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329B1 - 전력용 접속 도체 - Google Patents

전력용 접속 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329B1
KR101326329B1 KR1020127008291A KR20127008291A KR101326329B1 KR 101326329 B1 KR101326329 B1 KR 101326329B1 KR 1020127008291 A KR1020127008291 A KR 1020127008291A KR 20127008291 A KR20127008291 A KR 20127008291A KR 101326329 B1 KR101326329 B1 KR 10132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switch
conductor
connection conductor
flat plat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855A (ko
Inventor
겐지 이찌노미야
도시유끼 가와노
다까미 사또오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2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20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 H01R9/2466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using a planar conductive structure, e.g.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Breakers (AREA)
  • Patch Board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분전반의 면적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아 복잡한 배선 공사를 행하는 일 없이,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분전반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을 할 수 있고, 배선 미스나 배선 조립 공정수도 삭감하는 것이다. 전력용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1a)와 전자기 개폐기(2a, 2b) 등의 전기 기기의 접속 단자를 접속하기 위해, 복수의 전력상의 상간을 포함하는 전력 도선을 절연 부재로 포위하여 일체 형성된 도체 바를 갖고, 상기 접속 단자 사이를 접속한다. 전력용 접속 도체는, 적어도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기부를 갖고, 평판 형상 기부의 양단부측의 도체 바가 각각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접속 단자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전력용 접속 도체{POWER CONNECTION CONDUCTOR}
본 발명은, 분전반 등에 설치되는, 예를 들어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 등의 전기 기기를 전기적으로 배선 접속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 내의 예를 들어, 3상 200V의 주 배선용 차단기의 제어하에 접속되는 전기적 부하측의 전기 라인에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의 2차측과 그 제어하에 접속되는 전자기 개폐기(Electromagnetic Contact)의 1차측을 직선적으로 나열하여 분전반 내에 배치해 두고 전선을 사용하여 양자를 단자 접속시켜 접속하고, 부하측의 전기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주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복수의 부하측의 전기 라인으로 분전하기 위한 급전 분기 배선에는 모선 바를 구비하고, 이 모선 바는 도체 금속을 판막대 형상으로 가공하여, 예를 들어 3상분을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전술한 부하측의 배선용 차단기의 1차측에 단자 접속되거나 하도록, 기기 사이를 도체 금속으로 가공한 도체 바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그 밖에, 분전반 내의 복수의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와 모선 바를 I자형의 연결 구리 바에 의해 3상분을 1개씩 독립하여 접속시키기 위한 전력 도선인 도체 바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98426호 공보(도 2, 도 3, 도 4)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047호 공보(도 1, 도 2, 도 3)
그러나 특허 문헌 1, 2와 같이 주 배선용 차단기와 그 제어하의 분기용으로 배선용 차단기까지의 접속에 모선 바를 사용하지만,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 사이는 분전반 내에서 설치되는 배치에 관계하므로 대부분은 전선을 사용하여 접속된다. 그로 인해, 전기적인 부하측이 복수 있는 경우나 분전반의 크기에 제한이 있는 경우 등에 배선 접속의 수고를 필요로 하여, 배선하기 위해 많은 노동력을 소비하게 된다. 또한, 그와 함께 배선이 복잡해져 배선 미스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분전반의 크기도 전기적인 부하측이 많은 경우에는, 필요한 전기 기기도 필연적으로 증가되게 되어, 전기 기기의 설치 면적도 그에 따라서 증가되게 되므로, 설치 면적의 증대와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분전반의 면적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아 복잡한 배선 공사를 행하는 일 없이,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분전반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배선 미스나 배선 조립 공정수도 삭감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고정측면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에 마주보는 전방면부를 갖는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부를 구비하고, 평판 형상부의 일단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자기 개폐기의 상방에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를 적층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그들 사이를 접속하는 전력 도선을 절연 부재로 포위하여 형성된 도체 바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 사이의 전력 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배선 미스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1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1의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3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체 바의 형상을 상기 배선에 맞추도록 복수의 형상으로 분할된 접속 도체를 형성해 두고 끼워 맞춤 접속함으로써 배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고정측면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에 마주보는 전방면부와 전방면부에 대향하는 고정측면부를 갖는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고, 또한 전자기 개폐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 측면에 마주보는 전방면부를 갖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추가 평판 형상부를 구비하고, 평판 형상부의 일단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고, 추가 평판부의 일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본 발명은,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1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4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5 접속 도체 및 제6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3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5 접속 도체는 제4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6 접속 도체는 제4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자기 개폐기를 직렬로 또 하나 추가하는 안전 사양의 요구의 경우라도, 상기 도체 바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를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접속 도체와 제4 접속 도체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본 발명은, 제3 접속 도체와 제6 접속 도체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분할되는 도체 바의 형상의 종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어, 공통의 도체 바를 사용할 수 있고, 끼워 맞춤 접속하는 미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2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3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본 발명은, 제2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3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5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6 접속 도체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단자 접속되지 않아도 삽입함으로써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접속 도체, 제3 접속 도체, 제5 접속 도체 또는 제6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 전자기 개폐기 또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에 접속되는 나사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적층하여 연결시킨 상태에서 분전반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접속 도체의 각 끼워 맞춤 오목부는, 스프링력의 가압에 의해 압접되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를 갖고,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끼워 맞춤 접합되는 부위는 스프링의 압접에 의해 견고하게 끼워 맞춤 접속된다.
본 발명은,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력 도선을 절연 부재로 포위하여 일체 형성된 도체 바에 의해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 사이의 전력 도선의 접속을 용이하게 배선 미스 없이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추가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추가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전자기 개폐기를 직렬로 또 하나 추가하는 안전 사양의 요구의 경우라도, 일체 성형된 도체 바를 사용함으로써 전체를 적층할 수 있어,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는, 각각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본 발명은,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는, 각각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고,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는, 각각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단자 접속되지 않아도 삽입함으로써 접속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본 발명은,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고,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력용 접속 도체와 기기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종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용 접속 도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배선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적층 배치하도록 분전반 내에 배치시킬 때에, 절연 부재로 포위되어 미리 배선용 차단기 혹은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단자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단자부에 접속이 가능한 소정의 형태로 형성된 접속 도체를 사용함으로써, 분전반의 면적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아 복잡한 배선 공사를 행하는 일 없이,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를 분전반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배선 미스나 배선 조립 공정수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도체는 복수로 분할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기기의 크기에 의해 최적인 조합으로 접속의 구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 도체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문제 발생시의 교환 부분이 적게 되고, 또한 착탈 가능한 끼워 맞춤 방식이므로 고장 등 메인터넌스시에도 작업 효율이 좋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력용 접속 도체의 전기 회로를 도시하는 배선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회로의 실체 배선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기기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접속 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a) 및 제2 접속 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접속 도체에 사용되는 끼워 맞춤 오목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접속 도체를 적용하여 전기 기기를 접속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 회로에 전자기 개폐기를 또한 접속하는 회로를 도시하는 배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기기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도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접속 도체를 적용한 전기 기기를 고정 브래킷으로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및 고정 브래킷의 단면도(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a), 본 발명을 사용하여 기기를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b) 및 본 발명의 접속 도체와 전자기 개폐기를 연결시키는 걸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c)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에 전기 기기를 배열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조체를 2개 연결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도시하지 않은 분전반 내에 배선되어 고정되어 설치되는 3상 부하측으로 분기되는 분기용 배선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일부를 도시하는 배선도이며, 배선용 차단기[1(MCCB)]의 1차측 단자부(4)에 급전되는 3상 R, S, T와, 2차측 단자부(5)로부터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의 1차측 접속 단자부(6)까지 접속된 시각적으로도 색으로 구분된 R(적), S(백), T(흑)의 3상의 전선과, 이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2차측 접속 단자부(7)에 접속되어 전기적 부하측에 급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전반 내에 고정 배치시키는 위치 관계로 하여, 배선용 차단기[1(MCCB)]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를 제1 전자기 개폐기(2a)가 하방이고 배선용 차단기(1)가 상방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 배치에서의 배선용 차단기(1)의 2차측과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1차측을 접속시킨다. 또한, 도 3에 점선으로 둘러싸는 범위의 배선부(3)는, 도 1 및 도 2에 점선으로 포위되어 도시되는 부위[배선부(3)]에 상당하는 접속 라인에 일치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전력용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1)의 고정측면부(8)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15)와, 배선용 차단기(1)의 2차측 접속 단자(5)와 제1 접속 도체(15) 사이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제2 접속 도체(13)와, 제1 접속 도체(15)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1차측 접속 단자부(6) 사이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제3 접속 도체(1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2 및 제3 접속 도체(15, 13, 14)를 서로 연결 접속함으로써,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전방의 겹쳐지는 위치에 배선용 차단기(1)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 사이에 설치되고 배선용 차단기(1)의 고정측면부(8)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 제1 접속 도체(15)를 설명한다. 이 제1 접속 도체(15)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하는 전력의 위상의 수에 상당하는, 예를 들어 3상이면 급전용 전력 도체인 3개의 막대 판형상의 금속의 도체 바(22)[도 4의 (a)에 있어서 점선으로 나타냄]를 동일한 길이와 폭, 두께로 절연 부재(23)에 의해 포위하여 구비하고, 전체가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체 바(22)는 길이를 전기 기기에 따라서 맞추게 되지만, 폭 7㎜, 두께 3.5㎜이고, 각각의 도체 바(22)를 합성 수지제의 절연 부재(23)로 포위하여, 일체 형성된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폭 90㎜, 두께 10㎜인 고정측면부(8)와 동일하거나 그보다도 큰 판형상으로 된다.
도체 바(22)의 금속은, 예를 들어 구리나 구리 합금이나 알루미늄 등의 급전에 적합한 도체이면 된다. 또한, 절연 부재(23)는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수지 등의 부도체 수지이면 된다. 막대 판형상의 금속의 도체 바(22)의 양단부에는 각각 끼워 맞춤 오목부(16, 16a)를 갖고 있고, 이 끼워 맞춤 오목부(16, 16a)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끼워 맞춤 볼록부인 도체 금속이 절연 수지에 포위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드러내고 있는 노출부의 도체 바(11a)를 삽입하여 끼워 맞춰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이 제1 접속 도체(15)의 평면에는, 예를 들어 배선용 차단기(1)와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17a, 17b)이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16, 16a)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체 바(22)와 마찬가지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스프링력의 가압에 의해 압접되는 한 쌍의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와 상부 끼움 지지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는, 외측 선단부의 하방으로 굴곡되는 경사면부(31a)와, 이 경사면부(31a)의 기단부측으로 굴곡되어 연결되는 파형부(31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 끼움 지지 부재(32)는, 외측 선단부에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의 파형부(31b)의 기단부측으로 연결되는 평탄부(31c)에 압접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압박부(32a)와, 이 압박부(32a)의 기단부측으로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는 굴곡부(32b)와, 굴곡부(32b)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굴곡되어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의 평탄부(31c)의 하면측에 접촉하는 보유 지지부(32c)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제1 접속 도체(15)와 끼워 맞춤 오목부(16, 16a)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제2 접속 도체(13)와 제3 접속 도체(14)를 설명한다. 이 제2 접속 도체(13)와 제3 접속 도체(14)는 모두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접속 도체(15)의 구조와 양단부의 끼워 맞춤 오목부(16, 16a)와 그 형상을 제외하고 형성 구조는 동일하다.
제2 접속 도체(13)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인 위상수에 따라서 동일한 길이의 금속의 도체 바(20)를 ㄷ자 형상으로 가공하여 절연 부재(21)로 포위하고, 끼워 맞춤 볼록부인 ㄷ자 형상의 양단부는 절연 부재(21)에 포위되어 있지 않은, 예를 들어 20㎜ 정도의 막대 판형상의 도체 바(10a, 11a)가 돌출되어 있고, 한쪽의 도체 바(11a)는 제1 접속 도체(15)에 형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16a)에 삽입하여 끼워 맞춤(끼움 삽입)되고, 다른 쪽의 도체 바(10a)는 배선용 차단기(1)의 2차측 단자부(5)에 부착된다. 이 경우, 도체 바(10a)에는 배선용 차단기(1)의 단자부에서 나사가 관통 고정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 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ㄷ자 형상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고정 브래킷(33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접속 도체(14)는, 제2 접속 도체(13)와 형상 및 길이가 동일 구성이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또한, 제3 접속 도체(14)에 있어서는, 도체 바(10b, 11b) 중 한쪽의 도체 바(10b)에는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단자부에서 나사가 관통 고정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고정 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ㄷ자 형상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고정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접속 도체끼리를 조합하여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를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1 내지 제3 접속 도체(15, 13, 14)를 조합하여 접속함으로써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전방 방향에 배선용 차단기(1)를 겹쳐서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전반에의 배치 면적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설치 면적만이어도 된다. 이 상태에서 분전반 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경우에 진동이나 끼워 맞춤 접속이 느슨하여 탈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형상의 고정 브래킷(33a)을 사용한다. 이 고정 브래킷(33a)의 나사 구멍(34c)과 고정 구멍(12a)을 고정 브래킷측으로부터 나사(36)를 통과시켜 고정 구멍(12a)에 나사 고정하고,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고정측면부(9)와 나사 구멍(34a, 34b)을 나사 고정해 두고, 고정 브래킷(33a)과 분전반을 고정하기 위해 브래킷 설치 구멍(35a, 35b)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통과시켜 나사 고정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배선도에 제2 전자기 개폐기(추가 전자기 개폐기)(MC2)를 직렬로 추가하여 안전 사양의 요망에 따르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2차측 단자부(7)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MC2)]의 1차측 접속 단자부(6A)를 접속하도록, 도 7의 점선(3a)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에 상당하는 배선을 행하고,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 제2 전자기 개폐기(2b)를 연속하여 접속시킨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 내에서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 이들을 기기 정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층하도록 구성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1차측 접속 단자부(6)까지의 접속과, 제1 접속 도체(15), 제2 접속 도체(13), 제3 접속 도체(14)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제1 전자기 개폐기(2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접속 도체(25)의 구조는, 제1 접속 도체(15)와 동일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끼워 맞춤하여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 끼워 맞춤 오목부(29a, 29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4 접속 도체(25)에는,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고정측면부(9)와 나사에 의한 고정을 할 수 있도록, 고정 구멍(18a, 18b)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접속 도체(24)와 제6 접속 도체(26)는 모두 도 4의 (b)에서 설명한, 제2 접속 도체(13)와 ㄷ자 형상의 형상이 공통되지만, 양단부의 한쪽의 끼워 맞춤 볼록부인 노출부의 도체 바[27a(27b)]와 다른 쪽의 노출부의 도체 바[28a(28b)]의 길이가 다른 것이고, 그 밖에는 동일하다. 또한, 이들은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는 것에 관계없이 전술한 고정 브래킷(33a)보다 수평편이 긴 고정 브래킷(33b)에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 구멍(12c, 1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33b)은,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를 연결하는 이외는, 고정 브래킷(33a)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를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접속시키는 구성의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제6 접속 도체(26)와 제3 접속 도체(14)는 모두 동일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 부품으로서의 접속 도체의 형상의 구성 종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연속하여 접속을 행해도 배선이 복잡해지는 일이 없어, 배선 접속을 할 수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의 접속 단자부에 나사 고정 접속을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인 단자인 경우의 접속에 있어서도, 끼워 맞춤 볼록부인 노출부 도체 바(10a, 10b) 등을 삽입하여 대응할 수 있으므로, 배선 미스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속 시간의 단축을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전력용 접속 도체에 의해 배선 접속한 경우에, 전술한 도8, 도 9에 기재된 L자 형상의 고정 브래킷(33a, 33b)을 사용하지 않고, 배선용 차단기(1a)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 또는 필요에 따라서 제2 전자기 개폐기(2b)를 접속하여 결합 연결 후에 분전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접속 도체(40, 4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 제2 전자기 개폐기(2b)의 접속에 대해 도 10의 (a), (b),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a)의 2차측 단자부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1차측 단자부를, 이들 전기 기기가 일방향으로 가로로 연결되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접속 도체(40)를 배선용 차단기(1a)의 고정측면부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전방면부 사이에 끼움 지지한다. 접속 도체(40)의 구조는, 화살표 A의 기재를 도 10의 (c)에 도시하는 걸림 수용부(42)가 있는 것과, 이 접속 도체(40)가 분할 구조가 아니고 모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의 상세의 구조는 이미 전술한 구조와 동일하다. 이 경우, 일체형의 접속 도체(40)는, 배선용 차단기(1a)의 고정측면부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 형상의 기부(40a)와, 기부(40a)의 양단부로부터 직교 형상으로 굴곡되어 서로 상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부(40b)와 제2 수평부(40c)를 갖고 있다. 이 일체형의 접속 도체(40)의 제1 수평부(40b)의 선단부에는 도체 바(46)가 기부(40a)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고, 제2 수평부(40c)의 선단부에는 도체 바(47)가 기부(40a)와 평행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1 수평부(40b)의 외표면의 대향하는 양측 부위에는, 한 쌍의 대략 직사각 형상의 걸림 수용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전자기 개폐기(2a)에 대해서는, 화살표 B에 도시하는 걸림 연결을 위한 부재인 고정편(43), 양쪽 걸림편(44), 슬릿 형상 걸림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는 일반적인 전자기 개폐기와 동일하다. 이 경우, 고정편(43)은 탄성 변형 가능한 스프링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플러그인 단자를 갖는 면과 대향하는 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돌출측의 두갈래 형상의 걸림편(44)에는, 걸림 수용 볼록부(42)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사각형의 슬릿 형상 걸림 구멍(45)이 천공되어 있다(도 10 참조).
다음에, 배선과 걸림 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접속 도체(40)에 있어서 걸림 수용 볼록부(42)를 구비하고 있는 제1 수평부(40b)를 하측으로 하고, 걸림 수용 볼록부(42)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제2 수평부(40c)를 상측으로 하여, 접속 도체(40)의 상측의 도체 바(47)를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1차측 플러그인 단자에 삽입하여 압접(끼움 삽입)시킨다. 이어서, 접속 도체(4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수평부(40b)의 도체 바(46)를 배선용 차단기(1a)의 2차측 단자부(5)에 마찬가지로 끼움 삽입하여 압접 혹은 나사 고정한다.
다음에, 전술한 화살표 A, 화살표 B의 위치에 있는 걸림부를 사용하여 연결시킨다. 이 경우,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슬릿 형상 걸림 구멍(45)과 걸림 수용 볼록부(42)를 결합(끼워 맞춤)시켜 연결한다. 또한, 도 10의 (a), (b)에는, 제1 전자기 개폐기(2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b)를 2개 연결시키는 경우도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 접속 도체(40)와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추가 기부(40b)를 갖는 일체형의 접속 도체(추가 접속 도체)(41)를 먼저 제2 전자기 개폐기(2b)에 접속해 두고 나서, 배선용 차단기(1a)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의 연결 상태에서, 접속 도체(41)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수평부(제1 추가 수평부)(40b)의 도체 바(48)와 전자기 개폐기(2a)의 2차측을 플러그인 단자 접속시킨다.
이후에, 화살표 C, 화살표 D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는 걸림 부재, 즉 고정편(43)의 슬릿 형상 걸림 구멍(45)과 걸림 수용부(42)의 결합(끼워 맞춤)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접속 도체(4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제2 추가 수평부)(40c)의 도체 바(49)는 제2 전자기 개폐기(2b)의 1차측 접속 단자부(6A)에 끼움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L자 형상의 고정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접속 공정수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횡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분전반 내에서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을 참조하여, 배선용 차단기(1)와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를 횡방향으로 겹쳐서 배치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우선, 배선용 차단기(1)의 고정측면부(8)와, 고정 베이스(50)를 나사 구멍(60a)을 이용하여 나사 고정한다. 다음에,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의 고정측면부(9)와 고정이 가능한 저면(54)을 갖고 적어도 사방을 개방한 구조체인 4코너 기둥 형상 구조 상자(51)의 내부에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를 고정하고, 배선용 차단기(1)가 고정된 고정 베이스(50)를, 4코너 기둥 형상 구조 상자(51)의 제1 전자기 개폐기[2a(MC1)]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결합 분리 가능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고정 수단으로서는, 전술한 도 10의 (c)에 설명한 걸림 구조여도 되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는 결합 분리 가능한 구조이면 충분한다. 또한, 고정 베이스(50)의 외측의 대향 변의 측면에 걸림 볼록부(52)를 형성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4코너 기둥 형상 구조 상자(51)의 위치에는 걸림 오목부(53a)를 형성하여, 걸림 볼록부(52)와 걸림 오목부(53a)를 걸림 끼워 맞춤시켜 고정시켜도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전자기 개폐기[2b(MC2)]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저면(54)의 외측의 대향 변의 측면에 걸림 볼록부(55)를 형성한 4코너 기둥 형상 구조 상자(51)를 2개 준비하여, 걸림 볼록부(55)와 걸림 오목부(53a)를 결합시켜 제2 전자기 개폐기[2b(MC2)]를 설치하면 되게 된다. 또한, 이들은 전기 기기 사이의 접속을 본 발명의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시켜도 되고, 종래와 같이 와이어 접속해도 물론 좋다.
1, 1a : 배선용 차단기(MCCB)
2a, 2b : 전자기 개폐기(MC1),(MC2)
3, 3a : 배선부
4 : 배선용 차단기의 1차측 접속 단자부
5 :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접속 단자부
6, 6A :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접속 단자부
7 :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접속 단자부
8 :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
9 :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
10a, 10b, 27a, 27b : 도체 바
10c : 고정 구멍
11a, 11b, 28a, 28b : 도체 바
12a, 12b : 나사 구멍
13 : 제2 접속 도체
14 : 제3 접속 도체
15 : 제1 접속 도체
16, 16a, 29a, 29b : 끼워 맞춤 오목부
20, 22 : 도체 바
21, 23 : 절연 부재
25 : 제4 접속 도체
30 :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
33a, 33b : 고정 브래킷
34c : 나사 구멍
36 : 나사
40, 41 : 일체형 접속 도체
40a : 평판 형상 기부
40b : 제1 수평부
40c : 제2 수평부
42 : 걸림 수용 볼록부
45 : 슬릿 형상 걸림 구멍
46, 47 : 도체 바

Claims (17)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고정측면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에 마주보는 전방면부를 갖는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부를 구비하고, 평판 형상부의 일단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고,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1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3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3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항에 있어서, 제1 접속 도체의 각 끼워 맞춤 오목부는, 스프링력의 가압에 의해 압접되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를 갖고,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삭제
제1항에 있어서,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6항에 있어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는, 각각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6항에 있어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고정측면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에 마주보는 전방면부와 전방면부에 대향하는 고정측면부를 갖는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고, 또한 전자기 개폐기와, 1차측 및 2차측을 내장하는 동시에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 측면에 마주보는 전방면부를 갖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를 접속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추가 평판 형상부를 구비하고,
평판 형상부의 일단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고,
추가 평판부의 일단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에 접속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의 타단부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9항에 있어서,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1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2 접속 도체 및 제3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제4 접속 도체로부터 분리되어,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5 접속 도체 및 제6 접속 도체가 각각 설치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1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3 접속 도체는 제1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는 일단부 및 타단부에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5 접속 도체는 제4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제4 접속 도체의 타단부에 설치된 제6 접속 도체는 제4 접속 도체의 끼워 맞춤 오목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을 접속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0항에 있어서, 제1 접속 도체와 제4 접속 도체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0항에 있어서, 제3 접속 도체와 제6 접속 도체는, 모두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0항에 있어서, 제2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3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5 접속 도체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고, 제6 접속 도체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를 포함하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0항에 있어서, 제2 접속 도체, 제3 접속 도체, 제5 접속 도체 또는 제6 접속 도체는, 배선용 차단기, 전자기 개폐기 또는 추가 전자기 개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에 접속되는 나사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9항에 있어서, 평판 형상부는 배선용 차단기의 고정 측면부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고,
추가 평판 형상부는 전자기 개폐기의 고정측면부와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전방면부 사이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추가 기부로 이루어지고,
평판 형상의 추가 기부의 일단부측 및 타단부측에,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된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가 평판 형상의 기부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5항에 있어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는, 각각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고,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는, 각각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단자로 이루어지는 도체 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제15항에 있어서, 제1 수평부 및 제2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및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고,
제1 추가 수평부 및 제2 추가 수평부 중 적어도 한쪽은, 대응하는 전자기 개폐기의 2차측 및 추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편에 형성된 슬릿 형상 걸림 구멍에 결합되는 걸림 수용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접속 도체.
KR1020127008291A 2009-11-02 2010-09-10 전력용 접속 도체 KR101326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1764 2009-11-02
JP2009251764A JP5268863B2 (ja) 2009-11-02 2009-11-02 電力用接続導体
PCT/JP2010/065596 WO2011052301A1 (ja) 2009-11-02 2010-09-10 電力用接続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855A KR20120062855A (ko) 2012-06-14
KR101326329B1 true KR101326329B1 (ko) 2013-11-11

Family

ID=4392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291A KR101326329B1 (ko) 2009-11-02 2010-09-10 전력용 접속 도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68863B2 (ko)
KR (1) KR101326329B1 (ko)
CN (1) CN102598444B (ko)
TW (1) TWI459671B (ko)
WO (1) WO2011052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11345A1 (en) * 2013-01-30 2014-07-31 Eaton Corporation Annunciating or power vending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 load
CN104851748B (zh) * 2015-04-24 2017-11-10 厦门宏发电声股份有限公司 一种大功率电磁继电器的动簧片及其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1731U (ko) * 1972-11-28 1974-08-08
JP2002010413A (ja) * 2000-06-23 2002-0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制御盤
JP2009123419A (ja) * 2007-11-13 2009-06-04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7765A (en) * 1975-06-14 1976-12-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tribution device for remote control breaker
US4660009A (en) * 1985-07-29 1987-04-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dular integral circuit interrupter
JP3156363B2 (ja) * 1992-04-28 2001-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電盤
JP3399160B2 (ja) * 1995-06-15 2003-04-21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取付構造
JP3010285B2 (ja) * 1998-01-09 2000-02-21 モルデック株式会社 大電流用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R2841376B1 (fr) * 2002-06-25 2004-08-06 Schneider Electric Ind Sa Ensemble de protection et de commande electromagnetique
DE102004043469B4 (de) * 2004-09-08 2007-07-26 Siemens Ag Halterungseinrichtung mit einem darauf befestigten Schaltgerät
TWI410014B (zh) * 2005-12-20 2013-09-21 Bradley Leighton Ross 具有可各別隔離功能區帶之電力分配系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1731U (ko) * 1972-11-28 1974-08-08
JP2002010413A (ja) * 2000-06-23 2002-01-11 Mitsubishi Heavy Ind Ltd 制御盤
JP2009123419A (ja) * 2007-11-13 2009-06-04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97798A (ja) 2011-05-12
TWI459671B (zh) 2014-11-01
TW201125248A (en) 2011-07-16
KR20120062855A (ko) 2012-06-14
JP5268863B2 (ja) 2013-08-21
CN102598444A (zh) 2012-07-18
WO2011052301A1 (ja) 2011-05-05
CN102598444B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00B1 (ko) 전기기기의 단자 장치
US7160118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792711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550229B1 (ko) 플러그인 유닛
KR100595343B1 (ko) 저전압 전기 큐비클의 업그레이드가능 피더기능부
KR102146064B1 (ko) 분전반용 연결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분전반
US6317312B1 (en) Power-supply breaker apparatus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1326329B1 (ko) 전력용 접속 도체
US10374403B2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ox for an aircraft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CN101908721B (zh) 用于功率开关至汇流排系统的触接的适配器
US8231404B2 (en) Electronic connection box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JP4268782B2 (ja) ブレーカ用端子台および1次送りブレーカ付き分電盤
KR10068992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연결기구
KR101432911B1 (ko) 분기 배선 시스템
JP3157647U (ja) 電気回路の遮断開閉電気機器
CN113437592B (zh) 连接装置和机电组件
JP4667970B2 (ja) ノーヒューズ遮断器の取付け装置
JP4983640B2 (ja) 低圧配電設備
JP7065701B2 (ja) スイッチギヤの組立方法
CZ182097A3 (cs) Zařízení pro připojení elektrických instalačních přístrojů
KR100934623B1 (ko) 분전반용 플러그
JP4545532B2 (ja) 住宅用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