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882B1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7882B1 KR100647882B1 KR1020040053719A KR20040053719A KR100647882B1 KR 100647882 B1 KR100647882 B1 KR 100647882B1 KR 1020040053719 A KR1020040053719 A KR 1020040053719A KR 20040053719 A KR20040053719 A KR 20040053719A KR 100647882 B1 KR100647882 B1 KR 100647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connector
- elastic
- shape
-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의 구성을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시 3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소켓측 접속단자의 "∩" 형태의 결합부 상단은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제 3 탄성부를 형성하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 내측면과의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와 그 하부의 소켓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제 2 탄성유격과 제 3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시켜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측 접속단자와의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 상측 끝단의 접속단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 하단 및 제 3 탄성부의 3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커넥터, 소켓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접속단자, 커넥터 하우징
Description
도 1a 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1b 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플러그 커넥터 22. 플러그 하우징
24.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 24a. 슬롯
100. 소켓 커넥터 110. 소켓 하우징
112. 소켓측 단자 지지보 112a. 슬롯
120. 소켓측 접속단자 122. 고정단
124. 결합부 126. 탄성 접속부
128. 제 3 탄성부 130. 제 1 탄성유격
132. 제 2 탄성유격 134. 제 3 탄성유격
140. 방열홈
본 발명은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 커넥터의 결합요홈에 삽입되는 숫 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슬롯이 형성된 단자 지지보와 접속단자 사이에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암·수 커넥터의 결합시 암·수 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한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라 함은 전선이나 회로 및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의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무선단말기의 전기회로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러한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소켓측 커넥터 몰드(이하, "소켓 하우징"이라 함)와 소켓 하우징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측 커넥터 몰드(이하, "플러그 하우징"이라 함)의 결합을 통해 각 접속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a 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1b 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한편,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의 암·수 커넥터(10, 20)는 소켓 하우징(12)과 플러그 하우징(22), 각각의 몰드(12, 22) 양측에 다수의 슬롯(14a, 24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 켓측 단자 지지보(14)와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각각의 단자 지지보(14, 24)에 형성된 슬롯(14a, 24a) 상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16)와 플러그측 접속단자(26)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예의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중에서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에 구성된 소켓측 접속단자(16)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4)에 지지되는 "∩" 형태의 결합부(16a)와 "∩" 형태의 결합부(16a) 내측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 형태의 탄성 접속부(16b)가 일체로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켓 커넥터(10)의 소켓측 접속단자(16)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의 슬롯 상에 "∩" 형태의 결합부(16a)가 면접촉되어 지지되고, 내측의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 형태의 탄성 접속부만이 플러그측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 하단이 영구변형되어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접속단자의 접속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킬 수 없는 문제로 인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암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를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 2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소켓측 접속단자의 탄성변형이 3부분에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를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 2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의 영구변형을 방지하여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소켓 하우징의 사출 성형시 금형의 상·하부측 코어(Core)를 안정적으로 형합시켜 사출압력에 의한 피치(Pitch) 쏠림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홀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일정 형태로 이루어진 소켓 하우징, 소켓 하우징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 기판에 납땜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단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와 "∩" 형태의 결합부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 ∪"의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접속부로 구성되어 소켓측 단자 지지보의 각 슬롯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로 이루어진 소켓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소켓측 접속단자의 "∩" 형태의 결합부 상단은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제 3 탄성부를 형성하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 내측면과의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와 그 하부의 소켓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제 2 탄성유격과 제 3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시켜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측 접속단자와의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 상측 끝단의 접속단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 하단 및 제 3 탄성부의 3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소켓 커넥터의 "∩" 형태의 결합부 상단에 구형으로 형성된 제 3 탄성부는 동심원의 형태 혹은 타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각 소켓측 접속단자의 "∪" 형태의 탄성 접속부 하부측 위치의 소켓 하우징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분리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암·수 커넥터의 분리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상호 관계하는 암·수 커넥터(100, 20)의 결합력과 접속단자(120, 26)의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숫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를 의미하고, 암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는 암 커넥터 즉, 소켓 커넥터(100)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호 관계하는 암·수 커넥터(100, 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숫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20)는 일정 형태의 플러그 하우징(22), 플러그 하우징(22)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24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 및 플러그측 단자 지지보(24)의 각 슬롯(24a)에 배열 고정되는 플러그측 접속단자(2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는 일정 형태로 이루어진 소켓 하우징(110), 소켓 하우징(110)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112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및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각 슬롯(112a)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는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구성에 있어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은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130)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제 3 탄성부(128)가 형성되어지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내측면과의 사이 및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와 그 하부의 소켓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각각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134)이 형성되도록 결합시켜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측 접속단자(26)와의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상측 끝단의 접속단(126a)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 및 제 3 탄성부(128)의 3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에서의 소켓측 접속단자(120)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상단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의 형태가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두께에 비해 큰 구형의 제 3 탄성부(128)가 형성되도록 하여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1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소켓측 접속단자(120)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내측면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부와의 사이에 각각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134)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서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의 소켓측 접속단자(1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소켓측 접속단자(120)는 기판에 납땜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단(122),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124), "∩" 형태의 결합부(124) 하단으로부터 상향으 로 절곡되어 "∪"의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접속부(126) 및 "∪"의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접속부(126)의 내측단 상단을 이루는 접속단(126a)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은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소켓측 접속단자(120)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이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130)이 형성되도록 구형으로 제 3 탄성부(128)가 형성된다. 이때, 이처럼 형성된 소켓측 접속단자(120)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슬롯(112a)에 배열 고정시키는 경우 "∩" 형태의 결합부(124) 내측단 내측면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내측면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와 그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간극의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소켓측 접속단자(120)를 배열 고정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이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130)이 형성되도록 구형으로 제 3 탄성부(128)가 형성하되 "∩" 형태의 결합부(124) 내측단 내측면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내측면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와 그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간극의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배열 고정시키게 되면 소켓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의 전기적인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상측 끝단의 접속단(126a)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 및 제 3 탄성부(128)의 3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즉, 소켓 커넥터(100)에 플러그 커넥터(20)를 결합시키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측 접속단자(26)에 최초로 접속되는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상측 끝단의 접속단(126a)이 첫 번째 탄성 변형되고, 다음으로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인 절곡된 부분에서 두 번째 탄성 변형되며, 최종적으로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인 구형의 제 3 탄성부(128)에서 세 번째로 탄성 변형된다. 다시 말해서,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상측 끝단의 접속단(126a) 부분이 제 1 탄성부를 구성하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인 절곡된 부분이 제 2 탄성부를 구성하며,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 부분이 제 3 탄성부(128)를 구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인 절곡된 부분과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 부분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근거는 "∩" 형태의 결합부(124) 내측단 내측면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내측면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와 그 하부와의 사이에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134)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으로 결합 고정되고, 또한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 내측면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 사이에 제 1 탄성유격(130)이 형성되도록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이 구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암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100)에서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에 형성되는 제 3 탄성부(128)의 구형은 완전한 구형인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100)의 구성에서 소켓측 접속단자(120)를 구성하는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의 하부에 위치되는 소켓 하우징(110)의 부분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1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열홈(140)이 형성된다. 이때, 방열홈(140)은 각각의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갯수 만큼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방열홈(140)은 두 커넥터(100, 20)의 전기적인 접속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경우 방열홈(140)을 통해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함은 물론, 방열홈(140)은 소켓 하우징(110)의 사출 성형시 금형의 상·하부측 코어(Core)를 안정적으로 형합시켜 사출압력에 의한 피치(Pitch) 쏠림 현상을 감소시킴으로써 홀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방열홈(140)은 이물질의 배출기능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상단부에 위치하는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 형태의 결합부(124) 상단의 형태를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의 두께에 비해 큰 지름의 구형으로 형성하여 제 3 탄성부(128)를 형성하고, 소켓측 단자 지지보(112) 내측면과의 사이 그리고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와 그 하부와의 사이에 제 2 탄성유격(132)과 제 3 탄성유격(134)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 유지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20)의 플러그측 접속단자(26)와의 접속시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상측 끝단의 접속단(126a)과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 및 제 3 탄성부(128)의 3 부분에서 탄성변형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 형태의 탄성 접속부(126) 하단에서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소켓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의 결합시 소켓측 접속단자(120)의 3부분에서의 탄성 변형을 통해 영구변형을 방지하여 커넥터의 전기적인 접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를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과의 사이에 제 1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구형의 형태로 형성하되 소켓측 단자 지지보 내측면과의 사이에 제 2 탄성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하여 소켓측 접속단자의 탄성변형이 3부분에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의 영구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암·수 커넥터의 전기적인 접속시 소켓측 접속단자의 탄성변형이 3부분에서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측 접속단자의 영구변형을 방지하여 두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일정 형태로 이루어진 소켓 하우징, 상기 소켓 하우징의 양측에 다수의 슬롯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되는 소켓측 단자 지지보, 기판에 납땜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단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에 관계하는 "∩"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 형태의 결합부 하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의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 접속부로 이루어져 상기 소켓측 단자 지지보의 각 슬롯에 배열 고정되는 소켓측 접속단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소켓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측 접속단자와 접속시 탄성 변형이 발생되도록 "∩" 형태로 형성된 상기 소켓측 접속단자의 결합부 상단에 구형의 형태로 형성된 제 3 탄성부;상기 제 3 탄성부에 의해 상기 소켓측 접속단자의 결합부 상단과 소켓측 단자 지지보 상단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탄성유격;상기 제 3 탄성부에 의해 상기 "∪" 형태로 형성된 소켓측 접속단자의 탄성접속부와 상기 소켓측 단자 지지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탄성유격; 및상기 제 3 탄성부에 의해 상기 "∪" 형태로 형성된 소켓측 접속단자의 탄성 접속부와 그 하측의 소켓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탄성유격; 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의 "∩" 형태의 결합부 상단에 구형으로 형성된 제 3 탄성부는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 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의 "∩" 형태의 결합부 상단에 구형으로 형성된 제 3 탄성부는 타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켓측 접속단자의 "∪" 형태의 탄성 접속부 하부측 위치의 소켓 하우징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커넥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3719A KR100647882B1 (ko) | 2004-07-09 | 2004-07-09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3719A KR100647882B1 (ko) | 2004-07-09 | 2004-07-09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9675U Division KR200364190Y1 (ko) | 2004-07-09 | 2004-07-09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4567A KR20060004567A (ko) | 2006-01-12 |
KR100647882B1 true KR100647882B1 (ko) | 2006-11-24 |
Family
ID=3711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3719A KR100647882B1 (ko) | 2004-07-09 | 2004-07-09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788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060B1 (ko) * | 2009-05-14 | 2011-05-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
KR20220048771A (ko) * | 2020-10-13 | 2022-04-2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3614B1 (ko) * | 2006-01-26 | 2007-01-24 |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 메모리 테스트 소켓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597B1 (ko) * | 1996-11-26 | 2000-08-01 | 이마이 기요스케 | 로우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
KR20030047660A (ko) * | 2001-12-11 | 2003-06-18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040026707A (ko) * | 2002-01-28 | 2004-03-31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200347661Y1 (ko) * | 2003-12-31 | 2004-04-13 | (주)마루스솔루션 |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
2004
- 2004-07-09 KR KR1020040053719A patent/KR1006478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3597B1 (ko) * | 1996-11-26 | 2000-08-01 | 이마이 기요스케 | 로우 프로파일 전기 커넥터 조립체 |
KR20030047660A (ko) * | 2001-12-11 | 2003-06-18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20040026707A (ko) * | 2002-01-28 | 2004-03-31 |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KR200347661Y1 (ko) * | 2003-12-31 | 2004-04-13 | (주)마루스솔루션 |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1002635970000 * |
2003476600000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6060B1 (ko) * | 2009-05-14 | 2011-05-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
KR20220048771A (ko) * | 2020-10-13 | 2022-04-2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커넥터 |
KR102479386B1 (ko) * | 2020-10-13 | 2022-12-2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4567A (ko) | 2006-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9551B2 (en) |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 |
US9444204B2 (en) | Serial bus connector | |
US7976330B2 (en) | Securely latched power connector assembly | |
JP7109303B2 (ja) | コネクタ組立体 | |
JP2018200850A (ja) | 電気コネクタ | |
TW201703374A (zh) | 電連接器及其組合 | |
JP2009517802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5209501A (ja) |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 |
JP2009266629A (ja) | 電気コネクタ | |
US8500460B2 (en) |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 |
US11394153B2 (en) | Connector and terminal | |
KR100647882B1 (ko)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
JP2017147171A (ja) | コネクタ | |
KR200364190Y1 (ko)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
US7938652B2 (en) |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 |
EP3965232A1 (en) |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 |
US6902442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0347660Y1 (ko)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
KR20050069415A (ko) |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 |
CN211789699U (zh) | 连接器 | |
US20230299533A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WO2019008062A1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2555601Y2 (ja) | 可動コネクタ | |
CN217642063U (zh) | 连接器、连接器模块和连接器组件 | |
TWI847353B (zh) | 連接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