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536B1 -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 Google Patents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536B1
KR101033536B1 KR1020110026507A KR20110026507A KR101033536B1 KR 101033536 B1 KR101033536 B1 KR 101033536B1 KR 1020110026507 A KR1020110026507 A KR 1020110026507A KR 20110026507 A KR20110026507 A KR 20110026507A KR 101033536 B1 KR101033536 B1 KR 10103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switch
movable
interlock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근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11002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고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 금속 함체가 구비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선로(R상,S상,T상)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부싱 조립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고압 배전반의 내부 공기를 건조시켜 고압 배전반에 설치된 각 전기 선로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조 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부싱 조립 수단은 어느 하나의 배전반에 구비되며 구동축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을 향하여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부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배전반으로부터 이동된 이동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 수용공, 상기 부싱 수용공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전극이 구비되는 부싱 수용부, 상기 이동 부싱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부싱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절연 부재, 상기 부싱 수용공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부재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수용공, 상기 이동 부싱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 부싱과 나사 결합되는 부싱 이송축, 및 상기 부싱 이송축의 단부 영역과 결합 되는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부싱 이송축과 구동축의 결합 부분에는 베벨 기어가 장착되어 회전 방향을 전환 시켜주며, 상기 절연 부재와 상기 절연 부재 수용공의 외주연은 각각 애자에 의해 둘러싸여 부싱 조립 수단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부싱 조립 수단 바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건조 수단은 사면이 절곡되고 배전반의 케이스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갖춘 본체 몸체와, 상기 본체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배부공간을 형성하며 전후방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건조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덮개, 상기 본체 몸체의 공기 배출구 쪽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부, 상기 본체 몸체의 공기 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면이 냉각되는 두 개의 좌·우측용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흡열판, 상기 열전소자의 저면에 밀접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흡열판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판, 상기 본체 덮개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열판과 방열판 그리고 전원부를 거쳐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도팬, 상기 유도팬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흡열판과 접촉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 쪽에 설치된 집수부, 상기 본체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열전소자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Detachable structure type high-voltage switchgear including a solid isolated alternating current load breaker switch}
본 발명은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반 된 복수의 배전반을 간단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하고, 배전반에 갖추어진 도어를 열었을 때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이 완전히 접지되도록 하며, 배전반의 내부 공기를 완전하게 건조시켜 배전반 내부의 각 전기 선로를 효과적으로 절연시킨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분야에 사용되는 배전반이라 하면, 배전반(配電盤 ; disturbuting switch box)은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시설이 되어 있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전장치·계기·표시등·계전기(繼電器) 등을 배치하여 전기 선로의 개폐나 전기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기 계통의 감시·제어·보호 등을 행하는 기기로서, 계기·계전기·개폐장치 등의 기구류와 이를 부착하는 지지물, 그리고 기구 간을 접속하는 전선 등으로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한편, 배전반에는 전압을 유입하는 기기인 부하 개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접지 스위치가 연결되면 고전압이 대지간에 인가되는 상태가 되어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부하 개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접지 스위치가 연결되지 않아야 하고, 또 접지 스위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하 개폐기가 연결되어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접지 스위치가 연결되었을 때는 부하 개폐기가 연결 작동되어서도 안 된다.
기존 특허에서는 배전반에 남아 있는 잔류전압을 제거하기 위해 구성이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 장치는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부하 개폐기와 접지 스위치 및 도어의 연동 및 작동에 따른 상호 관계를 가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 개폐기를 차단한 후에 도어를 열 때 잔류 전압이 완전 소실되게 할 수가 없어 도어를 개방할 때 잔류 전압에 의한 감전사고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배전반에 갖추어진 부하 개폐기는 가동 접점이 움직이는 방식에 따라서 회동형, 회전형, 및 슬라이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형 부하 개폐기는 가동 접점이 회동하여 고정 접점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방식이고, 회전형 부하개폐기는 고정 접점 사이에 설치된 가동 접점이 회전하면서 고정 접점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방식이며, 슬라이드형은 가동 접점이 직선 운동하여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회동형 부하개폐기는 가동 접점의 운동반경이 크기 때문에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어렵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대기중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상간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반면에 회전형 부하 개폐기는 가동 접점의 운동 반경이 작아서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기 유리하고 절연력을 가진 SF6 가스를 충진할 수 있으나 지락이나 단락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면 내부의 가스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부하 개폐기가 폭발할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형 부하개폐기는 가동 접점의 운동반경이 비교적 작고 밀폐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SF6 가스를 충진할 수 있고,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육불화황 가스(SF6)로 고정전극과 가동전극 사이에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가스인 육불화항 가스만으로는 아크를 완전히 소호시키지는 못하기 때문에 육불화황 가스를 이용한 퍼퍼(Puffer)방식으로 아크를 소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배전반은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각각 서로 다른 부하로 전원을 분기하는데, 이를 위해 복수의 배전반은 서로 접촉하는 영역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스바가 필수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한다.
종래 대형 배전반의 경우 배전반을 서로 접촉되게 배치한 후 작업자가 배전반의 내부로 들어가 연결 부스바를 직접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배전반을 분리할 경우 작업자가 배전반의 내부에서 연결 부스바을 제거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였다.
그런데, 배전반의 크기가 소형인 경우 작업자가 직접 배전반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어 연결 부스바의 설치에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배전반은 전문가에 의해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전기적 절연 저하 및 절연 열화 상태를 점검받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배전반의 절연 불량으로 누전이 지속되어 감전으로 인한 인명 피해와 전기적 사고에 의한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하고 전기 품질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배전반의 케이스 내부에 습기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장비를 설치해 두고 있다.
예컨대, 배전반 내부의 습기를 줄이기 위해 설치하는 장비중의 하나인 종래의 전기 스페이스 히터는 배전반 내부의 온도를 올려 상대습도를 떨어뜨림으로써 습기 및 온도로 인한 절연저하 및 전열 열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페이스 히터를 사용할 경우, 배전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상대 습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전반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높여 운전하게 되면 배전반 내부의 온도가 너무 올라 배전반 내의 기기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압 배전반에 설치가 용이하며,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부하 개폐기를 구비함과 더불어, 간단히 조립 및 분해될 수 있는 부싱 조립체를 채용하여 배전반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한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갖추어진 도어를 개방시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완전히 제거하여 감전 사고 및 합선 사고를 예방하고, 배전반에 남아 있는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전기 선로 간의 합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고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 금속 함체가 구비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선로(R상,S상,T상)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부싱 조립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고압 배전반의 내부 공기를 건조시켜 고압 배전반에 설치된 각 전기 선로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조 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부싱 조립 수단은 어느 하나의 배전반에 구비되며 구동축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을 향하여 직선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부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배전반으로부터 이동된 이동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 수용공, 상기 부싱 수용공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전극이 구비되는 부싱 수용부, 상기 이동 부싱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부싱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절연 부재, 상기 부싱 수용공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부재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수용공, 상기 이동 부싱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 부싱과 나사 결합되는 부싱 이송축, 및 상기 부싱 이송축의 단부 영역과 결합 되는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부싱 이송축과 구동축의 결합 부분에는 베벨 기어가 장착되어 회전 방향을 전환 시켜주며, 상기 절연 부재와 상기 절연 부재 수용공의 외주연은 각각 애자에 의해 둘러싸여 부싱 조립 수단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부싱 조립 수단 바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건조 수단은 사면이 절곡되고 배전반의 케이스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을 갖춘 본체 몸체와, 상기 본체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배부공간을 형성하며 전후방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건조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덮개, 상기 본체 몸체의 공기 배출구 쪽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부, 상기 본체 몸체의 공기 유입구 쪽에 설치되어 전원부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면이 냉각되는 두 개의 좌·우측용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흡열판, 상기 열전소자의 저면에 밀접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흡열판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열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판, 상기 본체 덮개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열판과 방열판 그리고 전원부를 거쳐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도팬, 상기 유도팬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흡열판과 접촉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 쪽에 설치된 집수부, 상기 본체 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및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열전소자를 컨트롤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기를 채용하여 고압 배전반의 내부에서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아크를 퍼퍼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소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싱 조립 수단은 열반 된 복수의 배전반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은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부하 개폐기와 접지 스위치 및 도어의 상호간 인터록킹에 의하여, 도어를 열 때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이 완전하게 접지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갖추어진 건조 수단은 배전반 내부 공기를 건조시킴과 더불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어, 배전반 내부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부싱 조립 수단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선로를 손쉽게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 배전반의 주회로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완전히 접지시켜 잔류 전압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건조 수단은 케이스 내부의 습도 량에 따라 단계별로 하나에서 두 개가 작동될 수 있으므로 배전반을 더욱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를 오프(Off) 시켰을 때 전기가 흐르고 있는 부하 개폐기의 1차측 전기 단자와 전기 흐름이 차단된 부하 개폐기의 2차측 전기 단자를 수평 격판을 통해 분활 시켜줌으로써 부하 개폐기의 2차측 전기 선로와 연결된 전기 기기를 보수 및 점검할 때 관리자나 전기 기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면 1과 도면 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3과 도면 4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싱 조립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5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을 개괄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 6 (a)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의 측면도,
도면 6 (b)는 인터록 수단에 갖추어진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접점 인터록 연결링,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 및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7은 인터록 수단에 갖추어진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 및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는 핸들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8 (a)(b)(c)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이 작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면 9는 인터록 수단에 있어서, 도어의 체결 상태를 제어하는 도어 인터록 기구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 10 (a)(b)은 인터록 수단에서 도어 인터록 가동자와 도어 록킹편 결합구의 체결 및 해제 과정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도면 11 (a)(b)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이 온 또는 오프 될 때 잔류 전압을 방전하는 접지 스위치의 접지바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면 12는 본 발명에 갖추어진 건조 수단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도면 1 내지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고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 금속 함체(1)가 구비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 수단이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선로(R상,S상,T상)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부싱 조립 수단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고압 배전반의 내부 공기를 건조시켜 고압 배전반에 설치된 각 전기 선로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조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도어를 열었을 때 도어와 연동되어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완전하게 소진시키는 인터록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갖추어진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 수단은 도면 1과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함체를 상부의 인입 공간부(3)와 하부의 인출 공간부(5)로 구획하는 수평 격판(7)과, 상기 수평 격판(7)을 관통하여 인입 공간부(3)와 인출 공간부(5) 사이에 설치되는 세 개의 부하 개폐기(9), 상기 세 개의 부하 개폐기(9)의 가동 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입 공간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 1 회전축(15)과, 상기 세 개의 부하 개폐기(9)의 인출 부스바(17)에 형성된 접지 고정 단자(19)에 접지 가동 단자(21)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인출 공간부(5)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 2 회전축(23), 상기 제 1 회전축(15)과 제 2 회전축(2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구동부(25), 상기 인출 공간부(5)를 개폐하기 위해서 금속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2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하 개폐기(9)를 오프(Off) 시켰을 때 전기가 흐르고 있는 부하 개폐기(9)의 1차측 전기 단자와 전기 흐름이 차단된 부하 개폐기(9)의 2차측 전기 단자를 수평 격판(7)을 통해 분활 시켜줌으로써 부하 개폐기(9)의 2차측 전기 선로와 연결된 전기 기기를 보수 및 점검할 때 관리자나 전기 기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싱 조립 수단은 도면 3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배전반(31)에 구비되며 구동축(32)의 구동에 연동하여 다른 하나의 배전반(29)을 향하여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부싱(33)과,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31)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배전반(29)으로부터 이동된 이동 부싱(33)을 수용하는 부싱 수용공(35)과, 상기 부싱 수용공(35)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싱(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전극(37)이 구비되는 부싱 수용부(3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싱 조립 수단은 상기 이동 부싱(33)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부싱(33)과 함께 직선 이동하는 절연 부재(41)와, 상기 부싱 수용공(35)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부재(41)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수용공(43)을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이동 부싱(33)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 되면서 상기 이동 부싱(33)과 나사 결합되고 일단이 구동축(33)과 결합되는 부싱 이송축(4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 이송축(45)과 구동축(33)의 결합 부분에는 베벨 기어(47)가 장착될 수 있다.
또, 상기 절연 부재(41)와 상기 절연 부재 수용공(43)의 외주연은 각각 애자(49)에 의해 둘러싸여 부싱 조립 수단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부싱 조립 수단 바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은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개폐기(9)와 부하 개폐 연결축(61)을 통하여 연결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와, 상기 접지 스위치(51)와 접지 연결축(67)을 통하여 연결된 접지 접점 스위치(69) 사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하 개폐 및 접지 인터록 기구(100),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69)와 도어(27)의 체결 상태를 제어하는 접지 및 도어 인터록 기구(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부하 개폐 및 접지 인터록 기구(100)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하 개폐기(9)의 작동상태에 따라 접점을 달리하는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와, 상기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에서 한쪽 방향으로 뻗어 나온 스위치바(79a), 상기 스위치바(79a)를 상하로 작동시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를 온·오프시키는 가동핀(81a), 상기 가동핀(81a)이 일체로 부착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된 원통형의 소켓(83a)을 갖추고 있는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소켓(83a) 속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함께 회동하게 설치된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을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부하 개폐 연결축(61)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 배전반의 주회로에 잔류하는 전압을 접지시키는 접지 스위치(51)의 작동상태에 따라 접점을 달리하는 접지 접점 스위치(69),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69)에서 돌출되어 나와 스위치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바(79b), 상기 스위치바(79b)를 상하로 작동시켜 접지 접점 스위치(69)를 온·오프시키는 가동핀(81b), 상기 가동핀(81b)이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소켓(83b)을 갖추고 있는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소켓(83b) 속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함께 회동하게 설치된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을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면서 접지 연결축(67)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 또는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를 선택적으로 회동 작동하지 못하게 록크시키는 인터록 삽입봉(97), 상기 인터록 삽입봉(97)을 상하로 이동 안내하는 삽입봉 안내자(99), 상기 삽입봉 안내자(99)와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인터록 바(101),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함과 더불어 인터록 바(10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 및 상기 부하 개폐기(9)의 작동 위치와 접지 스위치(51)의 작동위치를 감지하는 개폐 리미트 스위치(105)와 접지 리미트 스위치(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및 도어 인터록 기구(73)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가 장착되는 개폐 스위치 컨트롤 박스(109)의 한쪽 코너에 설치되어 스프링(111)의 힘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하로 이동함과 더불어, 선단에 걸림 구멍(113)을 갖추고 있는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와,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설치되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를 물어 잡아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가동자 걸림 고리(117), 도어(27)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에 형성된 걸림 구멍(113)속에 삽입되는 도어 록킹편(119), 상기 개폐 스위치 컨트롤 박스(109)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 록킹편(119)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121)을 갖춘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는 도면 6 (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사각형의 조작홀(125a,125b)이 뚫려 있고, 이들 조작홀(125a,125b)이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의 바깥으로 노출된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조작홀(125a,125b)속에 수동 조작용 핸들(127)을 끼워 넣어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작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홀(125a,125b)은 인터록 바(101)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그 입구가 막히게 되어 있는데, 도면 6에서와 같이 인터록 바(101)가 위쪽으로 올라가 있으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조작홀(125a)이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고, 상기 인터록 바(101)가 아래쪽으로 내려오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조작홀(125b)이 부분적으로 막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홀(125a,125b)의 입구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막히게 되면, 해당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수동 조작용 핸들(127)을 끼워 넣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를 강제적으로 회동시킬 수가 없으므로 그 결과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가 연결된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의해 부하 개폐기(9)또는 접지 스위치(51)를 온/오프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에 결합되는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은 도면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스릿(133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다수개의 절결편(13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다수개의 절결편(135) 중 제일 아래쪽의 하나가 제거되어 인터록 삽입봉(97)이 삽입되는 삽입홀(139a)을 이루게 되어 있는 한편,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소켓(83a)에도 상기 삽입홀(139a)과 맞물려 인터록 삽입봉(97)이 끼워지게 하는 삽입 구멍(141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결합되는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도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스릿(133b)과 다수개의 절결편(135)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에서는 상단과 하단의 절결편(135)이 하나씩이 제거되어, 상단에는 인터록 삽입봉(97)이 삽입되는 삽입홀(139b)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홀(139c)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는 한편,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소켓(83b)에도 상기 삽입홀(139b,139c)과 맞물리게 대응하는 삽입 구멍(141b,141c)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와 접지 접점 스위치(69) 및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작동 관계 및,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 및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배치 위치 및 그 작동 관계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먼저 배전반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는, 도면 8 (a)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부하 개폐기(9)를 온 상태로 절환하여 배전반의 주회로에 전류가 유입되게 하는 상태일 때는 부하 개폐기(9)의 부하 개폐 연결축(61)에 연결된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가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에 연결된 스위치바(79a)를 눌러서 스위치바(79a)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접지 스위치(51)와 접지 연결축(67)을 통하여 연결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는 초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배전반 내부의 전류가 접지되어 유출되지 않게 하는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때 접지 접점 스위치(69)의 스위치바(79b)도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부하 개폐기(19)의 온·오프 절환 작동에 따라 절환되는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가 온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의 바깥에 설치된 인터록 바(101)가 도면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조작홀(125a)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조작홀(125b)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하 조작홀(125a,125b)을 모두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록 바(10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상기 인터록 바(101)에 삽입봉 안내자(99)를 통하여 연결된 인터록 삽입봉(97)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소켓(83a)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소켓(83b)에 걸려져 상하 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전반의 주회로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인터록 바(10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없고, 접지 접점 스위치(69)는 차단되어 주회로의 전압이 누설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배전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에서, 배전반을 수리하거나 점검하기 위해 도어(27)를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전반의 주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배전반의 주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수동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조작홀(125a)속에 수동 조작용 핸들(127)를 끼워 넣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를 도면 4(b)의 화살표 방향(128)으로 돌리면, 부하 개폐기(9)(A)가 오프(off)되어 주회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가동핀(81a)이 스위치바(79a)를 눌러서 아래쪽으로 밀어 젖혀지면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는 부하 개폐기(9)가 개방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핀(81a)은 도면 8 (b)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8 (a)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이고,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접지 접점 스위치(69) 가동핀(81b)은 도면 8 (b)에서와 같이 처음 상태 그대로 유지하여 접지 상태를 차단하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가 왼쪽 방향(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소켓(83a)에 형성된 삽입 구멍(141a)과 상기 소켓(83a)의 내부에 삽입된 개폐 접점 스위치 연결링(87)의 삽입홀(139a)이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터록 바(101)를 도면 8 (c)에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인터록 바(101)와 삽입봉 안내자(99)를 통하여 연결된 인터록 삽입봉(97)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소켓(83a)에 형성된 삽입 구멍(141a)과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의 삽입홀(139a) 속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인터록 바(101)와 인터록 삽입봉(97)이 위쪽으로 이동하면, 인터록 삽입봉(97)은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가 임의로 회동하지 못하게 록크(lock)해 줌과 더불어, 상기 인터록 바(101)는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의 바깥으로 노출된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의 조작홀(125a) 입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를 오프(off)한 다음 인터록 바(101)를 위쪽으로 올리면, 부하 개폐기(9)를 조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프된 부하 개폐기(9)의 작동상태가 록크되며, 이렇게 부하 개폐기(9)가 오프된 상태에서 록크되어야만 도어(27)를 개방 작동시키기 위한 다음 동작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부하 개폐기(9)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배전반의 주회로에 유입되는 전류의 흐름은 차단됨과 더불어, 인터록 바(101)의 이동에 의해 그 상태에서 록크되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조작홀(125b)은 인터록 바(101)의 아래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조작홀(125b)속에 수동 조작 핸들(127)를 삽입하여 도면 8 (b)의 화살표 방향(130)으로 회동시키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핀(81b)이 스위치바(79b)를 밀어서 위쪽으로 접지 접점 스위치(69)를 온(on)상태로 절환하고 접지 스위치(51)도 온(on)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접지 스위치(51)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부하 개폐기(9)의 차단으로 인하여 전류의 공급이 중단된 배전반의 주회로에 남아 있던 잔류 전압이 지면으로 방전되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 스위치(51)를 온 작동시킴으로 인하여 배전반의 주회로에 남아 있던 잔류 전압이 지면으로 방전되어 사라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접지 스위치(51)가 온상태로 절환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반드시 부하 개폐기(9)의 오프(off) 동작이 선행되어야만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 스위치(51)를 온 상태로 절환시키기 위해 수동조작 핸들(127)을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삽입하여 화살표의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연결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이 함께 회동하게 되고, 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설치된 캠(cam) 형상의 가동자 걸림 고리(117)가 함께 회동하면서, 도어(27)를 체결상태로 록크하고 있는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를 해제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가 도어(27)를 해제 작동시키면, 도어(27)를 손으로 붙잡고 열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배전반에 정상적으로 전압이 흐를 때, 즉 도어(27)를 열지 않는 평상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도면 8 (a)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설치된 캠 형상의 가동자 걸림 고리(117)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면서, 가동자 걸림 고리(117)의 하단에 마련된 후크(143)가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에 마련된 체결홈(147)에 끼워져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를 아래로 밀어 내린 상태로 지탱해 주게 된다.
도면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 및 가동자 걸림 고리(117)의 체결 구성 및 작동 관계를 내부에서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가 도어(27)의 중량에 의해 스프링(111)의 압축력을 이기고 아래쪽으로 당겨진 상태에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설치된 가동자 걸림 고리(117)에 걸려져 아래로 내려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를 통하여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을 회동시키면, 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에 설치된 가동자 걸림 고리(117)가 함께 회전하면서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체결홈(147)에 끼워진 후크(143)가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를 누르고 있던 상태가 해제되지만,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 구멍(113)속에 도어(27)의 도어 록킹편(119)이 아직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도어(27)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는 아직 아래로 내려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도어 개폐기(59)를 이루는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는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개폐 스위치 컨트롤 박스(109)에 설치된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와 상기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 및 도어(27)에 부착된 도어 록킹편(119)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도어 록킹편(119)은 도면 10 (a)(b)에 도시하여 나타내 바와 같이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의 결합홀(121)을 거쳐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걸림 구멍(113)속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도면 10 (a)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폐 스위치 컨트롤 박스(109)에 설치된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는 중간에 오목한 홈이 형성된 결합홀(121)을 갖추고 있고, 도어(27)에 돌출 설치된 도어 록킹편(119)은 선단에 가로 부재(149)를 갖춘 T자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어 개폐기(59)는 상기 도어 록킹편(119)이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에 결합될 때, 도면 6(b)에 정단면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도어 록킹편(119)이 오목한 홈의 위쪽 "가"위치로 들어온 다음, 오목한 홈으로 들어가 "나"위치로 내려가서 결합하게 되고, 상기 도어 록킹편(119)의 선단에 마련된 가로 부재(119)가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걸림 구멍(113) 속에 삽입된다.
상기 도면 10 (b)는 도어 록킹편(119)과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의 결속 관계에 따른 결합 위치를 나타낸 확대 정단면도로서, 도어(27)가 정상적으로 닫혀 있는 상태일 때는 상기 도어 록킹편(119)이 오목한 홈(124) 속(도면 10에서 "나"위치)으로 들어가서 도어 록킹편(119)의 선단에 있는 가로 부재(149)가 오목한 홈(124)에 걸려져 수평 방향으로는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록킹편(119)이 걸림 구멍(113)에서 빠져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도어 록킹편(119)이 수직 방향으로 위쪽으로 올라가서 오목한 홈(124)에서 빠져나가 "가"위치(도면 6)로 이동한 다음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빠져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도어(27)는 본체와 연결된 힌지(153) 구조가 그냥 도어(27)를 회전시켜 열게 한 구조가 아니고 도어(27)를 위쪽으로 들어올린 다음, 앞으로 당겨서 열도록 되어 있는 구조인바 따라서, 상기 도어(27)를 열기 위해서는 반드시 먼저 도어(27)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야 하는데, 도어(27)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27)와 함께 도어 록킹편(119)이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도어 록킹편 결합구(123)의 결속위치("나"위치)에서 해제위치("가"위치)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어 도어(27)를 배전반의 본체에서 분리하여 수평 방향으로 당기면 앞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도어(27)에 연결된 도어 록킹편(119)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걸림 구멍(113)에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에서 도어 록킹편(119)이 빠져나가서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를 아래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하고 있던 구속력이 없어지게 되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가 스프링(111)의 복원력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져 올라가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상단에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핀(115a)이 도면 6 (b)에서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소켓(83b)에 형성된 삽입 구멍(141c)을 통하여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의 원주면에 형성된 스릿(133b)속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의 상단 돌출핀(115a)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삽입 구멍(141c)을 관통하여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의 스릿(133c)속에 끼워지면,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을 회전하지 못하게 록크시켜 준다.
따라서, 접지 스위치(51)가 접지 상태로 일단 절환되고 가동자 걸림 고리(117)가 해제되어 도어(27)가 개방되면, 도어 개폐기(59)의 도어 인터록 가동자(115)가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핀(115a)이 삽입 구멍(141c)을 통하여 스릿(133c)속에 끼워져 접지 접점 스위치(69)가 다시 오프상태로 절환되지 못하게 그 상태에서 록크시켜 줌으로써, 다음 동작으로 이어지는 배전반의 수리 점검 등의 동작을 할 때, 배전반의 주회로 속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이나 다른 이상으로 인하여 배전반에 전압이 유입되는 경우 이로 인한 감전사고 등의 문제가 근본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한다.
도면 11은 접지 스위치(51)의 절환 위치에 따른 접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면 11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스위치(51)가 오프 상태로 있을 때는 접지바(155)가 분기 부스바(157)에서 떨어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도면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스위치(51)가 온상태일 때는 접지바(155)가 분기 부스바(157)에 접촉되어 배전반의 주회로에 남아 있던 잔류 전압이 지면으로 흘러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내부 공기를 건조시켜 각 전기 선로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조 수단(159)이 장착될 수 있는바, 상기 건조 수단(159)은 도면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면이 절곡되고 배전함의 내부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1)을 갖춘 본체 몸체(163)와, 상기 본체(151) 몸체(163)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배부공간을 형성하며 전후방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65)와 건조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67)가 형성된 본체 덮개(169), 상기 본체 몸체(163)의 공기 배출구(167) 쪽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부(171), 상기 본체 몸체(163)의 공기 유입구(165) 쪽에 설치되어 전원부(17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면이 냉각되는 두 개의 좌·우측용 열전소자(173), 상기 열전소자(173)의 상면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흡열판(175), 상기 열전소자(173)의 저면에 밀접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흡열판(175)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7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판(177), 본체 덮개(169)의 공기 유입구(165)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흡열판(175)과 방열판(177) 그리고 전원부(171)를 거쳐 상기 공기 배출구(167)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도팬(181), 상기 유도팬(181)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흡열판(175)과 접촉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165) 쪽에 설치된 집수부(183), 상기 본체 몸체(163)의 측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85), 및 상기 습도 센서(185)에 의해 열전 소자(173)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기를 이용하여 고압 배전반의 내부에 고정 단자와 가동 단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상하로 이동하는 퍼퍼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소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갖추어진 부싱 조립 수단은 열반 된 복수의 배전반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갖추어진 인터록 수단은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부하 개폐기와 접지 스위치 및 도어의 상호간 인터록킹에 의하여, 도어를 열 때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이 완전하게 접지되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에 갖추어진 건조 수단은 배전반 내부 공기를 건조시킴과 더불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어, 배전반 내부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은 열반 배치된 복수의 배전반에 구동축(32)의 구동에 따라 이동 부싱(33)이 직선 이동됨과 더불어 또 다른 배전반 내부에 삽입 및 복귀 가능하게 구비되어 복수 개의 배전반을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27)를 열 때 배전반의 내부 주회로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이 완전히 접지되어 소멸 된 상태에서만 도어(27)를 열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27)를 열 때 잔류 전압으로 인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하 개폐기(9)가 투입(On)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접지 스위치(51)가 투입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주 전압이 부주의로 인하여 접지되어 인접 기기의 전위 상승을 가져와 발생하는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절연 성능 유지 수단은 케이스 내부의 습도량에 따라 단계별로 하나에서 두 개가 작동됨으로써 배전반 내부의 절연 저항이나 절연 열화 현상을 근본적으로 억제하여 배전반을 더욱 안정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며, 전기적 고장 감소로 인한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5. 인출 공간부 7. 수평 격판
9. 부하 개폐기 11. 가동 단자
13. 인입 공간부 15. 제 1 회전축
17. 인출 부스바 19. 접지 고정 단자
21. 접지 가동 단자 23. 제 2 회전축
25. 구동부 27. 도어
29. 배전반 31. 배전반
32. 구동축 33. 이동 부싱
35. 부싱 수용공 37. 접촉 전극
39. 부싱 수용부 41. 절연 부재
43. 절연 부재 수용공 45. 부싱 이송축
47. 베벨 기어 49. 애자
67. 접지 연결축 69. 접지 접점 스위치
79a. 스위치바 81a. 가동핀
83a. 소켓 85.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
87.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 89.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
91.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 93.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
95.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 97. 인터록 삽입봉
99. 삽입봉 안내자 101. 인터록 바
103.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 105. 개폐 리미트 스위치
107. 접지 리미트 스위치 109. 개폐 스위치 컨트롤 박스
111. 스프링 113. 걸림 구멍
115. 도어 인터록 가동자 117. 가동자 걸림 고리
119. 도어 록킹편 121. 결합홀
123. 도어 록킹편 결합구 125a. 조작홀
139a. 삽입홀 141a. 삽입 구멍
143. 후크 147. 체결홈
155. 접지바 157. 분기 부스바
159. 건조 수단 161. 고정판
163. 몸체 165. 공기 유입구
167. 공기 배출구 169. 본체 덮개
171. 전원부 173. 열전소자
175. 흡열판 177. 방열판
183. 집수부 185. 습도 센서
187. 제어부

Claims (3)

  1. 서로 분리되는 2개 이상의 고압 배전반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 금속 함체가 구비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 사이에는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부터 뻗어나온 전기 선로(R상,S상,T상)를 다른 하나의 고압 배전반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부싱 조립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고압 배전반의 내부 공기를 건조시켜 고압 배전반에 설치된 각 전기 선로의 절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건조 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부싱 조립 수단은 어느 하나의 배전반(31)에 구비되며 구동축(32)의 구동에 연동하여 다른 하나의 배전반(29)을 향하여 직선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 부싱(33)과,
    상기 다른 하나의 배전반(31)에 구비되며 상기 어느 하나의 배전반(29)으로부터 이동된 이동 부싱(33)을 수용하는 부싱 수용공(35),
    상기 부싱 수용공(35)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 부싱(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전극(37)이 구비되는 부싱 수용부(39),
    상기 이동 부싱(33)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부싱(33)과 함께 직선이동하는 절연 부재(41),
    상기 부싱 수용공(35)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부재(41)를 수용하는 절연 부재 수용공(43),
    및 상기 이동 부싱(33)의 축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며 상기 이동 부싱(33)과 나사 결합되고 일단이 구동축(33)과 결합되는 부싱 이송축(45),
    상기 부싱 이송축(45)과 구동축(33)의 결합 부분에는 베벨 기어(47)가 장착되어 회전 방향을 전환 시켜주며,
    상기 절연 부재(41)와 상기 절연 부재 수용공(43)의 외주연은 각각 애자(49)에 의해 둘러싸여 부싱 조립 수단을 따라 흐르는 전류가 부싱 조립 수단 바깥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건조 수단(159)은 사면이 절곡되고 배전반의 내부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161)을 갖춘 본체 몸체(163)와,
    상기 본체 몸체(163)의 상부에 결합되어 소정 크기의 배부공간을 형성하며 전후방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65)와 건조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67)가 형성된 본체 덮개(169),
    상기 본체 몸체(163)의 공기 배출구(167) 쪽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입되는 전원부(171),
    상기 본체 몸체(163)의 공기 유입구(165) 쪽에 설치되어 전원부(17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면이 냉각되는 두 개의 좌·우측용 열전소자(173),
    상기 열전소자(173)의 상면에 밀접하게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흡열판(175),
    상기 열전소자(173)의 저면에 밀접하게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흡열판(175)의 후방 쪽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7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판(177),
    상기 본체 덮개(169)의 공기 유입구(165)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흡열판(175)과 방열판(177) 그리고 전원부(171)를 거쳐 상기 공기 배출구(167)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유도팬(181),
    상기 유도팬(181)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흡열판(175)과 접촉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165) 쪽에 설치된 집수부(183),
    상기 본체 몸체(163)의 측면에 설치되어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185),
    및 상기 습도 센서(185)에 의해 열전소자(173)를 컨트롤하는 제어부(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도어를 열었을 때 도어와 연동되어 배전반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완전하게 소진시키는 인터록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인터록 수단은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와 접지 접점 스위치(69) 사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하 개폐 및 접지 인터록 기구(100)와,
    접지 접점 스위치(69)와 도어(27)의 체결 상태를 제어하는 접지 및 도어 인터록 기구(73)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하 개폐 및 접지 인터록 기구(100)는 배전반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하 개폐기(9)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와;
    상기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에서 한쪽 방향으로 뻗어 나온 스위치바(79a);
    상기 스위치바(79a)를 상하로 작동시켜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를 온·오프시키는 가동핀(81a),
    상기 가동핀(81a)이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소켓(83a)을 갖추고 있는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
    상기 소켓(83a) 속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함께 회동하게 설치된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개폐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87)을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부하 개폐 연결축(61)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
    배전반의 내부 주회로에 잔류하는 전압을 접지하여 소멸시키면서 접지 스위치(5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접지 접점 스위치(69);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69)에서 돌출되어 나와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바(79b);
    상기 스위치바(79b)를 상하로 작동시켜 접지 접점 스위치(69)를 온·오프시키는 가동핀(81b);
    상기 가동핀(81b)이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진 소켓(83b)을 갖추고 있는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의 소켓(83b) 속에 삽입되어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함께 회동하게 설치된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
    상기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와 접지 접점 스위치 인터록 연결링(93)을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상기 접지 연결축(67)의 선단에 연장 형성된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와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자(85) 또는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자(91)를 선택적으로 회동 작동하지 못하게 록크하는 인터록 삽입봉(97);
    상기 인터록 삽입봉(97)을 상하로 이동 안내하는 삽입봉 안내자(99);
    상기 삽입봉 안내자(99)와 결합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인터록 바(101);
    상기 개폐 접점 스위치 가동축(89)과 접지 접점 스위치 가동축(95)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함과 더불어 인터록 바(10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기계식 인터록 기구 커버(103);
    및 상기 부하 개폐 접점 스위치(63)의 작동 위치와 접지 접점 스위치(69)의 작동위치를 감지하는 개폐 리미트 스위치(105)와 접지 리미트 스위치(1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고압 배전반에는 압축 공기 소호형 부하 개폐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금속 함체를 상부의 인입 공간부(3)와 하부의 인출 공간부(5)로 구획하는 수평 격판(7)과,
    상기 수평 격판(7)을 관통하여 인입 공간부(3)와 인출 공간부(5) 사이에 설치되는 세 개의 부하 개폐기(9),
    상기 세 개의 부하 개폐기(9)의 가동단자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입 공간부(3)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 1 회전축(15)과,
    상기 세 개의 부하 개폐기(9)의 인출 부스바(17)에 형성된 접지 고정 단자(19)에 접지 가동 단자(21)를 접속시키기 위하여 인출 공간부(5)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 2 회전축(23),
    상기 제 1 회전축(15)과 제 2 회전축(2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구동부(25),
    상기 인출 공간부(5)를 개폐하기 위해서 함체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KR1020110026507A 2011-03-24 2011-03-24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KR10103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07A KR101033536B1 (ko) 2011-03-24 2011-03-24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6507A KR101033536B1 (ko) 2011-03-24 2011-03-24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3536B1 true KR101033536B1 (ko) 2011-05-11

Family

ID=4436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507A KR101033536B1 (ko) 2011-03-24 2011-03-24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85B1 (ko) 2011-10-28 2012-04-13 (주)이지시스템 저전력 수분포집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209288B1 (ko) 2012-09-14 2012-12-11 (주)금정기전 누설전류의 검진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279894B1 (ko) * 2012-04-03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체 절연 스위치기어용 개폐기
KR101522265B1 (ko) * 2013-10-1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KR20180040422A (ko) * 2016-10-12 2018-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26B1 (ko) 2006-12-22 2007-05-15 주식회사 일렉콤 가스 및 고체절연 복합형 폐쇄 배전장치
KR100864285B1 (ko) 2008-06-05 2008-10-20 주식회사 평일 고체절연을 이용한 컴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26B1 (ko) 2006-12-22 2007-05-15 주식회사 일렉콤 가스 및 고체절연 복합형 폐쇄 배전장치
KR100864285B1 (ko) 2008-06-05 2008-10-20 주식회사 평일 고체절연을 이용한 컴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485B1 (ko) 2011-10-28 2012-04-13 (주)이지시스템 저전력 수분포집장치가 구비된 배전반
KR101279894B1 (ko) * 2012-04-03 2013-06-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체 절연 스위치기어용 개폐기
US9065258B2 (en) 2012-04-03 2015-06-23 Lsis Co., Ltd. Switch for solid insulated switchgear
KR101209288B1 (ko) 2012-09-14 2012-12-11 (주)금정기전 누설전류의 검진 기능을 갖춘 수배전반
KR101522265B1 (ko) * 2013-10-1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US9732543B2 (en) 2013-10-16 2017-08-15 Lsis Co., Ltd. Door interlock device for transformer room of vacuum circuit breaker
KR20180040422A (ko) * 2016-10-12 2018-04-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록 장치
KR101865474B1 (ko) * 2016-10-12 2018-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링 메인 유닛의 인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033536B1 (ko) 고체 절연 교류 부하 개폐기를 적용한 분리 구조형 고압 배전반
US8331081B2 (en) Electrical syste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therefor
KR20130105350A (ko) 스위치 기어
US20110232959A1 (en) Medium-voltage electric distribution cubicle
EP2560177A2 (en) Solid insulated switchgear
HU223486B1 (hu) Többpólusú megszakító szerelvény, eljárás annak működtetésére, valamint középfeszültségű elosztórendszer villamos főelosztó állomáshoz
US10319538B1 (en) Interrupter having unitary external terminal and internal contact
US4774628A (en) Metalclad substation subdivided into tight compartments
KR101466977B1 (ko) 가스 절연개폐장치용 스위치
KR100794814B1 (ko) 가스절연 수전반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100356512B1 (ko) 가스 절연 배전반
US8076600B2 (en) Contact actuating mechanism for switching device
KR200478315Y1 (ko) 배선용차단기의 단자 기구
US3562452A (en) Interlock between circuit interrupters and drawout fuse drawers of indoor power center
RU114563U1 (ru) Камера сборная односторонне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ксо-310
KR20110075823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모선 유니트
EP2034501A1 (en) Quickly exchangeable switching device in fixed type medium voltage switchgear system
CN215220597U (zh) 一种用于永磁式断路器充气柜外部操作装置
RU2211514C2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0339267B1 (ko) 가스 절연 배전반의 인터록 장치
KR100959521B1 (ko) 진공 인터럽터 방식 부하개폐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큐비클형 개폐장치
KR20130037931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접지 개폐기의 컨택트
US20240313512A1 (en) Switchgear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