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978B1 -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978B1
KR102389978B1 KR1020210130697A KR20210130697A KR102389978B1 KR 102389978 B1 KR102389978 B1 KR 102389978B1 KR 1020210130697 A KR1020210130697 A KR 1020210130697A KR 20210130697 A KR20210130697 A KR 20210130697A KR 102389978 B1 KR102389978 B1 KR 102389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wer distribution
distribution device
coup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978B1/ko
Priority to PCT/KR2022/009244 priority patent/WO2023054854A1/ko
Priority to JP2023561107A priority patent/JP2024513433A/ja
Priority to CN202280017824.2A priority patent/CN117157846A/zh
Priority to US18/482,177 priority patent/US2024007985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1Mechanical coupling for side-by-sid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전원 분배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100)과, 접속모듈(10), 접속단자(11); 및 상기 접속단자들의 서로 다른 단자높이에 따라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지지대;를 포함하고, 접속모듈(10)은,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사이는 소정 폭을 갖는 판상의 면으로 길이 방향 연장된 접속단자(11); 접속홀(124)을 형성하는 제1,제2연결부재(121),제2연결부재(122)로 이루어지고, 양측연부(121a)(122a)와, 개방단(124a)(124b)과, 체결홀(123)과, 결합홀(125)을 형성하는 연결부재(12); 상기 결합홀(125)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3); 및 상기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통전용 체결부재(14);를 포함하고, 전면커버부와, 상면커버부와, 상기 상면커버부의 직하방으로 체결부재의 헤드부를 밀착 커버하는 체결홀커버부;를 포함하는 안전커버(50)와, 한개로서 서로 다른 출력단자의 높이가 해결되는 높이조절지지대(2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Bus-bar assembly for powe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평행도가 유지되는 접속홀 접속방식의 접속단자(접속단자의 일측에 접속홀을 형성한 접속단자로서 이하,접속모듈이라 함)를 구현하고, 서로 다른 높이의 접속단자를 하나의 높이조절지지대로서 겸용함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며, 노출된 접속모듈의 단자를 안전커버로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구현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하우징(매인 하우징과 서브 하우징을 통틀어 이하 하우징이라 함)내에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의 단자와, 그리고 상기 메인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와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스바들로 이루어지며,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각 차단기에 연결되는 선로의 노출을 방지하여 누전,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 분배용 부스바 블럭(이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라 함)은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가로방향 접속단자,세로방향 접속단자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메인 배선차단기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메인 부스바 접속단자들과, 상기 메인 부스바 접속단자들에 연결되어 전력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서브 부스바 접속단자와, 상기 메인 부스바 접속단자와 서브 부스바 접속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부스바 조립체(이하, 전원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원 분배장치는,
첫째, 메인 차단기로 부터 접속되는 출력단자들의 단자들이 단차 형성구조를 갖고 대응하는 단자들끼리 상,하 대응하여 겹친상태로 체결하므로 단자들의 평행도가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여러 종류의 차단기와 호환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차단기용 접속단자의 높이가 연결되는 접속단자의 높이가 같은 평행도를 유지해야 접속구조들의 복잡한 조립구조와, 조립방식들이 안정적으로 될 뿐 아니라 통전 상태 역시 안정적일 수 있으나, 종래의 부스바 조립체(전원 분배장치)와 차단기들의 접속단자들은 단자 높이가 맞지 않아 이에 접속하는 단자들은 일일히 단차를 형성하여 단자들끼리 겹치게 접속한 뒤 체결되도록 전원 분배장치(부스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접속단자를 별도 제작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특정 차단기의 경우에는 접속단자와의 높이가 맞지않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각종 차단기들의 입,출력단자들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별도의 금형을 통하여 단차를 형성한 접속단자를 제작해야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과,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둘째, 종래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단자는 접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단자의 접속부분에 체결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하방으로 버링(burring)을 형성하여 하부로 돌출된 접속구조이므로 하부의 돌출부로 인하여 위 설명된 단차로 인한 문제점 외에 하부 돌출부에 의한 불필요한 접촉에 따른 감전의 위험성,하부 간격 확장등에 의한 전원 분배장치(부스바 조립체)의 사이즈를 확장해야하고, 구조는 물론 제작공정이 중가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단자로는 버링 돌출부 없는 단자 접속구조가 필요로 되어 왔다.
셋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전원 분배장치)들은 그 외부를 보호하고 커버하는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그 저부에서 부스바 조립체들을 삽입,장착하여 사용할 뿐 아니라 단자부분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단자를 제외한 노출부분을 보호하는 높이조절지지대를 그 출력단자의 높이에 맞게 설치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지지대는 부스바 조립체(전원 분배장치) 하단에 노출부분으로 인체가 직접 연결부위에 닿거나 이 부분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어서 정전기 발생이나 누전, 단락을 발생시킬 위험을 방지하도록 높이조절지지대로서 보호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높이조절지지대는 2가지 타입을 제작하여 출력단자부분의 2개의 서로 다른 높이에 맞는 높이조절지지대를 제작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윰이 있었다.
넷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들은 그 외부를 보호하고 커버하는 하우징을 형성하되 출력측으로 노출된 전원 분배장치들의 접속단자부분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커버수단을 하우징 후면측에 설치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노출단자 보호용 커버수단들은 노출단자의 개방공간을 커버하도록 별도 부품을 수작업으로 장착,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설치상태가 약간의 진동등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턱등을 마련하여 지지하더라도 반복사용으로 걸림턱부분이 마모되어 쉽게 분리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노출단자의 개방공간을 커버함에 필요한 이탈 방지용의 회동식 커버수단이 필요로 되어 왔다.
다섯째, 종래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후면측 접속단자의 노출단자부분은 그대로 노출상태를 형성하므로 인체가 접속단자 부위에 닿거나 이 부분에 먼지나 이물질이 끼여 정전기가 발생하여 누전, 단락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노출부분을 커버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가 필요로 되어왔다.
여섯째, 종래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연속하여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로방향의 정렬을 맞추기 위하여 라인을 형성하거나 선형 안내수단등을 보조적으로 분전반 베이스에 형성하영 하였다. 따라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이루는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가 필요로 되어 왔다.
등록특허 10-2004696호(2019년07월29일 공고) 등록특허 10-1055421호(2011년08월09일 공고) 등록특허 10-0748397호(2007년08월10일 공고) 등록번호 10-1176626호(2012년08월23일 공고)
(특허공개문헌 1) 공개번호 10-2007-0106054호(2007년11월01일 공개) (특허공개문헌 2) 공개번호 10-2017-0142076호(2017년12월27일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평행도가 유지될 수 있는 슬리브(sleeve)연결방식의 접속단자(일단부에 접속홀이 형성되어 타단부가 이에 삽입 가능한 접속단자로서, 이하에서는 접속모듈이라 함)를 도입하여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접속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접속단자의 Z벤딩에 따른 평행도 유지의 문제점, 접촉저항(선접촉) 상승의 문제점 및 체결단자에 버링(burring)가공함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함으로써 가공 공정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을 줄인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내부 접속단자를 내부 설비한 상태에서 상,하부 커버하우징을 조립,결합하는 하우징 조립방식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접속모듈의 일측단부의 접속단부를 개선하여 타단부의 접속홀에 삽입이 편리한 접속단부의 단부 가공이 이루어진 접속모듈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하우징을 분리,결합하는 구조로 함에 있어서, 바닥측을 이루는 하부 하우징에 그 상술한 접속모듈의 체결을 위하여 마모가 방지되고, 풀림이 개선되는 상기 접속모듈을 통과한 체결부재의 나선이 형성된 스템이 견고하게 체결고정되는 체결홈부가 제공된 하부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2방향의 출력단자의 높낮이에 맞게 일일이 두가지 높이조절지지대를 사용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높이조절지지대로 노출 출력단자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상,하면을 교환하여 출력단자의 높이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접속모듈의 제1,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안전하게 밀착지지 함으로써 그동안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형성하는 하우징들의 연결이 없는 노출단자로 인하여 도전성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 작업자의 접촉,및 분전반 오픈 상태에서의 빗물등에 의한 합선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로서 암합접속홈부에 숫합접속돌부의 하우징 전단에서 돌출된 선단부를 삽입하게 되면 탄편사이의 간격이 좁혀짐과 아울러 선단부가 오므라들면서 삽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홈형태의 암합접속홈부의 내측 턱부에서 걸려 지지하게 되어 하우징들의 정렬을 위한 연속 연결시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상기 분배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모듈;
상기 접속모듈에 체결되어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들의 서로 다른 단자높이에 따라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지지대는,
상기 접속단자의 제1단자의 높이에 맞도록 제1면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 및
상기 접속단자의 제2단자의 높이에 맞도록 제2면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과 제2결합돌기;
를 포함하여, 제1단자의 높이에는 제1면의 제1결합홈,제2결합돌기들을 설치하고,제2단자의 높이에서는 제2면의 제2결합홈과 제2결합돌기들이 위치하도록 제1면과 제2면의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로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전원 분배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모듈;
상기 접속모듈에 체결되어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 접속모듈의 제1단부가 노출되는 재치턱부에 안착되어 접속모듈의 제1단부의 접속홀을 커버하는 안전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전면의 수개 접속홀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부;
상기 전면커버부에서 직각 절곡되고 판면에 안착홀부(54)를 교호로 형성하여 포으크형으로 돌출되는 상면커버부; 및
상기 상면커버부의 직하방으로 체결홀을 밀착 커버하는 안착홀을 형성한 체결홀 커버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로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안전커버는,
상기 전원 분배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모듈;
상기 접속모듈에 적층 결합되어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 접속모듈의 제1단부가 노출되는 재치턱부에 안착되어 접속모듈의 제1단부의 접속홀을 커버하는 안전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전면의 수개 접속홀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부;
상기 전면커버부에서 직각 절곡되고 판면에 안착홀부를 교호로 형성하여 포으크형으로 돌출되는 상면커버부;및
상기 상면커버부의 직하방으로 체결부재의 헤드부를 밀착 커버하는 체결홀커버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로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상기 접속모듈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형성하고, 이 제1단부와 제2단부사이는 소정 폭을 갖는 판상의 면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그 사이의 판면에는 리벳 결합공들 및 제2단부에 형성된 연결공이 형성된 접속단자;
상기 접속단자의 제2단부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을 형성하는 체결공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상기 결합홀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및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는 통전용 체결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체결홈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전용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들과,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체결,고정되는 링형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상기 연결부재는,
접속홀을 형성하도록 상,하방에서 덮여져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제2연결부재에는 각각 대응하는 양측연부를 형성하고, 접속홀을 형성하는 개방단을 형성하며, 제1단부측에 체결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결합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로 실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상기 하우징은,
전원 분배선로의 상부를 보호하는 상부 하우징; 및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들의 하부를 지지,보호하는 하부 하우징;
을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종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들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단부에 접속홀이 형성되어 타단부가 이에 삽입 가능한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접속모듈을 제공하여 종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들의 접속단자의 단부에 단차를 형성하던 점을 개선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상기한 접속홀을 일단부에 구비하고 평행도가 유지되는 슬리브(sleeve)연결방식의 일측단부의 접속단부를 타단부의 접속홀에 삽입이 편리한 접속단자로서 접속홀 가공을 위한 상,하 연결부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간편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접속모듈로서 개선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수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이러한 구조적인 개선으로 인하여 종래 접속단자의 Z벤딩에 따른 평행도 유지의 문제점은 물론, 그에 따른 접촉저항(선접촉) 상승의 문제점 및 체결단자를 버링(burring)가공함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함과 더불어 가공 공정증가로 인한 제조비용을 줄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상기한 평행도가 유지되는 접속단자를 보유한 접속모듈의 구현과 동시에 내부 접속단자를 설비한 상태에서 상,하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조립,결합하는 하우징 조립방식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하우징을 분리,결합하는 구조로 함에 있어서, 바닥측을 이루는 하부 하우징에 상술한 접속모듈의 체결구조가 체결 마모가 방지되고, 풀림이 개선되는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체결홈부가 제공된 하부 하우징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 조절지지대는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된 2방향의 출력단자의 높낮이에 맞게 일일이 두가지 높이조절지지대를 사용하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나의 높이조절지지대로 출력단자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상,하면을 교환하여 출력단자의 높이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용 높이 조절지지대를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는 전술한 접속모듈의 제1,제2연결부재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여 안전하게 밀착지지 함으로써 그동안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형성하는 하우징들의 연결이 없는 노출단자로 인하여 도전성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 작업자의 접촉,및 분전반 오픈 상태에서의 빗물등에 의한 합선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개선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체 분전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체 분전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연결상태 사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접속모듈의 발췌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단면도와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모듈의 발췌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적용상태의 사시도들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적용상태의 측면도들이고,
도 9a, 도 9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회동커버의 실시 예에 따르는 회동커버의 분리 사시도들이고,
도 10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회동커버의 실시 예에 따르는 회동커버의 닫힌 상태와 열린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a,도 12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발췌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12c,도 12d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아 설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a,도 14b는 본 발명 분전반의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접속상태의 요부 확대도와, 확대된 요부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상부에 적층하는 메인 차단기(2)용 접속단자(2a)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3)용 접속단자(3a)와, 추가 출력용 차단기(4)용 부스바 접속단자(41)들에 공급하여 가로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전원 분배장치이다.
본 발명은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포함하는 접속모듈(10)을 실시 예1로 기재하고,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포함되는 높이조절지지대(20)를 실시 예 2로 설명하고,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포함되는 회동커버(30)를 실시 예3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1>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체 분전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체 분전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원 분배장치의 연결상태 사시도이고,도 4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접속모듈의 발췌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단면도와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모듈의 발췌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중 도 1과 도 2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가 적용된 전체 분전반 결합 사시도와, 분전반 분리 사시도에 따르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상기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차단기(2)와, 분기 차단기(3)와, 추가용 차단기(4)의 사이에서 메인 차단기(2)용 단자(2a)와, 분기 차단기(3)용 단자(3a)들과, 추가 출력용 차단기(4)의 부스바 접속단자(41)로 메인차단기(1)의 전원을 분배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원 분배장치(1)는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2)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2)용 접속단자(2a)와 연결되는 접속모듈(10)과, 접속모듈(10)에 적층 결합되어 메인 차단기(2)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3)용 접속단자(3a) 및 추가 출력용 차단기(4)용 부스바 접속단자(41)에 분배하도록 접속하는 부스바 접속단자(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는 메인 차단기(1)용 접속단자(3a)들에 접속되어 메인 차단기(1)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2)들의 접속단자(2a)들에 공급함과 아울러 추가용 차단기(4)들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접속모듈(10)과 부스바 접속단자(41)를 상호연결하여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전원 분배장치(일종의 부스바 조립체,1)를 형성된다.
첨부 도면중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상부 하우징(101)과,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103)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내에서 하부 하우징(103)에 메인 차단기(2)용 부스바 단자(2a)측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접속모듈(10)과, 접속모듈(10)에 적층 결합되어 메인 차단기(2)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3) 및 추가 출력용 차단기(4)로 분배하는 부스바 접속단자(41)의 제1,제2출력단자(411)(412)들을 보호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높이조절지지대(20)와, 상부 하우징(101)의 새로방향 노출되는 출력단자(접속모듈의 제1단부)측에서 출력단자의 접속시에는 상방으로 오픈되고, 접속후에는 측면을 보호하도록 커버하는 회동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5의 (a),(b),(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모듈(10)은 크게 접속단자(11)와, 연결부재(12)와, 결합부재(13), 통전용 체결부재(14)와, 링형 너트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1)는 도 5의 (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부중 어느 한 단부측에 제1단부(111)를 형성하고, 양단부중 다른 단부측은 제2단부(1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사이는 소정 폭을 갖는 판상의 면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그 사이의 판면에는 수개의 결합용 리벳공(114)들이 천공될 수 있다.
특히, 제2단부(112)측으로는 접속용 연결공(113)을 형성하되, 도 5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면에 경사면(112a)를 형성하고, 이 경사면(112a)사이의 단부는 선단면(112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부(112)는 후술하는 접속홀(124)로 삽입함에 용이한 곡면부(112c)로서 매끄러운 삽입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2)는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124)을 형성하도록 상방에서 덮여져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121)와, 접속단자(11)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124)을 형성하도록 하방에서 받쳐져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122)로 이루어진다.
제1,제2연결부재(121)(122)는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양측연부(121a)(122a)와 체결홀(123)과, 결합홀(125)을 형성하고, 그 전,후단은 개방단(124a)(124b)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개방단(124a)(124b)은 제1,제2연결부재(121)(122)가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를 가운데 두고, 상,하방향에서 대응하여 결합홀(125)을 관통하여 결합부재(13)를 결합함으로써 접속홀(124)을 형성할 수 있다.
접속홀(124)의 깊이는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삽착,체결되도록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가 50%의 삽착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통전용 체결부재(14)는 연결부재(12)의 체결홀(123)과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의 체결공(113)을 관통하여 바닥함체(103)에 매입 설치된 링형 너트부재(15)에 고정 설치된다.
통전용 체결부재(14)는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의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스템부(142)과, 이 체결홀(123)에 걸려지지되는 헤드부(141)로 이루어진다.
링형 너트부(15)는 상기 체결부재(14)의 스템부(142)가 나사맞춤되는 나사홀(151)을 형성하고, 그 외연부는 사각형의 연부를 이룬다.
링형 너트부(15)는 하부 하우징(103)의 외곽연부를 따라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부(103a)에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입,고정된다.
체결홈부(103a)에 고정된 링형 너트부(15)에 통전용 체결부재(14)의 스템부(142)가, 제1연결부재(121)의 체결홀(123), 접속단자(11)의 체결공(113) 및 제2연결부재(122)의 체결홀(123)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홈부(103a)의 링형너트부(15)나사홀(151)에서 나사맞춤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첨부 도면 도 6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상부 하우징(101)과 하부 하우징(103)사이에 접속모듈(10)을 이루는 접속단자(11)가 가로방향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의 (b)에서 도시하는 접속단자(11)는 2개가 가로방향으로 접속되어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의 (a)에서 발췌된 접속모듈(10)은 접속단자(11)의 2개가 연결된 상태이다. 도면상 오른쪽의 접속단자(11)는 제2단부(112)를 왼쪽 분기차단기(3)의 출력단자(3a)측으로 노출시키고, 왼쪽의 제2단자(111)측에 결합된 연결부재(12)가 위치하면서 접속홀(124)에 다른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삽입되어 있고, 통전형 체결부재(14)가 체결홀(123),체결공(113)들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103)내 고정 매립된 링형너트부재(15)에 나사맞춤 체결되어 있다. 아울러 접속단자(11)의 설명되지 않은 많은 결합용 리벳공(114)들이 세로방향의 적어도 1개 이상의 분기용 차단기의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단자(부호생략)들과 가로,세로 리벳결합공(114)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모듈(10)는 일면 또는 타면 중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두께의 중심에 형성됨에 따라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설치시 위치의 구분없이 일면과 타면을 180도 뒤집은 상태로서도 설치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를 통하여 메인 분기차단기(2)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분기차단기(3) 및 추가용 차단기(4)로 전원이 통전되도록 교차방향으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상태의 접속모듈(10)의 2개 접속단자(11) 연결방식은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종래 알려진 부스바 조립체(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단자들이 갖는 버(burring)형성구조라든가 출력측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구조에 비하여 전체 조립 시공면에서 단순하고 간결한 조립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수평 연결구조의 안정적인 고정상태는 외부의 여러 유동상황에서도 전원의 분배에서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도 4의 분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개의 접속모듈(10)과 분기용 접속단자(40)들은 본 발명 접속모듈(10)의 상방으로 인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데 종래 접속단자들은 접속단자의 제1단부가 제2단부의 단차위에 접속되도록 접속되는 통전구조를 공통적으로 형성하고 있거나, 혹은 제1단부,제2단부중 어느 하나의 단부측 단자에 단차를 갖도록 하고 하방으로 버링(burring)를 형성하여 수평적 접속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수평적 단자 결합을 위한 단차의 형성,버링의 형성은 결국 접속시의 통전불안정을 방지하려는 것과 함께 접속상하부 회동커버들의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개선점외에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모듈(10)중 접속단자(1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3상,접지선등의 복잡한 상호 교차 결합구조의 단자접속상태에서 유도될 수 있는 유도전류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 접속단자의 접속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통전상태의 주변에 유도전류의 확장폭이 커짐에 따라 다른 단자들에의 방해전류로 인한 오동작을 개선할 수 있다.
접속모듈(10)의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측의 연결부재(12)로서 형성된 접속홀(124)의 간단한 접속,체결로 인하여 종래 상,하면에 올려놓고 체결하는 단자접속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속모듈(10)의 결속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4)의 스템부부(142)의 나사맞춤 결합으로 접촉력을 높여 고정력과 통전 상태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ㅈ모선부스접속모듈(10)의 접속단자(11)들이 수평적 선형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하면에 대한 위치의 구분없이 분전반 상,하 회동커버 내에 간편하게 배치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하부 하우징(103)의 사각의 외연부를 형성하는 링형 너트부재(15)에 나사맞춤 결합 됨으로써 안정된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모듈(10)은 간단히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를 접속홀(124)에서 체결부재(14)의 나사맞춤 조립,해제로서 상호 체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여 정비 및 교체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4)로서 제1,제2연결부재(121)(122)의 체결홀(123)과 제2단부(112)의 연결공(113)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103)의 링형너트부재(15)에 나사맞춤결합됨으로써 결합력을 배가시키게되며,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질때 쉽게 메인 차단기(2)의 단자와, 분기차단기(3)의 출력단자(31)(32)와, 추가용 차단기(4)의 단자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전기 저항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신소재인 동복알루미늄과 같이 내열성이 떨어지는 재료를 단자의 재질로 사용하는 경우, 메인차단기(2)의 출력단자(2a)와 추가용 차단기(4)의 출력단자(41)를 연결하여 발생되는 열로 인한 재료변형에 따른 연결 부위의 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게 된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출력단자와 추가용 차단기(4)의 단자를 결합할 때에 단자들이 단단히 결합되어 연결부위의 볼트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링형너트부재(15)는 하부 하우징(103)에 너트부재 고정용 성형사출로 고정시켜서 체결부재(14)의 스템부부(142)를 체결시 자동적으로 너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별도로 너트를 밑에서 잡아주거나 고정시켜야 하는 공정상의 문제를 성형사출로 해결해서 작업 효율성을 높이게 되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7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의 적용상태 사시도들이고,도 8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 적용상태 측면도들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높이 조절지지대(20)는 분기 차단기(3)의 제1단자(411) 및 제2단자(32)의 높이에 맞도록 상,하 위치변경으로 2개의 높이가 다른 출력단자의 높이에 맞도록 겸용할 수 있는 커버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종래 각 출력단자에 맞도록 각각 별개로 형성된 2개의 높이조절지지대를 개선한다.
즉,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 조절지지대(20)는 분기 차단기(3)의 제1출력단자(411)의 높이에 맞도록 제1면(201)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21), 제1결합돌부(22) 4개를 교호로 형성할 수 있다. 제1결합홈(21), 제1결합돌부(22)들의 갯수는 사용 기기에 따라 4개 이상으로 변경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 조절지지대(20)는 분기 차단기(3)의 제2출력단자(412)의 높이에 맞도록 제2면(202)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23), 제2결합돌부(24) 4개를 교호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제2결합홈(23), 제2결합돌부(24)들의 갯수는 사용 기기에 따라 5~6개 이상으로 변경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높이조절지지대(20)는 도 7 및 도 8의 (a),(b)에서와 같이 분기차단기(3)의 출력단자(411)(412)들의 높이에 맞게 제1출력단자(411)의 높이에는 높이조절지지대(20)의 제2면부(202)의 제2결합홈(23),제2결합돌부(24)들에 맞게 장착하고,제2출력단자(412)의 높이에서는 제1면부(201)의 제1결합홈(21),제1결합돌부(22)들이 위치하도록 높이조절지지대(20)의 상,하 위치를 바꾸어 장착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높이조절지지대(20)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나의 몸체로서 가로방향으로 한면(상면)을 이루는 제1면부(201)에는 제1결합홈(21),제1결합돌부(22)들을 형성하고, 가로방향 다른면(하면)에 위치하는 제2면부(202)에는 제2결합홈(23),제2결합돌부(24)들을 형성함으로써 종래 제1,제2출력단자(31)(32)마다 각각의 단자홈에 맞는 2개의 높이조절대를 제조,장착하던 2개의 높이 조절지지대와 기능은 동일하지만, 하나의 몸체로서 해결한 개선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중 도 9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회동커버의 분리 사시도들이고,도 10의 (a),(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회동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중 도 10의 (a),(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회동커버(30)는 상부 하우징(101)를 개방한 상태에서 접속연결되고자 하는 제2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제1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홀(124)에 접속할 때에는 개방되고, 접속후에는 접속상태를 보호하도록 닫을 수 있다.
이 회동커버(30)는 도 9a와 도 9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판상 연장되는 제1면부(34)와, 이 제1면부(34)에서 "ㄱ"형으로 연결된 판상의 제2면부(35)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으로 "ㄱ"형 단면의 폭을 확장하여 양측면을 커버하는 회동면부(31)로 이루어진다.
이 제1면부(34)와, 제2면부(35)와, 회동면부(31)의 내측은 상부 하우징(101)의 단자를 보호하는 개방된 공간을 형성한다. 공간을 커버함과 아울러 개방하도록 회동면부(31)가 안착되어 미끄럼 회전되는 슬립요부(38)를 상부 하우징(101)에 기단 양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슬립요부(38)에는 힌지축홈(37) 및 각도고정홈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립요부(38)는 힌지축(32)의 회전시 회동커버(30)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홈부(39)와, 힌지축(32)을 축지지하는 힌지축홈(37)을 형성할 수 있다. 각도고정홈부(39)는 힌지축홈(37)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홈부(391)와 제2홈부(392)를 형성할 수 있다.
회동면부(31)에는 슬립요부(38)를 따라 슬립 회동하고, 회동커버(30)의 개방,닫힘 상태를 고정하도록 제1홈부(391)과 제2홈부(392)에서 안착되는 멈춤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홈(37)은 회동면부(31)가 회전하는 사이에 수직구간을 승강하면서 회전하도록 세로방향의 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a),(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회동커버(30)는 상부 하우징(101)를 개방한 상태 혹은 회동커버(30)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들중 이어지는 제2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단자(11)에 형성된 제2단부(112)가 제1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홀(124)에 접속할 때에는 개방되고, 접속후에는 접속상태를 보호하도록 닫히게 된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회동커버(30)는 도 10의 (b)와 같이 회동커버(30)를 개방한 상태에서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의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들을 접속홀(124)들에 접속하여 접속이 완료되면 도 10의 (a)와 같이 회동커버(30)를 닫게 되고, 멈춤돌기(33)이 제2고정홈부(392)에서 안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회동커버는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서 개방된 노출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종래 보호용 커버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소정각도로 회전한 뒤의 개방상태를 각도고정홈부(39)의 제1고정홈부(391),제2고정홈부(392)에서 멈춤돌기(33)이 안착되어 각도 고정상태가 일정하게 유지함이 가능한 회동커버를 제공하게 된다.
<실시 예 2>
첨부 도면중 도 11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2a,도 12b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발췌사시도와 측면도이고, 도 12c,도 12d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아 설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50)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술한 실시 예1의 전체적인 도면들, 도 1내지 도 6, 실시 예1의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를 전제로 설명한다.
따라서 일부 중복부분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2에 필요한 구성의 설명전술한 도면들에 기하여 다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50)는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입력받는 메인 차단기(2)와, 이 메인차단기(2)의 전원을 다른 방향으로 분배하는 분기 차단기(3)들과, 추가 출력단자용 차단기(3), 그리고 메인차단기(1)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3)와, 추가 출력단자용 차단기(4)로 분배,접속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1)는 상부 하우징(101)과,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103)과, 하부 하우징(103)에서 메인 차단기(2)측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접속모듈(10)과, 상부 하우징(101)의 새로방향 노출되는 출력단자(접속모듈의 제1단부)측에서 출력단자의 노출부분을 차단하는 안전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모듈(10)은 크게 접속단자(11)와, 연결부재(12)와, 결합부재(13), 통전용 체결부재(14)와, 링형 너트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1)는 양단부중 어느 한 단부측에 제1단부(111)를 형성하고, 양단부중 다른 단부측은 제2단부(1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사이는 소정 폭을 갖는 판상의 면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그 사이의 판면에는 수개의 결합용 리벳공(114)들이 천공될 수 있다.
제2단부(112)측으로는 접속용 연결공(113)을 형성하되, 상,하면에 경사면(112a)를 형성하고, 이 경사면(112a)사이의 단부는 선단면(112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단부(112)는 접속홀(124)로 삽입함에 용이한 곡면부(112c)로서 매끄러운 삽입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2)는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124)을 형성하도록 상방에서 덮여져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121)와, 접속단자(11)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124)을 형성하도록 하방에서 받쳐져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122)로 이루어진다.
제1,제2연결부재(121)(122)는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는 양측연부(121a)(122a)와 체결홀(123)과, 결합홀(125)을 형성하고, 그 전,후단은 개방단(124a)(124b)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개방단(124a)(124b)은 제1,제2연결부재(121)(122)가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를 가운데 두고, 상,하방향에서 대응하여 결합홀(125)을 관통하여 결합부재(13)를 결합함으로써 접속홀(124)을 형성할 수 있다.
접속홀(124)의 깊이는 접속단자(11)의 제2단부(112)가 삽착,체결되도록 제1단부(111)와 제2단부(112)가 50%의 삽착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통전용 체결부재(14)는 연결부재(12)의 체결홀(123)과 접속단자(11)의 제1단부(111)의 체결공(113)을 관통하여 바닥함체(103)에 매입 설치된 링형 너트부재(15)에 고정 설치된다.
통전용 체결부재(14)는 제1연결부재(121)와 제2연결부재(122)의 체결홀(123)을 관통하는 스템부(142)과, 이 체결홀(123)에 걸려지지되는 헤드부(141)로 이루어진다.
링형 너트부(15)는 상기 체결부재(14)의 스템부(142)가 나사맞춤되는 나사홀(151)을 형성하고, 그 외연부는 사각형의 연부를 이룬다.
링형 너트부(15)는 하부 하우징(103)의 외곽연부를 따라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체결홈부(103a)에서 상부가 노출되도록 매입,고정된다.
체결홈부(103a)에 고정된 링형 너트부(15)에 통전용 체결부재(14)의 스템부(142)가, 제1연결부재(121)의 체결홀(123), 접속단자(11)의 체결공(113) 및 제2연결부재(122)의 체결홀(123)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홈부(103a)의 링형너트부(15)나사홀(151)에서 나사맞춤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도면중 도 11과, 도 12a,도 12b 및 도 12c,도 12d들에 따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접속부 안전커버는 하우징(1)과, 접속모듈(10)과 안전커버(50)으로 이루어진다.
안전커버(50)는 다시 전면커버부(51)와,상면커커부(52)와,체결홀 커버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51)는 전면의 수개 접속홀(124)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면커버부(52)는 전면커버부(51)에서 직각 절곡되고 판면에 안착홀부(54)를 교호로 형성하여 포크형으로 돌출된다. 이 안착홀부(54)는 상부 하우징(101)의 재치턱부(101a)에 안착되도록 재치면(54a)을 형성한다.
따라서 안착홀부(54)를 교호로 형성한 상면커버부(52)가 포크형으로 상부 하우징(101)의 전면측의 재치턱부(101a)에서 재치면(54a)가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재치되어 삽착된다.
특히, 도 12c와 12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치턱부(101a)로의 삽착시에는 전면커버부(52)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홀 커버부(53)가 하향 돌출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접속모듈(10)의 제1,제2연결부재(121)(122)에 형성된 체결홀(123)을 관통하여 안전하게 밀착지지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체결홀(123)에 체결부재(14)가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전커버(50)의 구조는 상면커버부(52)하방의 체결홀 커버부(53)가 제거된 형태로서 안착홀(53a)만 형성된 형태로서 체결부재(14)의 헤드부(141)를 밀착할 수 있는 구조로 실시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를 형성하는 하우징(1)들의 연결이 없는 노출단자로 인하여 도전성 부재와의 의도하지 않은 접촉, 작업자의 접촉,및 분전반 오픈 상태에서의 빗물등에 의한 합선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3은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a,도 14b는 본 발명 분전반의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접속상태의 요부 확대도와, 확대된 요부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하우징 정렬 접속구조는 크게 상기 접속홀더부(60)는,암합접속홈부(61)와, 숫합접속돌부(62)로 구분할 수 있다.
숫합접속돌부(62)는 하우징(1)의 전단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1)의 전단측에 돌설된 연결대(63)에서 선단부(62a)를 뾰족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간격("c")을 두고 나란하게 탄력적으로 병설된다.
암합 접속부재(61)는 하우징(1)의 후단부 양측에 요입 형성되어 숫합접속돌부(62)의 삽착으로 서로 결합되어 하우징(1)들을 수직,수평 정렬시키도록 요입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 접속홀더부(60)는 수개의 하우징(1)들을 연속하여 수직방향으로 접속 할 수 있게 된다.
도 13도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접속홀더부(60)의 구현으로 하우징(1)들의 수직방향 연결상태가 바르게 정렬되는 효과를 얻는다.
즉, 도 1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기하우징(3) 및 추가 하우징(4)의 내측으로 두개의 연속하는 하우징(1)의 연결상태를 원형 라인"A"로 도시하고 있고, 이 원형 라인 "A"을 확대한 도 14b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같이 숫합 접속돌부(62)는 암합 접속홈부(61)의 입구부에서 간격("c")을 두고 뾰족하게 돌출된 선단부(62a)를 삽입하게 되면 간격이 좁혀짐과 아울러 선단부(62a)가 오므라들면서 삽착이 이루어지고 하우징(1)후단부측에서 상방으로 개구되면서 내측으로 요입되어 홈형태를 형성한 암합접속홈부(61)의 내측 턱부(61a)에서 걸리게 된다. 혹은 하우징(1) 상방에서 하방으로 개구된 암합접속홈부(61)측으로 눌러서 끼워 놓을 수 있다.
분리시에는 개구된 암합접속홈부(61)의 하우징(1)상면에서 노출된 숫합접속돌부(62)의 두개 탄편(62b)을 오므려 빼면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접속홀더부(60)의 형성은 하우징(1)의 측면 혹은 분기하우징(3)의 측면등에 형성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측면 방향의 정렬을 위한 연속 연결시에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2: 메인 차단기,
2a: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 3: 분기 차단기,
3a: 분기 차단기용 접속단자, 4:추가 출력용 차단기, 41: 부스바 접속단자,
411:제1출력단자, 412:제2출력단자, 100:하우징, 101: 상부 하우징,
103: 하부 하우징, 103a: 체결홈부, 10: 접속모듈, 11:접속단자,
111:제1단부, 112:제2단부, 113:연결공,12:연결부재, 121:제1연결부재,
121a:양측연부, 122:제2연결부재, 122a:양측연부, 123:체결홀,
124:접속홀, 124a,124b:개방단, 125:결합홀, 13:결합부재,
14:통전용 체결부재, 141:헤드부, 142:스템부, 15:링형 너트부재,
20: 높이 조절지지대, 201:제1면, 202:제2면, 21,23:제1,제2결합홈,
22,24: 제1,제2결합돌기, 30: 회동커버, 31:회동면부, 32:힌지축,
32a:발성돌기, 33:멈춤돌기,34:제1면부, 35:제2면부, 37:힌지축홈,
38:슬립요부,39:각도고정홈부, 391:제1홈,392:제2홈, 111:제1단부,
112:제2단부, 112a:경사면, 112b:선단면, 112c:곡면부, 113: 접속용 연결공,
114:결합용 리벳공, 50:안전커버, 51:전면커버부, 52:상면커버부,
53:체결홀 커버부, 54:안착홀부, 54a:재치면, 60:접속홀더부,
61:압합접속홈부, 61a:턱부, 62:숫합접속돌기.62a:선단부, 62b:탄편,

Claims (5)

  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배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접속모듈;
    상기 접속모듈에 체결되어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분기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의 서로 다른 단자높이에 따라 결합홈들이 형성되는 높이 조절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지지대는,
    상기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의 제1단자의 높이에 맞도록 제1면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 및
    부스바 접속단자의 제2단자의 높이에 맞도록 제2면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과 제2결합돌기;
    를 포함하여,
    제1단자의 높이에는 제1면의 제1결합홈,제2결합돌기들을 설치하고,제2단자의 높이에서는 제2면의 제2결합홈과 제2결합돌기들이 위치하도록 제1면과 제2면의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2.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상부를 보호하는 상부 하우징과,상기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의 하부를 지지,보호하는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에서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접속모듈;
    상기 접속모듈에 체결되어 메인 차단기의 전원을 분기 차단기로 분배하는 접속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 접속모듈의 제1단부가 노출되는 재치턱부에 안착되어 접속모듈의 제1단부의 접속홀을 커버하는 안전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커버는,
    전면의 수개 접속홀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진 전면커버부;
    상기 전면커버부에서 직각 절곡되고 판면에 안착홀부를 교호로 형성하여 포으크형으로 돌출되는 상면커버부;및
    상기 상면커버부의 직하방으로 체결부재의 헤드부를 밀착 커버하는 체결홀 커버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모듈은,
    제1단부와, 제2단부를 형성하고, 이 제1단부와 제2단부사이는 소정 폭을 갖는 판상의 면으로 길이 방향 연장되고, 그 사이의 판면에는 리벳 결합공들,연결공이 형성된 접속단자;
    상기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의 제2단부가 접속,통전되는 접속홀을 형성하도록 상,하방에서 덮여져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제2연결부재는 각각 대응하는 양측연부, 접속홀을 형성하는 개방단, 체결홀, 결합홀을 형성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홀과, 상기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의 리벳 결합홀들을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접속홀에 상기 메인 차단기용 접속단자의 제2단부를 삽입하고 이 제2단부의 연결공과 상,하 체결홀들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통전용 체결부재;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체결홈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전용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들과,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체결,고정되는 링형 너트부재;
    를 포함하는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130697A 2021-10-01 2021-10-0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KR10238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697A KR102389978B1 (ko) 2021-10-01 2021-10-0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PCT/KR2022/009244 WO2023054854A1 (ko) 2021-10-01 2022-06-28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JP2023561107A JP2024513433A (ja) 2021-10-01 2022-06-28 分電盤用電源分配装置
CN202280017824.2A CN117157846A (zh) 2021-10-01 2022-06-28 配电盘用电源分配装置
US18/482,177 US20240079859A1 (en) 2021-10-01 2023-10-06 Power distribution device for distribution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697A KR102389978B1 (ko) 2021-10-01 2021-10-0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978B1 true KR102389978B1 (ko) 2022-04-22

Family

ID=8145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697A KR102389978B1 (ko) 2021-10-01 2021-10-01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9978B1 (ko)
CN (1) CN1171578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54A1 (ko) * 2021-10-01 2023-04-06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KR102595685B1 (ko) * 2023-02-13 2023-10-30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KR102604956B1 (ko) 2023-06-01 2023-11-22 진흥전기 주식회사 블록식 전원분배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97B1 (ko) 2004-12-13 2007-08-10 박기주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KR20070106054A (ko) 2006-04-28 2007-11-01 안광현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080030417A (ko) * 2006-09-30 2008-04-04 (주)푸른전기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KR100942605B1 (ko) * 2009-06-18 2010-02-16 주식회사 대륙 조립식 분전반
KR20110042777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전오전기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커버
KR101055421B1 (ko) 2009-06-24 2011-08-09 오석환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KR101176626B1 (ko) 2012-05-09 2012-08-23 전영국 컴팩트 분전반
KR20160024571A (ko) * 2014-08-26 2016-03-07 코리아알프스(주) 블록형 전원 분배장치
KR20170142076A (ko)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경신 전원분배장치
KR101899350B1 (ko) * 2017-06-05 2018-09-17 강성근 단자대 조립체
KR20190047177A (ko) * 2017-10-26 2019-05-08 김영갑 일체형 고정식 단자대 모듈
KR102004696B1 (ko) 2017-06-14 2019-07-29 엘씨파워코리아(주) 차단기가 적층되는 전원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97B1 (ko) 2004-12-13 2007-08-10 박기주 초박형 속결구조 디지털 분전반
KR20070106054A (ko) 2006-04-28 2007-11-01 안광현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080030417A (ko) * 2006-09-30 2008-04-04 (주)푸른전기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KR100942605B1 (ko) * 2009-06-18 2010-02-16 주식회사 대륙 조립식 분전반
KR101055421B1 (ko) 2009-06-24 2011-08-09 오석환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KR20110042777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전오전기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커버
KR101176626B1 (ko) 2012-05-09 2012-08-23 전영국 컴팩트 분전반
KR20160024571A (ko) * 2014-08-26 2016-03-07 코리아알프스(주) 블록형 전원 분배장치
KR20170142076A (ko)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경신 전원분배장치
KR101899350B1 (ko) * 2017-06-05 2018-09-17 강성근 단자대 조립체
KR102004696B1 (ko) 2017-06-14 2019-07-29 엘씨파워코리아(주) 차단기가 적층되는 전원분배장치
KR20190047177A (ko) * 2017-10-26 2019-05-08 김영갑 일체형 고정식 단자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54A1 (ko) * 2021-10-01 2023-04-06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KR102595685B1 (ko) * 2023-02-13 2023-10-30 태성전기산업주식회사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KR102604956B1 (ko) 2023-06-01 2023-11-22 진흥전기 주식회사 블록식 전원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7846A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978B1 (ko)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KR102389977B1 (ko) 분전반용 전원 분배장치
AU2010254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and removal of fans while in operation and without the need for tools
CN109904812B (zh) 一种安全型母线槽数字系统
MX2008011379A (es) Conjunto de empalme de barra colectora.
US20090109606A1 (en) Bus bar block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KR101167575B1 (ko)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20100104126A (ko) 엘이디 표시장치
KR100981271B1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200197166Y1 (ko) 쉴드유니트 장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US6129595A (en) Three phase sub feed lug accessory
JP2024513433A (ja) 分電盤用電源分配装置
US20100226113A1 (en)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CN109616963A (zh) 用于电池包的定位支座和具有其的电池包
KR102295147B1 (ko)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JP2003284211A (ja) 分電盤
CN210379236U (zh) 一种电池模组极耳支架结构
CN203698141U (zh) 车辆及其电器模块安装支架
KR101576611B1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CN220337205U (zh) 一种固定组件以及光伏板总成
KR200496827Y1 (ko) 모듈형 고정장치를 구비한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