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419B1 -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 Google Patents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419B1
KR101624419B1 KR1020140152904A KR20140152904A KR101624419B1 KR 101624419 B1 KR101624419 B1 KR 101624419B1 KR 1020140152904 A KR1020140152904 A KR 1020140152904A KR 20140152904 A KR20140152904 A KR 20140152904A KR 101624419 B1 KR101624419 B1 KR 101624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lip body
extension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613A (ko
Inventor
정인택
Original Assignee
정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택 filed Critical 정인택
Priority to KR102014015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41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에서 4상으로 손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설치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커넥터는 3개의 제1 설치공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3개의 수직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한 쌍의 끼움홈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클립본체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설치공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제1 설치공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1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제1 전원케이블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접속단자와; 상기 클립본체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설치공과 연속되게 제2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다른 하나의 수직의 부스바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한 쌍의 끼움턱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확장클립본체와;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확장클립본체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공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확장커버와; 상기 제2 설치공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2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제2 전원케이블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확장접속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EXTENTION TYPE BUSBAR CONNECTOR FOR MCC}
본 발명은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상에서 4상으로 손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설치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배전반(Motor Control Center : MCC)는 다양한 산업시설에 설치되는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는 이러한 저압 배전반(MCC)의 일례로써,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자동 차단기, 퓨즈, 타이머, ECO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등과 같은 각종 전동기 제어용 부품을 장착한 다수의 MCC유닛(unit)(100)이 그 부품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다층 형태의 캐비닛(400)에 서랍식으로 각각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MCC유닛(100)의 후면과 캐비닛(400)의 후방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인 부스바 커넥터(145)와 수직 부스바(220), 전원출력을 위한 2차측인 잭(141)과 플러그(241), 신호전달을 위한 3차측 잭(143)과 플러그(243)가 각기 서로 대응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MCC유닛(10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전원공급을 위한 상기 부스바 커넥터(145)가 부스바(220)와 분리되고, 2차측의 잭(141)과 플러그(241)도 동시에 분리되면서 캐비닛(400)의 전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상기 부스바 커넥터(14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3개의 단자(145a)가 3개의 막대기(bar) 형태의 부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판스프링(145b)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클램핑 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3개의 단자가 수평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는 부스바 커넥터는 3개의 부스바에 접속되는 구조, 즉 3상 접속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혹은 설치 상태에 따라 4개의 부스바에 접속되어야 할 때 적절히 사용할 수 없어 사용 및 설치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48041호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2001.09.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상에서 4상으로 손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설치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을 통해 클립본체에 대한 확장클립본체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는, 3개의 제1 설치공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1 걸림턱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3개의 수직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한 쌍의 끼움홈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와; 상기 제1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클립본체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설치공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제1 설치공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1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제1 전원케이블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접속단자와; 상기 클립본체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설치공과 연속되게 제2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2 걸림턱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다른 하나의 수직의 부스바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한 쌍의 끼움턱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확장클립본체와; 상기 제2 걸림턱에 걸리도록 상기 확장클립본체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공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2 관통공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확장커버와; 상기 제2 설치공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2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해 제2 전원케이블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확장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의 상기 끼움홈은, 상기 클립본체의 양측면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좁고 내측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그 외측은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의 상기 클립본체는, 상기 끼움홈의 사이로 상기 클립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과, 상기 제1 설치홈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1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는, 상기 끼움턱의 사이로 상기 제1 설치홈에 대응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과, 상기 제2 설치홈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석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제2 자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의 상기 클립본체는, 상기 제1 자석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1 고정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는, 상기 제2 자석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2 설치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2 고정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의 상기 클립본체는, 상기 제1 설치홈의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캡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는, 상기 제2 설치홈의 내측으로 상기 제2 고정캡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제2 고정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3상에서 4상으로 손쉽게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및 설치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통해 클립본체에 대한 확장클립본체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저압 배번반을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부스바 커넥터를 보인 개략적인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는 클립본체(10)와, 상기 클립본체(10)에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클립본체(10)에 설치되는 접속단자(30)와, 상기 클립본체(10)의 일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확장클립본체(40)와,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결합되는 확장커버(50)와,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설치되는 확장접속단자(60)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본체(10)는 3개의 제1 설치공(11)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1 걸림턱(12)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3개의 수직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한 쌍의 끼움홈(14)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3개의 수직의 부스바에 맞물려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설치공(11)은 상기 클립본체(10)의 내부로 상기 접속단자(30)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걸림턱(12)은 상기 커버(20)가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삽입홈(13)은 상기 접속단자(30)의 선단으로 상기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14)은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중의 하나에 상기 확장클립본체(40)가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1 걸림턱(12)에 걸리도록 상기 클립본체(10)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설치공(11)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1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4)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제1 개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클립본체(10)의 전면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설치공(11)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관통공(21)은 상기 접속단자(30)에 연결되는 제1 전원케이블(32)이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개구부(22)는 상기 커버(20)의 양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측면이 상기 클립본체(1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단자(30)는 금속재의 클립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설치공(11)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1 지지스프링(31)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관통공(21)을 통해 제1 전원케이블(32)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부스바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접속되면서 상기 제1 전원케이블(32)과 상기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지지스프링(31)은 상기 접속단자(30)에 탄성 복원력 및 탄성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설치공(11)과 연속되게 제2 설치공(41)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2 걸림턱(42)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다른 하나의 수직의 부스바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43)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한 쌍의 끼움턱(44)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클립본체(10)의 일측면에 조립되어 본 커넥터가 3상에서 4상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설치공(41)은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내부로 상기 확장접속단자(60)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걸림턱(42)은 상기 확장커버(50)가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삽입홈(43)은 상기 확장접속단자(60)의 선단으로 상기 부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턱(44)은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중의 하나에 있는 상기 끼움홈(14)에 결합되어 상기 확장클립본체(40)가 상기 클립본체(10)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커버(50)는 상기 제2 걸림턱(42)에 걸리도록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공(41)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2 관통공(5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제2 개구부(52)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전면에 조립되어 상기 제2 설치공(41)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관통공(51)은 상기 확장접속단자(60)에 연결되는 제2 전원케이블(62)이 관통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개구부(52)는 상기 확장커버(50)의 양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측면이 상기 클립본체(1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접속단자(60)는 금속재의 클립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설치공(41)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2 지지스프링(61)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관통공(51)을 통해 제2 전원케이블(62)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부스바에 탄성적으로 맞물려 접속되면서 상기 제2 전원케이블(62)과 상기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지지스프링(61)은 상기 확장접속단자(60)에 탄성 복원력 및 탄성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14)은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좁고 내측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44)은 상기 끼움홈(14)에 끼워져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그 외측은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움홈(14)은 외측은 좁고 내측이 넓으며 상기 끼움턱(44)은 외측은 넓고 내측이 좁은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홈(14)에 상기 끼움턱(44)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본체(10)와 확장클립본체(40)가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 배전반(MCC)의 내부로 필요에 따라 3개의 부스바(B)의 일측에 하나의 부스바(B)가 더 설치되어 총 4개의 부스바(B)가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클립본체(10)의 일측면에 상기 확장클립본체(40)를 결합하고 상기 클립본체(10)에 상기 커버(20)를 나사로 고정하면서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상기 확장커버(50)를 나사로 고정하여 상기 4개의 부스바(B)에 손쉽게 전원을 연결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스바 커넥터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의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끼움홈(14)의 사이로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15)과, 상기 제1 설치홈(15)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1 자석(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끼움턱(44)의 사이로 상기 제1 설치홈(15)에 대응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45)과, 상기 제2 설치홈(45)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석(16)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제2 자석(4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설치홈(15)은 상기 제1 자석(16)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자석(16)은 상기 제2 자석(46)과 밀착되면서 자력으로 접착되어 상기 클립본체(10)와 확장클립본체(40)가 자력에 의해 분해 가능하게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 자석(16)과 제2 자석(46)이 상기 끼움홈(14)과 끼움턱(44)의 결합에 의해 상호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인력의 생성으로 상호 접착되면, 상기 클립본체(10)와 확장클립본체(40)는 전후 방향으로의 분해가 어느 정도 차단되어 그 설치시 분해가 어느 정도 방지되고 사용상 및 설치상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제1 자석(16)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설치홈(1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1 고정캡(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제2 자석(46)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2 설치홈(4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2 고정캡(4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캡(17)은 상기 제1 자석(16)이 그 내측에 자체의 자력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자석(16)을 수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상기 제1 자석(16)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1 자석(16)이 상기 클립본체(10)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 고정캡(47)은 상기 제2 자석(46)이 그 내측에 자체의 자력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 자석(46)을 수용하면서 외력으로부터 상기 제2 자석(46)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제2 자석(46)이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제1 설치홈(15)의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캡(17)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18)와, 상기 제1 돌출부(18)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돌출부(18)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본체(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제2 설치홈(45)의 내측으로 상기 제2 고정캡(47)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48)와, 상기 제2 돌출부(48)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돌출부(48)를 관통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나사결합되는 제2 고정나사(4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돌출부(18)는 상기 제1 고정나사(19)의 머리가 수용되면서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 고정나사(19)는 상기 제1 고정캡(17)을 상기 클립본체(10)에 분해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돌출부(48)는 상기 제2 고정나사(49)의 머리가 수용되면서 걸리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고정나사(49)는 상기 제2 고정캡(47)을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분해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클립본체
11 : 제1 설치공 12 : 제1 걸림턱
13 : 제1 삽입홈 14 : 끼움홈
15 : 제1 설치홈 16 : 제1 자석
17 : 제1 고정캡 18 : 제1 돌출부
19 : 제1 고정나사
20 : 커버
21 : 제1 관통공 22 : 제1 개구부
30 : 접속단자
31 : 제1 지지스프링 32 : 제1 전원케이블
40 : 확장클립본체
41 : 제2 설치공 42 : 제2 걸림턱
43 : 제2 삽입홈 44 : 끼움턱
45 : 제2 설치홈 46 : 제2 자석
47 : 제2 고정캡 48 : 제2 돌출부
49 : 제2 고정나사
50 : 확장커버
51 : 제2 관통공 52 : 제2 개구부
60 : 확장접속단자
61 : 제2 지지스프링 62 : 제2 전원케이블
B : 부스바

Claims (5)

  1. 3개의 제1 설치공(11)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1 걸림턱(12)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3개의 수직의 부스바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한 쌍의 끼움홈(14)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10)와;
    상기 제1 걸림턱(12)에 걸리도록 상기 클립본체(10)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설치공(11)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1 관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에 대응하여 양측면에 제1 개구부(22)가 형성되는 커버(20)와;
    상기 제1 설치공(11)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1 지지스프링(31)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관통공(21)을 통해 제1 전원케이블(32)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접속단자(30)와;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중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고, 상기 제1 설치공(11)과 연속되게 제2 설치공(41)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에 제2 걸림턱(42)이 형성되며, 후방 단부에 다른 하나의 수직의 부스바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43)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14)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한 쌍의 끼움턱(44)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확장클립본체(40)와;
    상기 제2 걸림턱(42)에 걸리도록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설치공(41)에 대응하여 전면에 제2 관통공(51)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제2 개구부(52)가 형성되는 확장커버(50)와;
    상기 제2 설치공(41)의 내부에 끼워지고, 양측면을 관통하여 제2 지지스프링(61)이 설치되며, 상기 제2 관통공(51)을 통해 제2 전원케이블(62)이 관통되어 후면에 부착되는 금속재의 확장접속단자(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14)은,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 후단에서 선단을 향해 수평으로 형성되고 외면은 좁고 내측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44)은,
    상기 끼움홈(14)에 끼워져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그 외측은 넓고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끼움홈(14)의 사이로 상기 클립본체(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15)과,
    상기 제1 설치홈(15)의 내부에 부착되는 제1 자석(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끼움턱(44)의 사이로 상기 제1 설치홈(15)에 대응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4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45)과,
    상기 제2 설치홈(45)의 내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석(16)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제2 자석(4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제1 자석(16)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설치홈(1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1 고정캡(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제2 자석(46)의 외면이 노출되게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상기 제2 설치홈(45)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재의 제2 고정캡(4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본체(10)는,
    상기 제1 설치홈(15)의 내측으로 상기 제1 고정캡(17)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18)와,
    상기 제1 돌출부(18)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돌출부(18)를 관통하여 상기 클립본체(10)에 나사결합되는 제1 고정나사(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클립본체(40)는,
    상기 제2 설치홈(45)의 내측으로 상기 제2 고정캡(47)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48)와,
    상기 제2 돌출부(48)에 머리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2 돌출부(48)를 관통하여 상기 확장클립본체(40)에 나사결합되는 제2 고정나사(4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KR1020140152904A 2014-11-05 2014-11-05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KR101624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04A KR101624419B1 (ko) 2014-11-05 2014-11-05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904A KR101624419B1 (ko) 2014-11-05 2014-11-05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13A KR20160053613A (ko) 2016-05-13
KR101624419B1 true KR101624419B1 (ko) 2016-05-25

Family

ID=5602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904A KR101624419B1 (ko) 2014-11-05 2014-11-05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532B1 (ko) 2020-09-24 2021-07-02 주식회사 주왕산업 전동기 제어반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JP2003155817A (ja) 2001-11-19 2003-05-30 Matsuo Sonoda 磁着ブロック
KR200425697Y1 (ko) 2006-06-16 2006-09-13 애니텍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단자대 체결구조체
KR100768526B1 (ko) 2006-08-16 2007-10-25 신준식 자력 결합형 벽돌과 이를 위한 바닥부재와 마감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JP2003155817A (ja) 2001-11-19 2003-05-30 Matsuo Sonoda 磁着ブロック
KR200425697Y1 (ko) 2006-06-16 2006-09-13 애니텍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단자대 체결구조체
KR100768526B1 (ko) 2006-08-16 2007-10-25 신준식 자력 결합형 벽돌과 이를 위한 바닥부재와 마감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613A (ko)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0464B2 (en) Device for a busbar system
US6330144B1 (en) Multi-voltage multi-pole safety electric adapter
JPH027152B2 (ko)
US10141147B2 (en) Touch safe panel board system
US9730353B2 (en) Component assembly system
US7408766B2 (en) Mounting and connecting means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KR100961777B1 (ko) 전원분배모듈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1624419B1 (ko)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KR100886812B1 (ko) 전원 배전장치
KR20130011475A (ko)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KR102030652B1 (ko) 전원 분배장치
KR20200120380A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KR20160114939A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분전반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KR101615602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KR102036574B1 (ko) 전원분배기용 커넥터
DE59602670D1 (de) Einschubelement einer niederspannungs-schaltanlage
KR100635102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1287616B1 (ko) 수배전반용 부스바 고정클램프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KR200445303Y1 (ko) 멀티형 분기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