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023A -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2023A
KR20220102023A KR1020210004205A KR20210004205A KR20220102023A KR 20220102023 A KR20220102023 A KR 20220102023A KR 1020210004205 A KR1020210004205 A KR 1020210004205A KR 20210004205 A KR20210004205 A KR 20210004205A KR 20220102023 A KR20220102023 A KR 2022010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pack
support member
upper cov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혁준
이진현
장재영
김재형
정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0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2023A/ko
Priority to PCT/KR2021/019544 priority patent/WO2022154295A1/ko
Priority to EP21919919.7A priority patent/EP4113756A1/en
Priority to JP2022562565A priority patent/JP2023522662A/ja
Priority to CN202180030197.1A priority patent/CN115516714A/zh
Priority to US17/915,897 priority patent/US20230139879A1/en
Publication of KR2022010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와 커넥터에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복수의 배터리 셀, 복수의 배터리 셀이 내장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팩 케이스,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디바이스와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및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상부 커버에는 커넥터에 디바이스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커버의 내측에는 커넥터의 외곽에 위치하여 커넥터의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including a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poor contact with the device}
본 발명은 커넥터 주위에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커넥터의 변형 등으로 인한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및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ESS) 등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종류에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단위 이차전지 셀, 즉, 단위 배터리 셀의 작동 전압은 약 2.0V ~ 5.0V이다. 따라서, 이보다 더 높은 출력 전압이 요구될 경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셀 모듈 어셈블리를 구성하기도 하며, 또한 셀 모듈 어셈블리를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배터리 팩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커넥터를 통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종래의 커넥터의 절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배터리 팩과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배터리 팩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셀이 케이스에 수납된 형태이다.
이러한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1)로 구성되며, 상부 커버(1)에는 배터리 팩을 전원으로써 사용하는 디바이스와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핀(5)이 삽입되는 핀 삽입구(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팩 내부에는 배터리 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품들이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 3) 및 PCB(3) 상에 결합되어 외부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4)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배터리 팩을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핀 삽입구(2)를 통하여 디바이스 핀(5)을 커넥터에 삽입하여 접점을 형성하게 되는데, 종래의 배터리 팩의 커넥터는 디바이스 핀(5)의 삽입과 분리를 반복하게 되면 커넥터의 접점부가 벌어지는 등의 변형에 의하여 삽입되는 디바이스 핀(5)과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접촉 저항이 증가하여 발열이 발생하거나,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넥터 주위에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커넥터의 변형 등으로 인한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이 내장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를 포함하는 팩 케이스,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디바이스와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및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커넥터에 디바이스 핀을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의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의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커넥터가 일정 지점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디바이스 핀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아암 및 일측이 커넥터 아암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에 결합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가 핀 삽입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바(bar)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가 핀 삽입구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가 일측이 상부 커버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PCB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의 한 쌍의 바 사이의 간격이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아암의 일부가 지지 부재의 내측에 접촉되어 커넥터 아암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 각각에 커넥터 아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돌기의 일면이 커넥터에 디바이스 핀이 삽입 시 커넥터 아암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가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의 한 쌍의 바 사이의 간격이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아암의 일부가 지지 부재의 내측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어 커넥터 아암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지지 부재를 구비하여 커넥터의 변형을 제한함으로써, 커넥터와 디바이스 핀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반복사용에도 커넥터와 디바이스 핀과의 전기적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장 시간 접촉 불량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접촉 불량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 불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종래의 커넥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에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에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 사이에 커넥터를 삽입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에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배터리 팩은 상부 커버(100)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팩 케이스 내에 복수의 배터리 셀이 수납되어 있다.
수납되는 배터리 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파우치형 배터리 셀, 원통형 배터리 셀, 각형 배터리 셀 등 공지의 다양한 배터리 셀 중 필요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수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팩 케이스 내부의 일측에 배터리 팩의 작동을 제어하는 각종 부품들이 실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300)가 구비되어 있으며, PCB(300)의 일면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200)가 접합된다.
여기서, 커넥터(2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끝단 사이의 한 지점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디바이스 핀(P)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아암(210) 및 일측이 커넥터 아암(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PCB(300)에 결합되는 커넥터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 아암(210)은 금속과 같은 전기전도성의 소재로 이루어진 긴 플레이트가 한 부분에서 절곡된 형태이며, 커넥터 연결부(220)에 접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커넥터 아암(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절곡된 지점을 기준으로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 방향으로 갈수록 커넥터 아암(210) 사이의 간격은 다시 넓어지는 형태이다.
한편, 상부 커버(100)에는 디바이스 핀(P)을 커넥터(200)에 삽입할 수 있도록 각각의 커넥터(200)와 대응하는 위치에 핀 삽입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100)의 내측에는 디바이스 핀(P)의 반복적인 삽입 및 분리 시 커넥터(200)의 변형에 따른 커넥터(200)와 디바이스 핀(P)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1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20)는 각각의 커넥터(200)마다 한 쌍의 바(bar) 형태의 부재가 각각의 핀 삽입구(110)를 중심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 부재(120)의 일측은 상부 커버(100)의 내측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PCB(300)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부재(120)에 커넥터(200)가 구비된 상부 커버(100)를 사용하여 커넥터(2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조립하게 되면, 커넥터(200) 각각은 한 쌍의 지지 부재(12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 부재(120) 사이의 간격은 커넥터(200)에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두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 사이의 간격보다 더 넓고,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 핀(P)이 커넥터(2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두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가 지지 부재(120)에 접촉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일반적인 경우 커넥터(200)는 자체 탄성에 의하여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되면, 커넥터 아암(210)들이 디바이스 핀(P)을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커넥터(200)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 커넥터(200)가 디바이스 핀(P)을 안정적으로 접지하지 못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부 커버(100)에 지지 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즉, 커넥터(200)에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된 상태일 경우 두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가 지지 부재(120)에 의하여 일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커넥터(200)와 디바이스 핀(P) 사이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가 구비된 배터리 팩에 디바이스 핀이 삽입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지 부재(130)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131)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130) 사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돌기(131)가 구비된 지지 부재(130) 사이에 위치한 커넥터(200)에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 아암(210) 말단부가 지지 부재(130)의 내측에 접촉되어 일정 간격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돌기(131)에 커넥터 아암(210)이 접촉되어 커넥터(200)가 일정 간격 이상으로 변형되어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지지 부재(130) 사이의 간격은 앞서 살펴본 도 3 및 도 4의 지지 부재(12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부재(130)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고, 돌기(131)의 크기와 형상을 적절히 설계하면 지지 부재(130)에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가 접촉되는 동시에 돌기(131)에 커넥터 아암(210)이 접촉되어 커넥터(200)가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지지 부재(130) 사이의 간격과 돌기(131)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지지 부재(130)에 커넥터 아암 말단부(211)가 먼저 접촉이 되거나, 돌기(131)에 커넥터 아암(210)이 먼저 접촉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최소한 어느 한쪽은 커넥터(200)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200)와 디바이스 핀(P)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기(131)의 형상은 도 5에서와 같이 커넥터 아암(210)과 접촉하는 일면이 경사진 형태일 수 있는데, 이 때 경사의 정도는 접촉되는 커넥터 아암(210)의 경사의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 아암(210)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돌기(131)의 일면이 형성되면 커넥터 아암(210)과 넓은 면적에 걸쳐서 접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돌기(1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바이스 핀(P) 삽입 시 커넥터 아암(210)과 접촉되어 커넥터 아암(21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선택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배터리 팩 조립 시 돌기(131)를 구비한 지지 부재(130) 사이에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지지 부재(1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만 상부 커버(100)에 고정되어 있어, 폭이 좁은 돌기(131) 사이를 커넥터 아암(210)이 통과할 때 지지 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삽입이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을 가진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결합되는 상부 커버(100)와 동일한 소재 또는 상부 커버(100)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부재(130)는 상부 커버(100)를 제작 시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상부 커버(100)에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은 이와 같이 상부 커버(100)에 지지 부재(120, 130)라는 간단한 구성을 부가하는 것 만으로, 반복 사용에 따른 커넥터(200)와 디바이스 핀(P) 사이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팩의 사용 시간의 증대가 기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 팩을 각종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경우 불량 감소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상부 커버
110 : 핀 삽입구
120, 130 : 지지 부재
131 : 돌기
200 : 커넥터
210 : 커넥터 아암
211 : 커넥터 아암 말단부
220 : 커넥터 연결부
300 : PCB
P : 디바이스 핀

Claims (11)

  1.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이 내장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커버(100)를 포함하는 팩 케이스;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디바이스와 배터리 팩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200); 및
    상기 팩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일면에 상기 커넥터가 결합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3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서,
    상기 상부 커버(100)에는 상기 커넥터(200)에 디바이스 핀(P)을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핀 삽입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100)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200)의 외곽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200)의 변형을 제한하는 지지 부재(120, 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0)는 일정 지점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바이스 핀(P)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넥터 아암(210) 및 일측이 상기 커넥터 아암(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PCB(300)에 결합되는 커넥터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20, 130)는 상기 핀 삽입구(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바(bar)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20, 130)는 상기 핀 삽입구(110)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20, 130)는 일측이 상기 상부 커버(100)의 내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PCB(3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20)의 상기 한 쌍의 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아암(210)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120)의 내측에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 아암(210)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30) 각각에는 상기 커넥터 아암(21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131)의 일면은 상기 커넥터(200)에 상기 디바이스 핀(P)이 삽입 시 상기 커넥터 아암(210)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130)의 상기 한 쌍의 바 사이의 간격은 상기 디바이스 핀(P)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아암(210)의 일부가 상기 지지 부재(13)의 내측 또는 상기 돌기(13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접촉되어 상기 커넥터 아암(210)의 벌어짐을 제한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210004205A 2021-01-12 2021-01-12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20102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05A KR20220102023A (ko) 2021-01-12 2021-01-12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CT/KR2021/019544 WO2022154295A1 (ko) 2021-01-12 2021-12-21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EP21919919.7A EP4113756A1 (en) 2021-01-12 2021-12-21 Battery pack including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contact failure with device
JP2022562565A JP2023522662A (ja) 2021-01-12 2021-12-21 デバイスとの接触不良を防止することができる部材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CN202180030197.1A CN115516714A (zh) 2021-01-12 2021-12-21 包括能够防止与装置的不良接触的构件的电池组
US17/915,897 US20230139879A1 (en) 2021-01-12 2021-12-21 Battery pack including member capable of preventing poor contact with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205A KR20220102023A (ko) 2021-01-12 2021-01-12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023A true KR20220102023A (ko) 2022-07-19

Family

ID=8244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205A KR20220102023A (ko) 2021-01-12 2021-01-12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39879A1 (ko)
EP (1) EP4113756A1 (ko)
JP (1) JP2023522662A (ko)
KR (1) KR20220102023A (ko)
CN (1) CN115516714A (ko)
WO (1) WO20221542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18081Y (zh) * 2006-12-22 2008-02-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036060B1 (ko) * 2009-05-14 2011-05-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514426B1 (ko) * 2012-12-24 2015-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조립 방법
KR102099704B1 (ko) * 2015-01-22 2020-04-1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커넥터
KR101798525B1 (ko) * 2016-07-06 2017-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케이블 커넥터와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한 고전압 안전 플러그
KR20210004205A (ko) 2019-07-03 2021-01-13 김동학 천공 깊이 확인용 드릴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39879A1 (en) 2023-05-04
EP4113756A1 (en) 2023-01-04
WO2022154295A1 (ko) 2022-07-21
JP2023522662A (ja) 2023-05-31
CN115516714A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9028B2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US7538516B2 (en)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CN108701793B (zh) 电池组
US1125150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1115267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19512863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11094987B2 (en) Battery pack to support and fix battery module
US10074843B2 (en) Battery module
US20230091858A1 (en) Battery pack including clip type connector
KR101941257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102023A (ko)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30034195A1 (en) Battery module having rail type socke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09891636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17004447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477215B1 (ko) 배터리 팩 모듈
KR102477216B1 (ko) Pcb 일체형 배터리 팩 모듈
CN216288837U (zh) 汇流条组件、电池组和电驱动设备
EP433663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US20230087635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N116998058A (zh) 具有安装的连接构件的圆柱形电池单元和包括该圆柱形电池单元的电池模块
CN116454548A (zh) 外部短路装置和包括外部短路装置的电池模块
CN114128022A (zh) 电池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