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512B1 - 가스 절연 배전반 - Google Patents

가스 절연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512B1
KR100356512B1 KR1019990018253A KR19990018253A KR100356512B1 KR 100356512 B1 KR100356512 B1 KR 100356512B1 KR 1019990018253 A KR1019990018253 A KR 1019990018253A KR 19990018253 A KR19990018253 A KR 19990018253A KR 100356512 B1 KR100356512 B1 KR 10035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witchgear
pressure
disconnector
br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358A (ko
Inventor
신양섭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5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1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공기 절연 방식의 고전압 배전반은 공기중의 절연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부득이하게 큰 외형 치수로 제작하므로 인해 변전실의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건설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또한 종래의 가스 절연 방식 배전반은 고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원통형의 압력 용기에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봉입하여 사용하도록 제작하므로 인해 제작 단가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전체 외형을 이루는 배전반 외함의 상부에 형성되어 박판재 각형 용기로 제작되어 육불화황 가스가 봉입되며 주모선이 위치하는 이중 모선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이중 모선실 하부에 형성되어 차단시 아크를 소호시키는 복수개의 진공 용기가 설치되는 차단기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차단기와 단로기를 조작하고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감시와 제어할 수 있는 계기 및 제어 전선이 설치되는 저압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하부에 형성되어 동력의 인·입출 및 변류기와 서지 어레스터가 설치되는 케이블실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써 박판재로 가공된 각형 용기 내부에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봉입하여 저압력 절연을 실현하는 한편, 절연 거리를 대폭 줄여 배전반 전체의 사이즈를 콤팩트화할 수 있어서 도시 지역 내의 변전실의 지가 상승 및 용지난에 대응할 수 있고,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스 절연 배전반{GAS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가스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박판재로 가공된 각형 용기 내부에 봉입하여 저압력 절연을 실현할 수 있으며, 절연 거리를 대폭 줄여 배전반 전체의 사이즈를 콤팩트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절연 매체에 따라 공기 절연 배전반(Air insulated switch-gear), 고체 절연 배전반(Solid insulated switch-gear) 및 가스 절연 배전반(Gas insulated switch-gear)으로 대별될 수 있는 데, 상기의 가스 절연 배전반은 개폐 및 차단시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소호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진공 용기(Vaccum Interrupter)와 이를 동작시키는 차단 기구장치 및 주모선과 분기 회로를 단속할 수 있는 접지 스위치 기능을 부가한 3점 스위치(3-position switch) 등의 주회로 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모선이 있는 배전반의 경우 단로기(Disconnector)가 각 모선별로 하나씩 구비되어 있고, 한 모선의 사고시 다른 한 모선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된다.
한 모선의 단로기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모선의 3점 스위치는 항상 열린 상태로 있도록 설계하므로써 단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두 3점 스위치의 사이에는 인터록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현재에는 전기적인 인터록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배전반 분야는 발전 및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주로 고압 수용가로 수,배전시 사용하는 전기 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조적으로 차단기, 보호 계전기 및 미터류 등의 단위 기기를 부착 지지 및 보호하는 구조물 및 이를 접속 연결시키는 전선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전반 내의 절연 방식에 의하여 가스 절연 배전반 및 공기 절연 배전반으로 대별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감시 제어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 개폐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 반도체 등에 의한 전력 변환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에서 절연 매체로 사용되는 육불화황(SF6) 가스는 상온, 상압에서 안정도가 높은 무색, 무취, 무독, 불연성의 기체로 공기보다 3.7배의 절연 내력을 가지므로써 현재까지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절연 매체이나, 비교적 적은 전계치의 변화로도 쉽게 절연이 파괴되는 전자 사태(Avalanche)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기기의 설계, 제작에는 전계 분포의 저감과 평등화를 도모하고 금속 입자 및 습기 등의 이물 혼입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을 포함하는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개발 초기 정격 가스압력은 고압력의 원통형 용기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보다 스마트한 외관과 축소화 등의 목적으로 보다 저압력의 각형 용기에 수납되어진 큐비클(Cubicle)형 가스 절연 개폐장치로 이행되고 있는 것이 최근에 추세이며, 상기 가스 절연 배전반의 주회로부 차단은 진공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므로써 아크에 의한 분해 가스의 발생을 줄여 장수명화를 도모하도록 진공 용기 내의 접점은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 접점은 진공 차단기의 대차부(Body)에 설치되어 있는 기계 가동부(C.B. operating mechanism)와 연동되어 투입 상태인 경우에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되고, 차단시에는 가동 접점이 적당한 속도로 적당한 거리까지 분리되며, 또한 상기 대차부는 진공 차단기의 접점을 개폐하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지칭하는 것으로 진공 차단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부속 장치로서 제어 장치, 인터록 장치 및 인,입출 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특별 고압용 이중모선을 갖는 공기 절연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 주모선용 도체가 위치한 모선실(130)과, 가스 차단기가 위치한 차단기실(140)과, 변류기 및 동력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력의 입력과 출력이 이루어지는 케이블실(150)과, 단로기(161)(162)가 설치되어 있는 단로기실(160) 등으로 크게 구성되어, 배전반 내의 사고의 파급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각 실간의 격벽을 설치한 금속 격벽형 폐쇄 배전반(Metal-clad switch-gear)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한 차단기(141)의 경우는 전기 조작 및 수동 조작식 3상 인출형으로서, 기계 및 전기적인 트립 프리(Trip-free) 기능, 즉 차단기의 조작 기구는 주기능인 회로 보호를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투입 조작중에 있어서도 트립 신호가 주어지면 트립 조작이 우선적으로 행해지는 조작 기능 및 안티 펌핑(Anti-pumping) 기능, 즉 투입 신호와 트립 신호가 동시 신호로 주어져도 차단기는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을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차단기는 인입과 시험 및 인출 위치를 갖고 있는 데, 시험 위치에서는 주회로는 분리되고, 제어 회로는 접속되어 있으며, 인출위치는 주회로와 제어 회로가 전부 분리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차단기(141)는 차단기가 개방 상태가 아니고서는 인입 및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고, 차단기가 인입과 시험 및 인출 상태가 아니고서는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데, 단로기(161)(162)는 아크를 소호하는 능력이 없으므로 주회로를 개방 및 투입할 때는 반드시 차단기(GCB 또는 VCB)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차단기와의 전기적인 연동 기능, 즉 차단기(141)를 이용하여 회로의 개방 및 투입이 먼저 되지 않으면 단로기(161)(162)의 투입 및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단로기는 조작 전원의 고장을 상정하여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는 수동 조작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관로형(압력용) 압력 용기를 채용한 특별 고압용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주요 구성은 알루미늄 주물로 제작된 관로형 압력 용기(171) 내부에 A 모선과 B 모선 및 3점 스위치(172)가 각각 내장된 모선실(170)과, 상기 관로형 압력 용기(171)에 차단기(181)가 내장된 차단기실(180)과, 상기 3점 스위치(172) 및 차단기를 조작하는 제어반(190)과, 변류기(201) 및 동력의 입, 출력을 위한 케이블(202)이 내장된 케이블실(200)과, 이들을 지지하는 외함(210) 등으로 구성된다.
주회로가 설치된 모선실(170) 및 차단기실(180) 내에는 절연 거리의 축소를 위하여 육불화황 가스가 밀봉되었기 때문에 대기중의 먼지, 습기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로서, 주회로가 설치된 모선실(170) 및 차단기실(180) 내에는 만일의 내부 아크 사고에 대비하여 발생 압력을 외부로 쉽게 배출하도록 방압 안전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차단기의 조작 기구부는 3상 일괄로 조작되며, 차단부의 접촉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접촉 스프링을 설치하여 접점의 소모량을 파악할 수 있는 한편, 접촉 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단로기는 차단기가 투입된 상태에서는 조작이 불가능하고, 단로기가 동작중에는 차단기의 투입이 불가능하도록 전기적 연동장치가 갖추어져 있으며, 각 압력 용기(171) 내부의 가스 압력의 저하를 감시할 수 있도록 가스 압력계(220)를 설치하여 각 압력 용기(171)의 압력이 일정 한도 이하로 저하되면 경보를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 1과 같은 공기 절연 방식의 고전압 배전반(6.6KV이상)의 경우에는 공기중의 절연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부득이하게 큰 외형 치수로 제작하므로 인해 변전실의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건설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종래의 도 2와 같은 가스 절연 방식 배전반의 경우에는 고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원통형의 압력 용기에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봉입하여 사용하도록 제작하므로 인해 제작 단가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박판재로 가공된 각형 용기 내부에 봉입하여 저압력 절연을 실현할 수 있는 한편, 절연 거리를 대폭 줄여 배전반 전체의 사이즈를 콤팩트화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 지역 내의 변전실의 지가 상승 및 용지난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특별 고압용 이중모선을 갖는 공기 절연 배전반을 나타낸 구성도 및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관로형 압력 용기를 채용한 특별 고압용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전반 외함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작동 레버 2; 제 1 스핀들
3; 제 1 구동축 5; 제 1 커넥팅 로드
6; 제 1 구동 레버 7; 제 2 커넥팅 로드
8,20; 주축 9; 제 2 구동 레버
10; 제 2 스핀들 11; 제 2 구동축
12; 회전축 13; 어퍼 스핀들
14; 더블 레버 15; 제 3 커넥팅 로드
16; 트랜스미션축 17; 제 3 구동 레버
18; 무빙바 19; 제 4 구동 레버
21; 제 5 구동 레버 22; 인터록 레버
23,24; 보스 25,26; 고정홈
27,28; 롤러 31; 배전반 외함
32; 주모선 33; 이중 모선실
34; 진공 용기 35; 차단기실
36; 차단기 37; 단로기
38; 저압실 39; 변류기
41; 케이블실 42; 압력 방출장치
43,44; 제 1,2 단로기 상태 표시장치
45; 차단기 상태 표시장치 47; 압력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 외형을 이루는 배전반 외함의 상부에 형성되어 박판재 각형 용기로 제작되어 육불화황 가스가 봉입되며 주모선이 위치하는 이중 모선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이중 모선실 하부에 형성되어 차단시 아크를 소호시키는 복수개의 진공 용기가 설치되는 차단기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차단기와 단로기를 조작하고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감시와 제어할 수 있는 계기 및 제어 전선이 설치되는 저압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하부에 형성되어 동력의 인·입출 및 변류기와 서지 어레스터가 설치되는 케이블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배전반 외함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을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가스 절연 배전반의 전체 외형을 이루는 배전반 외함(31)의 상부에 형성되어 박판재 각형 용기로 제작된 주모선(32)이 위치하는 이중 모선실(33)과,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이중 모선실(33) 하부에 형성되어 차단시 아크를 소호시키는 복수개의 진공 용기(34)가 설치되는 차단기실(35)과,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차단기(36)와 단로기(37)를 조작하고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감시와 제어할 수 있는 계기 및 제어 전선이 설치되는 저압실(38)과,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하부에 형성되어 동력의 인·입출 및 변류기(39)와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or)(40)가 설치되는 케이블실(41)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 모선실(33)과 차단기실(35)에는 내부의 아크 사고 발생 등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시 열려 배전반 자체 및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압력 방출장치(4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전면 중앙에는 제 1,2 단로기 상태 표시장치(43)(44)와 차단기 상태 표시장치(45) 및 접지 스위치 상태 표시장치(46)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전면 상부에는 가스 누설에 의한 압력 저하시 경보를 발생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압력이 저하시 주회로기기를 전기적으로 쇄정하여 조작을 못하도록 하기 위한 압력계(47)가 설치된다.상기 이중 모선실(33) 내부에는 육불화황 가스가 채워지며, 그 내부의 절연압력은 가스의 허용전계강도와 설계전계강도를 고려하여 저압력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단로기(37)를 구성하는 제 1 단로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 메카니즘은, 작동 레버(1)의 일단에 제 1 스핀들(2)이 결합되고, 제 1 스핀들(2)의 상단에는 제 1 단로기를 구동시 회전하는 제 1 구동축(3)이 한쌍의 베벨기어(4)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작동 레버(1)에는 제 1 커넥팅 로드(5)의 하단이 결합되고, 제 1 커넥팅 로드(5)의 상단에는 제 1 구동 레버(6)의 일단이 결합되며, 제 1 구동 레버(6)의 타단에는 제 2 커넥팅 로드(7)의 하단이 결합되고, 제 2 커넥팅 로드(7)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단로기의 주축(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단로기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구동 레버(9)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단로기(37)를 구성하는 제 2 단로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메카니즘은, 작동 레버(1)의 타단에 제 2 스핀들(10)이 결합되고, 제 2 스핀들(10)의 상단에는 제 2 단로기를 구동시 회전하는 제 2 구동축(11)이 설치되며, 제 2 구동축(11)에는 회전축(12)의 하단이 한쌍의 베벨기어(4)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2)의 상단에는 업퍼(upper) 스핀들(13)이 한쌍의 베벨기어(4)에 의해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어퍼 스핀들(13)에는 더블 레버(14)의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더블 레버(14)에는 제 3 커넥팅 로드(15)의 일단이 결합되며, 제 3 커넥팅 로드(15)의 타단은 트랜스미션축(16)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 3 구동 레버(17)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미션축(16)의 타단은 무빙바(18)의 일단과 제 4 구동 레버(1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무빙바(18)의 타단에는 제 2 단로기의 주축(20)과 연결되어 제 2 단로기를 개폐하기 위한 제 5 구동 레버(2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구동 메카니즘을 기계적인 방식으로 인터록하기 위한 인터록 장치는, 상기 더블 레버(14)와 제 1 구동 레버(6)의 사이에 인터록 레버(2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인터록 레버(22)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더블 레버(14)와 제 1 구동 레버(6)의 보스(23)(24)와 접촉하면서 보스(23)(24)에 형성된 고정홈(25)(26)에 삽입됨에 따라 제 1,2 단로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롤러(27)(2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절연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36)는 기본적으로 개폐시에 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차단기용 전동기(48) 또는 수동 챠징 방식으로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큰 힘을 발생하도록 하고 있는 데, 상기 전동기(48)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동기가 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을 체인(49)에 의해 챠징축(5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주축(51)에 고정되어 있는 챠징캠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크랭크축(도시는 생략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투입 스프링(52)을 인장시키고, 투입 스프링은 최대 인장 상태로 되면서 투입을 위한 에너지가 축적되어 투입 대기 상태가 되는 데, 상기의 경우는 전동 조작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한편, 수동 챠징의 경우에는 수동 핸들을 이용하여 챠징축(50)을 회전시켜서 차단기를 투입 대기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는 데, 상기와 같은 수동 챠징중에 조작 전원이 인가되어 차단기용 전동기(48)가 구동한다 하더라도 체인(49)을 통하여 챠징축(50)에 동력 전달이 불가능하게 되므로써 조작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투입 신호에 의해 투입 래치(53)가 해제되면서 투입 스프링(52)의 순간적인 에너지로 관련된 링크를 회전시킴에 따라 진공 용기 조작축(54)을 회전시켜서 투입 동작(진공 용기의 접점이 붙음)을 완료함과 동시에, 오픈 스프링(55)을 챠징시켜서 오픈 대기 상태가 되는 데, 이때 배전반 외함(31)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차단기 상태 표시장치(45) 등에 각각의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단로기(37)는 차단시 아크를 소호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므로 주회로를 차단시킬 때에는 반드시 차단기(36)를 이용하여 차단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로기(37)는 차단기(36)가 투입된 상태에서는 조작이 불가능하고, 단로기(37)가 동작중에는 차단기(36)의 투입이 불가능하도록 기계적및 전기적으로 연동하는 인터록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 1 모선의 단로기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먼저, 제 1 단로기를 닫기 위해 제 1 구동축(3)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스핀들(2)이 회전하면서 작동 레버(1)가 제 2 스핀들(10)의 한점(E/S가 OFF인 위치)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 레버(1)와 연결된 제 1 커넥팅 로드(5)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구동 레버(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커넥팅 로드(7)를 당기므로써 제 2 구동 레버(9)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구동 레버(9)를 회전시키면, 제 1 단로기의 주축(8)이 회전하여 제 1 단로기가 닫히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 구동 레버(6)에 연결된 인디케이터 레버(29) 및 인디케이터축(30)이 회전하면서 제 1 단로기의 닫힌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도 8에서 제 1 단로기를 닫을 때 제 1 구동 레버(6)가 회전하게 되면, 제 1 구동 레버(6)에 설치된 보스(24)가 회전하면서 인터록 레버(22)를 더블 레버(14)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인터록 레버(22)는 이동하면서 더블 레버(14)에 설치된 보스(23)의 고정홈(25)에 인터록 레버(22)의 일측에 설치된 롤러(27)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더블 레버(14)는 고정되면서 더블 레버에 연결되어 있는 제 2 단로기도 고정되며, 제 1 단로기가 닫힌 상태에 있으면 제 2 단로기는 자동적으로 록(lock)이 걸려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모선의 단로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우선, 제 1 단로기를 열기 위해서 차단기가 열린 상태로 있어야 하고, 차단기와 제 1 단로기의 인터록이 해제되어야 하는 데, 제 1 단로기를 여는 동작은 제 1 단로기를 닫는 동작의 반대로 행해지게 된다.
즉, 제 1 단로기의 제 1 구동축(3)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스핀들(2)이 회전하면서 작동 레버(1)가 제 2 스핀들(10)의 한점(E/S가 OFF인 위치)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 레버(1)와 연결된 제 1 커넥팅 로드(5)가 하강함에 따라 제 1 구동 레버(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2 커넥팅 로드(7)를 위쪽으로 밀어내면서 제 2 구동 레버(9)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 1 단로기의 주축(8)이 회전하여 제 1 단로기가 열리게 된다.
또한, 제 2 모선의 단로기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먼저, 제 2 모선의 차단기가 닫힌 상태로 되기 위해서 차단기가 열린 상태에 있어야 하고, 차단기와 제 2 단로기의 인터록이 해제되어야 한다.
즉, 제 2 단로기의 제 2 구동축(1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베벨 기어(4)에 의해 동력이 직각 방향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베벨 기어(4)에 연결된 회전축(12)은 반대편에도 베벨 기어(4)가 연결되어 어퍼 스핀들(13)에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어퍼 스핀들(13)에 연결되어 있는 더블 레버(14)가 왼쪽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3 커넥팅 로드(15)도 왼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3 커넥팅 로드(15)와 연결되어 있는 제 3 구동 레버(1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트랜스미션축(16)과 제 4 구동레버(19)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 4 구동 레버(19)에 연결된 무빙바(18)는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 5 구동 레버(2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제 5 구동 레버(21)에 연결된 제 2 단로기의 주축(20)이 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도 8에서 제 2 단로기를 닫을 때 더블 레버(14)가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더블 레버(14)에 설치된 보스(23)가 회전하면서 인터록 레버(22)를 제 1 구동 레버(6)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인터록 레버(22)는 이동하면서 제 1 구동 레버(6)에 설치된 보스(24)의 고정홈(26)에 상기 인터록 레버(22)의 타측에 설치된 롤러(28)가 삽입됨에 따라 제 1 구동 레버(6)는 고정되면서 제 1 구동 레버에 연결된 제 1 단로기도 고정되며, 제 2 단로기가 닫힌 상태에 있으면 제 1 단로기는 자동적으로 록(lock)이 걸려서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기계적인 쇄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전반 외함(31)에 형성된 이중 모선실(33)과 차단기실(35)에는 각각 압력 방출장치(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아크 사고 발생 등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시 열려 배전반 자체 및 작업자를 보호할수 있으며, 상기 배전반 외함(31)의 전면 상부에는 압력계(4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스 누설에 의한 압력 저하시 경보를 발생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압력이 저하시 주회로기기를 전기적으로 쇄정하여 조작을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판재로 가공된 각형 용기로 구성된 이중 모선실의 내부에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절연 매체인 육불화황 가스를, 가스의 허용전계강도와 설계전계강도를 고려하여 저압력으로 봉입하고 저압력 절연을 실현함으로써 구성 기기를 3상 일괄로 각 회선 단위 각형 용기의 내부에 수납시켜 종래의 공기 절연 배전반보다 설치 면적을 대폭 축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주회로 충전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므로 먼지, 습기 등의 주변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주회로 충전부의 노출이 없어 감전의 위험이 없고, 구조물은 불연성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절연 배전반은 각형 용기로 되어 있어서 주위와의 환경 조화가 우수하며, 기기의 외형 치수가 축소되어 24/36 KV급의 가스 절연 배전반은 종래의 7.2 KV급의 공기 절연 배전반과 동등한 크기가 되고, 더욱이 육각 용기로 제작되어 공기 절연 배전반과 동일한 열반(列盤)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변전 설비의 축소화와 보수 및 점검시의 편리성에 기여할 수 있고, 특히 도시 지역내의 변전실의 지가상승(地價上昇) 및 용지난(用地難)에 대응할 수 있으며, 기존의 관로형(원통형) 압력 용기에 비하여 재료비 및 가공비의 절감이 가능하므로 관로형 가스 절연 개폐장치를 대신하여 고전압 및 특별 고압용으로 적극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전체 외형을 이루는 배전반 외함의 상부에 형성되어 박판재 각형 용기로 제작되어 육불화황 가스가 봉입되며 주모선이 위치하는 이중 모선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이중 모선실 하부에 형성되어 차단시 아크를 소호시키는 복수개의 진공 용기가 설치되는 차단기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차단기와 단로기를 조작하고 배전반의 운전 상태를 감시와 제어할 수 있는 계기 및 제어 전선이 설치되는 저압실과, 상기 배전반 외함의 하부에 형성되어 동력의 인·입출 및 변류기와 서지 어레스터가 설치되는 케이블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모선실과 차단기실에는 내부의 아크 사고 발생 등으로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시 열려 배전반 자체 및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압력 방출장치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외함의 전면 중앙에는 제 1,2 단로기 상태 표시장치와 차단기 상태 표시장치 및 접지 스위치 상태 표시장치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 외함의 전면 상부에는 가스 누설에 의한 압력 저하시 경보를 발생하거나 일정 압력 이하로 압력이 저하시 주회로기기를 전기적으로 쇄정하여 조작을 못하도록 하기 위한 압력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기를 구성하는 제 1,2 단로기를 구동하기 위한 레버의 사이에 인터록 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인터록 레버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레버의 보스와 접촉하면서 보스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됨에 따라 제 1,2 단로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절연 배전반.
KR1019990018253A 1999-05-20 1999-05-20 가스 절연 배전반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253A KR100356512B1 (ko) 1999-05-20 1999-05-20 가스 절연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253A KR100356512B1 (ko) 1999-05-20 1999-05-20 가스 절연 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58A KR20000074358A (ko) 2000-12-15
KR100356512B1 true KR100356512B1 (ko) 2002-10-18

Family

ID=1958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2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6512B1 (ko) 1999-05-20 1999-05-20 가스 절연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5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13B1 (ko) 2007-03-28 2008-07-0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KR101046469B1 (ko) * 2008-05-19 2011-07-04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동판의 열전대 점검장치
KR101290048B1 (ko) 2010-12-15 2013-07-30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KR20170004644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이페스 전원차단기의 구동장치
US10163587B2 (en) 2016-03-11 2018-12-25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withdrawable arc elimin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54B1 (ko) * 2002-02-01 2004-04-03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배전반용 단로기의 구동메카니즘
KR101909018B1 (ko) 2013-09-12 2018-10-18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3상 스위치 구동 조정 장치
CN111162461A (zh) * 2020-01-20 2020-05-15 珠海华智高科电气有限公司 10kV环保型气体绝缘环网柜
CN113571372A (zh) * 2021-05-27 2021-10-29 默飓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气体绝缘的三工位机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413B1 (ko) 2007-03-28 2008-07-01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KR101046469B1 (ko) * 2008-05-19 2011-07-04 주식회사 포스코 주형 동판의 열전대 점검장치
KR101290048B1 (ko) 2010-12-15 2013-07-30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중간 전압 또는 고 전압 스위치기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캐비넷
KR20170004644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이페스 전원차단기의 구동장치
US10163587B2 (en) 2016-03-11 2018-12-25 Lsis Co., Ltd. Interlock device of withdrawable arc elimin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358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EP2017866B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101445479B1 (ko) 스위치 기어
JP2782474B2 (ja) 三位置開閉器を備えた負荷開閉設備
CN101677177B (zh) 环氧浇注三舱式固体绝缘开关
JP3164033B2 (ja) 母線の接続構造及び絶縁カバー
CN101226844A (zh) 用于中压或高压配电柜的三极装置和包括此三极装置的相关配电柜
CN106848909A (zh) 一种无仓室静触头非sf6气体绝缘下隔离开关设备
EP1226596B1 (en) Compact-structure three-pole apparatus for electric stations
CN203895828U (zh) 一种环网开关设备
HU223486B1 (hu) Többpólusú megszakító szerelvény, eljárás annak működtetésére, valamint középfeszültségű elosztórendszer villamos főelosztó állomáshoz
KR100356512B1 (ko) 가스 절연 배전반
JP5026537B2 (ja) スイッチギヤ
CN115425567B (zh) 一种高安全的sf6全绝缘紧凑型环网柜
CN209860412U (zh) 开关柜
CN201392989Y (zh) 顶部进出线开关柜
KR100339267B1 (ko) 가스 절연 배전반의 인터록 장치
CN201263053Y (zh) 环氧浇注三舱式固体绝缘开关
JP5123894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CN106972397A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218919597U (zh) 一种用于保护所用变压器的隔离负荷开关柜
CN206865005U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CN201846012U (zh) 24千伏交流金属封闭环网开关装置
CN1205633C (zh) 配电网络用sf6-气体绝缘开关设备
Bolin et al. Gas insulated switchgear GIS-State of the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