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011B1 -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 Google Patents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011B1
KR101670011B1 KR1020160091774A KR20160091774A KR101670011B1 KR 101670011 B1 KR101670011 B1 KR 101670011B1 KR 1020160091774 A KR1020160091774 A KR 1020160091774A KR 20160091774 A KR20160091774 A KR 20160091774A KR 101670011 B1 KR101670011 B1 KR 10167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rotrusion
bus bar
protruding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렬
Original Assignee
김기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렬 filed Critical 김기렬
Priority to KR1020160091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정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으로, 레버의 회동 조작을 통해 상하이동하는 리프터의 하단부에 결속된 리브 단자를 풀림 위치 또는 조임 위치로 변위시켜 하우징의 슬롯부 상에 배치된 모선 부스바와 하우징의 수평안착대에 배치된 분기 부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Busbar connection kit of power distribution board capable of uninterrupted changing}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로부터의 모선 부스바에 교차하는 적층형 분기 부스바를 무정전(無停電) 상태, 즉 활선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여러 부하로 분전하는 배선 회로로서, 전원 측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고 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메인 차단기와, 메인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에 접속되는 다수의 모선 부스바(bus bar), 메인 차단기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측으로 분전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 차단기, 및 모선 부스바로부터 전류 경로를 분기하기 위해 모선 부스바와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에 접속되는 분기 부스바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차단기와 분기 차단기는 R극, S극, T극의 3극(3상) 배선용 차단기, R극, S극, T극, N극의 4극(4상) 배선용 차단기, 또는 단상(단극) 2선식 가정용 배선 차단기일 수 있다.
종래에는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볼트를 통해 전기연통가능하게 결속하기 위해서, 볼트체결을 위한 탭(tap) 가공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정시 작업공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분기 차단기를 교체할 경우에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를 고정한 볼트를 풀어야 하는데 메인 차단기에 전원 공급을 차폐하지 않으면 해체시 감전 또는 쇼트 등의 위해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특허문헌 1은 앞서 기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즉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 사이에 스프링을 이용한 승강부재를 수단으로 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는 기능성 활선(분기 부스바) 교체 모듈을 제안하고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은 모선 부스바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 수직 배열된 모선 부스바에 각 상별로 분기 부스바의 상별 접속을 완료하고, 분기 차단기와 분기 부스바 사이만 볼트 접속하여 분전반의 배선을 완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8 참조).
특허문헌 1은 캠레버(400)를 상측으로 세웠을 때 스프링(300)의 탄성력을 통해 승강부재(200)를 상승시켜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를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면 승강부재(200)의 상승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여 2개의 구성부재 간의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 분리를 보장하지 못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승강부재(200)에서 모선 부스바(A)와 접촉되는 부분(이하 '접촉부'라 한다)이 내려오는 거리는 캠레버(400)에서 외경부 형상 설계에 따라 정해져 있고 달리 완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은 없다.
따라서 승강부재(200)의 접촉부가 모선 부스바(A)의 상면을 누르기 위해 내려 올 때에는, 견고한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된 거리만큼 정확히 이동하여 한다. 예를 들어, 내려오는 거리가 설계보다 약간 작거나 모선 부스바(A)의 두께가 설계보다 약간 작으면, 승강부재(200)의 접촉부가 제대로 모선 부스바(A)에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력이 약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조에서는, 모선 부스바(A)의 두께, 분기 부스바(B)의 두께 및 승강모듈(200)의 크기 등에 있어서 허용되는 공차가 작아서 각 부품들이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7575호
본 발명은 간단한 레버 조작을 통해서 메인 차단기의 모선 부스바에서 분기 차단기를 무정전 상태하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허용 공차가 큰 분전반용 부스바 접속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모선 부스바와 분기 차단기로부터 각 모선 부스바에 접촉가능하도록 각각 높이를 달리하는 절곡형상의 분기 부스바 간의 전기적인 접속 및/또는 분리를 돕는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모선 부스바의 인입을 돕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슬롯부와, 후면에 분기 부스바의 타측 단부의 인출을 허용하는 안내공,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 제1 하우징 또는 제2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한쌍의 원통부, 및 분기 부스바의 일측 단부를 지지보유할 수 있도록 전면 내측에서 내부공간으로 뻗어 있는 수평 안착대를 구비한 하우징과; 중앙영역에 오목형상부와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을 갖춘 캠부와 손잡이부를 구비한 레버;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 및 제1 결합공과 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돌기부를 리브 단자에 장착될 수 있게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를 구비한 리프터; 돌기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춘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 수직부와 수평부를 연결하고 한쌍의 원통부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 및 수평 안착대 상에 배치되어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리브 단자; 및 레버의 제2 결합공과 리프터의 제1 결합공에 삽통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쌍의 원통부는 수평 안착대의 타 단부 상에 이격배치되도록 한다.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상측 원통부와 하측 원통부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한쌍의 원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측 원통부와 하측 원통부 사이에 리브 단자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리브 단자의 두께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은 가늘고 긴 로드형상의 길이부를 갖추고 있는바, 이 길이부는 제1 하우징의 좌측면에서 돌출된 원통부와 제2 하우징의 우측면에서 돌출된 원통부 사이의 간극을 따라 내부공간의 하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면에 걸림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한편, 손잡이부는 내부 영역에 걸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분기 부스바는 일측 단부를 수평 안착대와 하측 원통부 사이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차단기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별로 상하 이격되게 모선 부스바를 설치하고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슬롯부, 한쌍의 원통부, 수평 안착대를 모선 부스바의 갯수와 동일하게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캠 일부에 로브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우징의 관통공을 가로질러 외부로 뻗어 있는 분기 부스바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타측 단부를 길이연장하여, 분기 부스바와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 사이의 체결부위에 외부 접근을 쉽게 허용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레버 조작을 통해서 메인 차단기의 모선 부스바에서 분기 차단기를 무정전 상태하에서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으면서도 허용 공차가 큰 부스바 접속 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부품의 정밀도가 낮아도 되고 부품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회동을 통한 리프터의 승하강 이동으로 리브 단자의 풀림과 조임 위치로 변위시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전기적 접속 및/또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데, 레버에 종속된 리프터 및 리브 단자 등을 단순히 끼움을 통한 조립방식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고 조립 공정이 수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의 손잡이부가 하우징의 관통공을 가로질러 외부로 뻗어 있는 분기 부스바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길이연장됨으로써, 작업자가 분기 부스바의 활선 상황에서 잘못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에 작업 공구를 가져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2개의 키트를 나란하게 배치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좌측에 배치된 부스바 접속 키트 내에 리브 단자와 최하단에 배열된 부스바 간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스바 접속 키트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우징을 해체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레버와 리프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풀림 위치로 회동된 레버로 인한 부스바 접속 키트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조임 위치로 회동된 레버로 인한 부스바 접속 키트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스바 접속 키트의 조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속 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용 부스바 접속 키트는 분전반의 메인 차단기에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모선 부스바(A)와 각각의 분기 차단기(1100)에 연결된 분기 부스바(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 및/또는 분리하는 구성부재이다.
분기 차단기는 메인 차단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일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1120)는 본 발명의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분기 부스바(B)와 나사결합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100a,100b)의 전면에 삽입된 다수의 모선 부스바(A)로부터 입력된 전류를 분기 차단기(1100)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차단기의 차폐 없이도 각각의 분기 차단기(110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 사이의 접속 및 분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메인 차단기(1000)를 차단하지 않은 무정전 상태 하에서도 일부 분기 차단기(1100)를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키트이다.
모선 부스바(A)는 R극, S극, T극, 및 N극의 4극(4상)을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수직 적층배열되어 본 발명의 하우징(100)의 전면에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롯부(110)로 삽입되고, 본 발명은 레버(300)의 단순한 회동 조작을 통해 모선 부스바(B)와 분기 부스바(B)를 전기적으로 접속상태 또는 분리상태의 사이를 안전하게 스위칭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는 하우징(100;100a,100b)과, 분기 부스바(B), 레버(300), 리프터(400), 리브 단자(500), 및 고정핀(600)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되게 제1 및 제2 하우징(110a,110b;도 3 참조)으로 이루어지고, 절연성 재질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되었듯이, 제1 및 제2 하우징은 대칭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에 동일하거나 유사 구성에 대해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하우징(100)의 전면은 상하방향으로 4개의 슬롯부(110)를 구비하고, 하우징(100)의 후면은 안내공(120)을 구비하는 한편, 하우징(100)의 상면은 내부공간(140)과 연통되는 관통공(130)을 구비한다. 덧붙여서,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걸림돌기(160)를 구비하는데, 걸림돌기(160)는 하우징(100)의 후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슬롯부(11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간격으로 형성되되, 각각의 모선 부스바(A)의 인입을 허용한다.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안내공(120)을 형성하는데, 이 안내공(120)은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를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돕는다. 관통공(130)은 레버(300)의 회동에 종속되어 수직왕복이동하는 리프터(400;lifter)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하우징(100)은 전면 내측으로부터 내부공간(140)을 향해 길이연장된 4개의 수평 안착대(170)를 구비하는데, 수평 안착대(170)는 슬롯부(110) 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수평 안착대(170)의 일 단부는 도시되었듯이 하우징(100)의 전면 내측에 위치고정되는 한편 수평 안착대(170)의 타 단부는 내부공간(140)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이는 수평 안착대(170)와 하우징(100)의 전면 내측으로 한정된 공간에 안착될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에 위치고정을 도와 불필요하게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는 수평 안착대(170)에 안착되는 한편 이의 타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안내공(120)을 관통해 외부, 예컨대 분기 차단기(1100)의 단자부(1120)와 전기연통가능하게 길이연장되도록 절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는 수평 안착대(170)와 하측 원통부(150b) 사이에 배치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내부공간(14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모선 부스바와 동일하게 4개 배치한다. 한쌍의 원통부(150)는 상측 원통부(150a)와 하측 원통부(150b)로 구성되되, 상측 원통부(150a)와 하측 원통부(150b)는 하우징(100)의 좌측면 혹은 우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서 돌출되는 한편, 리브 단자(500)의 두께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리브 단자(500)는 이격배치된 한쌍의 원통부, 즉 상측 원통부(150a)와 하측 원통부(150b) 사이에 S자형상부(530)를 개재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끼워 넣어진다.
본 발명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는 하우징(100)의 상면에 배치된 레버(300)에 고정핀으로 고정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40)으로 길이연장된 절연성 리프터(400)를 구비한다. 리프터(400)는 상단부에 제1 결합공(410)을 형성하는 한편 하단부에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를 구비한다. 리프터(400)의 길이부(430)는 레버(300)의 제2 결합공(312)으로부터 4개의 모선 부스바(A) 중 접속될 하나의 모선 부스바와 전기연통될 리브 단자(500)의 수직부(510)까지 길이연장되어야 한다. 덧붙여서, 길이부(430)는 가늘고 긴 로드(rod)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 하우징의 좌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4쌍의 원통부와 제2 하우징의 우측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4쌍의 원통부 사이에서 원활하게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좌우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의 원통부와 제2 하우징의 원통부 사이에 간극과 동일하거나 혹은 보다 작은 폭 크기를 갖도록 한다. 길이부(430)의 길이는 하우징에 포함되는 분기 부스바(B)에 따라(즉, 접속할 모선 부스바(A)에 따라) 그 길이가 다르다.
리브 단자(500)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복수개의 굴곡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리브 단자(500)는 타 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수직부(510)와, 이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이격배치되는 수평부(520), 수직부(510)와 수평부(520)를 연결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A)를 분기 부스바(B) 측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다. S자형상부(530)는 전술되었듯이 상측 원통부(150a)와 하측 원통부(150b) 사이에 개재되되, 상측 원통부(150a)의 곡률과 하측 원통부(150b)의 곡률에 대응되게 만곡되어 수직부(510)와 수평부(520)를 직교되게 배치할 수 있다.
리브 단자(500)는 수직부(510)의 내부영역에 수용홈(512)을 형성한다. 수용홈(512)은 리프터(400)의 돌기부(420)를 수용하는바, 레버(300)의 회동으로 상하이동하는 리프터(400)에 종속되어 리브 단자(500)의(특히, 지지부(540)의) 풀림 위치와 조임 위치 간의 간격을 제공하게 된다. 수용홈(512)은 돌기부(42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 단자(500)는 금속성의 탄성 재질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조임 상태로서 수직부(510)가 리프터(400)에 의해서 리프팅되어 수직부(510) 및 S자형상부(530)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지지부(540)는 탄발력을 가지고 탄성적으로 거동할 수 있다.
절연성 레버(300)는 캠부(310;cam)와 손잡이부(320)로 구성된다. 캠부(310)는 손잡이부(3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부분에 편심될 수 있도록 캠부에서 돌출된 로브(310a;lobe)를 형성한다. 캠부(310)는 이의 중앙영역에 리프터(40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상부(311)를 형성하는 한편,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0)과 동일축선상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폭방향으로 천공한다. 고정핀(600)이 레버(300)의 캠부(310)에 형성된 제2 결합공(312)과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0)에 배치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손잡이부(3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려졌을 때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길이연장될 수 있다.
레버(300)가 눌려졌을 경우에, 본 발명은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분기 차단기(1100)로 전원을 인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활선 상황에서 분기 부스바(B)로부터 분기 차단기(1100)의 단자부(1120)를 탈거하기 위한 드라이버 등의 작업 공구를 분기 부스바(B)의 타측 단부, 즉 분기 차단기의 단자부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차단한다.
본 발명은 레버(300)의 회동에 통해 하우징(1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캠부(310)의 원호부 또는 로브(310a)를 통한 캠의 양정을 통해 레버(300)에 종속된 리프터의 수직왕복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덧붙여서, 손잡이부(320)는 내부 영역에 걸림홈(360)을 형성한다. 손잡이부(320)가 눌려졌을 때, 걸림홈(360)은 하우징(10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0)와 체결되어 레버(300)의 불필요한 상방향 회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00)은 상면에 스토퍼(180)를 배치하는데, 구체적으로 관통공(130)과 걸림돌기(16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스토퍼(180)는 레버(300)의 불필요한 하방향 회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a는 레버를 세웠을 때, 즉 풀림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이 레버(300)의 캠부(310) 중 원호부와 접촉되면서, 리프터(400)는 캠의 양정(즉, 캠의 원호부와 로브 간의 높이차)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리프터(400)는 탄성재질로 제작된 리브 단자(500)의 탄발력과 하측 원통부(150b)와의 접촉으로 리브 단자(500)의 수직부(510)를 하우징의 후면을 향해 젖혀지게 할 것이다.
이는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와 같이 리브 단자(500)의 수평부(520)를 분기 부스바(B)로부터 분리시키면서 리브 단자(500)의 지지부(5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리브 단자(500)의 지지부와 분기 부스바(B) 간의 간격을 생성시키고 확장시켜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B)를 비접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b는 레버를 눌렀을 때, 즉 조임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모선 부스바(A)와 분기 부스바(B)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이 레버(300)의 캠부(310) 중 로브(310a)와 접촉되면서, 리프터(400)는 캠의 양정만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터(400)는 리브 단자(500)를 상방으로 강제로 잡아당기는데, 결과적으로 리브 단자(500)의 수직부는 리프터의 상방 이동에 종속되어 수직방향으로 입설될 것이다.
이는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와 같이 리브 단자(500)의 수평부(520)를 분기 부스바(B)와 강제로 접촉시키면서 리브 단자(500)의 지지부(5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리브 단자(500)의 지지부와 분기 부스바(B) 간의 간격를 줄여 모선 부스바와 분기 부스바의 신뢰할 수 있는 접촉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모선 부스바(A)의 두께를 얇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이보다 두꺼울 수 있고 예를 들면 도시된 분기 부스바(A)의 두께 정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임 위치에서 수직부(510)가 리프터에 의해 위로 당겨져서 수직부(510) 및 S자형상부(530)가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지지부(540) 및 수평부(520)는 탄발력을 가지고 탄성적으로 거동할 수 있으므로, 삽입되어 안정적인 접촉력을 가질 수 있는 모선 부스바(A)의 두께 범위는 상당히 넓어지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부품의 공차도 대폭 확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선 부스바의 두께, 분기 부스바의 두께, 리프터의 길이 등 여러 부품의 허용 공차는 대폭 확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300)의 회동에 따른 리브 단자(500)의 시소 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쌍의 원통부를 수평 안착대(170)의 타 단부 상에 배치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기로 수평 안착대(170)와 하측 원통부(150b) 간의 이격거리는 분기 부스바(B)의 두께 길이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여, 분기 부스바(B)의 유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4상(4극)용 4개의 모선 부스바에 각 상별로 분기 부스바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부스바 접속 키트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서로 높이가 다른 4개의 슬롯부를 구비하고,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를 높이가 다른 슬롯부의 하측에 배치된 수평 안착대(170;도 3 참조)에 거치하면서 타측 단부를 안내공(120)으로 뻗어 나올 수 있도록 각각의 높이에 맞춰 절곡되어 있다. 각 하우징(100)에는 4개의 모선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기 위해 선택된 모선 부스바의 높이에 대응되게 절곡된 개별적인 분기 부스바를 배치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무정전 부스바 접속 키트,
100 ----- 하우징,
300 ----- 레버,
400 ----- 리프터,
500 ----- 리브 단자,
600 ----- 고정핀,
1000 ----- 메인 차단기,
1100 ----- 분기 차단기,
A ----- 모선 부스바,
B ----- 분기 부스바.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00a)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구비한 하우징(100);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0)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 및 상기 제1 결합공(410)과 상기 돌기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420)로부터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430)를 구비한 리프터(400);
    상기 돌기부(420)를 수용하는 수용홈(512)을 갖춘 수직부(510)와, 상기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520), 상기 수직부(510)와 상기 수평부(520)를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제2 결합공(312)과 상기 리프터(400)의 제1 결합공(410)에 삽통되는 고정핀(600);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5. 내부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00a)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구비한 하우징(100);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0)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 및 상기 제1 결합공(410)과 상기 돌기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420)로부터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430)를 구비한 리프터(400);
    상기 돌기부(420)를 수용하는 수용홈(512)을 갖춘 수직부(510)와, 상기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520), 상기 수직부(510)와 상기 수평부(520)를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분기 부스바(B)의 일측 단부를 지지보유할 수 있게 전면 내측에서 상기 내부공간(140)으로 뻗어 있는 수평 안착대(170)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는 상기 수평 안착대(170)의 타 단부 상에 이격배치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6. 내부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00a)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구비한 하우징(100);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0)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 및 상기 제1 결합공(410)과 상기 돌기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420)로부터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430)를 구비한 리프터(400);
    상기 돌기부(420)를 수용하는 수용홈(512)을 갖춘 수직부(510)와, 상기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520), 상기 수직부(510)와 상기 수평부(520)를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는 상호 이격배치된 상측 원통부(150a)와 하측 원통부(150b)로 이루어져 있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측 원통부(150a)와 상기 하측 원통부(150b)는 상기 리브 단자(500)의 두께만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8. 내부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00a)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구비한 하우징(100);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0)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 및 상기 제1 결합공(410)과 상기 돌기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420)로부터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430)를 구비한 리프터(400);
    상기 돌기부(420)를 수용하는 수용홈(512)을 갖춘 수직부(510)와, 상기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520), 상기 수직부(510)와 상기 수평부(520)를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상면에 걸림돌기(160)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320)는 내부 영역에 상기 걸림돌기(160)와 체결될 수 있는 걸림홈(360)을 추가로 구비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기 부스바(B)는 일측 단부를 수평 안착대(170)와 상기 하측 원통부(150b) 사이에 고정배치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10. 내부공간(140)을 형성하기 위해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 제1 하우징(100a)과 제2 하우징(10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하우징(100a)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00b)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원통부(150;150a,150b)를 구비한 하우징(100);
    일부 편심되도록 돌출된 로브(310a) 및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결합공(312)을 갖춘 캠부(310)와 손잡이부(320)를 구비한 레버(300);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공(410)과, 하단부에서 후면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420), 및 상기 제1 결합공(410)과 상기 돌기부(4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420)로부터 길이연장되어 있는 길이부(430)를 구비한 리프터(400);
    상기 돌기부(420)를 수용하는 수용홈(512)을 갖춘 수직부(510)와, 상기 수직부(510)의 하단부와 떨어져 있는 수평부(520), 상기 수직부(510)와 상기 수평부(520)를 연결하고 상기 한쌍의 원통부(150) 사이에 개재되는 S자형상부(530), 및 모선 부스바를 분기 부스바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540)를 구비한 리브 단자(500);를 포함하며,
    상기 로브(310a)는 상기 손잡이부(32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캠부(310)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20)는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가로질러 외부로 뻗어 있는 상기 분기 부스바의 타측 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게 길이연장되는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1020160091774A 2016-07-20 2016-07-20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67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74A KR101670011B1 (ko) 2016-07-20 2016-07-20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774A KR101670011B1 (ko) 2016-07-20 2016-07-20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011B1 true KR101670011B1 (ko) 2016-11-09

Family

ID=5752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774A KR101670011B1 (ko) 2016-07-20 2016-07-20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0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16B1 (ko) * 2018-03-08 2018-08-07 이노피 주식회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KR102064819B1 (ko) * 2019-04-09 2020-02-11 김성룡 활선상태 차단기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
CN111954962A (zh) * 2018-04-16 2020-11-17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电互连两个叠层式多相汇流条的装置和包含这样的装置的开关设备柜
KR102600132B1 (ko) * 2023-05-22 2023-11-09 에이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251A (ja) * 2005-12-16 2007-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200472221Y1 (ko) * 2014-01-20 2014-04-10 (주)세진전기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5251A (ja) * 2005-12-16 2007-06-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1167575B1 (ko) 2012-04-23 2012-07-31 선우기전 (주) 기능성 활선 교체 모듈
KR101364164B1 (ko) * 2013-11-11 2014-02-17 (주)지디일렉스 배전반 용 대용량 적층 모선 분기 커넥터
KR200472221Y1 (ko) * 2014-01-20 2014-04-10 (주)세진전기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16B1 (ko) * 2018-03-08 2018-08-07 이노피 주식회사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CN111954962A (zh) * 2018-04-16 2020-11-17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电互连两个叠层式多相汇流条的装置和包含这样的装置的开关设备柜
CN111954962B (zh) * 2018-04-16 2024-01-23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电互连两个叠层式多相汇流条的装置和包含这样的装置的开关设备柜
KR102064819B1 (ko) * 2019-04-09 2020-02-11 김성룡 활선상태 차단기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
KR102600132B1 (ko) * 2023-05-22 2023-11-09 에이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11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 키트
KR101886116B1 (ko) 무정전 교체가 가능한 분전반의 레버형 부스바 접속 키트
US8138433B2 (en) Sequenced separately-derived transfer switch capable of switching a load between a pair of power supplies without introducing open neutral switching transients
US20050213289A1 (en) Apparatus for interfacing remote operated and non-remote operated circuit breakers with an electrical panel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EP2926356B1 (en) Switching device with several regions of connection
CN101015103A (zh) 具有一可用插头接触的开关单元的开关装置
KR101055421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조립체
KR200472221Y1 (ko) 분전반의 무정전 부스바 접속장치
US11469056B2 (en) Gripping group of caliper-like elements for gripping moveable contacts
US7115823B1 (en) Electrical transfer switch
US7549878B2 (en) Retention of replaceable subassemblies, with automatic forced disconnection
KR101048992B1 (ko)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KR200401743Y1 (ko) 단자대 교환기를 갖는 시험용 단자대
KR101135150B1 (ko) 적층형 무정전 활선 교체 모듈 킷
US2929903A (en) Electrical switches or contactors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KR101287616B1 (ko) 수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0974483B1 (ko) 클립 부재, 배선용 차단기 유닛 및 배전반
KR101624419B1 (ko)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US20070042624A1 (en) Arrangement used to fix conductor rails for multi-phase switchgears
JP2006079926A (ja) ブレーカ用端子台及び複数の一次送りブレーカ付き分電盤
US20220059299A1 (en) Switch and changeover switch with compact structure
CN115461832A (zh) 用于电设备的安全设备
JP4540910B2 (ja) 電力遮断器用の電気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