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567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567B1
KR101009567B1 KR1020080123204A KR20080123204A KR101009567B1 KR 101009567 B1 KR101009567 B1 KR 101009567B1 KR 1020080123204 A KR1020080123204 A KR 1020080123204A KR 20080123204 A KR20080123204 A KR 20080123204A KR 101009567 B1 KR101009567 B1 KR 10100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s
battery pack
thickness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667A (ko
Inventor
곽노현
김영호
김형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567B1/ko
Priority to US12/591,938 priority patent/US9219259B2/en
Publication of KR2010006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과; 상기 배터리 셀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유지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은 스웰링시 서로 마주보는 배터리 셀들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는 경우에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스웰링에 의해 배터리 셀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서로 대응되는 배터리 셀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배터리 셀의 간섭에 의한 배터리 팩의 두께 증대로 인해 배터리 팩이 장착된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팩, 복수의 배터리 셀, 스웰링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신뢰성이 높은 고성능의 소형 2차 전지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특히 2차 전지는 소형ㆍ경량화 및 장시간 연속사용이라는 이동통신기기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2차 전지의 대용량화에 대한 소비 시장의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전지의 대용량화를 위해서는 셀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방안과, 복수의 셀을 단일 팩 내부에서 연결하는 방안이 실시가능하다. 그러나 셀의 사이즈를 증대시키는 방안은 갈수록 소형화되는 추세에 역행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복수의 셀을 하나의 팩에서 사용하면서 전지 성능을 안정화시키고 향상시키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는 경우에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화에 대응하도록 한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과; 상기 배터리 셀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유지용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공은 스웰링시 서로 마주보는 배터리 셀들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셀들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측면은 2개의 장측면과 2개의 단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과 장측면 사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의 장변 또는 단변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의 두께(t)는 배터리 셀의 두께가 T인 경우에 (T/10)*2 이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의 두께(t)는 배터리 셀의 두께가 5.5 mm 인 경우에 1.1 mm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는 양면 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양면 테이프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폼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PCM 어셈블리; 상기 배터리 셀들과 상기 PCM 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탭; 상기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서 상기 PCM 어셈블리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탑 케이스; 상기 배터리 셀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버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측면을 감싸는 라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이 구비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는 경우에 배터리 셀의 중심부에서 스웰링에 의해 배터리 셀의 두께가 변화하더라도 서로 대응되는 배터리 셀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간섭에 의한 배터리 팩의 두께 증대로 인해 배터리 팩이 장착된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제 1 배터리 셀(110)과,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배터리 셀(120),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 및 제 2 배터리 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PCM 어셈블리(Protection Circuit Module Assembly)(130),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 및 제 2 배터리 셀(120)과 상기 PCM 어셈블리(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탭(140),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의 상부에서 상기 PCM 어셈블리(13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탑 케이스(Top Case)(150),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버텀 케이스(Bottom Case)(160),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의 측면을 감싸는 라벨(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형상을 직육면체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상면(110a)(120a)에는 각각 음극 단자(111)(121)가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측면은 2개의 장측면(110b)(120b)과 2개의 단측면(110c)(120c)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하면(110d)은 장측면(110b) 및 단측면(110c)들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상기 제 2 배터리 셀(120)은 어느 하나의 서로 대향하는 장측면(110b)과 장측면(120b)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접착된다.
이때, 제 1 배터리 셀의 장측면(110b)과 제 2 배터리 셀의 장측면(120b) 사 이에는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이 개재된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은 중앙부에 통공(18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81)은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이 충방전으로 인한 스웰링 발생시 제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부분에 대응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셀은 충방전에 의한 스웰링시 배터리 셀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위로 갈수록 두께가 증대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에서 부풀어오르는 부위는 장측면에서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모두 해당된다.
그러므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에 형성된 통공(181)은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은 내측에 통공(181)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의 두께는 제 1 배터리 셀(110) 및 제 2 배터리 셀(120)의 두께 증가분에 해당된다. 실험적으로 배터리 셀의 두께 증가값은 배터리 셀의 최대 두께(T)의 10% 이내에 해당된다.
따라서 각형 타입의 배터리 셀 하나의 두께가 5.5 mm 인 경우에 배터리 셀의 두께 증가값은 최대 0.55mm 이므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배터리 셀 간의 간격은 최대 1.1 mm 를 확보하여야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의 두께(t)는 (T/10)*2 이하로 형성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의 재질은 제 1,2 배터리 셀(110)(120) 사이에 위치하여 셀의 반복되는 충방전으로 인한 스웰링 발생에 의해서도 본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이든지 무방하다.
바람직하기는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장측면(110a)(120a)에 동시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면 테이프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을 완화하기에 적당한 폼테이프(form ta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가 테이프 종류가 아닌 경우에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의 제1,2 배터리 셀의 장측면(110a)(120a)과 맞닿는 부위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한다.
상기 PCM 어셈블리(130)는 회로기판(131)과, 상기 회로기판(131)에 설치되는 전기회로소자(132)와,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외부로 전달하는 외부단자(133)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기판(131)은 상기 2개의 배터리 셀(110)(120)의 상면(110a)(120a)과 대응되는 폭을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131)의 중앙에는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의 음극단자(111)와 제 2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121)가 회로기판(131)의 음극단자(미도시)를 접속하기 위하여 단자통공(131a)(13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1)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절개부(131c)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1c)는 상기 연결 탭(140)을 배터리 셀(110)(120)의 상면에 용접 이 가능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 탭(140)은 상기 회로기판(131)의 하면에서 좌,우측 양단에 설치되는 제 1 연결 탭(140)과 제 2 연결 탭(1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 탭(140) 및 제 2 연결 탭(140')은 상기 회로기판(131)을 지지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의 상면(110a)(120a)에 안착된다.
상기 제 1, 2 연결 탭(140)(140')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131)은 2개의 배터리 셀(110)(120)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는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이 병렬된 구조이다.
상기 제 1 연결 탭(140)과 제 2 연결 탭(140')은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양극단자(배터리 셀의 표면)와 상기 회로기판(131)의 양극단자(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 1 연결 탭(140)과 제 2 연결 탭(140')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탭이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을 상기 회로기판(13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된다. 상기 제 1 연결 탭(140) 및 제 2 연결 탭(140')은 재질이 전도성이 양호한 니켈(Ni) 또는 니켈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 탭(140) 또는 제 2 연결 탭(140') 중에서 제 1,2 배터리 셀(110)(120)과 회로기판(1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어느 하나의 연결 탭의 재질만을 전도성이 양호한 니켈 재질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연결 탭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탑 케이스(150)는 케이스 바디(151)와 좌,우 프레임(152)(153)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바디(151)는 내부에 상기 PCM 어셈블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좌,우 프레임(152)(153)은 상기 케이스 바디(151)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151)는 1개의 평면(151a)과 상기 평면(151a)에 대하여 연장된 4개의 측면(151b)을 갖는다. 상기 평면(151a)은 일측에 외부단자 관통홀(151c)이 형성되고 타측에 침수지 부착부(151d)가 형성된다. 상기 4개의 측면(151b)에는 라벨(170)이 부착되는 가이드 리브(151e)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좌,우 프레임(152)(153)은 상기 케이스 바디(15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프레임(152)(153)의 내측면 중앙에는 돌출부(152a)(153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2a)(153a)는 좌,우 프레임(152)(15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버텀 케이스(160)는 케이스 바디(161)와 좌,우 프레임(162)(163)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바디(161)는 상기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의 하부가 함께 수용되는 사이즈의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좌,우 프레임(162)(163)은 상기 케이스 바디(161)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161)는 1개의 평면(161a)과, 상기 평면(161a)의 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된 절곡면(16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평면(161a)의 양측면에는 라벨(170)이 부착되는 가이드 리브(163c)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 프레임(162)(163)은 상기 케이스 바디(16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 프레임(162)(163)의 내측면 중앙에는 각각 돌출부(162a)(163a)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62a)(163a)는 상기 좌,우 프레임(162)(16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케이스(150)의 좌,우 프레임(152)(153)의 단부에는 홈(152b)(153b) 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텀 케이스(160)의 좌,우 프레임(162)(163)의 단부에는 상기 홈(152b)(153b)에 끼워지는 돌기(162b)(163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152b)(153b)과 돌기(162b)(163b)는 암,수결합되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라벨(170)은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과 상기 탑 케이스(150) 및 상기 버텀 케이스(160)가 결합된 상태에서 둘레를 적어도 1회 감싸는 형태로 부착된다. 상기 라벨(170)은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제1,2 배터리 셀(110)(120)을 외부와 절연시킨다.
상기 라벨(170)의 상단부는 상기 탑 케이스(150)의 가이드 리브(151e)를 감싸게 되고, 상기 라벨(170)의 하단부는 상기 버텀 케이스(160)의 가이드 리브(161c)를 감싸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 케이스(150)와 상기 버텀 케이스(160)는 상기 라벨(170)에 의해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과 결합된다.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상면(110a)(120a)에는 절연 테이프(190)가 부착된다. 상기 절연 테이프(190)에 의해 상기 제 1,2 배터리 셀(110)(120)과 상기 PCM 어셈블리(130)가 절연된다.
또한,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의 하면(110d)(120d)에는 접착 테이프(Dot Tape)(195)가 부착된다. 상기 접착 테이프(195)는 상기 제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을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상기 접착 테이프(195)는 양면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착 테이프(195)에 의해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의 하면(110d)(120d)에 상기 버텀 케이스(160)를 부착시 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작용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지의 충전에 의해 제 1 배터리 셀(110) 및 제 2 배터리 셀(120)이 스웰링되면, 배터리 팩은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두께가 변경된다. 즉,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은 중앙부가 볼록한 형태로 두께가 증가된다. 이때,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 사이에 부착되어 있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의 통공(181)에 상기 제1,2 배터리 셀(110)(120)에서 두께가 증가된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실험적으로 배터리 셀은 충방전 500사이클 후의 두께 증가분이 배터리 두께(T)의 10%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실험예가 아래의 표1과 같다. 표1에서와 같이 모두 8개의 실험예중에서 실험예 6을 제외하고는 모두 두께증가량 T(%)가 10%를 초과하지 않고 있다.
[표 1]


No

1사이클

100사이클

200사이클

300사이클

400사이클

500사이클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셀에 대한 두께증가량
(%)
실험예1 0.0% 2.9% 3.6% 5.9% 6.7% 8.7%
실험예2 0.0% 3.1% 4.4% 6.1% 7.1% 8.9%
실험예3 0.0% 2.7% 3.6% 4.8% 5.0% 5.9%
실험예4 0.0% 2.7% 3.4% 5.5% 5.7% 7.1%
실험예5 0.0% 3.1% 4.0% 5.5% 5.9% 7.8%
실험예6 0.0% 3.1% 4.2% 5.9% 6.1% 11.0%
실험예7 0.0% 2.9% 3.8% 5.2% 5.7% 6.9%
실험예8 0.0% 2.5% 3.6% 4.8% 5.0% 5.9%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에 의하여 확보된 두께(t)에 의해 스웰링 된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은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만일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이 서로 간섭되면, 제 1,2 배터리 셀(110)(1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제 1,2 배터리 셀(110)(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탭(140)은 제 1,2 배터리 셀(110)(120)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배터리 팩(100)의 전체 두께가 최초 두께보다 과도하게 두꺼워짐으로써 배터리 팩이 장착된 휴대폰 기기 등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이 설치되어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은 스웰링이 반복되더라도 상대측 배터리 셀을 밀어내지 않고 최초의 결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간극유지용 구조물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2 배터리 셀(110)(120)들은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측면은 2개의 장측면(110b)(120b)과 2개의 단측면(110c)(120c)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은 상기 배터리 셀들(110)(120)의 장측면(110b)과 장측면(120b) 사이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은 상 기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배터리 셀(110)과 서로 장측면(110b)(120b)이 맞닿도록 설치되는 제 2 배터리 셀(120)이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에 의해 배터리 셀(110)(120)들은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화로 인해 서로 간섭되지 않게 된다.
도 6은 간극유지용 구조물(180A)이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에서 길이가 긴 장변측에만 설치된 실시예이고, 도 7은 간극유지용 구조물(180B)이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변측에만 설치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간극유지용 구조물(180A)이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에서 장변측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B)이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에서 단변측에만 설치되더라도 제 1 배터리 셀(110)과 제 2 배터리 셀(120)은 간극유지용 구조물(180A) 또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B)을 사이에 두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A) 또는 간극유지용 구조물(180B)에 의해 제 1,2 배터리 셀(110)(120)의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화로 인해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180C)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장측면(110b)에서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실시예이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난 간극유지용 구조물들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과 배터리 셀들과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이 부착된 배터리 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극유지용 구조물이 부착된 배터리 셀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배터리 팩
110 ; 제 1 배터리 셀 120 ; 제 2 배터리 셀
130 ; PCM 어셈블리 140,140' ; 연결탭
150 ; 탑 케이스 160 ; 버텀 케이스
170 ; 라벨 175 ; 침수지
180,180A,180B,180C ; 간극유지용 구조물
181 ; 통공 190 ; 절연 테이프
195 ; 접착 테이프

Claims (13)

  1. 나란하게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갖는 적어도 2개의 배터리 셀들과;
    상기 배터리 셀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에 개재되는 간극유지용 구조물과;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스웰링시 서로 마주보는 배터리 셀들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부분에 대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들은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측면은 2개의 장측면과 2개의 단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과 장측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의 장변 또는 단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의 두께(t)는 배터리 셀의 두께가 T인 경우에 (T/10)*2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의 두께(t)는 배터리 셀의 두께가 5.5 mm 인 경우에 1.1 mm 이하의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유지용 구조물는 양면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폼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PCM 어셈블리; 상기 배터리 셀들과 상기 PCM 어셈블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탭; 상기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서 상기 PCM 어셈블리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탑 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 셀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버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배터리 셀들의 측면을 감싸는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080123204A 2008-12-05 2008-12-05 배터리 팩 KR10100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04A KR101009567B1 (ko) 2008-12-05 2008-12-05 배터리 팩
US12/591,938 US9219259B2 (en) 2008-12-05 2009-12-04 Battery pack having a spacer disposed between battery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04A KR101009567B1 (ko) 2008-12-05 2008-12-05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667A KR20100064667A (ko) 2010-06-15
KR101009567B1 true KR101009567B1 (ko) 2011-01-18

Family

ID=4223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204A KR101009567B1 (ko) 2008-12-05 2008-12-05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19259B2 (ko)
KR (1) KR1010095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2915A (ja) * 2013-07-19 2015-02-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パック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体
JP5633621B1 (ja) * 2013-11-08 2014-12-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モジュール
KR101520391B1 (ko) * 2014-02-11 2015-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10749123B2 (en) * 2014-03-27 2020-08-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Impact resistant OLED devices
US10910590B2 (en) 2014-03-27 2021-02-0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ermetically sealed isolated OLED pixels
USD784920S1 (en) * 2014-09-03 2017-04-25 Deben Group Industries Limited Battery
USD772809S1 (en) * 2014-09-03 2016-11-29 Deben Group Industries Limited Battery
USD771561S1 (en) * 2014-09-03 2016-11-15 Deben Group Industries Limited Battery
USD772808S1 (en) * 2014-09-03 2016-11-29 Deben Group Industries Limited Battery
KR101648891B1 (ko) * 2014-09-24 2016-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EP3070761B1 (de) * 2015-03-17 2018-03-14 Samsung SDI Co., Ltd. Batterievorrichtung
US11751426B2 (en) 2016-10-18 2023-09-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ybrid thin film permeation barri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872142B2 (ja) * 2017-04-20 2021-05-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11424489B2 (en) * 2018-03-29 2022-08-23 Lenovo (Singapore) Pte. Ltd. Battery phenomenon management via resilient material
HUE059770T2 (hu) * 2020-03-27 2022-12-28 Samsung Sdi Co Ltd Eljárás prizma alakú akkumulátor cellák halmazatának összeállítására, prizma alakú akkumulátor cellák halmazata, akkumulátor modul, és jármû, ahol ez magában foglal egy akkumulátor csomagot, amely tartalmaz legalább egy akkumulátor modult
CN113451633A (zh) * 2020-03-27 2021-09-28 三星Sdi株式会社 电池单元的堆叠及其组装方法、电池模块和车辆
EP3958382A4 (en) * 2020-06-18 2022-04-27 Dongguan Poweramp Technology Limited BATTERY PACK WITH PRESSURE RELIEF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54A (ko) 2003-06-18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2차 전지
JP2005353722A (ja) 2004-06-09 2005-12-22 Honda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0807030B1 (ko) * 2006-03-29 2008-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08071673A (ja) 2006-09-15 2008-03-27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の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2013B1 (en) * 1997-11-26 2001-05-15 Lucent Technologies Inc. Droppable battery packs
TW431004B (en) * 1998-10-29 2001-04-21 Toshiba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3846243B2 (ja) * 2001-09-14 2006-11-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JP3882818B2 (ja) 2004-01-15 2007-02-21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0580766B1 (ko) * 2004-03-30 2006-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JP2006040623A (ja) * 2004-07-23 2006-02-09 Sony Corp 電池パック
EP1878071B1 (en) 2005-05-02 2012-08-15 Lg Chem, Ltd. Improve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ncreased safety
KR100870355B1 (ko) 2007-07-19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팩
US8999536B2 (en) * 2008-06-20 2015-04-0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54A (ko) 2003-06-18 2004-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2차 전지
JP2005353722A (ja) 2004-06-09 2005-12-22 Honda Motor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KR100807030B1 (ko) * 2006-03-29 2008-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JP2008071673A (ja) 2006-09-15 2008-03-27 Hitachi Maxell Ltd 非水二次電池の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43785A1 (en) 2010-06-10
US9219259B2 (en) 2015-12-22
KR20100064667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567B1 (ko) 배터리 팩
KR101094037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7538516B2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US11848432B2 (en) Battery module
KR101084868B1 (ko) 커넥터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570625B1 (ko) 이차 전지
KR100870349B1 (ko) 보호회로기판의 접속단자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EP2423997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a cover with a resilient material
EP2378594B1 (en) Secondary battery
JP7049545B2 (ja) バスバープレート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30030285A (ko) 이차전지 팩
EP2760064B1 (en) Battery pack
US8658294B2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10002617A (ko) 배터리 팩
KR20120130311A (ko) 배터리 팩
US8778518B2 (en) Battery pack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057578B1 (ko) 폴리머 전지팩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40002112A (ko) 배터리 모듈
KR101531323B1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60102725A (ko) 보호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US8741452B2 (en) Secondary battery
CN218602581U (zh) 一种电池
KR101542073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