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812B1 - 전원 배전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배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812B1
KR100886812B1 KR1020080103342A KR20080103342A KR100886812B1 KR 100886812 B1 KR100886812 B1 KR 100886812B1 KR 1020080103342 A KR1020080103342 A KR 1020080103342A KR 20080103342 A KR20080103342 A KR 20080103342A KR 100886812 B1 KR100886812 B1 KR 100886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us bar
connection plate
power conn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이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08010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66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conductor and enclo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온도상승시험과 단락강도시험과 같은 전기특성시험에 있어서 버스바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과전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부하 접속단자의 접속이 용이하게 하고 그 접속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측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접속단자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의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양측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후 면으로 돌출되는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스바의 면적이 극대화되어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져 내구성 향상에 의하여 변형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전원 배전장치, 버스바

Description

전원 배전장치{Electric-power distributer}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측 방향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접속단자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하여서, 온도상승시험과 단락강도시험과 같은 전기특성시험에 있어서 버스바의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과전류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부하 접속단자의 접속이 용이하게 하고 그 접속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배전장치는 외부로부터 입인된 전기를 각 부하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원의 배전이 이루어지는 배전반 및 분전반과 전동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동기제어반이 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원 배전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이 분배되게 형성한 버스바가 배전함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버스바에 접속되는 부하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차단기가 선택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버스바는 대부분이 동 재질의 수평 막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버스바는 전원 배전장치의 배전함 내부에 고정설치하고 일단에 외부전원선을 결선한 후 부하 접속단자를 접속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전원 배전장치는 온도상승시험을 통하여 정격전류의 통전시 온도가 허용범위에 있는지를 테스트하고, 단락 강도시험을 통하여 대전류를 통전시켰을 때 버스바가 자기장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고 견디는지를 검사한 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 배전장치는 버스바는 통전 면적의 확보와 방열 특성을 위하여 그 폭을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하고 있어 버스바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함으로써 배전함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배전함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버스바를 배전함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버스바가 대전류에 의한 변형 취약하여 단락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막대상의 버스바를 사용한 종래 전원 배전장치의 내구성과 방열 등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 몸체의 측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접속단자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의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양측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후 면으로 돌출되는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스바의 면적이 극대화되어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져 내구성 향상에 의하여 변형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의 방열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전기 접속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 2 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버스바가 고정구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의 부하 접속단자가 접속되게 구성한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100)를 판상으로 형성된 바몸체(110)와 상기 바몸체(110)의 측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부하 접속단자(400)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120)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 접속판(12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로 실시하거나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도 4 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돌출 단부에 클립형상으로 이루어진 부하 접속단자(400)의 끼 움 결합이 용이하게 양측에 돌출 단부를 향하여 전원 접속판(120)의 폭이 좁아지게 하는 결합 경사면(13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 접속판(120)의 내측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형상의 부하 접속단자(400)가 끼움 결합되어서 결합상태가 걸림 유지되게 하는 걸림홈과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걸림구(132)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스바(100)를 고정하는 고정구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100)의 전원 접속판(120)을 수용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수용홈(210)을 형성하고 양측에 장착공(220)을 관통형성한 두 개의 클램프(20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수용홈(210)은 그 깊이가 버스바(100)의 전원 접속판(120)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접속단자(400)를 나사 결속할 수 있게 바몸체(110)와 전원 접속판(120)에 단자 결속공(141)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바스바(100)는 동 및 동을 포함한 합금 또는 알루미늄을 선택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100)를 판상으로 형성된 바몸체(110)와 상기 바몸체(110)의 양측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 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부하 접속단자(400)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120)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방열 면적이 넓어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전류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온도상승시험을 위한 정격 전류의 통전시 방열면적이 극대화되게 형성된 바몸체(110)와 전원 접속판(120)을 통하여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온도상승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락 강도시험을 통하여 대전류를 통전시키게 되면 바몸체(110)의 측면에 구비된 전원 접속판(120)이 근접한 버스바에 의한 자기력에 대하여 지지력을 가져 변형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하 접속단자(400)를 클립형태로 실시할 경우 전원 접속점의 수가 전원 접속판(120)의 수에 따라 증대되어 전류를 여러 개의 부하 접속단자(400)로 분산 공급하여 과열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고 대용량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 접속판(120)의 단부 양측에 결합 경사면(131)이 형성되어 있어 그 결합과정에 있어 부하 접속단자(4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 접속판(120) 내측에 걸림구(132)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결합되는 부하 접속단자(400)의 결합상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등에 의하여 해체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를 두 개 이상의 수용홈(210)을 형성한 클램프(200)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그 장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버스바(10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후면으로 전원 접속판(120)이 돌출되어 있어서 전동기제어반과 같이 다수의 전동기유니트가 구비되는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100)의 중심으로 하여 전후면에서 상기 전동기유니트가 인출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배전장치의 버스바를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측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후 면으로 돌출되는 전원 접속판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버스바의 방열면적이 극대화되어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판상의 바몸체와 상기 바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접속판으로 이루어져 내구성 향상에 의하여 변형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전원 배전장치의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 분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용 버스바의 예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용 버스바의 다른 예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의
다른 예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용 버스바의 또 다른 예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배전장치를
전동기제어반에 적용하여 전후면에서
전동기 유니트의 장착이 가능하게 예시한 것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스바
110 : 바몸체
120 : 전원 접속판
131 : 결합 경사면 132 : 걸림구
141 : 단자 결속공
200 : 클램프
210 : 수용홈 220 : 장착공
300 : 배전함
400 : 부하 접속단자

Claims (4)

  1. 내부에 버스바가 고정구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의 부하 접속단자가 접속되게 구성한 전원 배전장치에 있어서;
    버스바(100)를 판상의 바몸체(110)와 상기 바몸체(110)의 측부에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되며 전 후면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으로 이루어져 부하 접속단자(400)가 접속되게 형성한 전원 접속판(120)으로 구성하고,
    상기 전원 접속판(120)은 그 돌출 단부에 클립형상으로 이루어진 부하 접속단자(400)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양측에 돌출 단부를 향하여 전원 접속판(120)의 폭이 좁아지게 하는 결합 경사면(1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판(120)의 내측에는 클립형상의 부하 접속단자(400)가 끼움 결합 되어서 결합상태가 걸림 유지되게 하는 걸림홈과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걸림구(132)를 선택 구비하고,
    부하 접속단자(400)를 나사 결속할 수 있게 바몸체(110)와 전원 접속판(120)에 단자 결속공(141)을 등 간격으로 천공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100)를 고정하는 고정구는 상기 버스바(100)의 전원 접속판(120)을 수용할 수 있게 두 개 이상의 수용홈(210)을 형성하고 양측에 장착공(220)을 관통형성한 두 개의 클램프(200)로 구성하고,
    상기 수용홈(210)은 그 깊이가 버스바(100)의 전원 접속판(120) 돌출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배전장치.
  4. 삭제
KR1020080103342A 2008-10-21 2008-10-21 전원 배전장치 KR10088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42A KR100886812B1 (ko) 2008-10-21 2008-10-21 전원 배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342A KR100886812B1 (ko) 2008-10-21 2008-10-21 전원 배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12B1 true KR100886812B1 (ko) 2009-03-04

Family

ID=406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342A KR100886812B1 (ko) 2008-10-21 2008-10-21 전원 배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93B1 (ko) 2008-01-23 2009-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방열성이 향상된 전력 버스 덕트
CN105186309A (zh) * 2015-09-25 2015-12-23 李聪 一种绝缘电力柜体
KR101603975B1 (ko) * 2013-07-15 2016-03-16 심윤국 전력분배 단자대 구조체
KR20170015013A (ko) 2015-07-31 2017-02-08 김은하 웹와셔 및 웹와셔로 이루어진 버스바 체결구조
KR20190050069A (ko) * 2017-11-02 2019-05-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KR200395579Y1 (ko) 2005-06-22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KR200404015Y1 (ko) 2005-10-05 2005-12-15 제일중전기산업(주) 고압 부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816102B1 (ko) * 2007-11-19 2008-03-24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041Y1 (ko) 2001-05-04 2001-10-29 조명운 저압배전반의 부스바 커넥터
KR200395579Y1 (ko) 2005-06-22 2005-09-13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KR200404015Y1 (ko) 2005-10-05 2005-12-15 제일중전기산업(주) 고압 부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816102B1 (ko) * 2007-11-19 2008-03-24 (주)서전기전 저압 배전반용 이중 착탈식 어댑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893B1 (ko) 2008-01-23 2009-10-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방열성이 향상된 전력 버스 덕트
KR101603975B1 (ko) * 2013-07-15 2016-03-16 심윤국 전력분배 단자대 구조체
KR20170015013A (ko) 2015-07-31 2017-02-08 김은하 웹와셔 및 웹와셔로 이루어진 버스바 체결구조
CN105186309A (zh) * 2015-09-25 2015-12-23 李聪 一种绝缘电力柜体
KR20190050069A (ko) * 2017-11-02 2019-05-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KR102463628B1 (ko) 2017-11-02 2022-11-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부스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12B1 (ko) 전원 배전장치
US20190393640A1 (en) Busbar System
US8684758B2 (en) Terminal unit having fused combiner/distribution bus bar assembly
TW201303600A (zh) 供電裝置及具有供電裝置之機櫃供電系統
KR20120047776A (ko) 전기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 전달 장치
JP6753399B2 (ja) 端子接続構造およびこの構造を備えるサーバ用電源システム
KR20100061347A (ko) 플러그인 유닛
KR20080102547A (ko) 회전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배터리용 배터리모듈 단자와버스바
KR100759524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KR101506670B1 (ko)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0712245B1 (ko) 분전반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WO2021187037A1 (ja) コネクタ
KR102173310B1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US5657200A (en) Tubular bus arrangement for power transport in electrical devices
CN108539693B (zh) 母线组合式铜排固定安装结构
CN110289585B (zh) 一种直角转接式母线
KR20080103810A (ko) 부스바 커넥터 및 상기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KR101633734B1 (ko)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KR200480163Y1 (ko) 저압 배전반용 버스바 조립 구조
JP2019103317A (ja) アース端子ユニット
KR100499562B1 (ko) 수배전반용 차단기의 모선 연결장치
KR101624419B1 (ko) 저압 배전반용 확장형 부스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