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040A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040A
KR20150080040A KR1020130159604A KR20130159604A KR20150080040A KR 20150080040 A KR20150080040 A KR 20150080040A KR 1020130159604 A KR1020130159604 A KR 1020130159604A KR 20130159604 A KR20130159604 A KR 20130159604A KR 20150080040 A KR20150080040 A KR 2015008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rib
clamping
connection
rib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권혁철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040A/ko
Publication of KR2015008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대물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대물이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되는 바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대물에 접촉되는 제1클램핑 리브; 및 상기 제1클램핑 리브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클램핑 리브에 접촉되는 제2클램핑 리브;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가전 제품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 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전선과 전선 또는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미널(1)은, 바디부(10), 접속부(20), 및 바렐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 접속부(20) 및 바렐부(30)는, 1개의 금속 판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접속부(20) 및 바렐부(30)는 상기 바디부(10)의 양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접속부(20)는 상기 터미널(1)에 접속되는 대상물, 예를 들면, 접속핀이 결합되는 곳이다. 상기 접속부(20)는, 한쌍의 클램핑 리브(2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리브(21)는,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 양측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클램핑 리브(21)는, 상기 접속부(20)에 접속되는 상대물의 고정을 위한 클램핑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핑 리브(21)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대략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선단이 좌우로 탄성변형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램핑 리브(21)는,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 양측에서 밴딩 및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부(10)의 일단부 상면과 상기 클램핑 리브(2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의하여 상대물이 삽입되는 접속 공간(22)이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바렐부(30)는, 상기 터미널(1)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바렐부(30)는, 제1 및 제2바렐(3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바렐(31)(33)은 상기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제1 및 제2바렐(31)(33)은, 각각 상기 바디부(1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터미널(1)에서는, 상기 접속 공간(22)에 위치된 상대물이 상기 클램핑 리브(21)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 상기 터미널(1)과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리브(21)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 리브(21)에 의한 상대물의 접속이 해제될 우려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과 상대물을 보다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대물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대물이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되는 바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디부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대물에 접촉되는 제1클램핑 리브; 및 상기 제1클램핑 리브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클램핑 리브에 접촉되는 제2클램핑 리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 일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 상방에 그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클램핑 리브가 구비되는 제1부재;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부재의 상방에 그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가 구비되는 제2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는 상기 바디부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의 상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접속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1개의 금속 판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대물의 접속을 위하여 탄성변형하는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를 포함하는 접속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되는 바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 일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1수직 연장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부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1클램핑 리브가 구비되는 제1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부재; 및 상기 바디부의 일단부 타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2수직 연장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평 연장부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가 구비되는 제2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대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클램핑 리브와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속 돌기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에 의하여 상대물이 보다 견고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상대물이 터미널에 접속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100)은, 바디부(110), 접속부(120), 및 바렐부(1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120)가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는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부(120) 및 바렐부(1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접속부(120) 및 바렐부(130)가 상기 바디부(110)의 양단부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에 접속 돌기(111)가 구비된다. 상기 접속 돌기(111)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접속부(120)는, 접속핀(미도시)과 같은 상대물이 접속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120)가 제1 및 제2부재(120A)(12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20A)는, 제1수직 연장부(121A) 및 제1수평 연장부(12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일측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에 직교되도록 상방으로 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 연장부(122A)는,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의 상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와 상하로 중첩되도록 대략 상기 바디부(110)에 평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밴딩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수평 연장부(122A)는, 적어도 상기 접속 돌기(111)를 포함하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부와 상하로 중첩된다. 그러나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 및 제1수평 연장부(122A)가 반드시 상기 바디부(110)에 대하여 직교 또는 평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제1부재(120A)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어 2회 밴딩됨으로써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120B)는, 제2수직 연장부(121B) 및 제2수평 연장부(1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직 연장부(121B)는,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타측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에 직교되도록 상방으로 밴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 연장부(122B)는, 상기 제2수직 연장부(121B)의 상단에서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와 상하로 중첩되도록 대략 상기 바디부(110)에 평행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밴딩된다. 이때 상기 제2수평 연장부(122B)는, 상기 바디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제1수평 연장부(122A)의 상방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바디부(110), 제1수평 연장부(122A) 및 제2수평 연장부(122B)의 순서로 위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2수직 연장부(121B) 및 제2수평 연장부(122B)도,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 및 제1수평 연장부(122A)와 유사하게, 반드시 상기 바디부(110)에 대하여 직교 또는 평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10), 제1부재(120A), 및 제2부재(120B)에 의하여 상대물이 접속되는 접속 공간(122)이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 공간(122)은, 상기 바디부(110), 제1수직 연장부(121A), 제2수직 연장부(121B), 및 제2수평 연장부(122B)에 의하여 정의된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120A)(120B)에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는, 상기 제1부재(120A), 실질적으로 상기 제1수평 연장부(122A)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 돌기(111)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는, 상기 제2부재(120B), 실질적으로 상기 제2수평 연장부(122B)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바디부(110),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 돌기(111) 및 제1클램핑 리브(123A)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는 상기 접속 돌기(111)와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와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는, 상기 접속 돌기(111)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가 탄성 변형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는, 상기 접속 공간(122)에 삽입되는 상대물에 의하여 상하로 탄성 변형하여 상대물을 견고하게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는, 상기 접속 공간(122)에 삽입되는 상대물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가 상대물에 상하 방향으로의 클램핑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가 상대물 및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에 상하 방향으로의 클램핑력을 제공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렐부(130)는, 상기 터미널(100)에 접속되는 케이블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렐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제1 및 제2바렐(131)(1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바렐(131)(133)은, 각각 상기 바디부(10)의 타단부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속부(120), 실질적으로 상기 접속 공간(122)에 접속되는 상대물이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의 탄성력, 즉 클램핑에 의하여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가 상대물과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가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에 직접적으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대물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의 클램핑력이 2중으로 상대물을 접속하게 되므로, 상대물이 상기 터미널(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터미널 110: 바디부
111: 접속 돌기 120: 접속부
120A: 제1부재 121A: 제1수직 연장부
122A: 제1수평 연장부 123A: 제1클램핑 리브
120B: 제2부재 121B: 제2수직 연장부
122B: 제2수평 연장부 123B: 제2클램핑 리브
130: 바렐부

Claims (7)

  1. 상대물과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에 있어서: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대물이 접속되는 접속부(120); 및
    상기 바디부(110)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되는 바렐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바디부(110)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접속부(120)에 접속되는 상대물에 접촉되는 제1클램핑 리브(123A); 및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를 향하여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에 접촉되는 제2클램핑 리브(123B); 를 포함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일측단에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상방에 그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가 구비되는 제1부재(120A); 및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타측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부재(120A)의 상방에 그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가 구비되는 제2부재(120B); 를 포함하는 터미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는 상기 바디부(11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의 상방에 위치되는 터미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에는, 상기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접속 돌기(111)가 구비되는 터미널.
  5. 1개의 금속 판재를 절개 및 밴딩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바디부(110);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에 위치되고, 상대물의 접속을 위하여 탄성변형하는 제1 및 제2클램핑 리브(123A)(123B)를 포함하는 접속부(120); 및
    상기 바디부(110)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와이어가 접속되는 바렐부(130);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일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연장부(121A), 및 상기 제1수직 연장부(121A)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일부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가 구비되는 제1수평 연장부(122A)를 포함하는 제1부재(120A); 및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부 타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연장부(121B), 및 상기 제2수직 연장부(121B)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평 연장부(122A)와 상하로 중첩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가 구비되는 제2수평 연장부(122B)를 포함하는 제2부재(120B); 를 포함하는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는, 상기 바디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접속부(120)에 접속되는 상대물과 접촉하고,
    상기 제2클램핑 리브(123B)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와 접촉되는 터미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에는, 상기 제1클램핑 리브(123A)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접속부(120)에 접속되는 상대물과 접촉하는 접속 돌기(111)가 구비되는 터미널.
KR1020130159604A 2013-12-19 2013-12-19 터미널 KR2015008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04A KR20150080040A (ko) 2013-12-19 2013-12-19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04A KR20150080040A (ko) 2013-12-19 2013-12-19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040A true KR20150080040A (ko) 2015-07-09

Family

ID=5379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604A KR20150080040A (ko) 2013-12-19 2013-12-19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221A1 (ko) * 2018-06-22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221A1 (ko) * 2018-06-22 2019-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US11114787B2 (en) 2018-06-22 2021-09-07 Lg Chem, Ltd.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9300064B2 (en) Connector
TWI524598B (zh) 電連接器
KR101529682B1 (ko) 조인트 커넥터
US20120315804A1 (en)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KR101739067B1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20080104978A (ko) 접속 신뢰성이 개선된 커넥터
CN107026337B (zh)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JP2007128876A (ja) 電気コネクタ
JP2014510371A (ja) 環状の弾性的接点形成手段を有する高電流挿入型コネクタ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JP6574680B2 (ja) 端子
KR20190108098A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TW201608767A (zh) 插座電連接器及其組合
KR20150080040A (ko) 터미널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2010102831A (ja) 雄端子及びコネクタ
KR102191892B1 (ko)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JP2018139229A5 (ko)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TWM496279U (zh) 插座連接器
KR20100010332A (ko) 커넥터
KR200428337Y1 (ko)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KR20160127502A (ko) 탭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