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02B1 -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 Google Patents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02B1
KR100635102B1 KR1020060029776A KR20060029776A KR100635102B1 KR 100635102 B1 KR100635102 B1 KR 100635102B1 KR 1020060029776 A KR1020060029776 A KR 1020060029776A KR 20060029776 A KR20060029776 A KR 20060029776A KR 100635102 B1 KR100635102 B1 KR 10063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bus
bar
elastic clip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주)제일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피앤피 filed Critical (주)제일피앤피
Priority to KR102006002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최대한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배전반에 자선부스바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모선부스바는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각 끝단이 지지구에 삽입 고정되고, 상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장착부재와;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그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속 지지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되, 그 인입부 측의 폭은 좁고 하부 측은 상기 인입부 측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탄성클립과, 상기 탄성클립의 인입부 사이에 그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전력이 통전되는 도체부재로 구성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분,배전반, 모선부스바, 수용공간부, 장착부재, 접속부재, 탄성클립, 도체부재

Description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A major bus-bar for an distribution switchboard and connecting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분,배전반에 적용되는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일반적인 분,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가 접속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종래 또 다른 모선부스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10 : 장착부재
12 : 수용공간부 14 : 삽입홈
20 : 접속부재
22 : 인입부 25 : 탄성클립
25a : 절개홈 25b : 유입부
25c : 지지부 28 : 도체부재
28a : 지지홈 28b : 접촉부
28c : 고정부
30 : 커버부재
32 : 슬라이드공 34 : 절취홈
36 : 지지돌기
210 : 모선부스바
220 : 자선부스바
222 : 접속단자
230 : 지지구
본 발명은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최대한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배전반(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 또는 장착판넬 등에 주차단기(110)와 다수 개의 보조차 단기(120)가 설치되고, 상기 주차단기(110)와 보조차단기(120) 사이에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 개의 부스바(bus-bar)(2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부스바는 일측이 주차단기(110)의 출력단자에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210)와, 상기 모선부스바에 연결 접속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차단기(120)에 공급하는 자선부스바(220)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분,배전반은 건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되는 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주차단기와 다수 개의 보조차단기 사이에 연결되는 종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 접속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선부스바(220)에 구비되는 접속부재(300)인 연결홀더(302) 사이로 각각의 모선부스바(210)를 삽입한 후, 각각의 자선부스바(220) 하나 하나를 스크류(304) 체결에 의해 상기 연결홀더(302) 내의 모선부스바(210)와 접속되도록 체결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를 연결 접속은 상기 별도의 접속부재에 의해 연결 접속하므로서, 조립이 상당히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오랜 작업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534589호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에서와 같이 모선부 스바에 자선부스바를 원터치 방식에 의해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선부스바를 등록받은 바, 이를 첨부된 도면 도 9를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00) 삽입공간부(402)에 자선부스바(220)의 접속단자(222)가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속 연결되도록 고정바(410)에 의해 고정되도록 탄상력을 갖는 모선부스바(2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모선부스바(210)는 중간이 절곡되어 양단으로 상기 자선부스바(220)의 접속단자(222)가 접속되도록 다수의 절개홈(212) 사이에 접촉단자부(214)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를 모선부스바의 접속단자부 사이로 삽입시킴에 따라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 접속되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같은 모선부스바에 있어서는, 상기 접촉단자부에 형성된 절개홈으로 인해 자선부스바와의 접속면적이 작게 되고, 그로 인해 자선부스바로 공급되는 전력용량이 적게되어 원활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534589호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에 구비된 모선부스바를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최대한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접속부재가 보다 큰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의 두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욱더 많은 량의 전력용량이 공급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선부스바의 자선부스바가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 커버부재를 구비하여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부재를 설치 후 그 커버부재 자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배전반에 자선부스바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모선부스바는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각 끝단이 지지구에 삽입 고정되고, 상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장착부재와;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그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속 지지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되, 그 인입부 측의 폭은 좁고 하부 측은 상기 인입부 측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탄성클립과, 상기 탄성클립의 인입부 사이에 그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전력이 통전되는 도체부재로 구성되는 접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도체부재는 그 접속단자와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갖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일면에 상기 인입부의 탄성클립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의 양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클립의 도체부재가 지지되지 않는 타측 탄성클립의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부재는 그 탄성클립 각 끝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부재는 중간이 절곡되어 양측으로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체부재는 그 탄성클립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중간에 위치하여 그 하나의 도체부재의 양측면으로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클립의 각 끝단에는 절곡된 유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구에는 그 장착부재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라이드공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에는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절취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밑면 또는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분,배전반에 적용되는 개략적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100)에 자선부스바(22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2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모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최대한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모선부스바(21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각 끝단이 지지구(230)에 삽입 고정되고, 상면에는 삽입홈(14)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가 분,배전반의 베이스판이나 장착판넬 등에 통상적인 고정방식인 스크류 체결 등에 의해 장착되는 절연재질의 장착부재(10)와;
상기 수용공간부(12)에는 그 자선부스바(220)의 접속단자(222)가 별도의 스크류 체결이 아닌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속 지지되는 접속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접속부재로 삽입되는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는 그 자선부스바의 밑면에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선부스바를 두번 이상 절곡하여 접혀진 상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동일자로 출원되는 "분,배전반용 꽂음식 자선부스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접속부재(2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인입부(22)가 형성되되, 그 인입부 측의 폭은 좁고 하부 측은 상기 인입부 측의 보다 넓은 폭 을 갖도록 형성되는 탄성클립(25)과, 상기 탄성클립(25)의 폭이 좁은 인입부 사이에 그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전력이 통전되는 도체부재(2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인입부 측의 폭을 좁게 형성함에 따라 그에 구비되는 도체부재에 탄성 지지력을 더욱더 크게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갖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일면에 상기 인입부(22)의 탄성클립(25)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홈(28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클립(25)의 양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25a)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탄성클립의 인입부에 구비된 도체부재로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삽입될 경우에 그 삽입되는 위치에 있는 탄성클립만이 팽창됨에 따라 그 측으로 삽입되는 다른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의 접속과는 상관없이 긴밀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클립(25)의 도체부재(28)가 지지되지 않는 타측 탄성클립(25)의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유입부(25b)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도체부재와 탄성클립의 인입부로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를 삽입시 상기 유입부로 인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분,배전반에서 자선부스바와 접속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부스바와 접속시 보다 많은 전력 용량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접속부재인 탄성클립의 인입부에 구비된 평판 형태의 도체부재로 인하여 그 탄성클립 일측과 도체부재 사이로 삽입되는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긴밀하게 밀 착되어 접촉면적을 넓게 가지게 됨에 따라 모선부스바로 유도된 전력이 자선부스바로 최대한 공급되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체부재를 지지하는 탄성클립은 상부인 인입부 측이 좁게 하부가 넓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클립의 일측과 도체부재 사이로 사이로 삽입되는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보다 큰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므로서,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더욱더 긴밀하게 밀착되어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가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클립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절개홈으로 인하여 다수 개의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동시에 삽입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더라도 각 위치로 삽입되는 접속단자와는 긴밀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탄성클립의 인입부에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일측면만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그 접속단자의 양측면과 접속되어 보다 많은 용량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탄성클립(25) 각 끝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일면만 접속되는 것 보다 양측면으로 도체부재가 탄성클립에 의해 접속되어 더욱더 넓은 접촉면적으로 접촉되므로서, 모선부스바에서 유도되는 전력을 자선부스바로 최대한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 양측면에 접속되는 도체부재를 분리된 형태가 아닌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도체부재(28)는 중간이 절곡되어 양측으로 접촉부(28b)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탄성클립의 인입부에 구비되는 도체부재가 각각 분리된 형태가 아니라 통상의 유(U)자 형태로 형성하므로서,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 양측면 뿐만 아니라 밑단까지 접속되어져 더욱더 넓은 접촉면적으로 가질 수 있게 되어 이 또한 모선부스바에서 유도되는 전력이 자선부스바로 최대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상기 하나의 도체부재의 양측면으로 삽입되어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탄성클립(25)의 바닥면에 스크류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되어 중간에 위치하여 그 하나의 도체부재의 양측면으로 상기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탄성클립의 각 끝단에는 절곡된 유입부(25b)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도체부재의 일측면으로만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접속되던 것을 양측면으로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넓은 접촉면적을 가지게 되어 많은 량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도체부재가 탄성클립의 중앙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방식을 스크류나 용접 방식이 아닌 그 탄성클립 자체에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체부재(28)의 하부에 고정부(28c)를 형성하고, 그 탄성클립(25)의 바닥면이 상기 고지부를 감싸 상기 도체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부(25c)를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도체부재를 별도의 고정수단이 아닌 탄성클립 자체에서 고정하므로서, 도체부재를 탄성클립에 의해 보다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모선부스바에 자선부스바가 결합되는 부분 이외에 모선부스바의 노출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구(230)에는 그 장착부재(10)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라이드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32)에는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절취홈(34)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10)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 낸 것이다.
상기에서, 슬라이드공과 커버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가 여러개 일 경우에는 그 여러 개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착부재와 같은 폭을 갖도록 슬라이드공과 커버부재를 각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상기 모선부스바로 자선부스바를 삽입하여 꽂은 상태에 자선부스바가 꽂아 지지 않은 부분에는 지지구의 슬라이드공에 커버부재를 삽입하여 장착부재의 상부를 덮고, 그 덮혀지는 길이에 따라 커버부재에 형성된 절취홈을 이용하여 알맞는 길로 절단하여 덮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모선부스바의 도체부재가 노출되지 않아 점검이나 작업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30)의 밑면 또는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6)를 형성하므로서, 상기 지지구의 슬라이드공으로 커버부재를 삽입한 후에는 그 지지돌기가 슬라이드공의 내측에 지지되어 커버부재가 이탈되지 않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와 지지구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돌기가 슬라이드공으로 삽입되어 질 때 그 슬라이드공이 약간이 변위 폭을 가져 삽입된 수 지지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상기 지지구의 슬라이드공으로 커버부재가 삽입된 후에 강제적인 외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커버부재 자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는 장착부재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스크류 또는 고정돌기 와 홈 등을 형성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된 특허등록 제534589호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에 구비된 모선부스바를 개량하여 모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자선부스바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최대한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선부스바로의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자선부스바와 연결된 보자차단기로부터 옥내의 각 요소로 부족한 전력용량 없이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자선부스바와 접속되는 접속부재인 탄성클립의 상부 인입부 측의 폭을 좁게 하므로서, 도체부재를 보다 큰 탄성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도체부재를 지지하는 탄성클립에 일정 간격의 절개홈을 형성하므로서, 다수 개가 삽입되는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나 그 접속단자의 두께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도체부재를 그 접소단자와 일면만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양측면에서 접속되도록 하므로서, 더욱더 많은 량의 전력용량이 공급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모선부스바의 자선부스바가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므로서, 모선부스바의 도체부재가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지지돌기에 의해 그 커버부재를 설치 후 상기 커버부재 자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10)

  1. 삭제
  2. 분,배전반에 자선부스바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주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 접속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부스바에 있어서,
    상기 모선부스바(210)는 내부에 수용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좌,우가 관통되어 각 끝단이 지지구(230)에 삽입 고정되고, 상면에는 삽입홈(14)이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장착부재(10)와;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그 자선부스바의 접속단자가 삽입되어 탄성력에 의해 접속 지지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인입부(22)가 형성되되, 그 인입부 측의 폭은 좁고 하부 측은 상기 인입부 측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탄성클립(25)과, 상기 탄성클립의 인입부 사이에 그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전력이 통전되는 도체부재(28)로 구성되는 접속부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접속단자와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게 갖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되, 일면에 상기 인입부의 탄성클립 끝단이 지지되는 지지홈(28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25)의 양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절개홈(25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25)의 도체부재(28)가 지지되지 않는 타측 탄성클립의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된 유입부(2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6.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탄성클립(25) 각 끝단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재(28)는 중간이 절곡되어 양측으로 접촉부(28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8. 제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재(28)는 그 탄성클립(25)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중간에 위치하여 그 도체부재의 양측면으로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클립의 각 끝단에는 절곡된 유입부(25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230)에는 그 장착부재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슬라이드공(32)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에는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절취홈(34)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재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30)의 밑면 또는 상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3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20060029776A 2006-03-31 2006-03-31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063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76A KR100635102B1 (ko) 2006-03-31 2006-03-31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776A KR100635102B1 (ko) 2006-03-31 2006-03-31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102B1 true KR100635102B1 (ko) 2006-10-18

Family

ID=3762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776A KR100635102B1 (ko) 2006-03-31 2006-03-31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1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561B1 (ko) 2009-04-03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제어를 위한 제어박스
KR100965602B1 (ko) 2009-04-03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컨트롤러
KR100965566B1 (ko) * 2009-04-06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온,오프제어 스위치형 배전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561B1 (ko) 2009-04-03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제어를 위한 제어박스
KR100965602B1 (ko) 2009-04-03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실내전기 컨트롤러
KR100965566B1 (ko) * 2009-04-06 2010-06-23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온,오프제어 스위치형 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1475C2 (ru) Выключатель, в особенности снабженный плавким предохранителем
US9755384B2 (en) Bridging module having a housing with a latching device for latching to a mounting rail
KR100607102B1 (ko) 공동주택용 분,배전반의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고정장치
US7601013B2 (en) Connection or device adapter
CA2227659A1 (en) Enclosure for interfacing electrical and control or communication devices
JP2005522007A (ja) 低電圧配電回路
US4931898A (en) Loadcenter busbar retention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US4962443A (en) Improved residential loadcenter
KR100973944B1 (ko) 분전반용 플러그
US5745337A (en) Wire barrier for electrical panel board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KR100635102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
KR100534589B1 (ko) 분,배전반용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연결장치
US4931903A (en) Loadcenter mounting rail adapter
KR100594908B1 (ko) 분,배전반용 꽂음식 자선부스바
JP4268782B2 (ja) ブレーカ用端子台および1次送りブレーカ付き分電盤
US4931902A (en) Bushbar barrier protective members
KR200431266Y1 (ko) 배전반의 모선부스바
EP1130683A1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KR200442071Y1 (ko)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934623B1 (ko) 분전반용 플러그
PL179204B1 (pl) Urzadzenie do przylaczania elektrycznych urzadzen instalacyjnych PL
JP2006166622A (ja) 避雷器付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