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350B1 - 단자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자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350B1
KR101899350B1 KR1020170079542A KR20170079542A KR101899350B1 KR 101899350 B1 KR101899350 B1 KR 101899350B1 KR 1020170079542 A KR1020170079542 A KR 1020170079542A KR 20170079542 A KR20170079542 A KR 20170079542A KR 101899350 B1 KR101899350 B1 KR 10189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ate
washer
guide member
centr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근
원동
Original Assignee
강성근
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근, 원동 filed Critical 강성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단자대 조립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사각 기둥(111)과, 상기 사각기둥(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112)과, 상기 하부연결판(112)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상기 사각기둥(111)의 중앙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연결판(112)의 위에 소정 간격(113a)을 두고 형성된 중앙 수직판(113)과, 상기 중앙 수직판(113)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돌설되어 다수의 단자홈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14)과, 상기 한 쌍의 사각기둥(111)을 단자함 내에 고정하는 체결부(115)로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간격(113a)을 통해 단자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편(120)과; 상기 몸체(11)의 중앙 수직판(113)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113b)에 끼워지고, 상기 격벽(114)의 상부면 위에 조립되는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가이드되어 걸려있으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단자를 단자편(120)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연결판(1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결합되는 육각너트(141)가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50)과;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양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커버부재(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자대 조립체는 단자편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를 단자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고,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시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위치시킨 후 볼트를 하강시켜 너트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단자함에 단자대 조립체를 설치할 때, 설치 시간이 절감되고, 번거롭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단자대 조립체{TERMINAL DIE ASSEMBLY}
본 발명은 단자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편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를 단자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고,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시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위치시킨 후 볼트를 하강시켜 너트와 결합되도록 한 단자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고, 또한 단자대 조립체의 덮개를 양측으로 접철가능하게 하여 덮개를 단자대 위에서 탈거하지 않고, 양측으로 접어 올린 상태에서 단자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건물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을 내부의 배선에 인가되도록 구성된 단자함이 마련되는 데, 상기 단자함은 통상 외부로부터 각층으로 분기되는 주단자함과, 상기 각 층에서 각 사무실 또는 가정으로 분기되는 층별 단자함 및 각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분기되는 실내 단자함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단자함 내부에는 외부전원을 각 내부배선과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대가 설치된다.
도 4는 종래의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대는 복수개의 격벽(11)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홈(14)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단자홈(14) 내에 설치되어 외부 단자(22)와 내부 단자(24)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자편(20)과, 상기 외부 단자(22)와 내부 단자(24)를 단자편(20)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복수개의 격벽(11)에 의해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홈(14)이 마련되며, 상기 단자홈(14)의 저면 중앙에는 소정 깊이의 볼트 삽입공(15)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1)의 중앙부에는 체결홈(17)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대를 단자함 내부에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대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격벽(11)을 횡으로 가로지면서 단자홈(14)의 저면과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소정의 구획판(16)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16)은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로 된 단자편(20)을 상기 구획판(16)과 단자홈(1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단자홈(14) 내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단자편(20)이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편(20)을 외부 단자(22)가 연결되는 부분과 내부 단자(24)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구분해 준다.
상기 단자편(20)은 하나의 플레이트로 된 금속부재로서, 상하부로 일정간격 이격된 면상에는 외부단자 체결공(21)과 내부단자 체결공(23)이 마련되어 각기 외부 단자(22)와 내부 단자(24)가 볼트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는 외부 단자(22)와 내부 단자(24)가 단자편(20)과 밀착되도록 지지해 주는 적어도 하나의 와셔(27)가 끼워진 상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단자홈(14) 내에 단자편(20)을 삽입하고, 볼트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볼트의 끝단이 단자홈(14) 저면의 볼트 삽입공(15)에 끼워져 상기 단자편(20)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단자대의 구획판(16) 상단에는 각 단자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명칭 등을 표기하는 표시판(30)이 위치되고, 상기 단자대의 상단에는 투명재질의 덮개(40)가 씌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4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몸체(10)의 상면 양측에는 소정 깊이의 삽입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삽입홈(18)에 끼워지는 돌기(48)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자대는, 몸체(10)의 단자홈(14) 내에 성치된 단자편(20)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로 조립되어 납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로 납품된 단자대를 단자함 내에 설치할 때, 투명재질의 덮개(40)를 열고, 단자편(20)에 내부 및 외부 단자(24, 22)를 연결하기 위해 체결된 볼트를 푼 후, 외부 단자(22)와 내부 단자(24)를 연결하고 다시 볼트로 체결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단자편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를 단자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고,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시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위치시킨 후 볼트를 하강시켜 너트와 결합되도록 한 단자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단자대 조립체의 덮개를 양측으로 접철가능하게 하여 덮개를 단자대 위에서 탈거하지 않고, 양측으로 접어 올린 상태에서 단자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단자대 조립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사각 기둥과, 상기 사각기둥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하부연결판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상기 사각기둥의 중앙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연결판의 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중앙 수직판과, 상기 중앙 수직판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돌설되어 다수의 단자홈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과, 상기 한 쌍의 사각기둥을 단자함 내에 고정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 수직판의 간격을 통해 단자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편과; 상기 몸체의 중앙 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에 끼워지고, 상기 격벽의 상부면 위에 조립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가이드되어 걸려있으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단자를 단자편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와셔볼트와; 상기 몸체의 하부연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와셔볼트와 결합되는 육각너트가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판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양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자대 조립체에 의하면, 단자편을 볼트로 고정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를 단자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고,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시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위치시킨 후 볼트를 하강시켜 너트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단자함에 단자대 조립체를 설치할 때, 설치 시간이 절감되고, 번거롭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그 순서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단자대 조립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사각 기둥(111)과, 상기 사각기둥(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112)과, 하부연결판(112)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상기 사각기둥(111)의 중앙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연결판(112)의 위에 소정 간격(113a)을 두고 형성된 중앙 수직판(113)과, 상기 중앙 수직판(113)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돌설되어 다수의 단자홈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14)과, 상기 한 쌍의 사각기둥(111)을 단자함 내에 고정하는 체결부(115)로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간격(113a)을 통해 단자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편(120)과; 상기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113b)에 끼워지고, 상기 격벽(114)의 상부면 위에 조립되는 가이드부재(130)와;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가이드되어 걸려있으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단자를 단자편(120)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연결판(1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결합되는 육각너트(141)가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50)과;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양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커버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중앙 수직판(113)과 다수의 격벽(114)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판(113)의 체결홈(113b)에 끼워지는 체결돌기(131)와; 상기 다수의 격벽(114) 상부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양측가이드(132)와; 상기 양측가이드(132)의 양측 하부면에 수평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140)의 사각와셔(142)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133)와; 상기 양측가이드(132)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140)의 사각와셔(142)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13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150)은 그 상면에 상기 육각너트(141)가 안착되도록 돌설된 다수의 안착돌기(151)와; 그 상면 양측에 상기 몸체(110)의 격벽(114)의 하단에 돌설된 후크(114a)가 삽입되는 후크홈(152)과; 그 상면 일측에 다수개 돌설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연결판(112)에 끼워져 중앙 수직판(113)의 간격(113a)을 통해 삽입되는 단자편(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봉(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160)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중앙 결합면(161)과, 상기 중앙 결합면(161)의 양측에 대칭되게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걸쳐 있는 와셔볼트(140) 들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판(162)과, 상기 한 쌍의 커버판(162)의 양측에 수직하게 돌설되어 이 커버판(162)이 덮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114)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63)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164는 각 단자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명칭 등을 표기하는 표시판이고, 상기 커버부재(160)의 중앙 결합면(161) 위에 부착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자대 조립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판(150)의 상부면에 돌설된 다수의 안착돌기(151)에 육각너트(141)를 각각 안착시킨 후, 몸체(110)의 하부면에 조립한다. 즉, 다수의 봉(153)이 하부연결부재(112)의 일측에 삽입되고, 동시에 격벽(114)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14a)가 후크홈(152)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단자홈에 다수의 단자편(120)을 삽입하고,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체결홈(113b)에 가이드부재(130)의 체결돌기(131)를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런 후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양측가이드(132)의 사이 사이에 와셔볼트(140)를 삽입하여 놓되, 그 사각와셔(142) 들이 수평지지대(133) 위에 올려지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부재(160)를 가이드부재(130) 위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게 되면,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하게 되는 데, 이 단자대 조립체를 설치할 때, 설치할 위치에 사각기둥(111)의 체결부(115)에 체결 볼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60)의 한 쌍의 커버판(161) 양측의 결합돌기(163)를 격벽(114)에서 이탈시킨 후 커버판(161)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상기 와셔볼트(140)를 하강시키고 돌려 육각너트(141)에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이 와셔볼트(140)를 육각너트(141)에 결합시킬 때 상기 단자편(120) 들 위에 단자들을 위치시킨 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와셔볼트(140) 들이 가이드부재(130)에 가 조립된 상태에서 단자함 내에 설치할 때 커버부재(160)의 커버판(161)을 양측 위로 올린 후 드라이버로 와셔볼트(140)를 하강시킨 후 육각너트(141)에 조립하면 되므로, 기존에 단자함에 단자대를 설치하기 전에 볼트를 풀고, 단자를 삽입한 후 다시 볼트를 체결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단자대 조립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사각 기둥(111)과, 상기 사각기둥(111)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112)과, 하부연결판(112)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상기 사각기둥(111)의 중앙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연결판(112)의 위에 소정 간격(113a)을 두고 형성된 중앙 수직판(113)과, 상기 중앙 수직판(113)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돌설되어 다수의 단자홈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114)과, 상기 한 쌍의 사각기둥(111)을 단자함 내에 고정하는 체결부(115)로 이루어진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간격(113a)을 통해 단자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편(120)과; 상기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113b)에 끼워지고, 상기 격벽(114)의 상부면 위에 조립되는 가이드부재(170)와; 상기 가이드부재(170)에 가이드되어 걸려있으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단자를 단자편(120)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연결판(1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와셔볼트(140)와 결합되는 육각너트(141)가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판(150)과;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양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커버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재(170)는, 상기 중앙 수직판(113)과 다수의 격벽(114)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판(113)의 체결홈(113b)에 끼워지는 체결돌기(171)와; 상기 다수의 격벽(114) 상부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양측가이드(172)와; 상기 양측가이드(172)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140)와 사각와셔(142)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와셔볼트(140)가 삽입되어 양측가이드(17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둥글게 돌설된 수평파지대(17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150)은 그 상면에 상기 육각너트(141)가 안착되도록 돌설된 다수의 육각너트홈(154)과; 그 상면 양측에 상기 몸체(110)의 격벽(114)의 하단에 돌설된 후크(114a)가 삽입되는 후크홈(152)과; 그 상면 일측에 다수개 돌설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몸체(110)의 하부연결판(112)에 끼워져 중앙 수직판(113)의 간격(113a)을 통해 삽입되는 단자편(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봉(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재(160)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상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중앙 결합면(161)과, 상기 중앙 결합면(161)의 양측에 대칭되게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걸쳐 있는 와셔볼트(140) 들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판(162)과, 상기 한 쌍의 커버판(162)의 양측에 수직하게 돌설되어 이 커버판(162)이 덮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114)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63)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164는 각 단자를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명칭 등을 표기하는 표시판이고, 상기 커버부재(160)의 중앙 결합면(161) 위에 부착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자대 조립체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판(150)의 상부면에 돌설된 다수의 안착돌기(151)에 육각너트(141)를 각각 안착시킨 후, 몸체(110)의 하부면에 조립한다. 즉, 다수의 봉(153)이 하부연결부재(112)의 일측에 삽입되고, 동시에 격벽(114)의 하단에 형성된 후크(114a)가 후크홈(152)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그리고, 단자홈에 다수의 단자편(120)을 삽입하고, 몸체(110)의 중앙 수직판(113)의 체결홈(113b)에 가이드부재(130)의 체결돌기(131)를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런 후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양측가이드(132)의 사이 사이에 와셔볼트(140)를 삽입하여 놓되, 그 사각와셔(142) 들이 수평지지대(133) 위에 올려지도록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부재(160)를 가이드부재(130) 위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단자대 조립체를 납품하게 되면, 이 단자대 조립체를 단자함에 설치하게 되는 데, 이 단자대 조립체를 설치할 때, 설치할 위치에 사각기둥(111)의 체결부(115)에 체결 볼트로 체결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60)의 한 쌍의 커버판(161) 양측의 결합돌기(163)를 격벽(114)에서 이탈시킨 후 커버판(161)을 위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드라이버로 상기 와셔볼트(140)를 하강시키고 돌려 육각너트(141)에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이 와셔볼트(140)를 육각너트(141)에 결합시킬 때 상기 단자편(120) 들 위에 단자들을 위치시킨 후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와셔볼트(140)를 가이드부재(170)에 조립할 때 와셔볼트(140)와 사각와셔(141)의 사이를 수평파지대(173)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수평파지대(173)의 중앙 돌설부가 와셔볼트(140)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상하좌우로 흔들어도 와셔볼트(140)가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다수의 와셔볼트(140)를 가이드부재(130)에 조립한 상태에서 단자함 내에 설치할 때 커버부재(160)의 커버판(161)을 양측 위로 올린 후 드라이버로 와셔볼트(140)를 하강시킨 후 육각너트(141)에 조립하면 되므로, 기존에 단자함에 단자대를 설치하기 전에 볼트를 풀고, 단자를 삽입한 후 다시 볼트를 체결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10 : 몸체 111 : 한 쌍의 사각 기둥
112 : 하부연결판 113 : 중앙 수직판
114 : 다수의 격벽 115 : 체결부
120 : 복수개의 단자편 130, 170 : 가이드부재
131, 171 : 체결돌기 132, 172 : 양측가이드
133 : 수평지지대 134 : 수직지지대
140 : 복수개의 와셔볼트 141 : 육각너트
150 : 하부판 151 : 다수의 안착돌기
152 : 후크홈 153 : 다수의 봉
154 : 육각너트홈 160 : 커버부재
161 : 중앙 결합면 162 : 한 쌍의 커버판
163 : 결합돌기 164 : 표시판
173 : 수평파지대

Claims (5)

  1.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사각 기둥과, 상기 사각기둥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하부연결판의 중앙부와 대향하는 상기 사각기둥의 중앙을 연결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연결판의 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중앙 수직판과, 상기 중앙 수직판의 양측에 대칭되게 다수개 돌설되어 다수의 단자홈을 구획하는 다수의 격벽과, 상기 한 쌍의 사각기둥을 단자함 내에 고정하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 수직판의 간격을 통해 단자홈 내에 각각 삽입되어 내부 및 외부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단자편과;
    상기 몸체의 중앙 수직판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에 끼워지고, 상기 격벽의 상부면 위에 조립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가이드되어 걸려있으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단자를 단자편에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복수개의 와셔볼트와;
    상기 몸체의 하부연결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와셔볼트와 결합되는 육각너트가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판과;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를 커버하는 부재로서, 양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된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앙 수직판과 다수의 격벽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판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와;
    상기 다수의 격벽 상부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양측가이드와;
    상기 양측가이드의 양측 하부면에 수평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의 사각와셔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양측가이드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의 사각와셔의 측면을 지지하는 수직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그 상면에 상기 육각너트가 안착되도록 돌설된 다수의 안착돌기와;
    그 상면 양측에 상기 몸체의 격벽의 하단에 돌설된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홈과;
    그 상면 일측에 다수개 돌설된 봉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몸체의 하부연결판에 끼워져 중앙 수직판의 간격을 통해 삽입되는 단자편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길이 방향의 중앙 결합면과;
    상기 중앙 결합면의 양측에 대칭되게 접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걸쳐 있는 와셔볼트 들을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판과;
    상기 한 쌍의 커버판의 양측에 수직하게 돌설되어 이 커버판이 덮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격벽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중앙 수직판과 다수의 격벽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수직판의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와;
    상기 다수의 격벽 상부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양측가이드와;
    상기 양측가이드의 양측면에 수평으로 돌설되어 상기 와셔볼트와 사각와셔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기 와셔볼트가 삽입된 후 상기 양측가이드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중앙부가 둥글게 돌설된 수평파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조립체.




KR1020170079542A 2017-06-05 2017-06-23 단자대 조립체 KR101899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9544 2017-06-05
KR1020170069544 2017-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350B1 true KR101899350B1 (ko) 2018-09-17

Family

ID=6372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542A KR101899350B1 (ko) 2017-06-05 2017-06-23 단자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31A (ko) * 2019-12-11 2021-06-21 김상진 분전반
KR102389978B1 (ko) * 2021-10-01 2022-04-22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031A (ko) * 2019-12-11 2021-06-21 김상진 분전반
KR102357979B1 (ko) 2019-12-11 2022-01-28 김상진 분전반
KR102389978B1 (ko) * 2021-10-01 2022-04-22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KR101899350B1 (ko) 단자대 조립체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10215623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설치 구조
US20050167135A1 (en) Electrical panel support stand
US9271424B2 (en) Base or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rack
HU223729B1 (hu) Szekrényváz, különösen elektromos berendezésekhez
KR101554022B1 (ko) 납골안치단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US20140044474A1 (en) Mounting frame for an electrical enclosure or a rack
KR101200761B1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KR101864020B1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EP2149952B1 (en) Plural electrical mechanism carrier
KR20120048318A (ko) 천정재 설치구조
JP2003518894A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連結装置
KR20130131153A (ko)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101863876B1 (ko) 조립식 책상
KR101327639B1 (ko) 후크걸림 방식을 이용한 분전반 브라켓
KR20100007098U (ko) 가로바를 이용한 판넬 설치 유닛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CN110915080B (zh) 开关柜底座和其上安装的开关柜机架的布置以及相应的开关柜列
JP2004273428A (ja) 蓄電池装置
KR20100100909A (ko) 칸막이 장치
EP2242155B1 (en) Corner structure for electrical enclosure
KR20140004470U (ko) 케이블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