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625B1 - 전기접속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기접속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625B1
KR100879625B1 KR1020070049400A KR20070049400A KR100879625B1 KR 100879625 B1 KR100879625 B1 KR 100879625B1 KR 1020070049400 A KR1020070049400 A KR 1020070049400A KR 20070049400 A KR20070049400 A KR 20070049400A KR 100879625 B1 KR100879625 B1 KR 10087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nection terminal
housing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675A (ko
Inventor
이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성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성계전
Priority to KR102007004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62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mplete unscrewing of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접속하는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접속 작업을 위해 접속볼트를 풀 경우 해당 접속볼트가 전기접속 단자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풀린 상태에서도 접속볼트가 체결 가능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지단자가 장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전선이 상기 접속단자 및 접지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하는 전도성 재질의 접속볼트와, 상기 접속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으로부터 소정거리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 및 상기 체결판과 지지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승하강 안내편과, 일측이 상기 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접속 단자대, 전선, 접속나사, 코일 스프링, 걸림돌기, 안내돌기

Description

전기접속 단자대{Terminal block for electrical conne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의 접속볼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기접속 단자대 110: 상부 하우징
111, 111': 접속볼트 112, 112': 접지단자
113, 113': 접속단자 114, 114': 승하강 안내편
115, 115': 단자 프레임 116, 116': 나사용 탄성부재
117, 117': 고정편 118a: 접지용 탄성부재
118b: 접지편 120: 하부 하우징
121, 121': 접속핀 122: 절연핀
본 발명은 전선을 접속하는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접속 작업을 위해 접속볼트를 풀 경우 해당 접속볼트가 전기접속 단자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풀린 상태에서도 접속볼트가 체결 가능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전기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접속 단자대는 전기기기 등에 전선을 접속하거나 전기기기 사이를 접속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커넥터(connector, 또는 전기접속장치)라고 칭하기도 하며, 이러한 전기접속 단자대는 그 사용처와 용도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135574호에서는 상부 하우징(1)의 접속구(2,3)에 접속단자(4,6)와 접속편(5,7)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탄성을 갖는 두 접속편(5,7)을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하고, 상부 하우징(1)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중앙에는 접속편(5,7)의 사이의 접속을 단락시키는 부도체의 접속단락부(12)를 형성하며, 접속단락부(12)의 양측에는 금속 재질의 접속단자(4,6)에 각각 결합되는 접속부(13,14)를 위치시키면서 이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구(15),(16)를 통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구성된 전기접속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전기접속장치에서는 전기접속장치와 외부로부터 인 입되는 전선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위해, 먼저 스크류를 풀어 피복이 제거된 전선을 접속구(2) 상에 올려 놓거나 스크류(20)에 소정 횟수 감은 후, 다시 스크류(20)를 체결하여 전선과 접속단자(4,6) 및 접속편(5,7)을 일체로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류(20)를 이용하여 전기접속장치에 전선을 접속시키면, 각종 전기설비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위해 접속해제 및 재접속시 스크류(20)가 완전 분리되지 않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전선 체결공간이 부족하여 전선 체결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스크류(20)를 완전 분리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크류(20)의 분실이 발생하거나 보관을 위한 각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을 재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선을 접속구(2) 상의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한 상태에서 스크류(20)를 체결하여야 함에 따라 그 체결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의 접속 작업을 위해 접속볼트를 풀 경우 당해 접속볼트가 전기접속 단자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풀린 상태의 접속볼트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접속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는 내부에 단자가 장치되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하는 전도성 재질의 접속볼트와, 상기 접속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 및 상기 체결판과 지지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승하강 안내편과, 일측이 상기 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자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접속단자의 일측 형성된 접속 안내홈 및 접지단자의 일측 형성된 접지 안내홈을 통해 승하강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이 걸림에 따라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볼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상측면에 장치된 전도성 재질의 보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승하강 방향을 따라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2개의 접지단자들의 일측 종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접지단자들의 종단부를 서로 도통시키는 접지편은 접지용 탄성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받아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종래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가급적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100)의 평면과 측면을 각각 도시한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전기접속 단자대(100)는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종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단자(도 3의 113, 113' 참조) 및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도 3의 112, 112' 참조)가 장치되되, 입설된 격벽에 의해 구획된 각 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접속볼트(111, 1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 하우징(110)과,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된 접속핀(121, 121')이 장치되되 상기 접속핀(121, 121')의 일단은 상기 상부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된 접속공(도 3의 119참조)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은 피 고정체(미도시)에 설치된 커넥터(connector)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하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내부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부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술한 접속단자(113, 113') 및 접지단자(112, 112')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상단부가 서로 겹치도록 적층되되 당해 상부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된 각종 프레임들에 고정 결합된다.
즉, 접속단자(113, 113')는 일측이 상부 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단자 프레임(115, 115')의 상부 일측에 지지되고 타측 종단부는 하부 하우징(120)의 접속핀(121, 1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접속공(119) 측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접지단자(112, 112')는 그 상단부가 상기 접속단자 상단부의 상측에 놓여지되 그 하단부는 상부 하우징(110)의 저면에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이웃하는 접지단자(112, 112')들은 전도성 재질의 접지편(118b)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 탄성부재는 나사용 탄성부재(116,116')과 접지용 탄성부재(118a)로 나누어 지는데, 상기 접지편(118b)의 상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접지용 탄성부재(118a)가 장치되어 있어,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접지편(118b)이 각 접지단자(112, 112')들의 하단부와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 하우징(120)이 상부 하우징(110)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20)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핀(122)이 접지편(118b)을 밀어올려 각 접지단자(112, 112')들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하우징(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110)의 접속공(119)을 통해 접속단자(113)에 삽입 결합되는 접속핀(121, 121')이 내부를 관통하여 장치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의 결합에 의해 이웃하는 접속단자(113, 113')들간의 접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접지편(118b)이 장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이 접속볼트(111, 111')의 체결에 의해 접지단자(112, 112')의 상측에 접촉 고정되면, 전선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접지단자(112, 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속단자(113, 113') 및 상기 접속단자(113, 113')의 하단부에 삽입 결합된 접속핀(121, 121')을 통해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20)이 서로 분리되면 접속단자(113, 113')의 하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있던 접속핀(121, 121') 역시 분리됨과 동시에 접지편(118b)이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접속단자(113, 113')들을 서로 접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100)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을 위해 접속볼트(111, 111')를 풀 경우 당해 접속볼트(111, 111')가 전기접속 단자대(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풀린 상태의 접속볼트(111, 111')가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의 접속볼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단, 도 4에서는 상부 하우징(110)의 좌우측 구성들은 서로 대칭이므로 좌측 구성들만을 도시하고 우측 구성들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승하강 안내편(114, 114')과,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 및 고정편(117, 1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먼저 승하강 안내편(114, 114')은 접속볼트(111, 1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114b, 114b')이 형성된 체결판(114a, 114a')과 상기 체결판(114a, 114a')으로부터 소정거리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114d, 114d') 및 상기 체결판(114a, 114a')과 지지판(114d, 114d')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114c, 114c')으로 구성되어 접속볼트(111, 111')가 체결판(114a, 114a')의 나사공(114b, 114b')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는, 일 예로서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은 상기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지지판(114d, 114d') 하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고정편(117, 117')에 지지되어, 상기 승하강 안내편(114, 114')이 탄성력을 받으면서 강제 상승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고정편(117, 117')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를 지지함에 따라 승하강 안내편(114, 114')이 탄성력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지지부로써, 바람직하게는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서 하우징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속볼트(111')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당해 접속볼트(111')가 승하강 안내편(114')의 체결판(114a')에 형성된 나사공(114b')과 접지단자(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13a') 및 접속단자(113')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13a')을 통하여 단자 프레임(115')을 이루는 걸림돌기(115a')의 상부에 놓여진 보조너트(111a, 111a')와 나사결합되고, 이때 승하강 안내편(114')의 지지편은 그 저면이 고정편(117')에 놓여진 나사용 탄성부재(116')를 압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상부 하우징의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접속볼트(111)가 풀려지는 경우에는 나사용 탄성부재(116)가 승하강 안내편(114)의 지지판(114d)을 밀어올려 접속볼트(111)와 승하강 안내편(114)이 함께 상승하게 된다. 즉, 나사용 탄성부재(116)의 압착이 해제되어 승하강 안내편(114)을 밀어올리면 상기 승하강 안내편(114)의 연결프레임(114c)이 접지단자(112)와 접속단자(113)의 상부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접지안내홈(112b) 및 접속안내홈(113b)을 통해 상승됨에 따라 접속볼트(111)와 승하강 안내편(114)이 일체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너트(111a, 111a') 대신 접지단자(112, 112') 및 접속단자(113, 113')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12a, 112a', 113a, 113a')들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보조너트(111a, 111a')를 대신하여 접속볼트(111, 111')와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접지단자(112, 112') 및 접속단자(112, 113')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급적 보조너트(111a, 111a')를 삽입 설 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자 프레임(115, 115')을 이루는 걸림돌기(115a, 115a') 대신 고정 설치된 접지단자(112, 112') 및 접속단자(113, 113')에 의해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상승을 제한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접지단자(112, 112') 및 접속단자(113, 113')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급적 걸림돌기(115a, 115a')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단자 프레임(115, 115')에 걸림돌기(115a, 115a') 이외에 안내돌기(115b, 115b') 역시 형성하여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당해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상승 또는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접속볼트(111, 111')가 보조너트(111a, 111a')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지지편이 걸림돌기에 걸려 상승이 제한되는 최고점까지 상승되어도 당해 접속볼트(111, 111')는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체결편에 형성된 나사공(114b, 114b')과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므로, 접속볼트(111, 111')만이 완전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분실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접속볼트(111, 111')가 보조너트(111a, 111a')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는 나사용 탄성부재(116, 116')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승하강 안내편(114, 114')의 체결편이 접속볼트(111, 111')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잡아당김과 동시에 보조너트(111a, 111a')에 의해 나사결합되어 있어 당해 접속볼트(111, 111')가 흔들림 없이 긴장(tension)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선 연결 등의 작업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 단자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상에서는 상부 하우징에만 접속볼트가 장치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하부 하우징을 가로질러 장치된 접속핀 대신 나사 체결에 의해 피고정체와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대신 접속볼트를 사용 가능함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전기접속 단자대에 의하면, 전선 접속을 위해 접속볼트를 사용하여 전기접속 단자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작업 편리성이 향상됨은 물론 접속볼트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접속볼트에 탄성 복원력을 가함에 따라 나사체결상태에서는 체결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사풀림 상태에서는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내부에 단자가 장치되는 하우징과;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선이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고정하는 전도성 재질의 접속볼트와;
    상기 접속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 및 상기 체결판과 지지판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승하강 안내편과;
    일측이 상기 지지판의 저면을 지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연결프레임은 상기 접속단자의 일측 형성된 접속 안내홈 및 접지단자의 일측 형성된 접지 안내홈을 통해 승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이 걸림에 따라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볼트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의 상측면에 장치된 전도성 재질의 보조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하강 안내편의 승하강 방향을 따라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되, 상기 고정편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2개의 접지단자들의 일측 종단부가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되, 상기 접지단자들의 종단부를 서로 도통시키는 접지편은 접지용 탄성 부재로부터 탄성력을 받아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 단자대.
KR1020070049400A 2007-05-21 2007-05-21 전기접속 단자대 KR10087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00A KR100879625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접속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400A KR100879625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접속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75A KR20080102675A (ko) 2008-11-26
KR100879625B1 true KR100879625B1 (ko) 2009-01-21

Family

ID=40288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400A KR100879625B1 (ko) 2007-05-21 2007-05-21 전기접속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07B1 (ko) * 2014-06-23 2014-10-06 (주)범우정보기술 전기접속용 단자대
KR102128177B1 (ko) 2018-12-21 2020-06-29 윤도식 나사 이탈방지구조 단자대
KR20210001912U (ko) 2020-02-14 2021-08-24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조립식 단자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21A2 (ko) * 2009-08-17 2011-02-24 주식회사 휴먼라이트 상하 전기 접점 구조를 갖는 스프링 타입의 접지단자
KR200470314Y1 (ko) * 2010-05-28 2013-12-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착탈식 단자대
KR200483152Y1 (ko) * 2015-12-30 2017-04-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단자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864A (ja) * 1992-11-17 1994-06-10 Yoshida Denki Kogyo Kk レバー操作切替式端子台ユニット
KR960006937Y1 (ko) * 1993-01-29 1996-08-12 반경호 걸림돌기 와셔가 체결된 전선 접속단자
KR0126274Y1 (ko) * 1994-12-13 1998-10-15 김정국 단자대의 고정볼트 체결장치
KR20050069415A (ko) * 2003-12-31 2005-07-05 (주) 모리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864A (ja) * 1992-11-17 1994-06-10 Yoshida Denki Kogyo Kk レバー操作切替式端子台ユニット
KR960006937Y1 (ko) * 1993-01-29 1996-08-12 반경호 걸림돌기 와셔가 체결된 전선 접속단자
KR0126274Y1 (ko) * 1994-12-13 1998-10-15 김정국 단자대의 고정볼트 체결장치
KR20050069415A (ko) * 2003-12-31 2005-07-05 (주) 모리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07B1 (ko) * 2014-06-23 2014-10-06 (주)범우정보기술 전기접속용 단자대
KR102128177B1 (ko) 2018-12-21 2020-06-29 윤도식 나사 이탈방지구조 단자대
KR20210001912U (ko) 2020-02-14 2021-08-24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조립식 단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675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625B1 (ko) 전기접속 단자대
KR200376471Y1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장치
CA2938881C (en) Switching assembly and interconnect assembly therefor
CN102324646A (zh) 一种短路电连接器
KR102236981B1 (ko)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CN201757760U (zh) 一种电表箱
WO2023082761A1 (zh) 一种充电桩
KR100771223B1 (ko) 전지모듈의 단자접속장치
CN212257144U (zh) 一种高压变压器引出线结构
CN110401080B (zh) 一种三通连接端子
CN111542968B (zh) 用于电设备的电连接装置和使用该装置的连接方法
WO2019179306A1 (zh) 电连接器公头、电连接器母座、防触电电连接器、插座盒及电器模块
CN202142679U (zh) 一种短路电连接器
CN206134445U (zh) 一种变压器接线装置
CN214506067U (zh) 一种全绝缘充气柜的连接母排
KR20200124478A (ko) 배터리셀 연결장치
CN216289108U (zh) 一种安全电源插座
CN219893502U (zh) 固定机构及其电气设备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CN221669131U (zh) 一种具有安全保护功能的公母插
CN217544308U (zh) 一种用于互感器的固定装置及电流互感器
CN220138498U (zh) 电池模组、电池包及电子设备
CN217385619U (zh) 一种接插件结构及低压计量箱
KR102527485B1 (ko) 무정전 교체 단자대
CN210016040U (zh) 一种端子排并接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