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150B1 -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 Google Patents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150B1
KR101135150B1 KR1020110127762A KR20110127762A KR101135150B1 KR 101135150 B1 KR101135150 B1 KR 101135150B1 KR 1020110127762 A KR1020110127762 A KR 1020110127762A KR 20110127762 A KR20110127762 A KR 20110127762A KR 101135150 B1 KR101135150 B1 KR 10113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 lever
live wire
liv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일
Original Assignee
선우기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우기전 (주) filed Critical 선우기전 (주)
Priority to KR102011012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1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26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 H01H31/32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with movable contact that remain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line in open position of switch with rectilinearly-movable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에 설치되어 메인차단기에 연결된 모선과 각 분기차단기에 연결된 활선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모선과 활선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레버와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스위치 및 상기 승강스위치 하부에 결합되는 도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메인차단기의 무정전 상태에서 분기차단기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MULTILAYER TYPE MODULE KIT}
본 발명은 분전반에서 메인차단기의 모선과 여러 분기차단기의 활선 사이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여러 부하로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며 4개의 모선(A)이 연결되는 메인차단기(1); 상기 모선의 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모선과 2~3의 활선(B)이 연결되는 분기차단기(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기차단기는 필요에 따라 용량을 변경하거나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모선과 활선은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통상 볼트로 체결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분기차단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풀어 모선으로부터 활선을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감전 및 쇼트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차단기를 교체시에는 반드시 메인차단기를 차폐하여 무정전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분전반에서는 모선으로부터 활선을 풀거나 조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상(Phase)의 불평형 개선이 복잡하고, 차단기 추가 설치나 용량 변경 등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메인차단기를 차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든 분기차단기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상기 모선과 활선 사이의 연결 및 분리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활선에 "U" 형 접촉부를 형성하거나 집게형 접촉부를 형성하기도 하나 이 경우 진동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분전반에 진동이 발생시 접촉점이 떨어졌다 붙었다를 반복하여 전원의 분배가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정전 상태에서 메인차단기의 모선과 분기차단기의 활선을 안전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선을 수직 적층 방식으로 설치하여 모선과 활선 사이의 연결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선과 활선의 연결 및 분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선과 활선의 연결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모듈 사이에 활선의 스파크로 인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모듈 사이에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은 분전반에 설치되고, 메인차단기에 연결된 모선과 각 분기차단기에 연결된 활선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활선의 일측 단부가 올려져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활선의 타측 단부가 올려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다수개의 모선이 올려지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슬롯을 요입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슬롯 중 어느 하나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모선과 활선의 단부가 마주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하되, 일정거리 내에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하는 슬라이드레버;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하부에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스위치; 및 상기 승강스위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대응하는 높이의 안착부와 슬롯 위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에 따라 상기 활선과 모선 사이의 접촉을 통해 전기를 차폐하도록 형성된 도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저면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배부; 상기 승강스위치의 상면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머리부; 및 상기 승강스위치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스위치를 밀어 올리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버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부가 상기 승강스위치의 머리부를 눌러 하강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스위치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전판을 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승강스위치로부터 상기 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레버는 배부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위치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스위치는 머리부 중심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구를 관통하여 위치고정홈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다수개의 슬롯에 대응하여 안착부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하고, 상기 활선은 일측 단부가 결합부에 올려지면서 타측 단부가 상기 높이가 다른 각 안착부에 올려지도록 각각의 높이로 절곡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된다.
상기 다수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수단은 제1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 지점을 각각 전후로 관통하는 제1 결합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결합구의 전후 단부에는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와 너트가 은폐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마감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은 상부에 상기 슬라이드레버가 이동시 출입하는 이동홈; 및 하부에 상기 활선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분기차단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일측에 마감판을 결합하는 수단은 제2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마주하여 상기 제2 볼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 상에는 상기 제2 너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하여 제2 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차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에는 상기 차단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레버가 타측으로 이동시 가려지도록 단턱을 형성하면서, 상기 단턱 위에 전원 off 상태를 확인하는 제1 식별표시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의 이동홈 상단에는 전원 on 상태를 확인하는 제2 식별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식별표시가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표시창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메인차단기의 무정전 상태에서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분기차단기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모선과 활선 사이의 연결 공간을 줄여 분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모선과 활선의 연결 및 분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모선과 활선의 연결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스파크로 인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에 의하면 모듈의 조립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분전반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요부를 작동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요부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요부 타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을 도시한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은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에 설치되어 메인차단기(1)에 연결된 모선(A)과 각 분기차단기(2)에 연결된 활선(B)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모선과 활선이 안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레버(200)와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스위치(300) 및 상기 승강스위치 하부에 결합되는 도전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 하부에 상기 활선(B)의 일측 단부가 올려져 결합되는 결합부(110)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활선(B)의 타측 단부가 올려지는 안착부(120)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다수개의 모선(A)이 올려지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슬롯(130)을 요입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120)는 상기 슬롯(130) 중 어느 하나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모선(A)과 활선(B)의 단부가 마주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에 하나의 활선(B)이 올려져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타측에는 예를 들어 4개의 모선(A)이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때, 상기 하나의 활선(B)은 4 개의 모선 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안착부(120)가 최상부의 슬롯(130)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으로부터 상기 최하부의 슬롯과 나란하게 형성된 것까지 4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110)는 상기 결합된 활선(B)의 일측 단부를 상기 분기차단기(2)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 분기차단기(2)의 높이에 대응하여 하부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안착부(120) 상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드레버(200)와 승강스위치(300)를 설치하도록 하되, 실시 예로서 전후 벽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레버(200)를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승강스위치(300)가 승강하도록 형성되면서 후술하는 스프링(330)이 지지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투명 재질로 형성할 경우 그 내부에 모선(A)과 활선(B)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레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하되 일정거리 내에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레버(200)는 일측과 타측 사이의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승강스위치(300)를 눌러 도전판(400)이 모선(A)과 활선(B)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레버(200)는 실시 예로서 저면에 곡면 형태로 돌출된 배부(210)가 형성됨으로써, 타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배부가 승강스위치(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강스위치(300)의 머리부(310)를 누르고 일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배부(210)가 승강스위치(300)로부터 이탈하여 눌렸던 승강스위치(300)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스위치(300)는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승강스위치(300)는 하우징(100)에 의해 설치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에 의해 승강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스위치(300)는 실시 예로서 상면에 곡면 형태로 돌출된 머리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310)는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배부(210)와 대응하여 밀착되면서 승강스위치(300)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도전판(400)을 결합하기 위한 다리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320)는 상기 승강스위치(300)로부터 상기 안착부(12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도전판(400)이 안착부(120)와 대응하는 슬롯(130) 위에 근접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리부(320)는 안착부(120)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승강수단은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배부(210)와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머리부(310)와 함께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스위치(300)를 밀어 올리는 스프링(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부(210)가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머리부(310)를 눌러 하강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부(210)가 승강스위치(300)의 머리부(310)로부터 이탈하면서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다.
상기 도전판(400)은 상기 승강스위치(300) 하부 예를 들어 상기 다리부(32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대응하는 높이의 안착부(120)와 슬롯(130) 위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스위치(3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활선과 모선 사이의 접촉을 통해 전기가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레버(200)는 배부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위치고정구(220)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스위치(300)는 머리부(310) 중심에 위치고정홈(340)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구(220)를 관통하여 위치고정홈(34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500)는 슬라이드레버(200)를 이동시켜 승강스위치(300)를 누른 상태에서 곡면 형태의 배부(210)와 머리부(310)가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슬라이드레버(200)를 이동하여 상기 승강 스프링(300) 사이에 상기 배부(210)와 머리부(310)의 하사점과 상사점이 맞닿은 상태에서 일치하는 위치고정구(220)와 위치고정홈(340)을 통해 고정볼트(500)로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다수개의 슬롯(130)에 대응하여 안착부(120)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하고, 상기 활선(B)은 일측 단부가 결합부(110)에 올려지면서 타측 단부가 상기 높이가 다른 각 안착부(120)에 올려지도록 각각의 높이로 절곡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은 4개의 모선에 4 개의 활선이 각각 결합되도록 4개의 하우징이 구비되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수개의 하우징(100)을 결합하는 수단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와 하부 지점을 각각 전후로 관통하는 제1 결합구(140)를 형성하되, 상기 제1 결합구(140)의 전후 단부에는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와 너트가 은폐되도록 수용홈(15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을 제1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조립할 경우 상기 수용홈(150)에 의해 제1 볼트의 머리와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른 하우징(100)을 설치시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마감판(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판(600)은 상기 활선(B)과 도전판(400) 및 승강스위치(300)를 커버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마감판(600)의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이동시 출입하는 이동홈(6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활선(B)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어 상기 분기차단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6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된 하우징(100)의 일측에 마감판(600)을 결합하는 수단은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된 하우징(100)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마주하여 상기 제2 볼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1 결합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160) 상에는 상기 제2 너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2 결합홈(170)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600)에는 상기 제1 결합홈(160)에 대응하여 제2 결합구(6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개의 하우징(100)을 제1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마주하는 제2 결합홈(170)에 제2 너트를 끼워넣고, 이후 마감판(600)을 조립된 하우징(100)의 일측에 대고 제2 볼트를 이용하여 제2 결합구(630)와 제1 결합홈(160)을 통해 제2 너트와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된 하우징(100)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차단홈(180)이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600)에는 상기 차단홈(180)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차단돌기(64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차단홈(180)과 차단돌기(640)는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하우징(100) 내부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 하우징(100)과 마감판(600) 사이의 틈을 통해 이웃하는 하우징(1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타측으로 이동시 가려지도록 단턱을 형성하면서, 상기 단턱 위에 전원 off 상태를 확인하는 제1 식별표시(190)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600)의 이동홈(610) 상단에는 전원 on 상태를 확인하는 제2 식별표시(650)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식별표시(650)가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표시창(23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선과 활선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표시창(230)을 통해 그 하부의 제2 식별표시(650)가 노출됨으로써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선(A)과 활선(B)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식별표시(190)가 노출됨으로써 전원이 차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완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슬라이드레버(200)와 승강스위치(300)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메인차단기(1)를 닫지 않은 무정전 상태에서 해당하는 분기차단기(2)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선을 상하로 적층하기 때문에 기존에 좌우로 나열하는 형태보다 공간을 줄여 분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제1,2 식별표시(190, 650)를 통해 모선과 활선의 연결 및 분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고, 고정볼트(500)를 이용하여 모선과 활선의 연결된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우징(100)과 마감판(600) 사이의 차단홈(180)과 차단돌기(640)를 통해 스파크로 인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고, 제1,2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조립 설치가 더욱 간편하게 된다.
100: 하우징 110: 결합부
120: 안착부 130: 슬롯
140: 제1 결합구 150: 수용홈
160: 제1 결합홈 170: 제2 결합홈
180: 차단홈 190: 제1 식별표시
200: 슬라이드레버 210: 배부
220: 위치고정구 230: 표시창
300: 승강스위치 310: 머리부
320: 다리부 330: 스프링
340: 위치고정홈
400: 도전판
500: 고정볼트
600: 마감판 610: 이동홈
620: 연결구 630: 제2 결합구
640: 차단돌기 650: 제2 식별표시

Claims (9)

  1. 분전반에 설치되고, 메인차단기에 연결된 모선과 각 분기차단기에 연결된 활선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되,
    일측 하부에는 상기 활선의 일측 단부가 올려져 결합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기 활선의 타측 단부가 올려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타측에는 다수개의 모선이 올려지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슬롯을 요입 형성하되, 상기 안착부는 상기 슬롯 중 어느 하나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하여 상기 모선과 활선의 단부가 마주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하되, 일정거리 내에서 일측과 타측 사이를 이동하는 슬라이드레버;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하부에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이동에 따라 승강하도록 형성된 승강스위치; 및 상기 승강스위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대응하는 높이의 안착부와 슬롯 위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에 따라 상기 활선과 모선 사이의 접촉을 통해 전기를 차폐하도록 형성된 도전판;
    상기 승강스위치의 전면에 형성되어 도전판을 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승강스위치로부터 안착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된 다리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수단은,
    슬라이드레버의 저면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배부;
    승강스위치의 상면에 형성된 곡면 형태의 머리부; 및
    상기 승강스위치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승강스위치를 밀어 올리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레버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배부가 상기 승강스위치의 머리부를 눌러 하강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레버는 배부 중심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된 위치고정구가 형성되고, 승강스위치는 머리부 중심에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고정구를 관통하여 위치고정홈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다수개의 슬롯에 대응하여 안착부의 높이가 각각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하고,
    활선은 일측 단부가 결합부에 올려지면서 타측 단부가 상기 높이가 다른 각 안착부에 올려지도록 각각의 높이로 절곡된 다수개를 구비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는 수단은,
    제1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 지점을 각각 전후로 관통하는 제1 결합구를 형성하되, 상기 제1 결합구의 전후 단부에는 상기 제1 볼트의 머리와 너트가 은폐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일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마감판; 상기 마감판은 상부에 상기 슬라이드레버가 이동시 출입하는 이동홈; 및
    하부에 활선의 일측 단부가 노출되어 분기차단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일측에 마감판을 결합하는 수단은, 제2 볼트/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마주하여 상기 제2 볼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 상에는 상기 제2 너트가 끼워지도록 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대응하여 제2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하우징의 전후 단부 사이에는 차단홈이 형성되고, 마감판에는 상기 차단홈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는 차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슬라이드레버가 타측으로 이동시 가려지도록 단턱을 형성하면서, 단턱 위에 전원 off 상태를 확인하는 제1 식별표시가 형성되고, 마감판의 이동홈 상단에는 전원 on 상태를 확인하는 제2 식별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식별표시가 노출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표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KR1020110127762A 2011-12-01 2011-12-01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KR10113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62A KR101135150B1 (ko) 2011-12-01 2011-12-01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762A KR101135150B1 (ko) 2011-12-01 2011-12-01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150B1 true KR101135150B1 (ko) 2012-04-16

Family

ID=4614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762A KR101135150B1 (ko) 2011-12-01 2011-12-01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1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2015748B1 (ko) * 2019-01-18 2019-08-28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분전반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948Y1 (ko) 2001-08-04 2001-11-22 김세호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20030043839A (ko) * 2003-04-25 2003-06-02 김선배 조립식 분전반
KR100566662B1 (ko)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948Y1 (ko) 2001-08-04 2001-11-22 김세호 발전소 등의 통전표시기용 장착구
KR20030043839A (ko) * 2003-04-25 2003-06-02 김선배 조립식 분전반
KR100566662B1 (ko) 2005-07-20 2006-03-31 김선배 조립식 분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2015748B1 (ko) * 2019-01-18 2019-08-28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분전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0247B (zh) 用于低压开关设备的适配器装置
KR101553946B1 (ko) 배선용 차단기
CN104600528B (zh) 电源分配装置
US8134828B2 (en) Configurable deadfront fusible panelboard
KR101167575B1 (ko)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US11670899B2 (en) Current bar module and corresponding connection module
KR101886116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CN101015103B (zh) 具有一可用插头接触的开关单元的开关装置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KR100767400B1 (ko) 조립식 분전반
KR200472221Y1 (ko)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KR20200120380A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JPS639344B2 (ko)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KR100965566B1 (ko) 공동주택의 온,오프제어 스위치형 배전함
KR102362811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149477B1 (ko)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TWI448027B (zh) 配線用電氣設備
US20210381682A1 (en) Luminaire connection and luminaire strip
KR102094749B1 (ko) 전원분배장치
RU262875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разъем
JP2003284211A (ja) 分電盤
CN104953419A (zh) 断路器热插拔连接器
KR200449732Y1 (ko)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