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73B1 -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2073B1 KR101542073B1 KR1020120147951A KR20120147951A KR101542073B1 KR 101542073 B1 KR101542073 B1 KR 101542073B1 KR 1020120147951 A KR1020120147951 A KR 1020120147951A KR 20120147951 A KR20120147951 A KR 20120147951A KR 101542073 B1 KR101542073 B1 KR 1015420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cap
- cap
- cap assembly
- linear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 캡에 장착되는 돌출단자. 및 상기 돌출단자가 탑 캡에 대해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탑 캡과의 계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 캡에 장착되는 돌출단자, 및 상기 돌출단자가 탑 캡에 대해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탑 캡과의 계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또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분리막/음극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 각형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가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형 전지(50)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10)가 각형 금속 케이스(20)에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20)의 개방 상단에 돌출형 전극단자(예를 들어, 음극단자: 32)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3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조립체(10)의 음극은 음극 탭(12)을 통해 탑 캡(30) 상의 음극단자(32)의 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러한 음극단자(32)는 절연부재(34)에 의해 탑 캡(30)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반면에, 전극조립체(10)의 또 다른 전극(예를 들어, 양극)은 그것의 양극 탭(14)이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되어 있는 탑 캡(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자체로서 양극단자를 형성한다.
또한, 전극 탭들(12, 14)을 제외하고 전극조립체(10)와 탑 캡(30)의 전기적 절연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각형 케이스(20)와 전극조립체(10) 사이에 시트형 절연부재(40)를 삽입한 뒤, 탑 캡(30)을 덮고, 탑 캡(30)과 케이스(20)의 접촉면을 따라서 용접으로 이들을 결합한다. 그런 다음, 전해액 주입구(43)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후 용접하여 밀봉하고, 에폭시 등으로 용접 부위를 도포함으로써 전지가 제조된다.
도 2에는 도 1에서의 캡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01-8860호에 개시되어 있는 캡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캡 어셈블리는 금속성 탑 캡(30)의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접속용 홈에 가스켓(34, 36)을 경유하여 돌출단자(32)가 삽입 결합되어 있으며, 탑 캡(30)의 하단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음극 탭이 용접되기 위한 도전판(38)이 가스켓(36)에 의해 절연된 상태로 돌출단자(32)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지에서는 진동, 낙하 등의 외부충격의 인가 시 캡 어셈블리의 탑 캡이 변형되면서 전해액의 누수가 발생하며, 이러한 전해액 누수 현상은 전지의 쇼트, 폭발의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탑 캡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외부충격뿐 만 아니라, 비틀림, 및 전지의 팽창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안전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의 디바이스가 개발되면서, 디바이스에 수납되는 전지의 디자인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길이가 긴 탑 캡이 장착되는 폭이 넓은 전지셀도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탑 캡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와 같은 변형이 더욱 크게 일어나며, 전지의 제조공정 중 케이스에 탑 캡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도 탑 캡의 변형에 의한 치수의 변화로 인해 불량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캡 어셈블리의 강성 및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조공정상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의 인가로부터 탑 캡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캡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 캡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여 제조공정상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캡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 캡에 장착되는 돌출단자; 및
상기 돌출단자가 탑 캡에 대해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탑 캡과의 계면에 개재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는 탑 캡에 선형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비틀림, 절곡 등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탑 캡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전지 조립 과정에서 전지케이스에 탑 캡이 정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요철부에 의해 캡 어셈블리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캡 어셈블리를 장착한 전지셀에서도 캡 어셈블리가 장착된 부위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전지팩을 제조하였을 때, 상기 돌출단자 및 전지케이스는 각각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탑 캡은 전지케이스와 결합되므로 역시 양극단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탑 캡과 돌출단자 사이에 하부 가스켓이 개재되어 상호 절연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의 경량화 또는 박형화 추세에 대응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장착되는 전지팩도 판상형의 구조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판상형 구조의 전지팩은 다수 개를 연결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하기에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캡 어셈블리는 판상형의 전지팩 상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 어셈블리의 탑 캡은 평면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 캡은 길이가 폭 대비 5배 내지 30배인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길이가 폭 대비 5배 내지 20배인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폭 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진 탑 캡은 외력의 인가 시 더욱 쉽게 변형되므로, 상기 탑 캡에 선형 요철부를 형성시킨 캡 어셈블리는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외주면 단부의 내측 부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외주면 단부로부터 탑 캡의 폭 크기를 기준으로 5% 내지 40% 거리로 이격된 내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7% 내지 20% 거리로 이격된 내측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탑 캡은 평면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탑 캡은 평면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 방향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도 있다. 이 때, 상기 선형 요철부는 평면상으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요철부는 수직 단면상으로 만입형 홈 형상, 또는 돌출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입형 홈 형상 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는 상기 탑 캡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캡에 선형 요철부가 형성된 구조의 예로, 상기 탑 캡의 상면에는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탑 캡의 상면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는 상기 탑 캡에 강성을 부여하면서도, 선형 요철부를 형성시킨 부위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수직 단면상으로 반구형 홈 및 반구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는 수직 단면상으로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해당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공정으로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형 돌기의 돌출 높이는 만입형 홈의 깊이와 일치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탑 캡의 높이와 선형 요철부가 형성된 부위의 높이가 같게 되고, 결과적으로 탑 캡의 두께와 선형 요철부가 형성된 부위의 두께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탑 캡의 두께와 선형 요철부 부위의 두께가 다른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캡 어셈블리가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셀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다양한 구조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진 각형 케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각형 금속 케이스에 대한 캡 어셈블리의 결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지셀에는 보호회로모듈(PCM)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회로모듈(PCM)은 상기 캡 어셈블리의 돌출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호회로모듈(PCM)은, 보호회로 기판(PCB), 및 일측 단부가 상기 돌출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부가 상기 보호회로 기판(PCB)과 연결되어 있는 PTC 소자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바이스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 어셈블리는, 탑 캡에 선형 요철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비틀림, 절곡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전지 조립 과정에서 전지케이스에 탑 캡이 정밀하게 결합될 수 있는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형 요철부에 의해 캡 어셈블리의 강성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캡 어셈블리를 장착한 전지셀에서도 캡 어셈블리가 장착된 부위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있는 종래의 각형 전지의 부분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탑 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탑 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평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캡 어셈블리(100)는 탑 캡(110), 돌출단자(120), 상부 가스켓(132), 하부 가스켓(136), 및 도전성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탑 캡(110)은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도시하지 않음)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단자(120)는 하부가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접속되고, 상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단자(120)와 탑 캡(110) 사이에는 이들에 대해 전기절연성을 제공하도록 상부 가스켓(132)이 개재되어 있고, 전극조립체의 전극 탭은 도전성 플레이트(140)에 용접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성 플레이트(140)와 탑 캡(110)의 계면에는 전기절연성이 제공되도록 하부 가스켓(136)이 개재되어 있다.
탑 캡(110)의 외주면 부위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고 치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선형 요철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탑 캡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들로서, 도 4에는 도 3의 탑 캡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측면에 대한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탑 캡(110)은 폭(W)보다 길이(L)가 긴 플레이트 구조로서, 길이(L) 방향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형 요철부(150)는 탑 캡(110)의 외주면 단부의 내측 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 상으로 폐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탑 캡(110)의 상면에는 만입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는 탑 캡(110)에 강성을 부여하면서도, 선형 요철부(152, 154)가 형성된 부위의 파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수직 단면상으로 반구형 홈 및 반구형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154)는 수직 단면상으로 중심축(C)이 일치하도록 각각 탑 캡(11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형 돌기의 돌출 높이(b)는 만입형 홈의 깊이(a)와 일치하며, 따라서 탑 캡(110)의 높이(H1)와 선형 요철부가 형성된 부위의 높이(H2)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탑 캡(110)의 상면에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154)가 형성되고, 하면에 만입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가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탑 캡(110)에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154)만을 형성시킨 구조, 또는 만입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152)만을 형성시킨 구조도 탑 캡(11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 어셈블리의 탑 캡에 대한 수평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탑 캡(110’)은 평면상으로 폭(W)보다 길이(L)가 긴 형상의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선형 요철부(150’)도 탑 캡(110)의 외주면 내측을 따라 평면상으로 장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7의 구조뿐 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는 또 다른 탑 캡의 형상에 대응하여 선형 요철부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9)
-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 또는 하면에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탑 캡;
상기 전극조립체의 전극에 접속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 캡에 장착되는 돌출단자; 및
상기 돌출단자가 탑 캡에 대해 전기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탑 캡과의 계면에 개재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탑 캡은 평면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장방형의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외주면 단부의 내측 부위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탑 캡의 상면에는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탑 캡의 상면에는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자는 음극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요철부는 탑 캡의 외주면 단부로부터 탑 캡의 폭 크기를 기준으로 5% 내지 40% 거리로 이격된 내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캡은 평면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플레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길이 방향의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요철부는 평면상으로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 캡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는 각각 수직 단면상으로 반구형 홈 및 반구형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형 홈 형상의 선형 요철부 및 돌출형 돌기 형상의 선형 요철부는 수직 단면상으로 중심축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돌기의 돌출 높이는 만입형 홈의 깊이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어셈블리.
-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캡 어셈블리가 전지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의 각형 케이스이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캡 어셈블리의 결합은 용접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어셈블리의 돌출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호회로모듈(PCM)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PCM)은 보호회로 기판(PCB), 및 일측 단부가 상기 돌출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부가 상기 보호회로 기판(PCB)과 연결되어 있는 PTC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4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951A KR101542073B1 (ko) | 2012-12-18 | 2012-12-18 |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7951A KR101542073B1 (ko) | 2012-12-18 | 2012-12-18 |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8814A KR20140078814A (ko) | 2014-06-26 |
KR101542073B1 true KR101542073B1 (ko) | 2015-08-05 |
Family
ID=5113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7951A KR101542073B1 (ko) | 2012-12-18 | 2012-12-18 |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207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57179A (ja) * | 1999-08-18 | 2001-02-27 | Sony Corp | 二次電池及びそのケース |
-
2012
- 2012-12-18 KR KR1020120147951A patent/KR1015420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57179A (ja) * | 1999-08-18 | 2001-02-27 | Sony Corp | 二次電池及びそのケー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8814A (ko) | 201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388B1 (ko) |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572836B1 (ko) |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
EP2228852B1 (en) |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 |
KR100823193B1 (ko) | 이차 전지 | |
KR101544703B1 (ko) | 밀봉성이 향상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402657B1 (ko) |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 |
KR101754613B1 (ko) | 전극 어셈블리의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CN106450407B (zh) | 二次电池 | |
KR101586201B1 (ko) |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578794B1 (ko) | 우수한 결합력의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 |
US20210184307A1 (en) | Battery module | |
KR20140100032A (ko) |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725901B1 (ko) |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50069905A (ko) | 전지 모듈 | |
KR101688580B1 (ko) |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 |
KR20150133165A (ko) |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531323B1 (ko) |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US20120208075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462043B1 (ko) |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US9012059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807274B1 (ko) | 상부 절연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101542073B1 (ko) |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577186B1 (ko) | 전극리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지셀 | |
KR100973422B1 (ko) | 콤팩트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 |
KR101994842B1 (ko) |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또는 캐패시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