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060B1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060B1
KR101036060B1 KR1020090042083A KR20090042083A KR101036060B1 KR 101036060 B1 KR101036060 B1 KR 101036060B1 KR 1020090042083 A KR1020090042083 A KR 1020090042083A KR 20090042083 A KR20090042083 A KR 20090042083A KR 101036060 B1 KR101036060 B1 KR 10103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pack
circuit board
connector body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067A (ko
Inventor
변보현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060B1/ko
Priority to US12/778,244 priority patent/US20100291434A1/en
Publication of KR2010012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을 전자기기에 접속 및 분리시에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점부에 상기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전자기기의 터미널이 삽입되더라도 접점부의 변형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팩, 커넥터, 지지부재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팩과 전자기기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을 전자기기에 접속 및 분리시에 커넥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배터리 팩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채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이차전지에는 니켈-카드뮴(Ni-Cd)전지와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Li) 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이차 전지 등이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작동 전압이 약 3배나 높다. 또한,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캔과 같은 케이스의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질이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베어셀과, 보호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어셀은 화학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충방전하고, 상기 보호회로 기판은 베어셀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여 베어셀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베어셀과 보호회로 기판이 조립된 상태를 코어 팩(core-pack)이라 칭한다. 상기 코어 팩의 보호회로 기판에는 커넥터가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는 서로 대응되는 커넥터 터미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넥터는 방전시 베어셀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고, 충전시에는 베어셀로 전류를 전달하는 매개체가 된다. 이때 전자기기의 접속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의 터미널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전기/전자장치에 배터리 팩을 반복적으로 장착 및 분리하게 되면서 커넥터의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외부 충격이 의해 커넥터의 터미널과 터미널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이격되면, 전자기기와의 접속불량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에 구비된 커넥터 터미널 단자 간의 간격이 이격되면 접속불량이 발생되어 배터리 팩이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반복사용에 의해 커넥터 터미널이 간격이 벌어져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에 의해 커넥터의 터미널의 간격이 벌어져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점부에 상기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접점부를 지지한다. 그러나 커넥터 바디 이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지부재가 탄성력을 갖지 않는 비탄성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접점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탄성과 강성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지가며, 일예로, 상기 지지부재는 강화 플라스틱 섬유 또는 이와 등가의 성질을 갖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횡단면이 U 자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절 곡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절곡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베어셀과,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어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 기판, 상기 보호회로 기판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보호회로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셀 외부와의 전류전달 통로의 역할을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점부에 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은 기판 바디의 상면에 상기 베어셀의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수개의 단자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기판 실장부가 실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의 접점부가 노출되는 단자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접점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바디는 각 접점부 하부에 형성되며, U자형 횡단면을 갖는 2개의 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절곡부는 서로 이웃한 상태로 그리고 기판 실장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절곡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보호 회로기판에 전기적 으로 접속되는 기판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자기기에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 팩이 충,방전을 실시하여 사용되므로 충전된 배터리 팩을 전자기기에 반복해서 연결 및 분리하게 된다. 이때, 커넥터의 터미널 사이에 전자기기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반복사용에 의해 커넥터 터미널이 간격이 벌어지면서 변형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와 배터리 팩의 전기적 접속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장착후 또는 장착전 상태에서 배터리 팩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커넥터의 터미널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하여 전자기기와 배터리 팩의 전기적 접속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하는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에 의하여 얼마든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100)은 전류를 발생시키는 베어셀(110), 상기 베어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어셀(1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 기판(120), 상기 보호회로 기판(110)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140), 상기 베어셀(110)과 외부의 전류 전달 통로의 역할을 하는 커넥터(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 상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3개의 커넥터(130;130A,130B,130C)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셀(110)은 양극판, 음극판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미도시)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미도시)이 수납되는 캔 또는 외장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질은 캔 또는 외장재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외관상 상기 베어셀(110)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베어셀(110)은 폭이 넓은 장측면과, 장측면에 연이어 형성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단측면과, 상기 장측면과 단측면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상,하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셀(110)의 상면에는 전극단자(111)가 인출된다. 상기 전극단자(111)는 양극 또는 음극중에 하나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음극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단자(111)가 음극 단자인 경우에 상기 베어셀(110)의 외면은 양극의 극성을 띠게 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은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 바디(121)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 바디(121)의 중앙에는 상기 전극단자(11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관통공(122)이 형성된다. 기판 바디(121)의 하면 일측에는 과충방전으로부터 베어셀(110)을 보호하는 보호회로 부품(123)을 설치한다. 상기 기판 바디(121)의 상면 타측에는 상기 베어셀(110)의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수개의 단자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공(124)에는 커넥터(130)가 실장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은 상기 베어셀(110)의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리드플레이트(125)(126)를 포함한다. 이때, 양극은 보통 베어셀(1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캔의 표면이고, 음극은 외부로 돌출된 전극단자(111)이다.
상기 커넥터(130)는 3개의 커넥터(130A)(130B)(130C)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30;130A,130B,130C)는 양극 단자, 음극 단자 및 전지의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130A)(130B)(130C)의 구성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커넥터를 일예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커넥터(130)는 커넥터 바디(131)와, 접점부(132, 133)와, 2개의 기판 실장부(134, 135)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바디(131)는 U 자형 횡단면을 갖는 2개의 절곡부(136, 137)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절곡부(136,137)는 서로 이웃한 상태로 그리고 기판 실장부(134, 135)를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외부 접점부(132, 133)는 상기 커넥터 바디(131)의 절곡부(136, 137)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132, 13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접점부(132, 133) 사이에 전자 기기의 단자가 끼워져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판 실장부(134, 135)는 상기 커넥터 바디(131)의 하단부에서 일체로 수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바디(131)와 2개의 절곡부(136)(137) 사이에 지지부재(150;151,152)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탄성을 갖는 커넥터 바디(131)와 절곡부(136)(137)가 탄성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비탄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항시 일정한 지지력에 의하여 커넥터 바디(131)와 절곡부(136)(137)를 지지함으로써 커넥터 바디 및 절곡부의 변형 및 유동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50)는 상기 커넥터 바디(13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자기기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절곡부(136)(137)가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서 전자기기의 터미널과 분리되면 절곡부(136)(137)는 본래 복원되도록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50)는 탄성과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강화 플라스틱 섬유나 이와 등가의 성질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0)는 커넥터의 바디(131)와 절곡부(136)(137)가 외부 단자가 삽입되거나, 외부 충격이 발생시 외부 접점부간의 간격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든지 적용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50)의 형상은 커넥터 바디(131)와 절곡부(136)(137)가 변형되지 않는 형태와 체적을 갖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다양한 형태와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 부재(150, 151)는 외부 접점부(132, 131)와 대응하는 커넥터 바디(131)의 상부 영역에만 대응하는 규격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즉, 하단이 기판 바디(121)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140)은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을 감싸도록 베어셀(1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140)은 일측에 상기 커넥터(130A)(130B)(130C)의 접점부들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단자홈(141)(142)(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홈(141)(142)(143)은 커버 플레임(140)에서 상기 커넥터(130A)(130B)(130C)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이차전지용 배터리 팩(100)의 조립은 베어셀(110)에 보호회로 기판(120)을 조립하고, 커버 프레임(140)을 조립하는 순서로 실시된다.
상기 베어셀(110)에서 전극단자(111)가 돌출된 일면에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이 조립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은 전극단자(111)를 통해 스폿 용접되어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드 플레이트(125)(126)이 레이저용접된다. 상기 리드 플레이트(125)(126) 중 적어도 하나의 리드 플레이트를 통해서 양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120)의 일측에는 수개의 단자홈(124)이 형성되어 커넥터(130;130A,130B,130C)가 실장된다.
이후, 상기 베어셀(110)의 일면에 조립된 보호회로 기판(120)의 상부에 커버 프레임(14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 프레임(140)의 단자홈(141)(142)(143)을 통해 커넥터(130:130A,130B,130C)들의 단자에 해당되는 접점부(132,133)들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배터리 팩은 전자기기의 터미널과 연결된다. 즉, 상 기 단자홈(141)(142)(143)의 내부로 삽입된 전자기기의 터미널은 각각의 (130:130A,130B,130C)들의 접점부(132)와 접점부(133) 사이에 개재되어 접속된다. 이때, 전자기기의 터미널에 의해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접점부(132)(133)의 양측에서 지지부재(150;151,152)가 접점부(132)(133)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터미널이 분리된 이후에도 커넥터(130:130A,130B,130C)들의 커넥터 바디(131) 및 절곡부(136)(137)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기판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부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터리 팩 110 ; 베어셀
120 ; 보호회로 기판 130 ; 커넥터
131 ; 커넥터 바디 132,133 ; 커넥터 접점부
134,135 ; 커넥터 기판 실장부 136,137 ; 커넥터 절곡부
140 ; 커버 프레임 14,142,143 ; 단자홈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베어 셀과, 상기 베어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어 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 기판, 상기 보호회로 기판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보호회로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베어 셀 외부와의 전류 전달 통로의 역할을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외부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보호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실장부; 및
    상기 커넥터 바디와 접점부 사이에 배치되되, 보호 회로 기판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지지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 기판은 기판 바디의 상면에 상기 베어 셀의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수개의 단자공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기판 실장부가 실장된 배터리 팩.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커넥터의 접점부가 노출되는 단자홈이 형성된 배터리 팩.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접점부를 지지하는 배터리 팩.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각 접점부 하부에 형성되며 U자형 횡단면을 갖는 2개의 절곡부를 더 포함하되, 절곡부는 이웃하는 상태에서 기판 실장부를 향하는 배터리 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U자형 절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배터리 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강화 플라스틱 섬유로 형성된 배터리 팩.
KR1020090042083A 2009-05-14 2009-05-14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03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83A KR101036060B1 (ko) 2009-05-14 2009-05-14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US12/778,244 US20100291434A1 (en) 2009-05-14 2010-05-12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083A KR101036060B1 (ko) 2009-05-14 2009-05-14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67A KR20100123067A (ko) 2010-11-24
KR101036060B1 true KR101036060B1 (ko) 2011-05-26

Family

ID=4306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083A KR101036060B1 (ko) 2009-05-14 2009-05-14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91434A1 (ko)
KR (1) KR101036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133B1 (ko) * 2019-02-26 2023-08-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D942372S1 (en) * 2019-03-29 2022-02-01 Nikon Corporation Battery
USD958062S1 (en) * 2019-03-29 2022-07-19 Nikon Corporation Battery
KR20210026947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
KR20210148750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클립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02023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82B1 (ko) * 2004-07-09 2006-11-24 주식회사 마루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JP2007141805A (ja) * 2005-10-21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タ実装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並びに電池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2892B1 (en) * 2004-06-30 2008-03-19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Connector for electronic components
KR100865392B1 (ko) * 2006-11-20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882B1 (ko) * 2004-07-09 2006-11-24 주식회사 마루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JP2007141805A (ja) * 2005-10-21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タ実装構造及びコネクタ付き回路基板並びに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1434A1 (en) 2010-11-18
KR20100123067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1324B2 (en)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EP2207222B1 (en) Battery pack
US7538516B2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0965684B1 (ko) 전지 팩
KR101009567B1 (ko) 배터리 팩
US8846221B2 (en) Battery pack
KR101116409B1 (ko) 배터리 팩
KR20090132490A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9371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114932B (zh) 电池模块以及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20070071233A (ko) 이차전지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495294B1 (ko) 전극 탭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7615518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140002112A (ko) 배터리 모듈
KR20200076909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되고 멀티셀렉팅 기능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팩
KR100949006B1 (ko) 배터리 팩
KR20210003599A (ko) 접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팩 및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20210011641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089588A (ko) 단일 프레임 구조의 전지팩
KR101030892B1 (ko) 이차전지
KR20140109693A (ko) 이차 전지 팩
KR20070105193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