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32B1 - 스텝드 배터리 - Google Patents

스텝드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932B1
KR101800932B1 KR1020150036110A KR20150036110A KR101800932B1 KR 101800932 B1 KR101800932 B1 KR 101800932B1 KR 1020150036110 A KR1020150036110 A KR 1020150036110A KR 20150036110 A KR20150036110 A KR 20150036110A KR 101800932 B1 KR101800932 B1 KR 10180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tepped battery
present
stepped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1228A (ko
Inventor
빈승석
김기웅
윤성한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36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932B1/ko
Priority to EP16765161.1A priority patent/EP3273521B1/en
Priority to JP2017536262A priority patent/JP6623222B2/ja
Priority to PCT/KR2016/001621 priority patent/WO2016148405A1/ko
Priority to US15/544,099 priority patent/US20180013109A1/en
Priority to CN201620203557.XU priority patent/CN205452452U/zh
Priority to CN201610149582.9A priority patent/CN105990597B/zh
Publication of KR201601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1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for several cells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imary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텝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텝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는 제1 셀, 및 제1 셀의 일면에 적층되며 제1 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셀을 포함하고, 제2 셀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Description

스텝드 배터리{STEPPED BATTERY}
본 발명은 스텝드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시스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스텝드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전자제품들의 형상이 다양화되고 또한 소형화, 슬림화됨에 따라 종전의 직육면체 형상의 배터리로는 다양화된 형상 및 소형화되고 슬림화된 전자제품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될 공간의 형상에 맞도록 배터리의 형상도 직육면체의 형상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스텝드 배터리(Stepped Battery)이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971호)에는 이러한 스텝드 배터리의 일 예가 상세히 설명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텝드 배터리에서는 시스템 내의 다양한 형상의 공간에 맞춰지도록 스텝드 배터리의 형상이 최적으로 구현되지 못하여 문제되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또는 기타 회로보드(board)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이들의 배치를 위해서는 따로 공간이 필요하므로 제한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97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시스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키고 최적화된 배터리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스텝드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는 제1 셀, 및 제1 셀의 일면에 적층되며 제1 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셀을 포함하고, 제2 셀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는 제1 셀, 및 제1 셀의 일면에 적층되며 제1 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셀을 포함하고, 제2 셀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됨으로써, 시스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키고 최적화된 배터리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100)는 제1 셀(110) 및 제2 셀(130)을 포함한다.
제1 셀(110)은 베이스를 이루는 셀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셀(110)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 셀(130)보다 아래층에 위치되는 셀일 수 있다.
제2 셀(130)은 제1 셀(11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며, 제1 셀의 일면(111) 상에 적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셀(130)은 제1 셀의 일면(111)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셀(13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 내지 3 에서는 제1 셀의 일면(111), 즉, 제1 셀의 상부 면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제2 셀(130)이 도시되고 있다. 편의상 도 2 기준으로 좌측 편에 있는 제2 셀을 좌측 제2 셀(131)이라고 하고 우측 편에 있는 제2 셀을 우측 제2 셀(133)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100)에서 제2 셀(130)은 제1 셀의 일면(111)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셀(130)은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좌측 제2 셀(131)과 우측 제2 셀(1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제2 셀(130)들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좌측 제2 셀(131)과 우측 제2 셀(133)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S)이 도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100)에서 제2 셀(130)이 이와 같은 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되면, 시스템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스텝드 배터리(100)의 중앙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를 가지는 시스템의 내부에 스텝드 배터리(100)를 삽입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100)에서 이격 공간(S)이 그러한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시스템 내부 공간이 잉여 공간이 없이 최대로 활용 될 수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셀(110) 또는 제2 셀(130)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 부분(150)은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모서리 부분(150)을 라운드형으로 만들 경우 시스템 내부의 구조물이 더욱 보호될 수 있다.
만일 모서리 부분(150)이 뾰족할 경우 시스템의 내부 구성물이 훼손되거나 내부 구성물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뾰족한 모서리는 스텝드 배터리(100)의 취급자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취급 장치를 훼손시킬 우려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100)에서는 복수 개의 제2 셀(130)들이 각각의 크기 및 무게가 서로 동일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셀(110)의 서로 다른 부분(좌측 및 우측)에 작용하는 압력이 동일하므로 균형 잡힌 전지 구성을 이룰 수 있다.
즉, 좌우측의 제2 셀(131, 133)의 크기 및 무게가 서로 달라, 제1 셀(110)의 좌우측에 작용하는 압력이 서로 다를 경우 힘의 균형이 깨져서 제1 셀(110)이 기형적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큰 압력이 작용하는 쪽에서 작은 압력이 작용하는 쪽으로 셀의 내부 구성물이 이동한다면,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이 초래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보호회로모듈이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200)는 이격 공간(S)에 보호회로모듈(280)(Protection Circuit Module, PCM)이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격 공간(S)에 배치되는 구성이 보호회로모듈(28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회로보드(board)가 위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이격 공간(S) 내에 배치되는 보호회로모듈(280)은 스텝드 배터리(200)가 삽입되는 시스템 내에서 따로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배터리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내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200)에서는 보호회로모듈(280)의 높이(J)가 제2 셀(130)의 단차진 높이(H)보다 같거나 더 낮을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제2 셀(130)의 높이(H)가 보호회로모듈(280)의 높이(J)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회로모듈(280)이 구성될 경우 외부의 물체로부터 보호회로모듈(280)이 보호될 수 있다.
이는 전쟁 시 참호 속에 숨은 군인이 날아오는 총알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원리로, 좌측 제2 셀(131)과 우측 제2 셀(133) 사이에서 만입된 형상의 이격 공간(S) 내에 보호회로모듈(280)이 배치 됨으로써 외부의 물체로부터 보호회로모듈(280)이 보호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는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3은 회로보드를 더 구비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스텝드 배터리(300)는 이격 공간(S)에 회로보드(board)(380)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격 공간(S)에 배치되는 구성이 회로보드(380)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보호회로모듈 등이 위치될 수도 있다.
이때, 회로보드(380)의 크기는 이격 공간(S)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듯이 회로보드(380)는 이격 공간(S)의 사이즈에 딱 맞는 사이즈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따로 회로보드(380)를 고정하는 장치가 없더라도 회로보드(380)는 마찰에 의하여 스텝드 배터리(3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스텝드 배터리(3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이격 공간(S)을 메우도록 회로보드(380)가 장착될 경우 외부 케이스(390)가 울거나 단차지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외관상 및 실용적인 측면에서 더욱 향상된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다.
100, 200, 300: 스텝드 배터리
110, 310: 제1 셀
111: 제1 셀의 일면
130, 330: 제2 셀
131: 좌측 제2 셀
133: 우측 제2 셀
150: 모서리 부분
170: 전극 탭
280: 보호회로모듈
380: 회로보드
390: 외부 케이스
S: 이격 공간

Claims (7)

  1. 제1 셀; 및
    상기 제1 셀의 일면에 적층되며 상기 제1 셀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셀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며,
    서로 이격 되어 위치되는 상기 제2 셀들의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 공간에 보호회로모듈(Protection Circuit Module, PCM) 또는 회로보드(board)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드 배터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셀들은 각각의 크기 및 무게가 서로 동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드 배터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또는 상기 제2 셀은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드 배터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셀의 높이는 상기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회로보드의 높이 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드 배터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 또는 상기 회로보드의 크기는 상기 이격 공간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드 배터리.
KR1020150036110A 2015-03-16 2015-03-16 스텝드 배터리 KR10180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10A KR101800932B1 (ko) 2015-03-16 2015-03-16 스텝드 배터리
EP16765161.1A EP3273521B1 (en) 2015-03-16 2016-02-17 Stepped battery
JP2017536262A JP6623222B2 (ja) 2015-03-16 2016-02-17 ステップドバッテリー
PCT/KR2016/001621 WO2016148405A1 (ko) 2015-03-16 2016-02-17 스텝드 배터리
US15/544,099 US20180013109A1 (en) 2015-03-16 2016-02-17 Stepped battery
CN201620203557.XU CN205452452U (zh) 2015-03-16 2016-03-16 阶梯式电池
CN201610149582.9A CN105990597B (zh) 2015-03-16 2016-03-16 阶梯式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110A KR101800932B1 (ko) 2015-03-16 2015-03-16 스텝드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228A KR20160111228A (ko) 2016-09-26
KR101800932B1 true KR101800932B1 (ko) 2017-11-23

Family

ID=5660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10A KR101800932B1 (ko) 2015-03-16 2015-03-16 스텝드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13109A1 (ko)
EP (1) EP3273521B1 (ko)
JP (1) JP6623222B2 (ko)
KR (1) KR101800932B1 (ko)
CN (2) CN205452452U (ko)
WO (1) WO2016148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932B1 (ko) * 2015-03-16 2017-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
CN110036520A (zh) * 2016-12-06 2019-07-1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CN110050376B (zh) * 2017-01-13 2022-07-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二次电池
CN109216745A (zh) * 2017-06-30 2019-01-15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电池包
CN112382818A (zh) * 2020-12-02 2021-02-19 合肥市卓怡恒通信息安全有限公司 锂电池模组及笔记本电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797B2 (ja) *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2013534708A (ja) * 2010-07-13 2013-09-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容量のセルをもつバッテリ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8275A (ja) * 1999-06-25 2001-01-30 Mitsubishi Chemicals Corp 立体自由形状バッテリー装置
JP4734826B2 (ja) * 2003-10-21 2011-07-27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
JP3972205B2 (ja) * 2003-11-06 2007-09-05 日本電気株式会社 積層型電池
US9331358B2 (en) * 2010-01-26 2016-05-03 Apple Inc. Battery with multiple jelly rolls in a single pouch
US20110183183A1 (en) * 2010-01-26 2011-07-28 Grady Steven C Battery arrays, constructions and method
KR20120100195A (ko) * 2011-03-03 2012-09-12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제어모듈이 적층된 멀티 셀 배터리 팩
US20130236768A1 (en) * 2012-03-08 2013-09-12 Lg Chem, Ltd. Battery pack of stair-like structure
US9083040B2 (en) * 2012-04-06 2015-07-1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ck
KR20130118716A (ko) * 2012-04-20 2013-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디바이스
KR101403388B1 (ko) * 2012-05-07 2014-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30132231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20130133640A (ko) *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CN103918106B (zh) * 2012-05-30 2017-06-13 Lg 化学株式会社 具有优良电极突片连接性的电极组件、包括电极组件的电池单元和装置及制造电极组件的方法
KR101925934B1 (ko) * 2012-09-06 2018-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414092B1 (ko) * 2013-02-08 2014-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지팩 및 디바이스, 상기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EP2747170B1 (en) * 2012-12-21 2017-09-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3887457B (zh) * 2012-12-21 2018-07-06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CN203056005U (zh) * 2013-01-24 2013-07-10 东风汽车公司 纯电动汽车动力电池包壳体结构
KR20140100032A (ko) * 2013-02-05 2014-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CN103972595A (zh) * 2013-02-05 2014-08-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池模组
KR101573683B1 (ko) * 2013-02-13 2015-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KR101572836B1 (ko) * 2013-03-04 2015-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620173B1 (ko) * 2013-07-10 2016-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3474703B (zh) * 2013-09-12 2016-01-06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
KR101800932B1 (ko) * 2015-03-16 2017-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텝드 배터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797B2 (ja) * 2002-02-08 2005-08-10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2013534708A (ja) * 2010-07-13 2013-09-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容量のセルをもつバッテリ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3521B1 (en) 2020-11-18
JP2018507509A (ja) 2018-03-15
JP6623222B2 (ja) 2019-12-18
US20180013109A1 (en) 2018-01-11
EP3273521A1 (en) 2018-01-24
EP3273521A4 (en) 2018-01-24
KR20160111228A (ko) 2016-09-26
CN205452452U (zh) 2016-08-10
CN105990597A (zh) 2016-10-05
CN105990597B (zh) 2019-11-05
WO2016148405A1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932B1 (ko) 스텝드 배터리
US930009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198689U (ja) 保護カバー
JP625827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US10842237B2 (en) Electronics stand
US20170012516A1 (en) Vibrating motor
US9904648B2 (en) Card connector suitable for insertion of card, base suitable for insertion of device, and terminal
US20170171997A1 (en) Display frame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8905789B2 (en) Electronic device package box having a base unit and a cover unit with electronic components
US9386720B2 (en) Casing assembly and power supply apparatus with the same
US10170968B2 (en) Vibration motor
KR102082497B1 (ko)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US9312628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98997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KR20160141209A (ko) 배터리 팩
US9620875B2 (en) Memory card
US9583919B2 (en) Unit apparatus
US20170098902A1 (en) Memory card connector
US20080198538A1 (en) Battery modules and housing structures thereof
US8465326B1 (en) Card connector
US99791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odule spacer thereof
US8708742B2 (en) Card connector
US8454386B1 (en) Eletronic device having a tray for placing digital card
KR102492576B1 (ko) 전자 장치 포장 상자
JP2021180190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