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704B1 - 배터리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704B1
KR102099704B1 KR1020150010752A KR20150010752A KR102099704B1 KR 102099704 B1 KR102099704 B1 KR 102099704B1 KR 1020150010752 A KR1020150010752 A KR 1020150010752A KR 20150010752 A KR20150010752 A KR 20150010752A KR 102099704 B1 KR102099704 B1 KR 10209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terminal
contact
insertion portion
batter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666A (ko
Inventor
박수환
김동희
김덕현
곽주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04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 및 상기 단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을 구비하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단자 수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 및 상기 슬라이딩 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실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단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삽입부의 타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딩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PCB 기판에 실장 가능한 실장 단자의 서로 다른 측면과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슬라이딩부를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에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딩 단자의 일면과 실장 단자의 일면만을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넥터{Battery connector}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 등과 같은 휴대기기는, 휴대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휴대기기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팩과,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가 구비된다.
종래의 배터리 커넥터는, 절연체 하우징; 절연체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되는 슬라이딩 단자; 접속 단자와 접촉되도록 절연체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며, PCB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 단자; 및 절연체 하우징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단자를 터미널 컨택트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는, 슬라이딩 단자가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되거나 접촉 해제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때에도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커넥터는,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는 일 방향으로만 접촉되게 마련되므로,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 중 어느 하나가 약간 정도만 소성 변형되어도 접촉 상태가 해제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배터리 커넥터는 접촉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가 여러 방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는,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 및 상기 단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을 구비하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단자 수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 및 상기 슬라이딩 단자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실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단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 상기 삽입부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삽입부의 타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일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일측면과 접촉되는 제1 슬라이딩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타측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타측면과 접촉되는 제2 슬라이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로부터 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과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상기 일측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타측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개구부와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단자를 상기 개구부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단자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삽입 단자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슬라이딩 단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마련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는,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 및 상기 단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단자 수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 상기 슬라이딩 단자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실장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단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 및 상기 삽입부의 서로 다른 측면과 각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서로 다른 측면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복수의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PCB 기판에 실장 가능한 실장 단자의 서로 다른 측면과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슬라이딩부를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에 마련함으로써, 슬라이딩 단자의 일면과 실장 단자의 일면만을 접촉시키는 경우에 비해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슬라이딩 단자가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어 슬라이딩 단자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각각의 슬라이딩부가 이와 접촉된 슬라이딩 단자의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단자의 접촉면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절연체 하우징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슬라이딩 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실장 단자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탄성 부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작동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1)는,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컨택트(2a)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1)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11), 및 단자 수용부(1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절연체 하우징(10); 절연체 하우징(10)의 단자 수용부(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연체 하우징(10)의 개구부를 통해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커택트와 접촉 가능한 슬라이딩 단자(20); 슬라이딩 단자(20)와 접촉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의 단자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31)를 구비하는 실장 단자(30); 및 절연체 하우징(10)의 단자 수용부(11)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단자(20)를 절연체 하우징(10)의 개구부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4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절연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절연체 하우징(10)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기 기타 배터리 팩(2)이 장착되는 휴대기기에 설치된다. 절연체 하우징(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단자(20)와 실장 단자(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단자 수용부(11), 단자 수용부(1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 실장 단자(30)가 고정되는 고정부(14)를 구비한다.
절연체 하우징(10)의 설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하우징(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끼움홀(15)이 형성되고, 고정 부재(50)가 각각의 끼움홀(15)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 부재(50)는 하단부가 끼움홀(15)을 관통하여 휴대기기에 고정되며, 이를 통해 절연체 하우징(10)을 휴대기기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개구부에 의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단자 수용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하우징(10)에 설치하고자 하는 슬라이딩 단자(20)의 개수에 맞추어 절연체 하우징(10)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절연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이란 절연체 하우징(10)과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컨택트(2a)가 대면하는 방향을 말하고, 절연체 하우징(10)의 폭 방향이란 절연체 하우징(1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말한다.
개구부는, 단자 수용부(11)를 절연체 하우징(10)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킨다. 개구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되며, 슬라이딩 단자(20)를 설치하기 위한 전면 개구부(12), 및 절연체 하우징(10)의 후면에 형성되며, 실장 단자(30)를 설치하기 위한 후면 개구부(13)를 구비한다.
고정부(1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 하우징(1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가 고정된다. 고정부(14)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부(14)는,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의 바닥면과 양쪽 측면을 둘러쌀 수 있는 상면이 개구된 홈 구조를 갖고, 그 내주면에는 제2 삽입부(35)의 끼움 돌기(35a)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미도시)이 마련된다. 또한, 고정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면 개구부(13)를 통해 각각의 단자 수용부(11)와 연결되도록 절연체 하우징(10)의 폭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슬라이딩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실장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슬라이딩 단자와 실장 단자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슬라이딩 단자(20)는, 도전성과 탄성을 갖는 금속 판재를 펀칭 및 절곡 가공하여 제조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각각의 단자 수용부(11)마다 하나씩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단자(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절연체 하우징(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컨택트(2a)와 접촉되는 접촉부(21),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의 일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딩부(22),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의 타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딩부(23), 및 제1 슬라이딩부(22) 및 제2 슬라이딩부(23)와 접촉부(21)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 부재(40)를 지지하는 지지부(28)를 구비한다.
접촉부(21)는, 제1 대면부(25)와 제2 대면부(26)가 서로 대면되도록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면 개구부(12)를 통해 절연체 하우징(10)의 전방쪽으로 노출되어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컨택트(2a)와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면부(25)와 제2 대면부(26)가 서로 경사지게 대면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대면부(25)와 제2 대면부(26)가 서로 평행하게 대면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대면부(25)의 후단부가 절곡되어 제1 보강부(24)가 형성되며, 제2 대면부(26)의 후단부가 절곡되어 제2 보강부(27)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부(24)는, 단자 수용부(1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2 보강부(27)는 제1 보강부(24)의 전면과 접촉되도록 절곡 형성된다.
접촉부(21)가 배터리 팩(2)의 터미널 컨택트(2a)와 접촉될 때 제2 보강부(27)는 제1 보강부(24)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를 통해 제1 보강부(24)와 제2 보강부(27)는 터미널 컨택트(2a)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접촉부(21), 제1 대면부(25) 및 제2 대면부(2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 보강부(24)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지지부(28)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8)는, 후면 개구부(13)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되며, 제1 슬라이딩부(22) 및 제2 슬라이딩부(23)와 제1 보강부(24)를 연결한다.
지지부(28)는, 탄성 부재(40)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며, 탄성 부재(28)의 선단부가 걸림되어 지지된다. 또한, 지지부(28)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단자 수용부(11)의 내주면에 마련된 안내홈(미도시)에 삽입되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단자(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부(27)에는 양측 단부에는 각각 안내부(29)가 형성된다. 각각의 안내부(29)는, 지지부(28)와 유사하게 그 단부가 단자 수용부(11)의 내주면에 마련된 안내홈(미도시)에 삽입되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슬라이딩 단자(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제1 슬라이딩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8)의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단자(20)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슬라이딩부(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1 슬라이딩 돌기(22a)가 삽입부(31)의 상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2b)(22c)를 포함한다. 즉, 제1 슬라이딩부(22)는, 제1 슬라이딩 돌기(22a)가 삽입부(31)의 상면을 탄성 가압하여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삽입부(31)의 상면 간의 접촉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번 절곡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제1 슬라이딩부(22)에 2개의 절곡부(22b)(22c)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곡부의 형성 개수 및 절곡 각도는 삽입부(31)의 두께, 제1 슬라이딩부(22)의 길이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딩부(22)는, 그 후단부에 형성되며,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슬라이딩 돌기(22a)를 구비한다. 제1 슬라이딩 돌기(22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의 상면의 중앙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을 탄성 가압하여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22)는, 제1 슬라이딩 돌기(22a)를 통해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딩부(22)가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 가능한 다른 구조를 갖거나 또는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되어 제1 슬라이딩부(22)와 삽입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부재가 제1 슬라이딩부(2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슬라이딩부(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부(22)와 반대되도록 지지부(28)의 중앙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으로부터 슬라이딩 단자(20)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2 슬라이딩부(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 슬라이딩 돌기(23a)가 삽입부(31)의 하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23b)(23c)를 포함한다. 즉, 제2 슬라이딩부(23)는, 제2 슬라이딩 돌기(23a)가 삽입부(31)의 하면을 탄성 가압하여 제2 슬라이딩 돌기(23a)와 삽입부(31)의 하면 간의 접촉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번 절곡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라이딩부(23)에 2개의 절곡부(23b)(23c)를 형성하였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곡부의 형성 개수 및 절곡 각도는 삽입부(31)의 두께, 제2 슬라이딩부(23)의 길이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딩부(23)는, 그 후단부에 마련되며,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되고,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2 슬라이딩 돌기(23a)를 구비한다.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의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을 탄성 가압하여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2 슬라이딩부(23)는, 제2 슬라이딩 돌기(23a)를 통해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딩부(23)가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 가능한 다른 구조를 갖거나 또는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되어 제2 슬라이딩부(23)와 삽입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 부재가 제2 슬라이딩부(2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장 단자(3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판재가 펀칭 및 절곡 가공되어 제조되며,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의 슬라이딩 단자(20) 중 어느 하나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장 단자(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단자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삽입부(31), PCB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32), 삽입부(31)와 실장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구비한다.
삽입부(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1)와 고정부(14)에 삽입되되 후단부가 절연체 하우징(10)의 외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삽입부(3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개구부(12)에서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상면과 하면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마련된다. 즉, 삽입부(31)는, 전면 개구부(12)에서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마련된다.
삽입부(31)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1)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34), 및 제1 삽입부(34)의 뒤쪽에 마련되며, 고정부(14)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35)를 포함한다.
제1 삽입부(34)는 단자 수용부(11)의 폭보다 작은 폭,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30)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삽입부(3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에 의하여 둘러싸인 상태로 단자 수용부(1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부(35)는 탄성 부재(30)의 직경보다 큰 폭, 보다 구체적으로, 단자 수용부(11)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되 고정부(14)보다는 작은 폭을 가진다. 따라서, 제2 삽입부(35)는 단자 수용부(11)에는 삽입되지 못하고 고정부(14)에 삽입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부(35)의 전면에는 탄성 부재(30)의 후단부가 걸림되어 지지된다.
또한, 제2 삽입부(3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삽입부(35)의 하면과 고정부(14)의 바닥면이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제2 삽입부(35)의 하면과 고정부(14)의 바닥면 사이에는 제2 슬라이딩부(23)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삽입부(35)의 양쪽 측면에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돌기(35a)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삽입부(35)의 끼움 돌기(35a)가 고정부(14)의 끼움홈에 끼워짐으로써, 제2 삽입부(35)가 고정부(14)에 고정된다. 또한, 제2 삽입부(35)의 후단부에는, 연결부(33)가 제2 삽입부(35)와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33)는 제2 삽입부(35)의 후단부와 실장부(32)의 선단부를 연결한다.
실장부(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3)의 하단부로부터 연결부(33)와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PCB 기판의 전원부(미도시)에 실장된다. 따라서, 터미널 컨택트(2a)를 통해 배터리 팩(2)으로부터 방출된 후 슬라이딩 단자(20)와 실장 단자(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전력은, 실장부(32)를 통해 PCB 기판의 전원부로 전달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탄성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탄성 부재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탄성 부재(40)는, 단자 수용부(11)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단자(20)를 전면 개구부(12) 쪽으로 탄성 바이스어스한다. 탄성 부재(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탄성 부재(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슬라이딩 단자(20)의 지지부(28)에 의하여 지지되며, 후단부가 제2 삽입부(35)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1 슬라이딩부(22), 제2 슬라이딩부(23) 및 제1 삽입부(34)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0)는 후단부가 제2 삽입부(3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단자(20)를 전면 개구부(12)를 향해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배터리 커넥터의 작동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의 배터리 커넥터(1)의 작동 양상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1)가 설치되는 휴대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에 배터리 팩(2)을 터미널 컨택트(2a)가 접촉부(21)와 접촉되도록 장착하면, 터미널 컨택트(2a)에 의하여 접촉부(21)가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단자(20)는, 접촉부(21)에 의하여 터미널 컨택트(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단자 수용부(11)를 따라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슬라이딩 단자(20)가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탄성 부재(40)는 슬라이딩 단자(20)의 지지부(28)에 의해 가압되어 후단부가 제2 삽입부(3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압축되며, 제1 슬라이딩 돌기(22a)는 삽입부(31)의 상면과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삽입부(31)의 상면을 따라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하면과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삽입부(31)의 하면을 따라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슬라이딩 단자(20)는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에 의하여 실장 단자(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 팩(2)에서 방출된 후 슬라이딩 단자(20)와 실장 단자(30)를 통과한 전력은 PCB 기판의 전원부에 전달된다.
휴대기기의 배터리 장착부에서 배터리 팩(2)을 분리하여 접촉부(21)에 대한 터미널 컨택트(2a)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 부재(40)는 슬라이딩 단자(20)의 지지부(28)를 전면 개구부(12) 쪽으로 가압하며, 이로 인해 슬라이딩 단자(20)는 전면 개구부(12)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러면, 제1 슬라이딩 돌기(22a)는 삽입부(31)의 상면과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삽입부(31)의 상면을 따라 전면 개구부(12)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하면과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전면 개구부(12)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단자(20)는, 제1 슬라이딩 돌기(22a)가 삽입부(31)의 상면과 접촉되고 제2 슬라이딩 돌기(23a)가 삽입부(31)의 하면과 접촉되는 형태로, 실장 단자(30)와 다중 접촉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 단자(20)는, 실장 단자(30)와 일방향으로만 단일 접촉되는 경우에 비하여, 실장 단자(30)에 대한 슬라이딩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돌기(22a)는 삽입부(31)의 상면의 중앙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과 접촉되고,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하면의 중앙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편심된 부분과 접촉된다. 즉,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되지 않도록 삽입부(3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편심되도록 삽입부(31)와 접촉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단자(20)와 실장 단자(30)가 소성 변형되더라도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실장 단자(30)와 계속적으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실장 단자(30)에 대한 슬라이딩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31)는 전면 개구부(12) 쪽에서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 단자(20)가 후면 개구부(1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제1 슬라이딩 돌기(22a)는 삽입부(31)의 상면에 의해 삽입부(31)의 상측 방향으로 밀어 올려지고,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하면에 의해 삽입부(31)의 하측 방향으로 밀어 내려진다. 그러면, 삽입부(31)에 대한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의 가압력이 커지게 되므로, 실장 단자(30)에 대한 슬라이딩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단자(20)가 슬라이딩 이동될 때,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상하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삽입부(31)의 상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는 삽입부(31)의 상하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이동 경로 상에 적층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부(31)의 상하면에 적층된 이물질로 인해 슬라이딩 단자(20)와 실장 단자(30)의 접촉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실장 단자(30)에 대한 슬라이딩 단자(20)의 접촉 신뢰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넥터(1)는, 슬라이딩 단자(20)의 제1 슬라이딩 돌기(22a)와 제2 슬라이딩 돌기(23a)가 실장 단자(30)의 삽입부(31)와 2 방향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단자(20)에 3개 이상의 슬라이딩부 및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슬라이딩 돌기는 3 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삽입부(31)의 서로 다른 측면과 접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배터리 커넥터
2 : 배터리 팩 2a : 터미널 컨택트
10 : 절연체 하우징 11 : 단자 수용부
12 : 전면 개구부 13 : 후면 개구부
14 : 고정부 15 : 끼움홀
20 : 슬라이딩 단자 21 : 접촉부
22 : 제1 슬라이딩부 22a : 제1 슬라이딩 돌기
23 : 제2 슬라이딩부 23a : 제2 슬라이딩 돌기
24 : 제1 보강부 25 : 제1 대면부
26 : 제2 대면부 27 : 제2 보강부
28 : 지지부 29 : 안내부
30 : 실장 단자 31 : 삽입부
32 : 실장부 33 : 연결부
34 : 제1 삽입부 35 : 제2 삽입부
35a : 끼움 돌기 40 : 탄성 부재
50 : 고정 부재

Claims (11)

  1. 배터리 팩의 터미널 컨택트와 접속되는 배터리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형성된 단자 수용부, 및 상기 단자 수용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전면개구부와 후면개구부를 구비하는 절연체 하우징;
    상기 절연체 하우징의 상기 전면개구부를 통해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 컨택트와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중심에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후면개구부를 향해 독립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슬라이딩부 및 제 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딩 단자; 및
    상기 슬라이딩 단자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단자 수용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PCB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부 및 삽입부와 실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 단자와 접촉되는 실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편심된 부분의 일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일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편심된 부분의 타 측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타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와 상기 삽입부가 접촉하는 부분과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와 상기 삽입부가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삽입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 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일 측면과 접촉되는 제 1 슬라이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의 타 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삽입부의 타 측면과 접촉되는 제 2 슬라이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부는 상기 일 측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부는 상기 타 측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전면개구부에서 후면개구부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수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단자를 상기 전면개구부 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단자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실장 단자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단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와 상기 제 2 슬라이딩부 및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마련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코일 스프링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넥터.
  11. 삭제
KR1020150010752A 2015-01-22 2015-01-22 배터리 커넥터 KR102099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52A KR102099704B1 (ko) 2015-01-22 2015-01-22 배터리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752A KR102099704B1 (ko) 2015-01-22 2015-01-22 배터리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66A KR20160090666A (ko) 2016-08-01
KR102099704B1 true KR102099704B1 (ko) 2020-04-10

Family

ID=5670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752A KR102099704B1 (ko) 2015-01-22 2015-01-22 배터리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95A1 (ko) * 2021-01-12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1338B1 (en) * 2012-05-23 2013-07-23 Proconn Technology Co., Ltd. Battery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95A1 (ko) * 2021-01-12 2022-07-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디바이스와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666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7272B2 (en) Connector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9160089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8210855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44041B1 (ko) 카드 커넥터
US9088115B2 (en) Connector
WO2016132697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9502844B2 (en) Battery connector and terminal thereof
KR102099704B1 (ko) 배터리 커넥터
KR20190071581A (ko) 카드 엣지 접속장치
US10903597B2 (en) Connector
JP5354226B2 (ja) 圧接型コネクタ
JP2020061252A (ja) コネクタ
US7980864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US9466901B2 (en) Low insertion force plug connector with sliding member
JP2006260794A (ja) コネクタ
KR20100070843A (ko) 커넥터어셈블리
KR20160101322A (ko) 무접촉단자형 fpcb 커넥터
CN104868311A (zh) 连接器及连接器组装件
KR10231242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10153260A (ja) コネクタ
JP2017112038A (ja) 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KR101438582B1 (ko) 고전류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