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16B1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16B1
KR101886116B1 KR1020180027245A KR20180027245A KR101886116B1 KR 101886116 B1 KR101886116 B1 KR 101886116B1 KR 1020180027245 A KR1020180027245 A KR 1020180027245A KR 20180027245 A KR20180027245 A KR 20180027245A KR 101886116 B1 KR101886116 B1 KR 10188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using
lever
branch
connection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렬
Original Assignee
이노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으로, 리프터의 훅 형상부에 결속되고 분기 부스바 상에 위치고정된 리브 단자를 레버의 회동 조작을 통해 상하이동하는 리프터에 종속되어 리브 단자의 자유단을 풀림 위치 또는 조임 위치로 변위시켜 하우징의 슬롯부 상에 배치된 모선 부스바와 하우징의 수평안착대에 배치된 분기 부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 또는 분리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Lever type 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replacement}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의 모선 부스바에 교차하는 적층형 분기 부스바를 무정전(無停電) 상태, 즉 활선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부스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이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레버의 회동 조작을 수단으로 하여 상하이동하는 리프터를 통해 리브 단자의 자유단과 분기 부스바 사이의 이격 간극을 변위시켜 모선 부스바와의 전기적 접속/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여러 부하로 분전하는 배선 회로로서, 전원 측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메인 차단기와, 메인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되는 다수의 모선 부스바(busbar), 메인 차단기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 차단기, 및 모선 부스바로부터 전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해 모선 부스바와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기 부스바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는 R극, S극, T극의 3극(3상) 배선용 차단기, R극, S극, T극, N극의 4극(4상) 배선용 차단기, 또는 단상(단극) 2선식 배선 차단기일 수 있다.
종래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볼트를 통해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속는 경우, 볼트체결을 위한 탭(tap) 가공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정시 작업공수가 늘어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분기 차단기를 교체할 경우에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고정한 볼트를 풀어야 하는데 메인 차단기에 전원 공급을 차폐하지 않으면 감전 또는 쇼트 등의 위해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은 앞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즉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 사이에 스프링을 이용한 승강부재를 수단으로 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기능성 활선(분기 부스바) 교체 모듈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은 모선 부스바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수직 배열된 모선 부스바에 각 상별로 분기 부스바의 상별 접속을 완료하고, 분기 차단기와 분기 부스바 사이만 볼트 접속하여 분전반의 배선을 완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특허문헌 1은 캠레버(400)를 상측으로 세웠을 때 스프링(300)의 탄성력을 통해 승강부재(200)를 상승시켜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를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승강부재(200)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승강부재(200)에서 모선 부스바(A)와 접촉되는 부분(이하, '접촉부'라 한다)이 내려오는 거리는 캠레버(400)의 외경부 형상 설계에 따라 정해져 있고 달리 완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없다.
따라서 승강부재(200)의 접촉부가 모선 부스바(A)의 상면을 누르기 위해 내려 올 때는, 견고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거리만큼 정확히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어, 내려오는 거리가 설계보다 약간 작거나 모선 부스바(A)의 두께가 설계보다 약간 작으면, 승강부재(200)의 접촉부가 제대로 모선 부스바(A)에 접촉되지 안거나 접촉력이 약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모선 부스바(A)의 두께, 분기 부스바(B)의 두께 및 승강모듈(200)의 크기 등에 있어서 허용되는 공차가 작아서 각 부품들이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575호
본 발명은 간단한 레버 조작을 통해서 메인 차단기의 모선 부스바에서 분기 부스바를 무정전 상태 하에서 안정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허용 공차가 큰 분전반용 부스바 접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선 부스바와의 확실한 접촉을 보장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분전반용 부스바 접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모선 부스바의 인입을 돕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슬롯부와, 제1 하우징의 내측면과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한쌍의 돌기부를 구비한 하우징과;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와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을 갖춘 캠부와 손잡이부를 구비한 레버; 한쌍의 돌기부 사이의 이격 간격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상단부에 제1 결합공을 형성한 길이부와 이 길이부의 하단부에 배치된 훅 형상부를 구비한 리프터; 고정단과, 슬롯부에 인접하게 고정단과 이격 배치된 자유단, 및 고정단과 자유단을 연결하고 훅 형상부의 관통을 허용하는 제1 및 제2 수용홈을 형성한 굴곡부를 구비한 리브 단자; 레버의 제2 결합공과 리프터의 제1 결합공에 삽통되는 고정핀; 및 슬롯부에서 하우징의 안내공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분기 부스바;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리브 단자의 고정단은 분기 부스바 상에 위치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굴곡부는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상으로 만곡되되, 이의 피크 부분에 스템부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수용홈을 형성하는 한편, 자유단 측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져 있는 전방 경사면에 제2 수용홈을 형성할 수 있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스템부의 폭을 길이부의 하단부 폭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수용홈의 개방 폭을 스템부의 폭 이상이고 길이부의 하단부 폭 미만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면에 걸림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한편, 손잡이부는 내부 영역에 걸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분기 부스바는 일측 단부를 수평 안착대와 한쌍의 돌기부 사이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브를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캠의 일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한쌍의 돌기부를 굴곡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훅 형상부는 길이부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스템부와 이 스템부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레버 조작을 통해서 메인 차단기의 모선 부스바로부터 분기 차단기 등을 무정전 상태 하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허용 공차가 큰 부스바 접속 키트를 제공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부품의 정밀도가 낮아도 되고 부품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레버의 회동을 통한 리프터의 승하강 이동으로 분기 부스바로부터 리브 단자의 자유단을 풀림과 조임 위치 사이의 이격 간극을 간단하게 변위시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며,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고 조립 공정이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브 단자의 고정단을 분기 부스바에 항상 위치고정시키고 리브 단자의 자체 탄성 변형을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하므로, 그 접촉의 신뢰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2개의 키트를 나란하게 배치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좌측에 배치된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부스바 접속 키트 내에 리브 단자와 최하단에 배열된 부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해체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요부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아래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풀림 위치로 회동된 레버로 인한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조임 위치로 회동된 레버로 인한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조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 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이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는 분전반의 메인 차단기에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모선 부스바(A)와 각각의 분기 차단기(1100) 사이, 구체적으로 모선 부스바(A)와 부기 부스바(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하는 구성부재이다.
분기 차단기(1100)는 메인 차단기(미도시)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일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1120)는 본 발명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분기 부스바(B)와 예컨대 나사결합 등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a,100b)의 전면으로 삽입된 다수의 모선 부스바(A)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분기 차단기(1100)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차단기의 차폐 없이도 각각의 분기 차단기(1100) 등을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 사이의 접속 및 분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메인 차단기를 차단하지 않은 무정전 상태 하에서도 일부 분기 차단기(1100) 등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키트이다.
모선 부스바(A)는 R극, S극, T극, 및 N극의 4극(4상)이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수직 적층배열되어 본 발명의 하우징(100)의 전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슬롯부(110)로 삽입되고, 본 발명은 레버(300)의 단순한 회동 조작을 통해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를 전기적으로 접속 상태 또는 분리 상태의 사이를 안전하게 스위칭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는 하우징(100;100a,100b)과,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는 분기 부스바(B), 레버(300), 리프터(400), 리브 단자(500), 및 고정핀(6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게 제1 및 제2 하우징(100a,100b;도 3 참조)으로 이루어지고, 절연성 재질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되었듯이, 제1 및 제2 하우징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하우징(100)의 전면은 상하방향으로 4개의 슬롯부(110)를 구비하고, 하우징(100)의 후면은 안내공(120)을 구비하는 한편, 하우징(100)의 상면은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관통공(130)을 구비한다. 덧붙여서,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걸림돌기(160)를 구비하는데, 걸림돌기(160)는 하우징(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슬롯부(1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간격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모선 부스바(A)의 인입을 허용한다.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안내공(120)을 형성하는데, 이 안내공(120)은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를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돕는다. 관통공(130)은 레버(300)의 회동에 종속되어 수직왕복이동하는 리프터(400;lifter)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하우징(100)은 전면 내측으로부터 내부공간을 향해 길이연장된 4개의 수평 안착대(170)를 구비하는데, 수평 안착대(170)는 슬롯부(110) 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안착대(170)의 일 단부는 도시되었듯이 하우징(100)의 전면 내측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수평 안착대(170)의 타 단부는 내부공간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는 수평 안착대(170)와 하우징(100)의 전면 내측으로 한정된 공간에 안착될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에 위치고정을 도와 불필요하게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는 수평 안착대(170)에 안착되는 한편 이의 타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안내공(120)을 관통해 외부, 예컨대 분기 차단기(1100)의 단자부(1120)와 전기연통가능하게 길이연장되도록 절곡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는 수평 안착대(170)와 한쌍의 돌기부(150a,150b)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분기 부스바(B)의 유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내부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돌기부(150;150a,150b)를 슬롯부(110)와 동일하게 4개를 배치할 수 있다. 한쌍의 돌기부(150)는 제1 하우징(100a)의 좌측면 내측에서 내부방향, 다시 말하자면 대향되게 배치된 제2 하우징(100b)을 향해 삼각기둥형상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제1 돌기부(150a)와 함께 제2 하우징(100b)의 우측면 내측에서 내부방향, 다시 말하자면 대향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을 향해 삼각기둥형상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제2 돌기부(150b)로 구성된다. 즉, 한쌍의 돌기부(150)는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부(150a,150b) 사이에 소정의 이격 간격을 제공하면서 상호 수평하게 배열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동일 높이에 배치되되, 각각의 수평 안착대(170)로부터 분기 부스바(B)의 두께 만큼 상측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덧붙여서, 좌우대칭되게 배치된 제1 돌기부(150a)와 제2 돌기부(150b) 사이의 이격 간격은 리프터(400)의 폭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게 이격되어 있어 4쌍의 돌기부(150) 사이에서 리프터(400)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허용할 수 있으면서 상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배치된 레버(300)에 고정핀(600)으로 고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으로 길이연장된 절연성 리프터(400)를 구비한다. 리프터(40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길이부(410)와 길이부(4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훅 형상부(420)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400)는 길이부(410)의 상단부에 제1 결합공(412)을 형성한다. 리프터(400)의 길이부(410)는 레버(300)의 제2 결합공(312)으로부터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4개의 모선 부스바(A) 중 접속될 하나의 모선 부스바와 전기연통될 리브 단자(500)까지 선택적으로 길이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훅 형상부(420)는 리프터(400)의 길이부(410)와 일체로 형성되되, 길이부(410)의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설치된 스템부(421)와 스템부(421)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훅부(422;hook)를 구비한다. 스템부(421)는 길이부(410)의 하단부 내부영역 내에 배치되는데, 스템부(421)의 폭(W421)이 길이부(410)의 하단부 폭(W410)보다 작은 크기를 갖추고 있어, 리프터(400)는 스템부(421)와 길이부(410)의 하단부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리브 단자(50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분기 부스바(B) 상에 전기연통가능하게 배치되되, 복수개의 굴곡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리브 단자(500)는 내부영역에 하나 이상의 제1 보어(511)를 형성한 편평한 형상의 고정단(510)과, 이 고정단(510)과 이격배치되는 자유단(520), 및 고정단(510)과 자유단(520)를 연결하는 굴곡부(530)를 구비한다. 리브 단자(500)는 슬롯부(110)를 통해 인입된 모선 부스바(A)와의 전기적 접촉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도록 자유단(520)을 슬롯부(100)에 인접하게 배치한다. 굴곡부(530)는 좌우대칭되게 배치된 한쌍의 돌기부(150)에 의해 굴곡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돌기부(150)의 형상과 대응되는 삼각형상으로 만곡되어 모선 부스바(A)를 분기 부스바(B) 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즉, 굴곡부(530)는 도시되었듯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브 단자(500)는 굴곡부(530)의 내부영역에 제1 및 제2 수용홈(531,532)을 형성한다. 제1 수용홈(531)은 훅 형상부(420)의 스템부(421)를 수용하여 관통을 허용하는 한편 제2 수용홈(532)은 훅 형상부(420)의 훅부(422)를 리브 단자에 걸쳐질 수 있게 돕는다. 리브 단자(500)는 레버(300)의 회동으로 상하이동하는 리프터(400)에 종속되어 자유단(520)의 풀림 위치와 조임 위치 간의 간격을 제공하게 된다. 리브 단자(500)는 금속성의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굴곡부(530)가 리프터(400)에 의해서 리프팅되어 고정단(510)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자유단(520)은 굴곡부(530)의 곡률 변화에 위한 탄발력을 매개로 하여 탄성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는 리브 단자의 자유단과 분기 부스바 사이에 간격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용홈(531)은 상방으로 볼록한 굴곡부(530)의 피크(peak) 부분에 천공되어 있는바, 전술된 바와 같이 스템부(421)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리프터(400)의 길이부(410)의 하단부의 관통을 불허한다. 즉, 제1 수용홈(531)의 개방 폭(W531)은 스템부(421)의 폭(W421)보다 크거나 동일하여 훅 형상부, 특히 스템부의 상하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1 수용홈(531)의 개방 폭(W531)은 길이부(410)의 하단부 폭(W410)보다 작은 크기를 갖춰 길이부(410)의 하단부에 하향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굴곡부(530)는 자유단(520)의 거동을 가능하게 돕는 휨 부위(다시 말하자면, 곡률 변화 부위)로서, 골곡부의 내부에 제1 수용홈(531)을 천공하고 있어 리프터(400)의 이동에 따라 쉽게 골곡부의 휨 정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수용홈(532)은 도시되었듯이 제1 수용홈(531)의 전방측, 다시 말하자면 자유단(520) 측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져 있는 전방 경사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 경사면(참조부호 없음)은 굴곡부(530)의 피크 부분과 자유단(520)을 상호 연결하는 경사면이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분기 부스바(B)는 하우징(100)의 수평 안착대(170)로부터 안내공(120)을 지나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기 부스바(B)는 수평 안착대(170) 상에 배치될 수평부에 하나 이상의 제2 보어(B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어(B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단자(5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보어(511)와 대응되는 수평부의 후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분기 부스바(B) 상에 리브 단자(500)의 고정단(510)을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은 리브 단자(500)의 제1 보어(511)와 분기 부스바(B)의 제2 보어(B1)에 삽입된 리벳(R;rivet)으로 리브 단자와 분기 부스바를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볼팅 방식, 용접 방식 등의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리브 단자(500)의 고정단과 분기 부스바(B)의 수평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하였듯이 리브 단자(500)의 고정단과 분기 부스바(B)를 상호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리브 단자(500)의 고정단과 분기 부스바(B)가 전기 연통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리브 단자(500)의 자유단(20)을 상하방향으로 변위 거동가능하게 하여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 간에 전기적 접속/분리를 보장할 수 있다.
절연성 레버(300)는 캠부(310;cam)와 손잡이부(320)로 구성된다. 캠부(310)는 손잡이부(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되는 부분에 편심될 수 있도록 캠부에서 돌출된 로브(310a;lobe)를 형성한다. 캠부(310)는 이의 중앙영역에 리프터(40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상부(311)를 형성하는 한편,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2)과 동일축선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폭방향으로 천공한다. 고정핀(600)이 레버(300)의 캠부(310)에 형성된 제2 결합공(312)과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2)에 삽입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손잡이부(3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려졌을 때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길이연장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졌을 경우에, 본 발명은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분기 차단기(1100)로 전원을 인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활성화 상황에서 분기 부스바(B)로부터 분기 차단기(1100)의 단자부(1120)를 탈거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의 작업 공구를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 즉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차단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320)의 길이를 통해 분기 부스바(B)와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의 체결부위를 덮어씌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레버(300)의 회동에 통해 하우징(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캠부(310)의 원호부 또는 로브(310a)를 통한 캠의 양정을 통해 레버(300)에 종속된 리프터의 수직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서, 손잡이부(320)는 내부 영역에 걸림홈(360)을 형성한다. 손잡이부(320)가 눌려졌을 때, 걸림홈(360)은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체결되어 레버(300)의 불필요한 상방향 회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손잡이(320)는 하면에 스토퍼(380)를 구비하는데, 구체적으로 관통공(130)과 걸림돌기(16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스토퍼(380)는 레버(300)의 불필요한 하방향 회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레버를 세웠을 때, 즉 풀림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이 레버(300)의 캠부(310) 중 로브(310a)와 접촉되면서, 리프터(400)는 캠의 양정(즉, 캠의 원호부와 로브 간의 높이차)만큼 상방으로 강제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터(400)의 하단부는 한쌍의 돌기부(150) 상에 안착된 리브 단자(500)의 굴곡부(530)로부터 이격되어 굴곡부(530)의 탄성 변형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프터(400)는 훅 형상부(420)의 훅부(422)를 탄성재질로 제작된 리브 단자(500)의 제2 수용홈(532)에 걸쳐지면서 결속되어 강제로 리브 단자(500)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데, 결과적으로 리브 단자(500)의 자유단(520)은 리프터(400)의 상방 이동에 따라 분기 부스바(B)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리프터(400)의 훅 형상부(420)에 의해 리브 단자(500)의 자유단(520)을 들어올려 모선 부스바(A)의 삽입과 탈거를 용이하게 한다.
도 6b는 레버를 눌렀을 때, 즉 조임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이 레버(300)의 캠부(310) 중 원호부와 접촉되면서, 리프터(400)는 캠의 양정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터(400)의 훅 형상부(420)는 리드 단자(500)의 제2 수용홈(532) 후방에 가해졌던 외력을 해제하는데, 결과적으로 리드 단자(50)의 자유단(520)은 분기 부스바(B)에 더 근접하게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리브 단자(500)의 자유단(520)과 분기 부스바(B) 간의 간극을 수축시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B) 및 리브 단자(500)의 신뢰할 수 있는 접촉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4개의 모선 부스바에 각 상별로 분기 부스바를 각각 결합하고 있는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서로 높이가 다른 4개의 슬롯부(110;도 1 참조)를 구비하고,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를 높이가 다른 슬롯부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 안착대(170;도 1 참조)에 거치하면서 타측 단부를 안내공으로 뻗어 나올 수 있도록 각각의 높이에 맞춰 절곡되어 있다. 각 하우징(100)에는 4개의 모선 부스바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기 위해 선택된 모선 부스바의 높이에 대응되게 절곡된 개별적인 분기 부스바를 배치하여 수직 배열된 모선 부스바에 각 상별로 분기 부스바의 상별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100 ----- 하우징,
300 ----- 레버,
400 ----- 리프터,
500 ----- 리브 단자,
600 ----- 고정핀,
1100 ----- 분기 차단기,
A ----- 모선 부스바,
B ----- 분기 부스바.
R ----- 리벳.

Claims (10)

  1. 삭제
  2.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모선 부스바(A)의 인입을 돕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슬롯부(110)를 포함하는 하우징(100);
    수직왕복이동가능하게 길이연장되는 길이부(410)와 상기 길이부(410)의 하단부에 배치된 훅 형상부(420)를 구비한 리프터(400);
    고정단(510)과 상기 고정단(510)과 이격 배치된 자유단(52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
    상기 슬롯부(110)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안내공(120)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 분기 부스바(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브 단자(500)의 고정단(510)은 상기 분기 부스바(B) 상에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리프터(400)의 훅 형상부(420)에 의해 상기 자유단(520)을 들어올려 상기 모선 부스바(A)의 삽입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며,
    상기 리브 단자(500)는 상기 고정단(510)과 상기 자유단(520)을 연결하고 상기 모선 부스바(A)를 상기 분기 부스바(B) 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만곡되며, 제1 및 제2 수용홈(531,532)을 형성한 굴곡부(53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훅 형상부(420)는 상기 제1 및 제2 수용홈(531,532)을 관통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100a)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쌍의 돌기부(150;150a,150b)를 구비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와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프터(400)의 길이부(410)는, 상단부에 제1 결합공(412)을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돌기부(150;150a,150b) 사이의 이격 간격 내에 있으며,
    고정핀(600)이 상기 레버의 제2 결합공(312)과 상기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2)에 삽통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530)는 피크 부분에 상기 훅 형상부(420)의 스템부(421)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 수용홈(53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굴곡부(530)는 상기 자유단(520) 측을 향해 하향되게 기울어져 있는 전방 경사면에 상기 제2 수용홈(532)을 형성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템부(421)의 폭(W421)은 상기 길이부(410)의 하단부 폭(W4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531)의 개방 폭(W531)은 상기 스템부(421)의 폭(W421) 이상이고 상기 길이부(410)의 하단부 폭(W410) 미만의 크기를 갖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에 걸림돌기(1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320)는 내부 영역에 걸림홈(360)을 추가로 구비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돌기부(150;150a,150b)는 상기 굴곡부(530)를 지지할 수 있게 삼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훅 형상부(420)는 상기 길이부(41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설치된 스템부(421)와 상기 스템부(421)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훅부(422)를 구비하는,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1020180027245A 2018-03-08 2018-03-08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886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45A KR101886116B1 (ko) 2018-03-08 2018-03-08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245A KR101886116B1 (ko) 2018-03-08 2018-03-08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116B1 true KR101886116B1 (ko) 2018-08-07

Family

ID=6325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245A KR101886116B1 (ko) 2018-03-08 2018-03-08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48B1 (ko) * 2019-01-18 2019-08-28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분전반 모듈
KR102046904B1 (ko) * 2019-01-31 2019-11-21 (주)에코파워텍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KR102149477B1 (ko)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WO2023132390A1 (ko) * 2022-01-07 2023-07-13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저압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200472221Y1 (ko) * 2014-01-20 2014-04-10 (주)세진전기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KR101670011B1 (ko) * 2016-07-20 2016-11-09 김기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200472221Y1 (ko) * 2014-01-20 2014-04-10 (주)세진전기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KR101670011B1 (ko) * 2016-07-20 2016-11-09 김기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748B1 (ko) * 2019-01-18 2019-08-28 근우이엔비 주식회사 분전반 모듈
KR102046904B1 (ko) * 2019-01-31 2019-11-21 (주)에코파워텍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WO2020158993A1 (ko) * 2019-01-31 2020-08-06 (주)에코파워텍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EP3920349A4 (en) * 2019-01-31 2022-10-05 Ecopowertech Co., Ltd. EASY TO INSTALL ASSEMBLY TYPE DISTRIBUTION PANEL
KR102149477B1 (ko)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WO2023132390A1 (ko) * 2022-01-07 2023-07-13 (주)에코파워텍 조립식 저압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16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670011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20037647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US6663441B1 (en) Electric switch appliance and quick-assembly
US20040118667A1 (en) Switch interlock apparatus
EP1290759B1 (de) Anschlussklemme
US7298606B2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remote operated and non-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s with an electrical panel
US20110100787A1 (en) Sequenced Separately-Derived Transfer Switch Capable Of Switching A Load Between A Pair Of Power Supplies Without Introducing Open Neutral Switching Transients
CN104823327A (zh) 具有能量总线系统的串联模块装置
US20070125635A1 (en) Multi-functional, flush-fitting electrical mechanism
EP3920349A1 (en) Easily installable assembly-type distribution board
CN101015103B (zh) 具有一可用插头接触的开关单元的开关装置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1167575B1 (ko)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200472221Y1 (ko)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JP2003532992A (ja) 導体レールの接続器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200474390Y1 (ko) 전동기 제어반용 플러그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7549878B2 (en) Retention of replaceable subassemblies, with automatic forced disconnection
KR100909458B1 (ko) 분배전반용 접속장치
US20220360021A1 (en) Protective-earthing contact and conductor-connection terminal
KR101584296B1 (ko) 배전반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CN111201679A (zh) 固定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