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421B1 -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421B1
KR102312421B1 KR1020180072158A KR20180072158A KR102312421B1 KR 102312421 B1 KR102312421 B1 KR 102312421B1 KR 1020180072158 A KR1020180072158 A KR 1020180072158A KR 20180072158 A KR20180072158 A KR 20180072158A KR 102312421 B1 KR102312421 B1 KR 10231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portion
terminal
circuit board
upp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184A (ko
Inventor
정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7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421B1/ko
Priority to CN201980007263.6A priority patent/CN111557065B/zh
Priority to JP2020522969A priority patent/JP7088456B2/ja
Priority to US16/757,853 priority patent/US11114787B2/en
Priority to PCT/KR2019/007045 priority patent/WO2019245221A1/ko
Priority to PL19823669.7T priority patent/PL3703195T3/pl
Priority to EP19823669.7A priority patent/EP370319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0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4Resiliently-mounted rigid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터미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은,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접압부; 및 상기 상부 접압부와 소정의 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상기 상부 접압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하부 접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접압부와 상기 하부 접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갭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Terminal for connector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렉트 PCB 커넥터에 사용 가능한 터미널로서 PCB의 두께 변동이 있어도 PCB를 상하로 잡아줄 수 있는 터미널과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랩탑,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전자기기를 비롯해 이차전지 제품의 충방전 제어 부품인 BMS의 소형화, 경량화 추세에 따라 그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밀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 장치들도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커넥터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암 커넥터에는 콘택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핀이 설치되고 수 커넥터에는 상기 다수의 핀과 접촉하는 다수의 플러그 터미널이 설치된다. 수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되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와 상보적으로 체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암 커넥터 및 수 커넥터 양자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별도의 바디(body)와 콘택트들을 서로 다른 금형을 통해 제작하여야 하고 어느 하나의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표면 실장해야 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복잡해 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암수 한 쌍으로 구성된 커넥터의 대안으로서 특허문헌 1은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의 에지 영역에 체결시킬 수 있게 마련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는 감합 상대의 전기 커넥터 등을 생략함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구성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다이렉트 PCB 커넥터는, 두께 공차가 큰 인쇄회로기판(PCB)에 반복적으로 설치하다 보면 터미널의 간격이 벌어져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접촉저항 및 접압력이 매우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른 다이렉트 PCB 커넥터와 그 터미널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접압력이 부족은 진동이나 충격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또는 터미널 간의 접촉 불량을 야기하므로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10023호 (2010.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00463호 (2014.05.21)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이렉트 PCB 커넥터에 사용 가능한 터미널로서 PCB의 두께 변동이 있어도 PCB를 상하로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탈거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접압부; 및 상기 상부 접압부와 소정의 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상기 상부 접압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하부 접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접압부와 상기 하부 접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갭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압부는, 상기 하부 접압부와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지지 파트; 상기 지지 파트와 탄성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트에 대해 상하 유동하게 마련된 탄성변위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파트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에 대향하는 일면이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 배치되는 블럭과, 상기 결합홈과 상기 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복수 개로서, 상기 블럭의 상면과 하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지지 파트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보다 상기 하부 접압부와의 초기 갭이 더 크게 마련된다.
상기 상부 접압부의 탄성변위 파트와 상기 하부 접압부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커넥터용 터미널을 수용하고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가 소정 깊이까지 끼워지도록 앞쪽 부분이 상호 간 이격되고, 뒷쪽 부분은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상판부와 하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하게 마련된 클램프 파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파트는 상기 상판부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 맞춤되되, 끼워 맞춤 부분이 일 방향으로 경사진 톱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이렉트 PCB 커넥터에 사용 가능한 터미널로서 PCB의 두께 변동이 있어도 PCB를 상하로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탈거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은 상,하단부가 탄성적으로 상하 유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서 두께가 상이한 PCB 기판뿐만 아니라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터미널의 일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용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용 터미널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의 작용 메카니즘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의 작용 메카니즘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회로 기판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Ⅱ-Ⅱ'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클램프 파트에 의한 락킹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커넥터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선이나 신호 케이블의 끝단에 장치하여 하나의 회로(또는 장치)와 다른 회로(또는 장치)를 전기적으로 결합하데 사용하는 전자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용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 내부 구성품으로서 전선이나 신호 케이블 한 가닥을 회로 기판의 도전 패턴(2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금속 도체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용 터미널의 일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용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넥터용 터미널(100)은, 이들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부(110), 상부 접압부(120), 하부 접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고정부(110)는 전선 또는 신호 전송 케이블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컨대 전송 케이블은 끝단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케이블 고정부(110)에 구비된 아크 형상의 고리에 끼워져 압입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송 케이블의 끝단을 상기 케이블 고정부(110)에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 억지 끼움 등 다양할 수 있다.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는, 커넥터(10)를 회로기판(20)에 설치하였을 때, 회로기판(20)에 구비되는 도전 패턴(21)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는,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소정의 갭이 이들 사이에 형성되게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케이블 고정부(110)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갭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100)에 의하면, 회로기판(20)을 상기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는 회로기판(20)에 의해 갭이 더 벌어져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힘으로 회로기판(20)의 상면과 하면을 접압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100)은, 상부 접압부(120) 및/또는 하부 접압부(130)가 탄성 매체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마련하여 터미널의 탄성 피로(Elastic fatigue) 현상을 완화함으로써 장시간 또는 반복적인 사용에도 접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용 터미널(100)의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 구조 및 동작 메카니즘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접압부(120)는, 지지 파트(121)와 탄성변위 파트(122)를 포함한다.
지지 파트(121)는 케이블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접압부(130)와 일정한 갭(G+S)을 유지하며 탄성변위 파트(122)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갭(G+S)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탄성변위 파트(122)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의 초기 갭(G) 보다 더 큰 갭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파트(121)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의 갭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터미널에 삽입할 수 있는 회로기판(20)의 한계 두께는 상기 갭(G+S)의 크기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 파트(121)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의 갭의 크기는 터미널을 설계 변경으로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파트(121)는 탄성변위 파트(122)와 대면하고 그 대면하는 일면에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된 결합홈(121a)을 구비한다. 결합홈(121a)은 탄성변위 파트(122)의 탄성부재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 형태의 넓은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변위 파트(122)는 상기 지지 파트(121)에 탄성부재 부분이 연결됨으로써 지지 파트(121)에 대해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위 파트(122)를 살펴보면, 탄성변위 파트(1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하부 접압부(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탄성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12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지 파트(121)의 결합홈(121a)에 삽입 배치되는 블럭(124)과, 상기 결합홈(121a)과 상기 블럭(124)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25)을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25)으로는 판 스프링(125)이 채용될 수 있다.
판 스프링(125)은 블럭(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되고, 블럭(124)의 상면과 하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125)은 중심부가 블럭(124)에 고정되고 양단부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소정의 폭만큼 벌어진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은 블럭(124)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된 판 스프링(125)들의 양단부는, 도 5와 같이, 결합홈(121a)의 안쪽 상면과 하면에 맞닿을 수 있다.
지지 파트(121)에 조립된 탄성변위 파트(122)는 수직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지지 파트(121)를 기준으로 하부 접압부(130)와의 갭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압부(120)의 탄성변위 파트(122)와 하부 접압부(130)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부(P)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P)는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다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부(P)는, 이를테면 경사진 측면과 상기 측면과 교차하는 평평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부(P)는 회로기판(20)을 삽입할 때 탄성변위 파트(122)가 회로기판(12)의 앞단에 밀려 쉽게 벌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이드 돌기부(P)의 위치를 회로기판(20)의 도전 패턴(21)이 위치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접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접압부(130)는 유동성이 없게 케이블 고정부(110)와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상부 접압부(120)와 유사한 구성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100)의 작용 메카니즘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터미널의 하부 접압부(130)와 상부 접압부(120) 중 지지 파트(121)는 일정한 갭을 유지하며 항상 고정되어 있고, 탄성변위 파트(122)는 하부 접압부(130)와의 초기 갭이 지지 파트(121)보다 좁은 상태이며, 외력이 상부 접압부(120) 중 탄성변위 파트(122)에 작용할 경우, 상하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에 회로기판(20)을 밀어 넣으면, 가이드 돌기부(P)로 인해 탄성변위 파트(122)가, 도 7과 같이,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 블럭(124)의 하면에 위치한 판 스프링(125)들은 결합홈(121a)의 안쪽 하면에서 떨어지고 블럭(124)의 상부에 위치한 판 스프링(125)들은 양단부가 더 벌어진 상태로 결합홈(121a)의 안쪽 상면에 맞붙게 된다. 이때의 판 스프링(125)들의 탄성 복원력이 탄성변위 파트(122)가 상기 회로기판(20)을 잡아주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예컨대, 도 3에 표시한 탄성변위 파트(122)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의 갭(G)이 0.2t이고 지지 파트(121)와 하부 접압부(130) 사이의 갭(G+S)이 1.6t가 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설계하였다고 가정하면, 상기 터미널은 두께가 0.2t~1.6t 범위에 속하는 인쇄회로기판뿐만 아니라 FFC, 버스바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탄성변위 파트(122)가 상기 회로기판(20)을 잡아주는 실질적인 핵심 구성으로 판 스프링(125)을 채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상기 판 스프링(125)에만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판 스프링(125)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25)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스프링(125)의 경우, 판 스프링(125)에 비해 제작이 쉽고 내구성이나 조립성 측면에서 더 유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회로기판(20)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Ⅱ-Ⅱ'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클램프 파트(212)에 의한 락킹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상술한 커넥터용 터미널(100)들과, 상기 커넥터용 터미널(100)들을 내부에 수용하고 회로기판(20)의 가장자리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넥터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00)은 커넥터용 터미널(100)을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판부(210)와 하판부(220) 그리고 회로기판(20)에 대한 락킹 수단을 형성하는 래치부(230)와 홀딩리브(240)를 포함한다.
상판부(210)와 하판부(220)는 커넥터 하우징(200)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10)와 하판부(220)는 회로기판(20)이 소정 깊이까지 끼워질 수 있게 앞쪽 부분이 소정 간격 벌어진 형태로 이격되고, 뒷쪽 부분은 하나의 몸체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부(210)와 하판부(220)의 뒷쪽 부분에는 상기 커넥터용 터미널(100)들을 개별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공들이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용 터미널(100)들은 삽입공들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200)의 배후에서 커넥터 하우징(200)의 앞쪽 부분까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용 터미널(100)의 케이블 고정부(110)는 삽입공 속에 끼워져 커넥터(10 하우징의 뒷쪽 부분에 배치되고 상부 접압부(120)와 하부 접압부(130)는 커넥터(10 하우징의 앞쪽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의 편의상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커넥터용 터미널(100)들은 도 10의 Y축 방향으로 커넥터 하우징(200) 내에 구비되는 개별 그루브들 속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입되게 배치됨으로써 커넥터용 터미널(100)들 간에 연면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래치부(230)는 회로기판에 미리 구비되는 체결홀(22)에 걸림 결합되게 마련되어 있어 커넥터(10)가 회로기판(20)에서 역방향(-X축 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래치부(230)는 일단에 상기 체결홀(22)에 걸림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타단을 누르면 일단이 올라가는 형태의 레버가 채용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2개로 분할된 상판부(2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홀딩리브(240)는 종단면이 대략 'ㄷ' 형태로서 커넥터 하우징(200)의 양쪽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딩리브(240)는 회로기판(20)을 상하로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00)은 상기 상판부(210)와 하판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회로기판(20)을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하게 마련되는 클램프 파트(2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파트(212)는 상판부(210)의 앞쪽 부분을 위에서 아래로 덮는 판상형의 커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판부(210)의 앞쪽 부분은 클램프 파트(212)와 상기 클램프 파트(212)가 끼워 맞춤되게 절취된 클램프 조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클램프 파트(212)는 상판부(210), 즉 클램프 조립부와 끼워 맞춤되는 부분에 톱날 패턴(213)을 갖는다. 상기 톱날 패턴(213)은 경사가 일 방향으로 난 톱날 패턴(213)이다. 이러한 톱날 패턴(213)을 갖는 클램프 파트(212)는, 상기 클램프 조립부에 -Z축 방향으로 끼워 맞추어 넣기는 쉽지만, 역방향인 +Z축 방향으로 들어올리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커넥터 하우징(200)의 상판부(210)와 하판부(220)의 간격보다 두께가 얇은 회로기판(20)을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에 삽입하여도, 도 12와 같이 클램프 파트(212)를 -Z축 방향으로 눌러주어 커넥터 하우징(200)의 상판부(210)와 하판부(220)를 회로기판(20)의 상면과 하면에 접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공차 등의 이유로 두께에 변화가 있는 회로기판(20)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 하, 좌, 우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의 놓여져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커넥터 20 : 회로기판
100 : 커넥터용 터미널 110 : 케이블 고정부
120 : 상부 접압부 121 : 지지 파트
121a: 결합홈 122 : 탄성변위 파트
124 : 블럭 125 : 스프링
130 : 하부 접압부 200 : 커넥터 하우징
210 : 상판부 212 : 클램프 파트
213 : 톱날 패턴 220 : 하판부
230 : 래치부 240 : 홀딩리브

Claims (9)

  1. 신호 전송 케이블이 연결되는 케이블 고정부;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접압부; 및
    상기 상부 접압부와 소정의 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블 고정부에서 상기 상부 접압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하부 접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접압부와 상기 하부 접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갭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 접압부는,
    상기 하부 접압부와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지지 파트; 상기 지지 파트와 탄성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 파트에 대해 상하 유동하게 마련된 탄성변위 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파트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에 대향하는 일면이 소정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 배치되는 블럭과, 상기 결합홈과 상기 블럭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복수 개로서, 상기 블럭의 상면과 하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파트는 상기 탄성변위 파트보다 상기 하부 접압부와의 초기 갭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압부의 탄성변위 파트와 상기 하부 접압부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터미널.
  8. 회로기판에 직접 장착되는 커넥터로서,
    제1항에 따른 커넥터용 터미널; 및
    상기 커넥터용 터미널을 수용하고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설치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자리가 소정 깊이까지 끼워지도록 앞쪽 부분이 상호 간 이격되고, 뒷쪽 부분은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상판부와 하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로기판을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하게 마련된 클램프 파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파트는 상기 상판부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 맞춤되되, 끼워 맞춤 부분이 일 방향으로 경사진 톱날 패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커넥터.
KR1020180072158A 2018-06-22 2018-06-22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31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58A KR102312421B1 (ko) 2018-06-22 2018-06-22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CN201980007263.6A CN111557065B (zh) 2018-06-22 2019-06-12 用于连接器的端子和包括该端子的连接器
JP2020522969A JP7088456B2 (ja) 2018-06-22 2019-06-12 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及びそれを含むコネクタ
US16/757,853 US11114787B2 (en) 2018-06-22 2019-06-12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PCT/KR2019/007045 WO2019245221A1 (ko) 2018-06-22 2019-06-12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PL19823669.7T PL3703195T3 (pl) 2018-06-22 2019-06-12 Zacisk dla złącza i zawierające go złącze
EP19823669.7A EP3703195B1 (en) 2018-06-22 2019-06-12 Terminal for connector and connecto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158A KR102312421B1 (ko) 2018-06-22 2018-06-22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84A KR20200000184A (ko) 2020-01-02
KR102312421B1 true KR102312421B1 (ko) 2021-10-12

Family

ID=6898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158A KR102312421B1 (ko) 2018-06-22 2018-06-22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14787B2 (ko)
EP (1) EP3703195B1 (ko)
JP (1) JP7088456B2 (ko)
KR (1) KR102312421B1 (ko)
CN (1) CN111557065B (ko)
PL (1) PL3703195T3 (ko)
WO (1) WO201924522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03A (ja) 2000-09-08 2002-03-29 Fujikura Ltd 可撓性プリント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2156116A (ja) 2011-01-28 2012-08-16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JP2013239345A (ja) * 2012-05-15 2013-11-28 Daiichi Seiko Co Ltd 基板用端子及び基板用コネクタ
US20140357097A1 (en) 2013-05-31 2014-12-04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4818C (ko) * 1960-05-26
US3641473A (en) * 1970-05-28 1972-02-08 Thomas J Attaway Vehicle-grounding clamp
JPS5498986A (en) * 1978-01-20 1979-08-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US4400049A (en) * 1981-08-12 1983-08-23 Ncr Corporation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circuit boards
US4700997A (en) * 1986-11-14 1987-10-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FR2615660B1 (fr) 1987-05-19 1989-08-04 Crouzet Sa Connecteur pour cartes a memoire
US4797125A (en) * 1987-05-27 1989-01-10 Tronomed, Inc. Electrode connector for substrate electrodes
CA1306025C (en) 1988-02-15 1992-08-04 John C. Collier Terminating insulated conductors
JPH081572Y2 (ja) 1991-03-28 1996-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JPH05211082A (ja) * 1992-01-30 1993-08-20 Aisin Seiki Co Ltd プリント配線板とコネクタの接続構造
US5454739A (en) * 1992-12-15 1995-10-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ode connector
JPH07312265A (ja) * 1994-05-18 1995-11-28 Yazaki Corp コネクタ取付構造
WO1999043257A1 (fr) * 1998-02-24 1999-09-02 Sekisui Plastics Co., Ltd Pince d'electrode feuille
JP3364681B2 (ja) * 1999-07-27 2003-01-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6312294B1 (en) * 1999-12-27 2001-11-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US6468089B1 (en) 2001-04-20 2002-10-22 Molex Incorporated Solder-less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having a common ground contact f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KR100486687B1 (ko) 2002-06-29 2005-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집게형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테스트장치
JP2005062076A (ja) 2003-08-19 2005-03-10 Eight Kogyo:Kk 電気的接続装置
KR200372568Y1 (ko) 2004-09-17 2005-01-14 서승환 Fpc 검사용 지그
JP2007214087A (ja) * 2006-02-13 2007-08-23 Fujikura Ltd コネクタ
US7462053B2 (en) 2006-07-03 2008-12-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and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JP4876985B2 (ja) 2007-03-09 2012-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305734A (ja) 2007-06-11 2008-12-18 Jst Mfg Co Ltd 回路基板接続用のコネクタ
KR20100025409A (ko) 2008-08-27 2010-03-09 (주)뉴텍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용 터미널
KR20100110023A (ko) 2009-04-02 2010-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넥터
CN201690078U (zh) 2010-01-06 2010-12-29 苏州正信电子科技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5152221B2 (ja) 2010-02-19 2013-02-2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81242B2 (ja) * 2011-02-10 2014-08-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183473B1 (ko) 2011-06-30 2012-09-17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플렉시블 회로기판 테스트용 툴
DE102011113839B4 (de) * 2011-09-21 2013-05-0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Anschlussklemme für einen Feuchtigkeitssensor und Anordnung eines Feuchtigkeitssensors und einer Anschlussklemme zur Überwachung eines Gefäßzugangs sowi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Gefäßzugangs
CN202373754U (zh) 2011-11-23 2012-08-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065725B2 (ja) 2013-04-16 2017-01-25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タクト装置及びコンタクト方法
JP6114672B2 (ja) * 2013-09-27 2017-04-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50080040A (ko) 2013-12-19 2015-07-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JP5794363B1 (ja) 2014-09-02 2015-10-14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
CN204966788U (zh) 2015-07-24 2016-01-13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2017216103A (ja) 2016-05-31 2017-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882269B1 (ko) * 2016-10-11 2018-07-2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기판 접속용 커넥터
DE102016221351A1 (de) * 2016-10-28 2018-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kontaktbuchse mit Ausleger
EP3549204A4 (en) * 2016-11-29 2020-06-24 Molex, LLC LOW PROFILE EDGE CONNECTOR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936999B1 (ko) 2016-12-21 2019-01-09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숨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03A (ja) 2000-09-08 2002-03-29 Fujikura Ltd 可撓性プリント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2156116A (ja) 2011-01-28 2012-08-16 Toyota Boshoku Corp コネクタ
JP2013239345A (ja) * 2012-05-15 2013-11-28 Daiichi Seiko Co Ltd 基板用端子及び基板用コネクタ
US20140357097A1 (en) 2013-05-31 2014-12-04 Dai-Ichi Seiko Co., Ltd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3195A4 (en) 2021-04-14
JP7088456B2 (ja) 2022-06-21
CN111557065A (zh) 2020-08-18
CN111557065B (zh) 2021-12-10
EP3703195B1 (en) 2023-01-04
US20210083412A1 (en) 2021-03-18
EP3703195A1 (en) 2020-09-02
KR20200000184A (ko) 2020-01-02
WO2019245221A1 (ko) 2019-12-26
US11114787B2 (en) 2021-09-07
JP2021501441A (ja) 2021-01-14
PL3703195T3 (pl) 202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0079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metal fittings and guide portions
KR101660093B1 (ko) 전기 커넥터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34901B1 (ko) 커넥터
JP5908225B2 (ja) 電気コネクタ
US8475000B2 (en) Connector, and LE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connector
JP2015099694A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10679040B (zh) 电连接器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EP3142193B1 (en) Contact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US20110111648A1 (en) Board connector
KR102345677B1 (ko)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JP3113116U (ja) Fpc用電気コネクタ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JP2020181804A (ja) コネクタ
US5395249A (en) Solder-free backplane connector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231242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JP5457888B2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カード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623958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7010681A (ja) コネクタ
KR20160053370A (ko) 케이블 접속용 전기커넥터
US2024002202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0884802A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