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221Y1 -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21Y1
KR200472221Y1 KR2020140000441U KR20140000441U KR200472221Y1 KR 200472221 Y1 KR200472221 Y1 KR 200472221Y1 KR 2020140000441 U KR2020140000441 U KR 2020140000441U KR 20140000441 U KR20140000441 U KR 20140000441U KR 200472221 Y1 KR200472221 Y1 KR 200472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interruptible
bus bar
elevating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세진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전기 filed Critical (주)세진전기
Priority to KR2020140000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메인차단기의 메인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분기컨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컨넥터를 무정전 상태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하우징과 분기컨넥터, 접속부재 및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에 의해서 상기 메인부스바와 분기컨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켜 주되, 이때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머리부가 하우징의 작동홀 속에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속 또는 분리 상태를 안전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외부 충격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가 전혀 없는 새로운 구조의 부정전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Uninterruptible contact device for bus bar of distribution board}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메인차단기의 메인부스바와 분기차단기의 분기컨넥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컨넥터를 무정전 상태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하우징과 분기컨넥터, 접속부재 및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에 의해서 상기 메인부스바와 분기컨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켜 주되, 이때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머리부가 하우징의 작동홀 속에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속 또는 분리 상태를 안전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 외부 충격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가 전혀 없는 새로운 구조의 부정전 부스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은 산업설비 회로 또는 건물의 옥내외 배선 회로에 있어서, 모선으로부터 각 분기 회로로 갈라지는 위치에다 각각 스위치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 회로의 부하 용량에 알맞게 배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대체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모선부스바(A)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차단기(1)와, 상기 모선부스바(A)와 교차하는 분기부스바(B)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개의 분기차단기(2)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에서는 모선부스바(A)가 하나의 평면상에 나란히 전개되어 있는 평면형 부스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최근에서는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모선부스바(A)를 세로방향으로 층층이 배치한 적층형 부스바 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상기 모선부스바(A)와 분기부스바(B)는 서로 안정적인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접속 부분이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분기부스바(B)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접속 볼트를 풀고 모선부스바(A)와 분기부스바(B)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감전 또는 쇼트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그래서 분기부스바(B)를 교체할 때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서 반드시 메인차단기(1)의 전원을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모든 분기차단기(2)로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135150호 및 등록특허 제10-1167575호에는 무정전(無停電) 상태에서 적층형 분기부스바(이하, ‘활선’및 ‘분기컨넥터’도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등록특허 제10-1167575호에 소개된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일측에는 4개의 모선(A)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삽입되고 타측에는 상기 모선(A) 중 하나와 접속하는 활선(B)이 설치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승강부재(200)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승시키는 스프링(300) 및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캠레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캠레버(400)의 손잡이를 눕혀주면 승강부재(200)가 하강하면서 모선(A)을 눌러서 모선(A)과 활선(B)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캠레버(400)의 손잡이를 일으켜 세우면, 상기 스프링(300)의 탄성에 의해 승강부재(200)가 상승하면서 모선(A)이 원위치로 복귀하여 활선(B)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을 사용하면, 모든 모선(A)과 활선(B)의 접속 상태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차단기를 차단하지 않은 무정전 상태에서도 일부 활선(B)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의 경우, 모선(A)과 활선(B)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첨부 도 2와 같이 캠레버(400)의 손잡이를 일으켜 세워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손잡이가 하우징(100) 위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적인 장애를 일으키게 되고, 나아가 예컨대 상기 캠레버(400) 위로 어떤 물건이 스치는 등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캠레버(400)의 손잡이가 갑자기 눕혀지게 되면, 작업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상기 활선(B)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캠레버(400)의 손잡이를 눕혀서 모선(A)과 활선(B)을 접촉시킨 상태에서는 모선(A)의 탄발력에 의해서 승강부재(200)가 스스로 상승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캠레버(400)의 손잡이 부분에 고정구(410)를 형성하고 이 고정구(410)에다 고정볼트(420)를 체결하여 상기 캠레버(400)의 손잡이가 저절로 일어서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의 경우, 높이가 서로 다른 4개의 모선(A)에 각각 승강부재(200)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동돌기(210)의 길이가 서로 다른 4종류의 승강부재(200)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도 2에서 기타 미설명 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하, 본 고안에서는 상기 ‘모선(A)’을 ‘모선부스바’라 칭하고, 상기 '활선(B)'을 ‘분기컨넥터’로 지칭한다.
등록특허 제10-1135150호(등록일자 2012년 04월 03일) 등록특허 제10-1167575호(등록일자 2012년 07월 16일)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전반의 부스바를 무정전 상태에서 교환할 수 있도록 각 부스바의 전원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기적인 접속 또는 분리 상태를 안전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외부 충격의 영향으로 인해 오작동할 우려가 전혀 없어서 안전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부품수를 감축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적층형 메인부스바(A)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과 분기컨넥터, 접속부재 및 회전승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메인차단기에 설치된 메인부스바(A)가 통과하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슬릿(Slit)부와, 상기 슬릿부 사이에 층층이 배치된 4개의 플로어(Floor)와, 상기 플로어를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상단에 구비된 작동홀과, 상기 작동홀의 내벽에 상하간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상단턱 및 하단턱과, 상기 슬릿부의 반대방향으로 관통된 슬롯(Slot)부를 가지며, 양쪽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컨넥터는, 상기 플로어 중 어느 한곳에 안치되어 메인부스바(A)에 접속하는 전방단자와, 상기 슬롯부로 돌출되어 분기차단기로 연결되는 후방단자와, 상기 전방단자와 후방단자를 연결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단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부재는, 선단부가 상기 슬릿부로 돌출되어 하강시 메인부스바(A)의 상면을 눌러주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을 상하로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중앙홀을 통해서 상기 관통공 속으로 출입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장착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승강부재는, 상기 중앙홀 속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봉의 상단부로 삽입되는 승강관과, 상기 승강관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홀 속에 배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형성된 회전홈과, 상기 머리부의 하단에서 상기 승강관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단턱 또는 하단턱에 지지되는 스토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에 의해서 메인부스바(A)와 분기컨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분리되며, 이때 상기 회전승강부재의 회전 및 승강운동을 제어하는 머리부가 하우징의 작동홀 속에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인 접속 또는 분리 상태를 안전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의 영향으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나아가 무정전(無停電) 상태에서 상기 분기컨넥터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분전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부스바 접속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 6는 상기 부스바 접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상기 부스바 접속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부스바 접속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 기술에 속하거나,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하는 도 3 내지 도 9에서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 1 및 도 2와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독자적인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전반의 메인차단기(도시하지 않음)에 상하방향으로 층층이 연결되어 있는 적층형 메인부스바(A)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a,10b)과 분기컨넥터(20), 접속부재(30) 및 회전승강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10a,10b)은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쪽으로 분리 가능한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a,10b)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4개의 슬릿부(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부(11)에는 각각 상기 메인부스바(A)가 통과하게 된다.
상기 슬릿부(11) 사이에는 층층이 플로어(12)가 배치되어 있고, 최하단 슬릿부(11)의 하단에도 하나의 플로어(12)가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슬릿부(11)는 각각 플로어(12)에 의해서 서로 구획되며, 모두 4개의 플로어(12)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a,10b)의 중앙 부위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12)를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홀(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13)의 상단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동홀(14)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홀(14)의 내벽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하간 단차를 갖는 상단턱(15a) 및 하단턱(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a,10b)에서 상기 슬릿부(11)의 반대쪽에는 마치 동전구멍과 같은 슬롯부(16)가 관통되어 있다. 상기 슬롯부(16)는 상하로 2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기컨넥터(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작한 판 막대 형상으로서, 전방단자(21)와 후방단자(22), 그리고 상기 전방단자(21)와 후방단자(22)를 연결하는 절곡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단자(21)는 상기 플로어(12) 중 어느 한곳 위에 안치되어 상기 메인부스바(A)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것으로,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단자(22)는 상기 하우징(10a,10b)의 슬롯부(16) 밖으로 돌출되어 분전반의 분기차단기(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된다. 상기 절곡부(23)의 길이는 전방단자(21)가 배치되는 플로어(12)와 후방단자(23)가 관통하는 슬롯부(16)의 높이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하우징(10a,10b)의 플로어(12) 상면에는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상기 전방단자(21)의 하반부를 수용하는 단자수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접속부재(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판(31)과, 가이드봉(32) 및 스프링(33a,33b)으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31)은 선단부(31a)가 상기 슬릿부(11)로 돌출되어 하강하면서 메인부스바(A)의 상면을 눌러주는 기능을 한다.
그래서 상기 누름판(31)은 하강시 상기 메인부스바(A)에 잘 눌러주도록 선단부(31a)가 하방을 향하여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단부(31b)는 하강시 상기 전방단자(21)에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32)은 상기 누름판(31)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그 하단부가 상기 중앙홀(13)을 통해서 상기 관통공(24) 속으로 출입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31)과 가이드봉(32)은 서로 용접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 될 수도 있다. 첨부 도 4는 상기 누름판(31)과 가이드봉(32)이 서로 나사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누름판(31)의 중앙에는 나사공(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32)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나사공(31c)에 결합되는 수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3a,33b)은 가이드봉(32)의 하단에만 장착될 수도 있으나, 하단과 상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봉(32)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33a)은 상기 전방단자(21)와 누름판(31)를 서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32)의 상단에 설치된 스프링(33b)은 누름판(31)과 다음에 설명하는 승강관(41)을 서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마지막으로 회전승강부재(40)는 상기 중앙홀(13) 속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승강관(41)과 머리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관(41)은 중공구조로서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봉(32)의 상단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승강관(41)과 가이드봉(32) 사이에는 스프링(33b)이 설치된다.
상기 머리부(42)는 상기 승강관(41)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홀(14) 속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회전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홈(43)은 열십자(+) 또는 한일자(-) 형태일 수도 있으며, 적당한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승강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태라도 좋다.
상기 머리부(42)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관(41)의 반지름 방향으로 스토퍼(44)가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예컨대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승강부재(40)의 머리부(42)를 적당히 회전시키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44)가 상기 작동홀(14) 내벽에 형성된 상단턱(15a)에 지지되기도 하고 하단턱(15b)에 지지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상단턱(15a)과 하단턱(15b)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4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된 수도 있고, 상기 작동홀(14) 내벽을 따라 상단턱(15a)과 하단턱(15b) 사이를 비스듬히 연결하는 슬로프(slope)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44)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양쪽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의 작동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은 분기컨넥터(20)와 메인부스바(A)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프링(33a)의 탄력에 의해서 누름판(31)과 회전승강부재(40)가 상승하여 상기 스토퍼(44)가 상단턱(15a)에 걸러서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십자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승강부재(40)의 머리부(42)를 회전시키면서 적당히 눌러주면 상기 스토퍼(44)가 상단턱(15a)을 벗어나 작동홀(14)의 하단까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승강부재(40)의 머리부(42)를 다시 약간 회전시킨 다음,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33a)의 탄력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44)가 하단턱(15b)에 걸러서 지지된다.
이렇게 되면, 승강관(41b)의 하단부가 누름판(31)을 누르고, 상기 누름판(31)의 선단부(31a)가 메인부스바(A)의 상면을 눌러서 메인부스바(A)를 분기컨넥터(20)의 전방단자(21)에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누름판(31) 위로 돌출된 가이드봉(32)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관(41)의 하단부 속으로 삽입되고, 가이드봉(32)의 하단부는 분기컨넥터(20)의 관통공(24) 속으로 삽입되어 접속부재(30)와 회전승강부재(40)의 승강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분기컨넥터(20)와 메인부스바(A)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44)가 하단턱(15b)을 벗어나도록 머리부(42)를 적당히 회전시키고 머리부(42)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33a)의 탄력에 의해서 승강부재(40)가 상승하여 스토퍼(44)가 작동홀(14)의 상단까지 상승하여 도 5와 같이 상단턱(15a)에 걸러서 지지된다. 동시에 스프링(33a)의 탄력에 의해서 누름판(31)이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메인부스바(A)부터 분기컨넥터(20)를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의 메인차단기에는 R상, S상, T상, N상 등 4개의 메인부스바(A)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래서 본 고안에 따른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는 고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 4개의 접속장치가 한조를 이루어 설치된다. 이때, 각 접속장치의 분기컨넥터(20)는 전방단자(21)가 각각 높이가 서로 다른 플로어(12)에 배치되어 4개의 메인부스바(A)에 각각 하나씩 접속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서로 인접한 부스바 접속장치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하우징(10a,10b) 중 어느 한쪽 하우징(10a)의 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걸림턱(17a)과 가이드돌부(18a)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하우징(10b)에는 상기 걸림턱(17a)이 걸림 결합하는 걸림홈(17b)와 상기 가이드돌부(18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 결합하는 가이드홈부(18b))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그래서 양쪽 하우징(10a,10b)의 측면을 서로 밀착하여 상기 가이드홈부(18b))에 가이드돌부(18a)를 끼운 상태에서 양쪽 하우징(10a,10b)을 세로 방향으로 살짝 밀어주면 상기 걸림턱(17a)과 걸림홈(17b)이 서로 걸림결합되면서 양쪽 하우징(10a,10b)의 측면이 한몸으로 결합된다.
참고로 종래에는 4개의 하우징을 서로 밀착한 상태에서 각 하우징을 가로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봉을 삽입하고 그 단부에 마감너트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하우징으로 서로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한조를 이루는 4개의 하우징(10a,10b)에는 각각 높이가 서로 다른 플로어(12)에 분기컨넥터(20)가 설치되기 때문에 승강관(41)의 높이도 서로 달라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관(41)은 도 4내지 도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부(42)와 회전홈(43) 및 스토퍼(44)가 구비된 최상단 승강관(41a)과, 상기 최상단 승강관(41a)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용 승강관(41b)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용 승강관(41b)은 한 개의 길이가 각 플로어(1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10a,10b)의 슬롯부(16) 하단에는 한쌍의 결합공(19)을 마련하고, 상기 결합공(19)에는 통신모듈 받침대(50)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 받침대(50) 위에 설치되는 통신모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10a,10b; 하우징 11; 슬릿(Slit)부
12; 플로어(Floor) 13; 중앙홀
14; 작동홀 15a,15b; 상단턱, 하단턱
16; 슬롯(Slot)부 17a,17b; 걸림턱, 걸림홈
18a,18b; 가이드돌부, 가이드홈부 19; 결합공
20; 분기컨넥터 21; 전방단자
22; 후방단자 23; 절곡부
24; 관통공 30; 접속부재
31; 누름판 32; 가이드봉
33a,33b; 스프링 40; 회전승강부재
41,41a,41b; 승강관 42; 머리부
43; 회전홈 44; 스토퍼(Stoper)
50; 통신모듈 받침대 A; 메인부스바(main bus bar)

Claims (5)

  1. 메인차단기에 설치된 메인부스바(A)가 통과하도록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슬릿부(11)와, 상기 슬릿부(11) 사이에 층층이 배치된 4개의 플로어(12)와, 상기 플로어(12)를 상하로 관통하는 중앙홀(13)과, 상기 중앙홀(13)의 상단에 구비된 작동홀(14)과, 상기 작동홀(14)의 내벽에 상하간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상단턱(15a) 및 하단턱(15b)과, 상기 슬릿부(11)의 반대방향으로 관통된 슬롯부(16)를 가지며, 양쪽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한쌍의 하우징(10a,10b)과;
    상기 플로어(12) 중 어느 한곳에 안치되어 메인부스바(A)에 접속하는 전방단자(21)와, 상기 슬롯부(16)로 돌출되어 분기차단기로 연결되는 후방단자(22)와, 상기 전방단자(21)와 후방단자(22)를 연결하는 절곡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단자(21)에는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는 분기컨넥터(20)와;
    선단부(31a)가 상기 슬릿부(11)로 돌출되어 하강시 메인부스바(A)의 상면을 눌러주는 누름판(31)과, 상기 누름판(31)을 상하로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중앙홀(13)을 통해서 상기 관통공(24) 속으로 출입하는 가이드봉(32)과, 상기 가이드봉(32)에 장착된 스프링(33a,33b)으로 구성된 접속부재(30)와;
    상기 중앙홀(13) 속에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봉(32)의 상부로 삽입되는 승강관(41)과, 상기 승강관(41)의 상단에서 상기 작동홀(14) 속에 배치되는 머리부(42)와, 상기 머리부(42)의 상면에 형성된 회전홈(43)과, 상기 머리부(42)의 하단에서 상기 승강관(41)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상단턱(15a) 또는 하단턱(15b)에 지지되는 스토퍼(44)를 갖는 회전승강부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a,10b) 중 어느 한쪽 하우징(10a)의 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걸림턱(17a)과 가이드돌부(18a)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 하우징(10b)에는 상기 걸림턱(17a)이 걸림결합하는 걸림홈(17b)과 상기 가이드돌부(18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 결합하는 가이드홈부(18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a,10b)의 슬롯부(16) 하단에는 한쌍의 결합공(19)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9)에는 통신모듈 받침대(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1)은 선단부(31a)가 하방을 향하여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단부(31b)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나사공(31c)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봉(32)은 중앙 부위에 상기 나사공(31c)에 결합되는 수나사부(3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관(41)은 상기 머리부(42)와 회전홈(43) 및 스토퍼(44)가 구비된 최상단 승강관(41a)과, 상기 최상단 승강관(41a)의 하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용 승강관(4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용 승강관(41b)은 한 개의 길이가 각 플로어(1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KR2020140000441U 2014-01-20 2014-01-20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KR200472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41U KR200472221Y1 (ko) 2014-01-20 2014-01-20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441U KR200472221Y1 (ko) 2014-01-20 2014-01-20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21Y1 true KR200472221Y1 (ko) 2014-04-10

Family

ID=5148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441U KR200472221Y1 (ko) 2014-01-20 2014-01-20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2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11B1 (ko) * 2016-07-20 2016-11-09 김기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886116B1 (ko) * 2018-03-08 2018-08-07 이노피 주식회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149477B1 (ko) *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32Y1 (ko) * 2010-04-07 2010-08-05 주식회사 대륙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732Y1 (ko) * 2010-04-07 2010-08-05 주식회사 대륙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011B1 (ko) * 2016-07-20 2016-11-09 김기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886116B1 (ko) * 2018-03-08 2018-08-07 이노피 주식회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20200099407A (ko) * 2019-02-14 2020-08-24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273790B1 (ko) 2019-02-14 2021-07-06 서연희 콘센트형 분전반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형 분전반
KR102149477B1 (ko) * 2020-04-06 2020-08-28 조규춘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647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KR200472221Y1 (ko)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EP1883132A1 (en) Terminal block with U-shaped conducting part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CN102027639B (zh) 桥形连接器和由至少两个电接线端子和一个桥形连接器组成的结构单元
CN109155472B (zh) 母线系统
CN100521371C (zh) 三联和六联插座
KR100607102B1 (ko)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고정장치
US7544077B1 (en) Control device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EP2863491B1 (en) Outlet unit facilitating plug separation, and multi-outlet device using same
CN204947117U (zh) 连接器
US10862288B2 (en) Wiring apparatus
KR101886116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WO2016169312A1 (zh) 一种分离式开关插座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20080003842U (ko) 배전반
KR101670011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EP2878055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s
KR100879625B1 (ko) 전기접속 단자대
KR1025108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JP6538038B2 (ja) 電子装置
KR101584296B1 (ko) 배전반
CN205452054U (zh) 自动断电器
KR20080104454A (ko) 버스바
CN1956272A (zh) 电子设备组合装置
CN101010835A (zh) 带有笼式弹簧端子的供电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