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734B1 -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 Google Patents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34B1
KR101633734B1 KR1020130152204A KR20130152204A KR101633734B1 KR 101633734 B1 KR101633734 B1 KR 101633734B1 KR 1020130152204 A KR1020130152204 A KR 1020130152204A KR 20130152204 A KR20130152204 A KR 20130152204A KR 101633734 B1 KR101633734 B1 KR 10163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main
connection
sub
main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761A (ko
Inventor
정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Priority to KR1020130152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메인차단기와, 메인차단기와 이격되는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분전유니트와,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부스바와, 분전유니트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한편 메인부스바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부스바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부스바와 교차되는 서브부스바에는 접속클립이 통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접속클립은 그 일측이 탄성력을 갖도록 개구되어, 접속클립의 개구단부가 메인부스바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전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Cabinet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차단기와 다수의 분전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접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의 접속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의 사용이 요구되는 건물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분전반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전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을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메인차단기(1)와, 메인차단기(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각종 전자기기에 인가해 주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분전유니트(2)들과, 메인차단기(1)와 분전유니트(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 구비되는 다수의 메인부스바(3)들과 서브부스바(4)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분전반 어셈블리는, 메인부스바(3)와 서브부스바(4) 간의 전기적 연결작업을 위해 서브부스바(4)를 메인부스바(3)에 나사(6)와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그 연결작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나사결합 부위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로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예로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부스바(60)의 일측에는 메인부스바(40)가 삽입되는 삽입홈(61)을 구비하고, 서브부스바(60)의 삽입홈(61)에 메인부스바(40)를 삽입함으로써, 메인부스바(40)와 서브부스바(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삽입홈(61)을 갖는 서브부스바(60)에 의해서 메인부스바(40)를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서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나사에 의한 전기적 연결 시에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문제로 인한 전력공급의 효율이 저해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은, 서브부스바(60)의 삽입홈(61)에 메인부스바(40)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때, 메인부스바(40)가 서브부스바(60)의 삽입홈(61)에 견고히 밀착되어야만 한다. 즉, 메인부스바(40)가 서브부스바(60)의 삽입홈(61)에 견고히 밀착되지 못하고 간극이 생기게 되면, 이 간극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되고, 스파크로 인해 고열이 발생될 뿐 아니라 화재의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서브부스바(60)에 형성되는 삽입홈(61)은 서브부스바(60)를 직접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삽입홈(61)의 직경을 메인부스바(40)의 좌우 방향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가공작업이 매우 어렵고, 성형 시에도 제품의 정밀도가 떨어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부스바(40)와 서브부스바(60)의 삽입홈(61) 사이에 간극이 비일비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인차단기와 다수의 분전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를 간편하게 연결하면서도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메인차단기와, 메인차단기와 이격되는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분전유니트와,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부스바와, 분전유니트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한편 메인부스바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부스바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부스바와 교차되는 서브부스바에는 접속클립이 통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접속클립은 그 일측이 탄성력을 갖도록 개구되어, 접속클립의 개구단부가 메인부스바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전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접속클립의 개구단부는 메인부스바의 두께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전유니트의 각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서브부스바 사이에는 접속단자와 서브부스바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해 주는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연결단자는, 서브부스바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어 분전유니트의 접속단자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 메인차단기의 각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메인부스바 사이에는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의 위상차를 보상해 주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커넥터는,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메인부스바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평판상의 제 2 접속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로는, 메인차단기의 각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메인부스바 사이에는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의 위상차를 보상해 주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커넥터는,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메인부스바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2 접속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메인부스바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간격유지블럭을 더 포함하고, 베이스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메인부스바를 지지 고정하는 엔드블럭이 더 구성되되, 엔드블럭은 베이스패널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메인부스바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블럭과, 베이스블럭에 결합 고정되는 한편 베이스블럭과 마주하는 그 일면에는 베이스블럭의 삽입홈에 대응한 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블럭을 포함한다.
또, 이웃하는 메인부스바 및/또는 이웃하는 서브부스바에 결합되어 절연하는 절연커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전반에 따르면, 메인차단기와 다수의 분전유니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를 탄성력을 갖는 접속클립으로 연결함으로써, 접속클립이 메인부스바에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로 연결되어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 간의 접속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차단기와 메인부스바들을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메인차단기의 용량의 차이에 따라 접속단자들이 메인부스바와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그 메인부스바들의 위치 변경없이 메인차단기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메인차단기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사후관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패널에는 메인부스바를 지지하는 다수의 간격유지블럭과 엔드블럭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메인부스바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 간의 접속상태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부스바 또는 서브부스바 또는 양 부스바 모두에는 절연커버가 구비됨으로써, 부스바를 절연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절연커버는 각 상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전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다른 예로서 분전반에 구성되는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의 구성도 및 연결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을 보인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의 다른 형태를 보인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부스바와 서브부스바를 접속시키는 접속클립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도 1 및 도 2의 분전반에서 메인차단기와 메인부스바를 연결하는 제 1,2 커넥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블럭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드블럭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커버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분전반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상의 베이스패널(100)과, 메인차단기(110), 분전유니트(120), 메인부스바(130), 서브부스바(140), 접속클립(200), 연결단자(210), 제 1,2 커넥터(300)(310), 간격유지블럭(400) 및 엔드블럭(500), 절연커버(600) 등을 포함한다.
베이스패널(100)은, 메인차단기(110)와 다수의 분전유니트(120)가 설치되는 베이스로서, 그 표면에는 메인차단기(110)나 다수의 분전유니트(120)의 위치를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설치구멍(101)들이 천공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패널(100)의 설치구멍(101)에 메인차단기(110)와 분전유니트(120)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레그를 관통시킨 후,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설치구멍(101)에 의해 메인차단기(110)와 분전유니트(12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메인차단기(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 후술될 분전유니트(120)들에 인가해 주기 위한 장치로서, 그 양측에는 각 분전유니트(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단자(111)가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단자(111)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접속단자(111) 간의 이격 폭은 메인차단기(110)의 전력 수용 용량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즉, 전력 수용 용량이 큰 메인차단기는 상대적으로 전력 수용 용량이 작은 메인차단기보다 접속단자 간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패널(100)에 설치되는 메인차단기(110)는 도 3에서와 같이, 양측에 상하로 나열된 분전유니트(120)의 정중앙 상단부의 베이스패널(100)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패널(100)의 상단부 일측으로 치우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메인차단기(110)의 위치에 따라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를 연결하는 커넥터가 각기 다르게 구비되고, 이러한 커넥터에 대해서는 후술키로 한다.
분전유니트(120)는, 베이스패널(100)의 양측에 상하로 나열되게 구비되고, 후술될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를 통해서 메인차단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메인차단기(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부품 등에 전력을 인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전유니트(120)의 양측에도 전술한 메인차단기(110)와 마찬가지로 후술될 서브부스바(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접속단자(121)가 일정간격마다 이격 형성된다.
메인부스바(130)는 메인차단기(110)의 각 접속단자(111)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될 커넥터에 의해서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가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각각의 메인부스바(130)를 해당 접속단자(111)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메인부스바(130)는 직육면체로서, 좁은 면적을 갖는 두께 부위가 상하로 세워진 상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양 분전유니트(120) 사이를 가로질러 베이스패널(100)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서브부스바(140)는 다수의 분전유니트(120)에 형성된 각 접속단자(121)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될 연결단자(21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서브부스바(140)는 직육면체로서, 넓은 면적을 갖는 폭 부위가 다수의 메인부스바(130)와 교차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그 교차부위에는 후술될 접속클립(200)을 구비하여 메인부스바(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접속클립(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가 교차되는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접속클립(200)은 그 일면 즉 하면에 개구된 "Ω"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상대적으로 메인부스바(130)보다 위에 위치되는 서브부스바(140)에 면접촉되게 구비되는 상판접속부(201)와, 상판접속부(201)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양 측판접속부(202)를 포함한다.
또한, 상판접속부(201) 반대편의 양 측판접속부(202) 단부에는 메인부스바(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 측판접속부(202)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개구단부(203)가 형성되고, 개구단부(203)는 메인부스바(130)의 좌우 두께보다 좁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양 측판접속부(202)는 삽입되는 메인부스바(130)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이의 복원력에 의해 그 내부로 삽입된 메인부스바(130)의 양측면에 가압 접촉되어 견고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접속부(201)는 서브부스바(140)의 하면에 고주파 또는 초음파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브부스바(140)에 설치되는 접속클립(200)에 메인부스바(130)가 삽입되는 한편 접속클립(200)의 양 측판접속부(202)가 메인부스바(130)의 양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어 결합됨으로써 접속클립(200)에 의해서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는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될 뿐 아니라 이의 연결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브부스바(140)의 양단부에는 서브부스바(140)를 분전유니트(120)의 각 접속단자(121)에 연결시키는 연결단자(2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단자(210)는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와 서브부스바(14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높이차를 보상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와 서브부스바(140) 사이의 높이차는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연결단자(210)는 그 일단부에는 서브부스바(140)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평판상의 제 1 접속부(2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 1 접속부(211)에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어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평판상의 제 2 접속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단자(210)의 각 접속부(211)(212)는 각각 서브부스바(140)와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단자(210)의 제 1 접속부(211)는 서브부스바(140)에 고주파 또는 초음파 용접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접속부(212)는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단자(210)는 제 1 접속부(211)와 제 2 접속부(212)의 단차진 높이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 연결단자(210)를 다양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단자(210)에 의해서 서브부스바(140)와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되더라도 서브부스바(140)를 분전유니트(120)의 접속단자(121)에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 사이에는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 간의 위상차(위치차)를 보상해 주는 제 1 커넥터(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 1 커넥터(300)는 도 3에서와 같이 메인차단기(110)가 베이스패널(100)의 정중앙 상단부에 구비된 경우에 한해서,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가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이미 설치되어 있는 메인부스바(130)의 위치 변경없이 있는 그대로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제 1 커넥터(3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에 나사 결합되어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1 접속부(301)와, 제 1 접속부(301)에서 수직하게 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편 메인부스바(130)와 나사 결합되어 통전되게 연결되는 평판상의 제 2 접속부(302)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접속부(302)는 제 1 접속부(301)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거나 또는 정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 2 접속부(302)의 위치는 메인차단기(110)의 전력 수용 용량에 따른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 간의 어긋난 축선 간의 간격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커넥터(300)에 의해서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가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고 어긋나더라도 설치되어 있는 메인부스바(130)의 위치 변경없이 제 1 커넥터(300)를 이용하여 메인부스바(130)를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에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넥터의 다른 예로는,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패널(100)의 상단부에서 일편의 분전유니트(120) 측으로 메인차단기(110)가 치우치게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부스바(13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도 6b에서와 같은 제 2 커넥터(3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 간의 위상차(위치차)를 보상해 주는 제 2 커넥터(31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에 나사 결합되어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1 접속부(311)와, 제 1 접속부(311)에서 수직하게 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편 메인부스바(130)와 나사 결합되어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2 접속부(312)를 포함한다.
이때, 제 2 접속부(312)는 제 1 접속부(311)의 상측 또는 하측(보는 방향에 따라서는 좌측 또는 우측방향일 수도 있다)으로 치우치거나 또는 정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제 2 접속부(312)의 위치는 메인차단기(110)의 전력 수용 용량에 따른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 간의 어긋난 축선 간의 간격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접속부(312)가 제 1 접속부(311)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킨 "ㄱ"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제 2 접속부(312)의 구성없이 단순히 제 1 접속부(311)를 다양한 길이로 길게 형성한 구조로서,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2 커넥터(310)에 의해서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가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고 어긋나더라도 설치되어 있는 메인부스바(130)의 위치 변경없이 제 2 커넥터(310)를 이용하여 메인부스바(130)를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에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패널(100)의 일측에는 메인부스바(130)를 지지하는 간격유지블럭(400)이 구비되고, 간격유지블럭(400)은 도 7에서와 같이 베이스패널(100)에 상하로 일정간격마다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블럭(400)은 그 후면부가 베이스패널(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전면부에는 메인차단기(110)에 설치되는 메인부스바(13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삽입홈(410)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블럭(400)의 삽입홈(410)은 메인부스바(130)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깊이)로 형성되어, 메인부스바(13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패널(100)의 하단부에는 메인부스바(130)의 하단부를 지지 고정하는 엔드블럭(500)이 구성된다.
이러한 엔드블럭(500)은 도 8에서와 같이, 베이스패널(10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메인부스바(130)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511)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블럭(510)과, 베이스블럭(5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베이스블럭(510)과 마주하는 그 일면에는 베이스블럭(510)의 삽입홈(511)에 대응한 각각의 삽입홈(521)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블럭(520)을 포함한다.
따라서, 한쌍의 베이스블럭(510)과 커버블럭(520)이 형성하는 삽입홈(511)(521)은 메인부스바(130)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되는 한쌍의 삽입홈(511)(521)에는 각 메인부스바(1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메인부스바(130) 또는 이웃하는 서브부스바(140) 또는 양 부스바(130)(140) 모두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커버(600)가 구성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절연커버(600)가 메인부스바(130) 상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절연커버(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의 간격유지블럭(400) 사이에서 노출되는 메인부스바(130)에는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 사이에 끼워져 절연하는 절연커버(6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절연커버(600)는 상하의 간격유지블럭(400)에 안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상판(610)과, 상판(610)의 양측부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는 양 측판(620)을 포함한다. 특히, 양 측판(620)은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한 거리로 이격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커버(600)가 메인부스바(130) 상에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절연커버(600)는 서브부스바(140) 상에도 전술한 메인부스바(130)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구비되어 이웃하는 양 서브부스바(140)를 절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절연커버(600)는 각 상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절연커버(600)는 상판(610)이 상하의 간격유지블럭(400)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양 측판(620)은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이웃하는 메인부스바(130)를 절연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은, 서브부스바(140)에 통전되게 설치되는 접속클립(200)을 메인부스바(130)에 탄성적으로 끼워 결합함으로써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이의 연결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 간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차단기(110)의 접속단자(111)와 메인부스바(130)들이 동축 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베이스패널(100)에 이미 설치된 메인부스바(130)의 위치 변경없이 커넥터(300)(310)로서 메인부스바(130)들을 메인차단기(110)의 해당 접속단자(111)에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메인차단기(110)의 각 접속단자(1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부스바(130)는 그 일측부와 하단부가 각각 다수의 간격유지블럭(400)과 엔드블럭(500)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메인부스바(1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메인부스바(130)의 유동이 방지되므로 메인부스바(130)와 서브부스바(140) 간의 접속상태도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메인부스바(130)나 서브부스바(140) 상에 절연커버(600)가 구비됨으로써, 이웃하는 양 메인부스바(130)나 서브부스바(140)를 견고히 절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베이스패널 101 : 설치구멍
110 : 메인차단기 111 : 접속단자
120 : 분전유니트 121 : 접속단자
130 : 메인부스바 140 : 서브부스바
200 : 접속클립 201 : 상판접속부
202 : 측판접속부 203 : 개구단부
210 : 연결단자 211,212 : 제 1,2 접속부
300,310 : 제 1,2 커넥터 301,302,311,312 : 제1,2접속부
400 : 간격유지블럭 410 : 삽입홈
500 : 엔드블럭 510 : 베이스블럭
520 : 커버블럭 511,521 : 삽입홈
600 : 절연커버 610 : 상판
620 : 측판

Claims (8)

  1.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메인차단기와, 메인차단기와 이격되는 베이스패널에 구비되는 한편 다수의 접속단자를 갖는 분전유니트와,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메인부스바와, 분전유니트의 접속단자에 각각 통전되게 연결되는 한편 메인부스바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부스바를 포함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부스바와 교차되는 서브부스바에는 접속클립이 통전되게 구비되는 한편 접속클립은 그 일측이 탄성력을 갖도록 개구되어, 접속클립의 개구단부가 메인부스바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가압 접촉되어 전기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메인차단기의 각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메인부스바 사이에는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의 위상차를 보상해 주는 커넥터가 구비되며,
    커넥터는,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ㄱ"자 형상의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메인부스바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평판 또는 "ㄱ"자 형상의 제2접속부를 포함하고,
    평판 상의 제 2 접속부는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 간의 어긋난 축선 간의 간격에 대응한 제 1 접속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ㄱ"자 형상의 제 2 접속부는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 간의 어긋난 축선 간의 간격에 대응한 제 1 접속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한편 그 길이 역시도 메인차단기의 접속단자와 메인부스바 간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되고,
    이웃하는 메인부스바 및/또는 이웃하는 서브부스바에 결합되어 절연하는 절연커버가 구비되며,
    절연커버는 각 상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되는 한편 이웃하는 부스바에 안착되어 구비되는 상판과, 상판의 양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이웃하는 부수바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는 양 측판을 포함하는 분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속클립의 개구단부는 메인부스바의 두께보다 좁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분전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전유니트의 각 접속단자와 이에 연결되는 서브부스바 사이에는 접속단자와 서브부스바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해 주는 연결단자가 구비되고,
    연결단자는, 서브부스바에 통전되게 연결되는 제 1 접속부와, 제 1 접속부에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어 분전유니트의 접속단자와 통전되게 연결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메인부스바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간격유지블럭을 더 포함하는 분전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패널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메인부스바를 지지 고정하는 엔드블럭이 더 구성되고,
    엔드블럭은 베이스패널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편 그 전면에는 메인부스바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블럭과, 베이스블럭에 결합 고정되는 한편 베이스블럭과 마주하는 그 일면에는 베이스블럭의 삽입홈에 대응한 각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블럭을 포함하는 분전반.
  8. 삭제
KR1020130152204A 2013-12-09 2013-12-09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KR10163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04A KR101633734B1 (ko) 2013-12-09 2013-12-09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204A KR101633734B1 (ko) 2013-12-09 2013-12-09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761A KR20150066761A (ko) 2015-06-17
KR101633734B1 true KR101633734B1 (ko) 2016-06-27

Family

ID=53514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204A KR101633734B1 (ko) 2013-12-09 2013-12-09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042A (ko) 2015-08-27 2017-03-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장애 관리 장치와 이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금융 자동화 기기의 장애를 관리하는 방법
KR102295147B1 (ko) * 2020-12-24 2021-08-27 김인영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09B1 (ko) 2006-03-31 2006-06-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KR101006463B1 (ko) 2010-06-30 2011-01-06 (주)시그너스시스템 일체형 표준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09B1 (ko) 2006-03-31 2006-06-30 (주)제일피앤피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KR101006463B1 (ko) 2010-06-30 2011-01-06 (주)시그너스시스템 일체형 표준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761A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6326B (zh) 多输入电源分配器及其总线组
US9515461B2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unit
US8616902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for server rack
US20160164235A1 (en) Contact element for a plug arrangement in a bus system, more particularly an externally routed bus system
US8684758B2 (en) Terminal unit having fused combiner/distribution bus bar assembly
CN114530716A (zh) 用于母线系统的装置
KR101633734B1 (ko)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CN110890678B (zh) 用于配电总成的电力模块
JP2006238562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KR100534589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KR100886812B1 (ko) 전원 배전장치
JP7309380B2 (ja) コンタクト及びバスバーアセンブリ、そのようなコンタクト及びバスバーアセンブリを有する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そのような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から電子機器のハウジングを取り外す方法
US9197039B2 (en) Panelboard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0912119B1 (ko) 부스바 커넥터 및 상기 부스바 커넥터를 이용하는 분전반
JP2003289604A (ja) ブレーカ用端子台および1次送りブレーカ付き分電盤
KR20190004404A (ko)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KR200442071Y1 (ko)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TW202203525A (zh) 匯流排連接器
CN207652045U (zh) 开放型智能式低压无功控制模块
JP4667970B2 (ja) ノーヒューズ遮断器の取付け装置
KR101623761B1 (ko)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KR200449732Y1 (ko)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EP3060032B1 (en) Power terminal
CN212991430U (zh) 插孔模块化的机柜插座及网络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