠금봉(620) 및 제2잠금봉(640)의 이동을 연동시키는 두 가지의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제1잠금모듈(550)은 제1관통공(3b)과 제1회전축(3)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1잠금모듈(550)은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가 삽입되고 작동레버(4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통(552)과, 외통(552)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폐쇄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553)을 설치할 수 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제1회전축(3)을 삽입할 수 있되 제1회전축(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54)에 나사결합하는 탄성돌기(555)가 형성된 내통(556)으로 구성된다.
또한, 외통(552)에는 제1잠금봉(62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잠금홀(557a)이 형성된다. 또, 필요에 따라 일정 회전각도로 이격되어 있는 두 개 의 잠금홀(557a)(557b)이 형성될 수도 있다. 외통(550)의 내주면과 내통(556)의 외주면에는 내통(556)과 외통(556)이 겉도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돌기와 안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를 제1관통공(3b)에 삽입하면, 작동레버(400)의 원통부(410)는 내통(556)을 함체(200)쪽으로 가압하여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어, 작동레버(400)를 일측으로 돌리면 외통(550)은 내통(556)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내통(556)의 선단에 형성된 탄성돌기(555)는 제1회전축(3)에 형성된 나사산(554)에 나사결합하여 내통(556)을 제1회전축(3)의 선단에 고정시킨다.
내통(556)이 함체(200)쪽으로 이동하여 1회전축(3)의 선단에 고정되면 내통(556)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553)은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고, 외통(552)의 내부에는 제1잠금봉(62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559)이 확보되게 된다. 반대로 내통(556)이 외통(552)의 선단쪽으로 이동하면, 내통(556)에 의해서 잠금홀(557a)(557b)이 폐쇄되므로 제1잠금봉(620)이 삽입될 수 없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잠금모듈(560)도 제2관통공(5b)과 제2회전축(5)의 중심 축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2잠금모듈(560)은 작동레버(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된 외통(562)과, 외통(562)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은 폐쇄되어 내부에 스프링(563)이 설치되고 후단은 제2회전축(5)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되 제2회전축(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64)에 나사결합하는 탄성돌기(565)가 형성된 내통(56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외통(562)에는 제1잠금봉(620)의 하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홀(567b)과, 제2잠금봉(640)의 상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두 개의 잠금홀(567b)(567c)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세 개의 잠금홀(567a)(567b)(567c)은 일정 회전각도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외통(566)의 내부로 삽입된 작동레버(400)를 상술한 제1잠금모듈(55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통(566)의 탄성돌기(565)가 제2회전축(5)에 형성된 나사산(564)에서 해제된다. 그리고 작동레버(400)를 제2관통공(5b)에서 빼면, 함체(200)쪽에 있던 내통(566)이 스프링(563)의 복원력에 의해서 외통(566)의 선단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외통(562)의 내부 공간(569)으로 내통(566)이 이동하여 제1잠금봉(620) 및 제2잠금봉(640)이 삽입되는 잠금홀(567a)(567b)(567c)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잠금봉(620)을 하부로 이동시키거나 제2잠금봉(64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록 장치(500)는 제1잠금모듈(550)과 제2잠금모듈(560)의 회전 위치와 내통(556)(566)의 위치에 따라 제1잠금봉(620) 및 제2잠금봉(640)의 상하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제1회전축(3) 및 제2회전축(5) 그리고 도어(230)의 개폐를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잠금모듈(550)을 회전시켜 제1잠금봉(620)의 상단이 제1잠금모듈(550)의 공간(559)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잠금홀(557a)(557b)을 개방한 후, 제1잠금봉(62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제2잠금모듈(5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1잠금모듈(550)이 반대측으로 회전하여 내통(556)에 의해 잠금홀(557a)(557b)이 폐쇄되면, 제1잠금봉(62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제2잠금모듈(560)을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제1잠금모듈(550)을 작동시켜 전로를 차단한 후에야 제2잠금모듈(560)을 작동시켜 접지스위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잠금모듈(550)을 회전시켜 제2잠금봉(640)의 상단이 제2잠금모듈(650)의 공간(659)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잠금홀(657b)(657c)를 개방한 후에야 제2잠금봉(640)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도어(23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2잠금모듈(550)을 작동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한 다음 제2잠금봉(640)을 올려서 도어(230)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제1잠금봉(620)은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된 두 개의 관통브래킷(621)을 관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제1잠금봉(620)은 잠금판(530)과 연결되어 연동한다. 따라서 잠금판(530)에 형성된 손잡이(532)를 이용하여 제1잠금봉(62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잠금봉(620)의 길이는 제1잠금모듈(550)의 하단과 제2잠금모듈(560) 상단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제2잠금봉(640)도 인터록커버(510)의 후면에 설치된 관통브래킷(641)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643)를 이용하면 제2잠금봉(64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잠금봉(640)의 길이는 제2잠금모듈(560)의 하단과 도어(230)의 상단에 형성된 잠금공(240) 사이의 길이보다 길다.
그리고 인터록커버(510)의 바닥에는 제2잠금봉(6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스토퍼(580)가 구비된다. 이 탄성스토퍼(580)는 제2잠금봉(640)에 수평으로 설치된 돌핀(645)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제2잠금봉(640)이 중력에 의해 임의로 하강 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탄성스토퍼(580)는 돌핀(645)을 지지하는 회전로드(581)와 회전로드(581)을 한쪽 반향으로 탄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인터록 장치(500)는 제1회전축(3)을 회전시켜 전로를 차단한 후에 제2회전축(5)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제2회전축(5)을 회전시켜 잔류전류를 제거한 후에 도어(230)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압축스프링(330)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310)에는 제1회전축(3)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축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압축스프링(330)의 일측에는 제1회전축(3)에 일체로 결합하는 결합공(331)이 관통되어 있는 연결로드(332)가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제1구동부(310)의 커버(311)와 함체(200)에 형성되어 있는 리벳홀(333a)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핀(333)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로드(33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회전축(3)을 회전시켜 압축스프링(330)이 수평상태가 되면, 압축스프링(330)이 압축되어 탄성복원력을 갖게 된다(a). 이어, 제1회전축(3)을 반대로 회전시켜 압축스프링(330)이 일정 각도로 경사지면(b), 압축스프링(330)을 지지하던 지지력이 상실되어 압축스프링(330)이 급속히 팽창하게 되고 그 탄성복원력이 제1회전축(3)에 회전모멘트로 작용하여 제1회전축(3)을 빠르고 강하게 회전시킨다(c).
따라서 퍼퍼실린더(5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방향과 압축스프링(330)이 팽창 하는 회전방향을 일치시키면, 작동레버(400)를 이용하여 제1회전축(3)을 회전시킬 때, 손으로 제1회전축(3)을 일정 각도이상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압축스프링(330)이 신속히 팽창하고 그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제1회전축(3)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퍼퍼챔버(54)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구비된 고압배전반은 수평격판을 이용하여 인입공간부와 인출공간부를 구획하고, 고정단자와 가동단자를 개폐하는 구동부와 접지스위치를 연동시킴으로써 부하개폐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감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회전축, 제2회전축 및 도어의 열림을 연동시키는 인터록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감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퍼퍼 소호방식의 부하개폐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가 구비된 고압배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6의 고압배전반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부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에 설치된 인출부스바와 전력퓨즈를 모두 보여주는 전체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구동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압축스프링의 구조와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하개폐기 3 : 제1회전축
5 : 제2회전축 10 : 하우징
11 : 상부케이스 12 : 중간케이스
13 : 하부케이스 19 : 투시공
20 : 고정단자 28 : 가스배출구
30 : 가동단자 40 : 회동로드
42 : 로드부 43 : 원통로드부
50 : 퍼퍼실린더 51 : 금속통
52 : 피스톤 53 : 고정로드
54 : 퍼퍼챔버 60 : 절연노즐
61 : 노즐구멍 64 : 압축공기통로
71 : 도전링 73 : 환형도전판
80 : 슬라이드단자 86 : 수직절곡부
88 : 인출부스바 90 : 전력퓨즈
99 : 접지고정단자 100 : 고압배전반
110 : 접지회전축 120 : 접지가동단자
200 : 함체 210 : 수평격판
210a : 인입공간부 210b : 인출공간부
230 : 도어 300 : 구동부
310 : 제1구동부 320 : 제2구동부
330 : 코일스프링 400 : 작동레버
500 : 인터록 장치 510 : 인터록커버
530 : 잠금판 550 : 제1잠금모듈
552 : 외통 553 : 스프링
556 : 내통 560 : 제2잠금모듈
620 : 제1잠금봉 640 : 제2잠금봉

Claims (15)

  1. 금속 함체를 포함하는 고압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함체를 상부의 인입공간부와 하부의 인출공간부로 구획하는 수평격판과;
    상기 수평격판을 관통하여 인입공간부와 인출공간부 사이에 설치되는 세 개의 부하개폐기와;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입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회전축과;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의 인출부스바에 형성된 접지고정단자에 접지가동단자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인출공간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2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인출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 개의 부하개폐기는,
    상단에 고정단자가 형성되고 외부 공기가 자유롭게 유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고정단자에 대응하는 가동단자가 형성되고 원통형의 금속통으로 이루어진 퍼퍼실린더와;
    상기 가동단자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퍼퍼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측은 제1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회동로드와;
    상기 퍼퍼실린더가 하부로 이동할 때 퍼퍼실린더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도록 퍼퍼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피스톤과;
    상기 퍼퍼실린더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슬라이드단자와;
    상기 슬라이드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인출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퍼퍼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일정 길이의 로드부와,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통해 제1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통로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단자는 퍼퍼실린더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 환형금속판과, 이 환형금속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금속편과 스프링밴드로 구성된 탄성접촉부와, 환형금속판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인출부스바가 설치되는 수직절곡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피스톤은 퍼퍼실린더의 금속통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고정시키는 고정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퍼퍼실린더의 하부에는 퍼퍼실린더의 외측을 이격되게 감싸도록 절연물질로 코팅된 도전링과, 상기 도전링과 연결되고 슬라이드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퍼퍼실린더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환형도전판으로 구성된 와류전류 제거장치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스바에 설치된 접지고정단자와 접촉가능하도록 회동하는 접지가동단자와;
    상기 접지가동단자를 고정시켜 회동하는 소정 길이의 접지회동로드와;
    상기 접지회동로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함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2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접지회동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회동축과 제2회동축 사이에는 제2회전축에 고정되어 있는 편심판과;
    상기 편심판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소정 길이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지회동축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돌출편으로 구성된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의 선단이 수평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커버가 상하로 이루어진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커버 내부에 설치되되 일측은 제1회전축에 일체로 결합하고 타측은 제1구동부의 커버와 함체에 고정된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금속판을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작동레버를 삽입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된 인터록커버와;
    상기 인터록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사이에서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잠금판과;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에 대응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잠금모듈 및 제2잠금모듈과;
    상기 제1잠금모듈 및 제2잠금모듈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잠금판과 연동하는 제1잠금봉과;
    상기 제2잠금모듈과 도어의 상면에 형성된 잠금구멍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제2잠금봉;을 포함하는 인터록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제1회전축에는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1잠금모듈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부회전판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에 수평하게 설치된 제2회전축에는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설치되고 제2잠금모듈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부회전판을 연동시키기 위한 ㄷ자형의 연결로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모듈은 작동레버의 원통부가 삽입되고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폐쇄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제1회전축을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외통과 함께 회전하여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내통과;
    상기 외통에 형성되어 제1잠금봉의 상단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모듈은 작동레버의 원통부가 삽입되고 작동레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인터록커버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이 폐쇄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고 후단은 개방되어 제2회전축을 삽입할 수 있으며 외통과 함께 회전하여 제2회전축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내통과;
    상기 외통에 형성되어 제1잠금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잠금홀과 제2잠금봉의 상단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고압배전반.
KR1020090011420A 2009-02-12 2009-02-12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KR10094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20A KR100940243B1 (ko) 2009-02-12 2009-02-12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420A KR100940243B1 (ko) 2009-02-12 2009-02-12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243B1 true KR100940243B1 (ko) 2010-02-04

Family

ID=4208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420A KR100940243B1 (ko) 2009-02-12 2009-02-12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2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71B1 (ko) 2011-03-15 2011-05-09 (주)서전기전 기기간 기계적 전기적 인터록에 의한 안전 시스템
KR20130078487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전력공사 부하개폐기
CN103474270A (zh) * 2013-08-29 2013-12-25 浙江博益电气有限公司 一种固封式真空负荷开关
KR101588255B1 (ko) 2015-12-04 2016-02-15 (주)서전기전 아크 방출 시스템과 센서를 이용한 자동 도어 적용 하우스형 배전반
CN107769150A (zh) * 2017-11-14 2018-03-06 陈小辉 一种断路器用保护装置
KR102398754B1 (ko) * 2021-07-12 2022-05-17 신우전기제조(주)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180Y1 (ko) 2000-05-26 2000-11-15 유기현 콤팩트형 수배전반
KR20030060816A (ko) * 2002-01-09 2003-07-16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스 차단기
KR20060063720A (ko) * 2004-12-06 2006-06-1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퍼퍼형 가스차단기의 전류차단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퍼퍼형 가스차단기
KR20080004735A (ko) * 2006-07-06 2008-01-10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수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180Y1 (ko) 2000-05-26 2000-11-15 유기현 콤팩트형 수배전반
KR20030060816A (ko) * 2002-01-09 2003-07-16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스 차단기
KR20060063720A (ko) * 2004-12-06 2006-06-12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에이이 파워시스템즈 퍼퍼형 가스차단기의 전류차단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퍼퍼형 가스차단기
KR20080004735A (ko) * 2006-07-06 2008-01-10 주식회사 효성 가스절연 수전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271B1 (ko) 2011-03-15 2011-05-09 (주)서전기전 기기간 기계적 전기적 인터록에 의한 안전 시스템
KR20130078487A (ko) * 2011-12-30 2013-07-10 한국전력공사 부하개폐기
KR101874988B1 (ko) * 2011-12-30 2018-08-03 한국전력공사 부하개폐기
CN103474270A (zh) * 2013-08-29 2013-12-25 浙江博益电气有限公司 一种固封式真空负荷开关
KR101588255B1 (ko) 2015-12-04 2016-02-15 (주)서전기전 아크 방출 시스템과 센서를 이용한 자동 도어 적용 하우스형 배전반
CN107769150A (zh) * 2017-11-14 2018-03-06 陈小辉 一种断路器用保护装置
KR102398754B1 (ko) * 2021-07-12 2022-05-17 신우전기제조(주) 다회로 개폐기의 동상간 연결 통전 및 절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243B1 (ko)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를 구비하는 고압배전반
CN101454859B (zh) 短路开关装置
KR20130105350A (ko) 스위치 기어
AU2009334695B2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NO311393B1 (no) Understasjon for mellomspenning
KR100932232B1 (ko) 하우징된 압축공기 소호형 부하개폐기
CN214479039U (zh) 共箱式气体绝缘开关柜
CN202019159U (zh) 智能化固体封闭绝缘固定式高压开关柜
KR101033536B1 (ko)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CN101000836A (zh) 真空负荷开关和组合电器
JP2007028776A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EP2667395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US10290436B1 (en) Insulated interrupter
US20150294818A1 (en) Gas-insulated circuit breaker
KR101513204B1 (ko) 도어 인터록 장치를 가지는 개폐기
CN1022001C (zh) 封闭式负荷断路开关装置
CN102227059A (zh) 智能化固体封闭绝缘固定式高压开关柜
EP3252793B1 (en) Switching device with dual conductive housing
EP3843117B1 (en) Load-break switch without sf6 gas having a vacuum circuit interrupter for medium-voltage switching systems
CN114256024A (zh) 常压密封空气绝缘断路器开关
KR101108469B1 (ko) 가스절연 부하개폐기
KR20000074358A (ko) 가스 절연 배전반
EP3422381B1 (en) Gas-insulated load break switch and switchgear comprising a gas-insulated load break switch
US11784015B2 (en) Switch-fuse module
CN101933205B (zh) 开关设备,尤其中压开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