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415A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415A
KR20050069415A KR1020030101492A KR20030101492A KR20050069415A KR 20050069415 A KR20050069415 A KR 20050069415A KR 1020030101492 A KR1020030101492 A KR 1020030101492A KR 20030101492 A KR20030101492 A KR 20030101492A KR 20050069415 A KR20050069415 A KR 2005006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connector
connect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모리스 filed Critical (주)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3010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9415A/ko
Publication of KR2005006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암 커넥터의 결합요홈에 삽입되어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숫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슬롯이 형성된 단자 지지보의 끝단과 접속단자 사이에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암·수 커넥터의 결합시 암·수 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하되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이루는 내측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끝단의 단부와 그 양측면 사이에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관계하는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경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Connector for electric coupling}
본 발명은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 커넥터의 결합요홈에 삽입되어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숫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슬롯이 형성된 단자 지지보의 끝단과 접속단자 사이에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암·수 커넥터의 결합시 암·수 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한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선이나 회로 및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의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무선단말기의 전기회로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러한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소켓측 커넥터 몰드(이하, "소켓 몰드"라 함)와 소켓 몰드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측 커넥터 몰드(이하, "플러그 몰드"라 함)의 결합을 통해 각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은 일반적인 구조의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를 보인 것이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1b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c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a, 1b 및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10, 20)는 소켓 몰드(12)와 플러그 몰드(22) 및 각각의 몰드(12, 22)에 배열 고정되어 두 암·수 커넥터(10, 20)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30, 30a)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커넥터(10, 20)에서 암 커넥터(10)는 소켓 몰드(12)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14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4), 소켓측 단자 지지보(14) 사이의 중앙에 플러그 몰드(2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부(12a), 소켓측 단자 지지보(14)와 결합돌부(12a) 사이에 형성되어 숫 커넥터(20)의 단자 지지보(24)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간부(16) 및 소켓측 단자 지지보(14)의 각 슬롯(14a)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숫 커넥터(20)는 플러그 몰드(22)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24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사이의 중앙에 소켓 몰드(12)의 결합돌부(12a)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결합요홈(22a) 및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의 각 슬롯(24a)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10, 20) 중에서 숫 커넥터(20)의 플러그측 접속단자(30a)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끝단의 양측면에 플러그측 접속단자(30a)가 면접촉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탄성력이 없어 암·수 커넥터(10, 20)의 결합시 소켓측 접속단자(30)와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숫 커넥터(20)는 암 커넥터(10)의 소켓측 접속단자(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접속부(32a) 내측면이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끝단의 양측면에 면접촉되고,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끝단면과의 사이에는 공간(26)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암·수 커넥터(10, 20)의 결합시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탄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소켓측 접속단자(30)와 플러그측 접속단자(30a)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숫 커넥터의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끝단과 그 양측면 사이에 탄성유격을 형성하여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한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단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단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의 결합력과 두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플러그 몰드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양측의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사이의 중앙에 소켓 몰드의 결합돌부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결합요홈 및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의 각 슬롯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하되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이루는 내측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끝단의 단부와 그 양측면 사이에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탄성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관계하는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경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는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상호 관계하는 암·수 커넥터(10, 100)의 결합력과 접속단자(30, 120)의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숫 커넥터(100)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인 숫 커넥터(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호 관계하는 암·수 커넥터(10, 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암 커넥터(10)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소켓 몰드(12)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14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4), 소켓측 단자 지지보(14) 사이의 중앙에 플러그 몰드(2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돌부(12a), 소켓측 단자 지지보(14)와 결합돌부(12a) 사이에 형성되어 숫 커넥터(20)의 단자 지지보(24)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간부(16) 및 소켓측 단자 지지보(14)의 각 슬롯(14a)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 역시 플러그 몰드(110)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112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 사이의 중앙에 소켓 몰드(12)의 결합돌부(12a)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결합요홈(114) 및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각 슬롯(112a)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는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경우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접속부(122)의 형태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이루는 내측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 끝단의 단부와 그 양측면 사이에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유격(1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 형태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하여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이루는 내측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 끝단의 단부와 그 양측면 사이에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유격(116)을 형성함으로써 상호 관계하는 한 쌍의 암·수 커넥터(10, 100)를 결합시키는 경우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소켓 커넥터(10)의 소켓측 접속단자(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의 숫 커넥터(100)는 관계하는 암 커넥터(10)에 결합시키게 되면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소켓 몰드(12)의 결합돌부(12a) 외측면과 면첩촉에 의해 소켓측 접속단자(30) 방향으로 밀려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소켓측 접속단자(30)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와 소켓측 접속단자(30)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와 암 커넥터(10)의 결합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소켓측 접속단자(30)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은 접속부(122)의 내주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끝단부 사이에 탄성유격(116)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때,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 내주면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끝단부(끝단과 그 양측면) 사이에는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접속부(1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의 탄성유격(116)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와 암 커넥터(10)의 결합시 소켓측 접속단자(30)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는 탄성유격(116)만큼 탄성 변형된다. 이때, 탄성 변형된 접속부(122)는 그 구형의 형태가 소켓측 접속단자(30)의 방향으로 쏠려 있는 형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암·수 커넥터(10, 10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암·수 커넥터(10, 100)를 분리시키게 되면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된다. 즉,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원상태의 구형으로 복원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숫 커넥터(100)에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이루는 구형은 완전한 구형인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 형태를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112)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암·수 커넥터(10, 100)의 결합시 플러그측 접속단자(120)의 접속부(122)가 탄성 변형을 통해 소켓측 접속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숫 커넥터의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끝단과 그 양측면 사이에 탄성유격을 형성하여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와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단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숫 커넥터를 암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경우 암 커넥터의 결합돌부 외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단이 암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유격만큼 탄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수 커넥터의 결합력과 두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a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1b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c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암 커넥터 12. 소켓 몰드
14. 소켓측 단자 지지보 14a. 슬롯
16. 결합공간부 30. 소켓측 접속단자.
100. 숫 커넥터 110. 플러그 몰드
112.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112a. 슬롯
114. 결합요홈 116. 탄성간극
120. 플러그측 접속단자 122. 접속부

Claims (3)

  1. 플러그 몰드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상기 양측의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사이의 중앙에 소켓 몰드의 결합돌부에 관계하여 형성되는 결합요홈 및 상기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의 각 슬롯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상기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이루는 내측면과 상기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끝단의 단부와 그 양측면 사이에 상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유격을 형성하여 상호 관계하는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경우 구형으로 형성된 상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상기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결합된 한 쌍의 암·수 커넥터를 분리시키는 경우 상기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가 원상태로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는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으로 형성된 플러그측 접속단자의 접속부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1020030101492A 2003-12-31 2003-12-31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20050069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92A KR20050069415A (ko) 2003-12-31 2003-12-31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92A KR20050069415A (ko) 2003-12-31 2003-12-31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72U Division KR200347660Y1 (ko) 2003-12-31 2003-12-31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415A true KR20050069415A (ko) 2005-07-05

Family

ID=3725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492A KR20050069415A (ko) 2003-12-31 2003-12-31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94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47B1 (ko) * 2004-12-13 2007-04-24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KR100879625B1 (ko) * 2007-05-21 2009-01-21 주식회사유성계전 전기접속 단자대
CN108134226A (zh) * 2016-12-01 2018-06-08 株式会社藤仓 电连接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447B1 (ko) * 2004-12-13 2007-04-24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러그 커넥터,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커넥터의조립방법
KR100879625B1 (ko) * 2007-05-21 2009-01-21 주식회사유성계전 전기접속 단자대
CN108134226A (zh) * 2016-12-01 2018-06-08 株式会社藤仓 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3064C (zh) 板对板密集安装型射频同轴连接器
US6280243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CN201247879Y (zh) 板对板密集安装型射频同轴连接器
JPH10106662A (ja) 電気端子
CN105900294A (zh) 在外导体之间具有轴向和径向接触的同轴连接器
JP2023022158A5 (ko)
ATE373882T1 (de) Koaxialsteckverbinder und antennenanordnung mit einer schalterfunktion
JP2003203726A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6066352A (ja) 多極コネクタ
JP3138156U (ja) Rf通信用マイクロ波コネクタのソケット
CN109473837B (zh) 冲压拉伸射频连接器
KR200347660Y1 (ko)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20050069415A (ko)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WO2023045230A1 (zh) 一种板间连接器
JP5357563B2 (ja) 高電圧対応多極プラグコネクター
WO2000059073A1 (en) Female electrical terminal with arc arresting portion
KR100647882B1 (ko)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200364190Y1 (ko)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CN103326096B (zh) 一种同轴连接器的转接器、插座及同轴连接器
US20230299533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691092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171989U (ja) ボードツーボードコネクタ
CN220066155U (zh) 一种导电弹环及其连接器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KR20150072189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