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032A -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 Google Patents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032A
KR20140100032A KR1020130012725A KR20130012725A KR20140100032A KR 20140100032 A KR20140100032 A KR 20140100032A KR 1020130012725 A KR1020130012725 A KR 1020130012725A KR 20130012725 A KR20130012725 A KR 20130012725A KR 20140100032 A KR20140100032 A KR 20140100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ttery
case
cell according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진
김동명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01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032A/ko
Priority to US14/437,254 priority patent/US10014556B2/en
Priority to CN201480002939.XA priority patent/CN104769740A/zh
Priority to PCT/KR2014/000927 priority patent/WO2014123329A1/ko
Priority to EP14748561.9A priority patent/EP2955768B1/en
Priority to JP2015537649A priority patent/JP6131501B2/ja
Publication of KR20140100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수납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제 1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에는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구조의 전지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Battery Cell Having Structure of Steps-Formed}
본 발명은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수납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제 1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에는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의 외형에 따라 크게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전해액의 형태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모바일 기기의 소형화에 대한 최근의 경향으로 인해, 두께가 얇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형태의 변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중량이 작은 파우치형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파우치형 전지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와 전해질이 밀봉되어 있는 전지를 말한다. 전지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는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적층형), 또는 복합형(스택/폴딩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에는 스택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구조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0)의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3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31, 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리드(40, 4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지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3)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21)와 그러한 본체(21)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커버(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지케이스는 전극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와 그러한 하부 케이스의 덮개로서 전극조립체를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전지케이스(20)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외각을 이루는 외측 수지층(20a), 물질의 관통을 방지하는 차단성 금속층(20b), 및 밀봉을 위한 내측 수지층(2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택형 전극조립체(30)는 다수의 양극 탭들(31)과 다수의 음극 탭들(32)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리드(40, 41)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21)의 상단부(24)와 커버(22)의 상단부가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리드(40, 41)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리드(40, 41)와 전지케이스(2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리드(40, 41)의 상하면에 절연필름(50)이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슬림한 타입 또는 다양한 디자인 트랜드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전지셀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지셀들은 동일한 크기 또는 용량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신규한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전지셀의 용량을 줄이거나 더 큰 크기로 디바이스의 디자인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변경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 방식이 복잡해짐으로 인해 소망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전지셀의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이 적용되는 디바이스의 모양에 따라 적용 가능한 전극조립체, 전지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을 디바이스의 다양한 공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하여,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구조를 가지는 디바이스의 외형 구조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외형을 가지는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전지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수납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제 1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에는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 전지케이스의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 시 서로 다른 수납부의 크기에 의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가 형성된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제조되는 전지셀과 비교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지셀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조에 기반하여 다양한 용량 및 크기를 가진 전지셀로 제작될 수 있고, 이러한 전지셀을 장착하는 디바이스의 제조에 있어서, 전지셀이 디바이스의 다양한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상기 전지케이스의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지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콤팩트 한 구조로 잉여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는, 캔 형 전지케이스 또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일 수 있고, 상기 캔 형 전지케이스는 금속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는,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금속 차단층의 양면에 수지층이 도포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차단층의 일면(외면)에 내구성이 우수한 수지 외곽층이 부가되어 있고, 타면(내면)에 열용융성의 수지 실란트층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금속 차단층의 소재로는 가스 등에 대한 차단 특성과 박막 형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연성을 가지는 알루미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외곽층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우수한 내성을 가져야 하므로, 그것의 소재로는 소정 이상의 인장강도와 내후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연신 나일론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실란트층의 소재로는 열융착성(열접착성)을 가지고, 전해액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 흡습성이 낮으며, 전해액에 의해 팽창하거나 침식되지 않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캔 형 전지케이스의 경우에는, 상기 열린 공간이 덮개로 덮혀진 상태에서 용접하는 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고,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경우에는, 수납부의 외주면을 열융착하는 방식으로 밀봉할 수 있다.
상기 전지케이스의 형태 역시 다양할 수 있는 바, 하나의 예에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일 단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곡한 상태에서 수납부의 외주면이 밀봉을 위해 열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접히는 측을 제외한 다른 측 외주면은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열융착으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실링되어 전지케이스가 밀봉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호 독립된 두 단위의 부재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이 밀봉을 위해 열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실링되었을 때, 수납부들의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에 의해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서로 크기가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두께, 너비(가로 길이) 및 폭(세로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납부는 제 2 수납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 상기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보다 작은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가 제 2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보다 작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관한 첫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비교할 때, 평면상의 넓이가 동일한 조건에서,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의 2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두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비교할 때, 각각의 수납부의 깊이가 동일한 조건에서, 제 1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는 제 2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의 2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세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와 제 2 수납부를 비교할 때,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의 2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고, 제 1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는 제 2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의 20% 내지 9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상으로 다각형, 원, 타원, 또는 원호를 포함하는 도형 등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상으로 다른 형상의 도형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이들 중, 하나의 예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상으로 서로 크기가 다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실링되었을 때,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적어도 일측면이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첫번째 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실링되었을 때,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일측면이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의 일 측면 및 제 2 수납부의 일 측면은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의 일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대향 측면이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세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을 기준으로 평면상으로 수직 방향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네번째 예에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대향 측면, 및 상기 대향 측면을 기준으로 평면상으로 수직 방향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납부의 적어도 일 측면이 제 2 수납부의 일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와 달리, 제 1 수납부의 측면들이 제 2 수납부의 측면과 상하로 인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수납부가 평면상으로 제 2 수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상으로 원, 타원, 다각형, 또는 일부가 원호 형상인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제 1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진 제 1 유닛셀과,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진 제 2 유닛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조립체는 전지셀의 부피 대비 용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의 수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케이스의 제 1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진 제 1 유닛셀이 상기 제 1 수납부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지는 제 2 유닛셀이 상기 제 2 수납부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상기 제 1 유닛셀과 제 2 유닛셀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유닛셀이 수납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수납부 내에 유닛셀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뿐 만 아니라 부피 대비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닛셀들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예로 상기 유닛셀들은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지셀의 전극단자들, 즉 전지셀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유닛셀들이 적층 배열된 구조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예를 들어,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유닛셀을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이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적층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셀들의 전극 탭들은 하나의 전극리드에 결합되어 전지셀 전극단자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유닛셀들의 양극 탭들은 하나의 양극 리드에 결합될 수 있고, 음극 탭들은 하나의 음극 리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극 리드 및 음극 리드에 각각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을 결합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이 동일한 위치에서 적층되도록 상기 유닛셀들이 적층 배열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리튬이온 전지 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셀일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은 계단형 단차를 형성시킴으로써, 전지셀의 장착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바이스에 고용량의 전지셀 사용이 가능하며, 디바이스를 더욱 소형화 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극조립체와 전지케이스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디자인의 변경에 불구하고 소망하는 전지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지케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들이다;
도 9는 도 2의 전지케이스의 실링부를 절곡한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수직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지셀(100)은 전극조립체(120)가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전지케이스(110)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서, 전극조립체(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리드(130)가 전지케이스(11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로 구성되며,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에는 각각 전극조립체(120)의 장착을 위한 제 1 수납부(113) 및 제 2 수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110)의 제 1 수납부(113) 및 제 2 수납부(115)는 평면상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극조립체(120)는 제 1 수납부(113) 및 제 2 수납부(115)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극조립체(120)는 크기가 다른 2 개의 유닛셀들(122, 124)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전지케이스(110)의 제 1 수납부(113)및 제 2 수납부(115)에는 각각 유닛셀들(122, 124)이 안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3과 같이 전지셀은 수직 단면상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따라서 단차가 형성된 부위 외측으로 여유 공간(S1)이 생성된다. 여유 공간(S1)은 적용 디바이스의 불규칙한 내부공간 또는 또 다른 부품들에 의한 간섭 등의 조건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부들(113, 115) 및 유닛셀들(122, 124)는 적용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유연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지셀(100)은 다양한 용량 및 크기를 가지는 전지셀로 제작될 수 있고, 종래의 전지셀이 장착되기 곤란했던 공간까지 용이하게 장착 가능할 뿐 만 아니라,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 한정된 공간에서 더 큰 용량을 가지는 전지셀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도 2의 전지케이스에 대한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전지케이스(110)는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가 일 단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절곡한 상태에서 수납부의 외주면이 밀봉을 위해 열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에는 각각 1 수납부(113) 및 제 2 수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수납부(113) 및 제 2 수납부(115)는 평면상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가 실링되었을 때, 수납부들(113, 115)의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상호 독립된 두 단위의 부재들로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주면이 밀봉을 위해 열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의 사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서는 상부 케이스(212) 및 하부 케이스(214)에 각각 형성된 제 1 수납부(213) 및 제 2 수납부(215)가 전극단자(230)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대향 측면이 상하로 인접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상부 케이스(312, 312’) 및 하부 케이스(314)에 각각 형성된 제 1 수납부(313, 313’) 및 제 2 수납부(315)가 전극단자(330)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전극단자(330)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을 기준으로 평면상으로 수직 방향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제 1 수납부의 적어도 일 측면이 제 2 수납부의 일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와 달리, 제 1 수납부(413)의 측면들이 제 2 수납부(415)의 측면과 상하로 인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수납부(413)가 평면상으로 제 2 수납부(41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도면에 도시된 직육면체 형태뿐 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원, 타원, 다각형, 또는 일부가 원호 형상인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도 2의 전지케이스의 실링부를 절곡한 구조의 사시도로서, 도 9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112) 및 하부 케이스(114)의 외주면이 열융착되어 실링된 돌출 부위(117, 118)를 절곡하여 밀착시킴으로써, 전지셀을 더욱 콤팩트화시킨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3)

  1.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되어 있는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로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극조립체의 수납을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제 1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에는 제 2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크기가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 및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일 단위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를 덮는 구조로 상부 케이스를 절곡한 상태에서 밀봉을 위해 외주면이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는 상호 독립된 부재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부재들의 외주면이 밀봉을 위해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두께, 너비(가로 길이) 및 폭(세로 길이) 중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깊이는 제 2 수납부의 깊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는 제 2 수납부의 평면상의 넓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평면상으로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일 측면 및 제 2 수납부의 일 측면은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수납부의 일 측면 및 제 2 수납부의 일 측면은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의 일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대향 측면이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을 기준으로 평면상으로 수직 방향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는 전극단자가 위치한 방향의 대향 측면, 및 상기 대향 측면을 기준으로 평면상으로 수직 방향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과 상하로 인접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는 평면상으로 제 2 수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부 및 제 2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상으로 원, 타원, 다각형, 또는 일부가 원호 형상인 구조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제 1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진 제 1 유닛셀과, 제 2 수납부의 내면 형상에 대응하는 외면 형상을 가진 제 2 유닛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은 각각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은 전극단자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조립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셀들의 전극 탭들은 하나의 전극리드에 결합되어 전지셀 전극단자를 형성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이온 전지셀 또는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30012725A 2013-02-05 2013-02-05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40100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725A KR20140100032A (ko) 2013-02-05 2013-02-05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US14/437,254 US10014556B2 (en) 2013-02-05 2014-02-04 Battery cell including stepped structure
CN201480002939.XA CN104769740A (zh) 2013-02-05 2014-02-04 包括台阶结构的电池单体
PCT/KR2014/000927 WO2014123329A1 (ko) 2013-02-05 2014-02-04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EP14748561.9A EP2955768B1 (en) 2013-02-05 2014-02-04 Battery cell including stepped structure
JP2015537649A JP6131501B2 (ja) 2013-02-05 2014-02-04 段差構造を含む電池セ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725A KR20140100032A (ko) 2013-02-05 2013-02-05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579A Division KR20150133165A (ko) 2015-11-12 2015-11-12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32A true KR20140100032A (ko) 2014-08-14

Family

ID=5129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725A KR20140100032A (ko) 2013-02-05 2013-02-05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14556B2 (ko)
EP (1) EP2955768B1 (ko)
JP (1) JP6131501B2 (ko)
KR (1) KR20140100032A (ko)
CN (1) CN104769740A (ko)
WO (1) WO201412332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76A1 (ko) * 2014-10-07 2016-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6167457A1 (ko) * 2015-04-16 2016-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WO201806290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납부 및 전극 리드용 그루브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를 구비한 전지셀
KR20180047696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로우 성형법을 사용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619B1 (ko) * 2012-03-23 2012-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KR101595611B1 (ko) 2013-03-22 2016-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KR101725903B1 (ko) * 2014-09-1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800932B1 (ko) * 2015-03-16 2017-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
KR101995288B1 (ko) * 2016-02-19 2019-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US11171375B2 (en) * 2016-03-25 2021-11-09 Enevate Corporation Stepped electrochemical cells with folded sealed portion
KR102016643B1 (ko) 2016-09-19 2019-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KR102312416B1 (ko) * 2018-04-04 2021-10-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KR20200045841A (ko) * 2018-10-23 2020-05-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JP2022531038A (ja) * 2020-03-31 2022-07-06 寧徳新能源科技有限公司 電池セル、電池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5881A (ja) * 1999-03-30 2000-10-13 Kyocera Corp 薄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63087B2 (ja) * 1999-08-24 2005-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薄型電池
JP3611765B2 (ja) 1999-12-09 2005-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1256960A (ja) * 2000-03-10 2001-09-21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 池
US6524741B1 (en) 2000-08-24 2003-02-25 Valence Technology, Inc. Battery package with integral disconnect mechanism
JP4175111B2 (ja) 2000-11-21 2008-11-05 ソニー株式会社 ポリマー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20065B2 (ja) * 2001-09-04 2011-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組電池
KR100440934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3680797B2 (ja)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4140311B2 (ja) * 2002-08-05 2008-08-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素子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2004185959A (ja) * 2002-12-03 2004-07-02 Hitachi Maxell Ltd 電池
JP2005018990A (ja) * 2003-06-23 2005-01-20 Ngk Spark Plug Co Ltd 積層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5038613A (ja) * 2003-07-15 2005-02-10 Ngk Spark Plug Co Ltd 板型電池
JP4734826B2 (ja) 2003-10-21 2011-07-27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RU2324260C1 (ru) 2004-01-30 2008-05-10 Эл Джи Кем, Лтд. Батарея со специа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ей монтажного корпуса
JP4873703B2 (ja) 2006-07-27 2012-0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用パッケージを備えた電気装置
JP2008243410A (ja) * 2007-03-26 2008-10-09 Hitachi Vehicle Energy Ltd 密閉型二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100998301B1 (ko) * 2007-11-08 2010-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2009252731A (ja) * 2008-04-11 2009-10-29 Hitachi Maxell Ltd リチウム一次電池
KR101191635B1 (ko) * 2010-05-24 2012-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파우치,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파우치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2426750B1 (en) 2010-09-07 2012-11-14 swissbatt AG Battery cell casing
CN102324557B (zh) 2011-10-08 2016-07-06 湖南立方新能源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软包装锂离子电池
KR101192619B1 (ko) * 2012-03-23 2012-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76A1 (ko) * 2014-10-07 2016-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WO2016167457A1 (ko) * 2015-04-16 2016-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KR20160123496A (ko) * 2015-04-16 2016-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KR101870314B1 (ko) * 2015-04-16 2018-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들과 전극 리드의 탭-리드 결합부가 공간부에 위치하는 전극조립체
US10615398B2 (en) 2015-04-16 2020-04-07 Lg Chem, Lt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coupling part between electrode tabs and electrode lead located in space portion
WO2018062902A1 (ko) * 2016-09-28 2018-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납부 및 전극 리드용 그루브를 포함하는 전지케이스를 구비한 전지셀
US11855296B2 (en) 2016-09-28 2023-12-2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having battery casing with receiving part and electrode lead groove
KR20180047696A (ko) *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로우 성형법을 사용하는 전지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33375A1 (en) 2015-11-19
US10014556B2 (en) 2018-07-03
EP2955768A1 (en) 2015-12-16
EP2955768A4 (en) 2016-01-13
EP2955768B1 (en) 2018-04-11
WO2014123329A1 (ko) 2014-08-14
CN104769740A (zh) 2015-07-08
JP6131501B2 (ja) 2017-05-24
JP2015537338A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836B1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403388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100032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402657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팩
KR20130105271A (ko)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50134304A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9626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KR20130132231A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1526457B1 (ko)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586201B1 (ko) 엇갈린 배열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25901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50133165A (ko)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63265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트리밍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46204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80086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KR101373218B1 (ko) 적층형 이차전지
KR20170030782A (ko) 시트 구조의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KR101846486B1 (ko) 일체형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25903B1 (ko)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577186B1 (ko) 전극리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지셀
CN106981589B (zh) 电池单元
KR101994842B1 (ko) 내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의 전극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또는 캐패시터
KR101876614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KR101809142B1 (ko) 상호 연결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20150045078A (ko) 복합 구조의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