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682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682B1
KR101529682B1 KR1020147003995A KR20147003995A KR101529682B1 KR 101529682 B1 KR101529682 B1 KR 101529682B1 KR 1020147003995 A KR1020147003995 A KR 1020147003995A KR 20147003995 A KR20147003995 A KR 20147003995A KR 101529682 B1 KR101529682 B1 KR 101529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joint
connection terminal
pai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035A (ko
Inventor
츠요시 하마이
타쿠미 나카기시
토미히코 나가요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Abstract

조인트 커넥터(1)는 단자 수용실(3)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2)과,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단자 수용실에 배치된 조인트 단자(11)와, 단자 수용실에 삽입에 의해 수용되고, 조인트 단자에 탄성 접촉자(2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되는 접속 단자(20)와,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접속 단자와 조인트 단자를 걸고, 접속 단자를 고정하는 걸음 수단(4)을 구비한다. 걸음 수단은 조인트 단자에 설치된 걸음 홈(12, 13)과, 접속 단자의 탄성 접촉자를 지지하는 벽부(23c)에 설치된 걸음부(25, 26)를 갖는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각 전선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 단자 사이를 도통시키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조인트 커넥터(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단자 수용실(52)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51)과, 이 커넥터 하우징(51)에 고정되고, 2개의 단자 수용실(52)에 각각 배치된 2개의 조인트 단자(61)와, 2개의 단자 수용실(52)에 삽입에 의해 각각 수용되고, 2개의 조인트 단자(61)에 탄성 접촉자(71)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각각 접촉하는 2개의 접속 단자(70)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조인트 단자(61)는 일체의 연결부(62)를 통하여 도통되고 있다. 각 조인트 단자(61)에는 걸음 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70)는 탄성 접촉자(71)를 갖는다. 각 접속 단자(70)는 이 탄성 접촉자(71)의 탄성 변형에 의해 조인트 단자(61)에 접촉한다. 탄성 접촉자(71)에는 잘라 세움으로써 걸음부(71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조인트 단자(61)의 걸음 구멍(61a)과 접속 단자(70)의 걸음부(71a)에 의해 걸음 수단(5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접속 단자(70)를 단자 수용실(52)에 삽입하면, 탄성 접촉자(71)가 조인트 단자(61)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접속 단자(70)를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면, 탄성 접촉자(71)의 걸음부(71a)의 위치와 조인트 단자(61)의 걸음 구멍(61a)의 위치가 일치하여, 탄성 접촉자(71)의 탄성 복귀 방향으로의 변이에 의해 걸음부(71a)가 걸음 구멍(61a)에 걸어진다. 이것으로, 접속 단자(7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렇게 하여 2개의 접속 단자(70)를 각 단자 수용실(52)에 장착하면, 장착된 2개의 접속 단자(70) 사이가 도통 상태로 된다.
접속 단자(70)는, 걸음 수단(53)에 의해 조인트 단자(61)에 걸어지기 때문에, 가령 접속 단자(70)에 인장력 등이 작용해도 접속 단자(70)가 단자 수용실(52)의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 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일본 특개 평11-329569호 공보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50)에서는, 접속 단자(70)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그 인장력이 탄성 접촉자(71)의 걸음부(71a)와 조인트 단자(61)의 걸음 구멍(61a)의 내면에 작용한다. 탄성 접촉자(71)는 인장력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있다. 특히, 탄성 접촉자(71)는 탄성 변형되기 쉬운 부위이며, 상기 인장력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탄성 접촉자(71)가 변형되면, 접촉 신뢰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접속 단자를 조인트 단자에 걸어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태양에 의하면, 단자 수용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수용실에 배치된 조인트 단자와, 탄성 접촉자를 갖고, 또한, 상기 단자 수용실에 삽입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조인트 단자에 상기 탄성 접촉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되는 접속 단자와, 상기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조인트 단자를 걸고, 상기 접속 단자를 고정하는 걸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음 수단은 상기 조인트 단자에 설치된 걸음 홈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탄성 접촉자를 지지하는 상기 접속 단자의 벽부에 설치된 걸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1 태양에 의하면, 상기 걸음 수단은 한 쌍의 상기 걸음 홈과 한 쌍의 상기 걸음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걸음 홈은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시프트한 위치의 상기 조인트 단자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음부는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시프트한 위치의 한 쌍의 상기 벽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1 태양에 의하면, 접속 단자로의 인장력은 탄성 접촉자를 지지하는 벽부의 걸음부와 조인트 단자의 걸음 홈의 내면에 작용하고, 탄성 접촉자에 직접 작용하지 않아, 탄성 접촉자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속 단자를 조인트 단자에 걸어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속 단자의 장착시의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반대측에서 본,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접속 단자의 장착시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접속 단자의 장착시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b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용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단자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7c는 좌우의 걸음 홈을 동일 위치에 설치한 경우의 조인트 단자의 주요부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접속 단자의 장착 도중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접속 단자의 장착 도중의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도 9b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3∼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인트 커넥터(1)는 복수의 단자 수용실(3)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2)과, 이 커넥터 하우징(2)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된 조인트용 버스바(10)와, 복수의 단자 수용실(3)에 삽입에 의해 수용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2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수용실(3)은 수평방향으로 4개 배열되고, 이것이 상하 2단 배치되어 있다.
조인트용 버스바(10)는, 도 7a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용 버스바(10)는 8개의 조인트 단자(11)와, 이것들을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부(14)와, 연결 플레이트부(14)에 연장 설치된 부착 플레이트부(15)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인트 단자(11)가 각 단자 수용실(3)에 돌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조인트 단자(11)는 탭 단자 형상이다. 각 조인트 단자(11)의 선단부에는, 도 7b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걸음 홈(12, 13)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걸음 홈(12, 13)은 접속 단자(20)의 삽입방향(S)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의 양단면으로부터 절삭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걸음 홈(12, 13)은,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위치의 양단면으로부터 절삭된 경우에는, 조인트 단자(11)의 최소폭(전단 면적)(W2)이 작아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프트한 위치의 양단면으로부터 절삭됨으로써 조인트 단자(11)의 최소폭(전단면적)(W1)이 커져 있다.
각 걸음 홈(12, 13)은 경사 내면(12a, 13a)과 수직 내면(12b, 13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내면(12a, 13a)에 의해 하기하는 걸음부(25, 26)의 걸음을 가능하게 하여, 수직 내면(12b, 13b)에 의해 걸음부(25, 26)가 인장력에 의해 걸음 해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부착 플레이트부(15)는 커넥터 하우징(2)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부착 플레이트부(15)는 커넥터 하우징(2)의 바닥면과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부착 플레이트부(15)에는, 볼트 삽입통과 구멍(15a)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접속 단자(20)에 접속된 전선(W)을 어스 전위로 하는 경우에는, 부착 플레이트부(15)를 어스 경로가 되는 부위에 고정한다.
각 접속 단자(20)는,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전선(W)의 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20)는 도전성 금속재의 소정 형상의 플레이트를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20)는 전선 접속부(21)와 상대 단자 접촉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전선 접속부(21)는 2개소에 크림핑부(21a, 21b)를 갖는다. 그 중 1개소의 크림핑부(21b)에는, 고무 마개(30)가 부설되어 있다. 고무 마개(30) 내에 전선(W)을 통과시키고, 전선 접속부(21)의 각 크림핑부(21a, 21b)를 크림핑 하여 전선(W)을 고정한다. 전선(W)의 크림핑 고정으로 동시에 고무 마개(30)도 크림핑 고정된다.
상대 단자 접촉부(22)는 하면 벽부(23a), 상면 벽부(23b) 및 좌우 한 쌍의 측면 벽부(23c)에 의해 형성된 사각형 상자부(23)와, 하면 벽부(23a)와 상면 벽부(23b)로부터 사각형 상자부(23) 내측을 향하여 각각 연장 설치된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를 갖는다.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는 사각형 상자부(23)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서서히 간격을 좁히고, 후측에서는 서로 거의 접촉하고 있다(도 9a, 9b참조).
단자 수용실(3)에 접속 단자(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가 조인트 단자(11)를 탄성 복귀력에 의해 협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단자(20)는 조인트 단자(11)에 안정하게 접촉한다.
좌우 한 쌍의 측면 벽부(23c)에는 사각형 상자부(23)의 내측으로의 잘라서 세움에 의해 한 쌍의 걸음부(25, 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걸음부(25, 26)는 한 쌍의 걸음 홈(12, 13)과 마찬가지로 접속 단자(20)의 삽입방향(S)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3)에 접속 단자(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걸음부(25, 26)가 조인트 단자(11)의 한 쌍의 걸음 홈(12, 13)에 걸어져 있다. 즉,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걸음부(25, 26)와 조인트 단자(11)의 한 쌍의 걸음 홈(12, 13)에 의해 걸음 수단(4)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9a,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20)를 단자 수용실(3)에 삽입한다. 그러면,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 사이에 조인트 단자(11)가 밀고 들어가고,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가 조인트 단자(11)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접속 단자(20)를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면,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가 서로의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조인트 단자(11)의 삽입이 허용된다. 접속 단자(20)의 삽입이 진행되면, 다음에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걸음부(25, 26)가 조인트 단자(11)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접속 단자(20)를 더욱 안쪽으로 삽입하면, 한 쌍의 걸음부(25, 26)가 탄성 변형되어, 접속 단자(20)의 삽입이 허용된다. 그리고, 접속 단자(20)를 삽입 완료 위치까지 삽입하면, 도 5a,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걸음부(25, 26)의 위치와 조인트 단자(11)의 한 쌍의 걸음 홈(12, 13)의 위치가 일치하고, 한 쌍의 걸음부(25, 26)의 탄성 복귀 변형에 의해 한 쌍의 걸음 홈(12, 13)에 걸어진다. 삽입 완료 위치에서는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탄성 접촉자(24)에 조인트 단자(11)가 끼워 넣어져, 적정한 접촉상태로 된다. 삽입 완료 위치에서는, 고무 마개(30)의 삽입 전방부가 단자 수용실(3) 내에 압입된 상태로 된다. 이것으로 접속 단자(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삽입 작업에서 소정수의 접속 단자(20)를 각 단자 수용실(3)에 장착하면, 장착된 모든 접속 단자(20) 사이가 조인트용 버스바(10)를 통하여 도통 상태로 된다. 예를 들면, 조인트용 버스바(10)가 어스 경로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접속 단자(20)의 각 전선(W)이 어스 된다. 그리고, 각 접속 단자(20)는 걸음 수단(4)에 의해 조인트 단자(11)에 걸어지기 때문에, 가령 접속 단자(20)에 인장력 등이 작용해도 접속 단자(20)가 단자 수용실(3)의 뽑아내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 불량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게다가, 걸음 수단(4)은 조인트 단자(11)에 설치된 걸음 홈(12, 13)과, 접속 단자(20)의 탄성 접촉자(24)를 지지하는 측면 벽부(23c)에 설치된 걸음부(25, 2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 단자(20)로의 인장력은 탄성 접촉자(24)를 지지하는 측면 벽부(23c)의 걸음부(25, 26)와 조인트 단자(11)의 걸음 홈(12, 13)의 내면에 작용하고, 탄성 접촉자(24)에 직접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접촉자(24)가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다. 이상으로부터, 접속 단자(20)를 조인트 단자(11)에 걸어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접촉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걸음 홈(12, 13)은, 조인트 단자(11)에서, 또한, 접속 단자(20)의 삽입방향(S)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의 양단부에 1쌍 설치되고, 걸음부(25, 26)는 접속 단자(20)의 한 쌍의 측면 벽부(23c)에서, 또한, 접속 단자(20)의 삽입방향(S)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에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즉, 접속 단자(20)에 대한 인장력이 좌우 2개소의 걸음부(25, 26)에 분할되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인장력에 의해 접속 단자(20)가 경사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단자(11)의 좌우의 시프트된 위치에 한 쌍의 걸음 홈(12, 13)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좌우의 동일 위치에 설치한 경우에 비해, 조인트 단자(11)의 최소의 폭 치수(전단 면적)가 커지기 때문에, 인장력에 의한 최대 전단 응력을 작게 억제할 수 있어, 단자 유지력이 향상된다.
전선(W)의 외주에 장착된 고무 마개(30)가 단자 수용실(3)에 압입되기 때문에, 단자 수용실(3)로의 수분 등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접속 단자(20A)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20A)는 고무 마개가 없는 것이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의 동일 구성 개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변형예의 접속 단자(20A)를 사용해도, 방수 성능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1 조인트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3 단자 수용실
4 걸음 수단
11 조인트 단자
12, 13 걸음 홈
20 접속 단자
24 탄성 접촉자
25, 26 걸음부

Claims (2)

  1. 단자 수용실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 수용실에 배치된 조인트 단자와,
    탄성 접촉자를 갖고, 또한, 상기 단자 수용실에 삽입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조인트 단자에 상기 탄성 접촉자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촉하는 접속 단자와,
    상기 단자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접속 단자와 상기 조인트 단자를 걸어, 상기 접속 단자를 고정하는 걸음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음 수단은 상기 조인트 단자에 설치된 걸음 홈과, 상기 접속 단자의 상기 탄성 접촉자를 지지하는 상기 접속 단자의 벽부에 설치된 걸음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걸음 홈은 상기 조인트 단자의 기단측의 경사내면과 상기 조인트 단자의 선단측의 수직내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 수단은 한 쌍의 상기 걸음 홈과 한 쌍의 상기 걸음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걸음 홈은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의 상기 조인트 단자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걸음부는 상기 접속 단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시프트된 위치의 한 쌍의 상기 벽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147003995A 2011-07-19 2012-07-18 조인트 커넥터 KR1015296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7793 2011-07-19
JP2011157793A JP5778509B2 (ja) 2011-07-19 2011-07-19 ジョイントコネクタ
PCT/JP2012/068218 WO2013012010A1 (ja) 2011-07-19 2012-07-18 ジョイント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035A KR20140036035A (ko) 2014-03-24
KR101529682B1 true KR101529682B1 (ko) 2015-06-17

Family

ID=4755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995A KR101529682B1 (ko) 2011-07-19 2012-07-18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34869A1 (ko)
JP (1) JP5778509B2 (ko)
KR (1) KR101529682B1 (ko)
CN (1) CN103688425A (ko)
DE (1) DE112012003036T5 (ko)
WO (1) WO2013012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740B2 (ja) * 2011-06-23 2015-07-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60066182A (ko)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JP6206392B2 (ja) * 2014-12-25 2017-10-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365392B2 (ja) * 2015-04-28 2018-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734656B1 (ko) 2015-06-26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755856B1 (ko) 2015-10-06 2017-07-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GB2555636A (en) * 2016-11-07 2018-05-09 Martin Haddon Timothy Initiator unit
US10477717B2 (en) * 2017-09-29 2019-11-12 Yazaki North America, Inc. Self-aligning busbar assembly
US10923837B2 (en) * 2019-06-04 2021-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rminal block with sealing terminal lug
KR102204447B1 (ko) * 2019-10-25 2021-01-19 주식회사 경신 버스바 타입의 멀티접속모듈
CN113140937B (zh) * 2020-01-19 2024-04-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接地汇流条、接地端子组件、电连接器和连接器组件
DE102020204456A1 (de) * 2020-04-07 2021-10-0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JP7271498B2 (ja) * 2020-12-16 2023-05-11 矢崎総業株式会社 機器用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419A (ja) * 1993-12-09 1995-06-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1110534A (ja) * 1999-10-12 2001-04-2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の中継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1667A (en) * 1990-06-27 1993-04-13 Yazaki Corporation Branch circuit structure
JP2563707Y2 (ja) * 1990-08-07 1998-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8976U (ja) * 1993-07-16 1995-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788519A (en) * 1995-05-02 1998-08-04 Yazaki Corporation Waterproof grounding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452159B2 (ja) * 1995-05-24 2003-09-29 菱星電装株式会社 防水型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769650A (en) * 1995-06-19 1998-06-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ver therefor
JPH09102345A (ja) * 1995-10-05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の中継構造
EP1045483B1 (en) * 1999-04-13 2007-08-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mbination of connector and assembly jig
JP2002343512A (ja) *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雄端子相互接続用コネクタ
US20060292928A1 (en) * 2005-06-23 2006-12-28 Morello John R Electrical connector
JP2011065931A (ja) * 2009-09-18 2011-03-31 Yazaki Corp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1419A (ja) * 1993-12-09 1995-06-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1110534A (ja) * 1999-10-12 2001-04-2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の中継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3036T5 (de) 2014-04-10
CN103688425A (zh) 2014-03-26
JP2013025937A (ja) 2013-02-04
KR20140036035A (ko) 2014-03-24
WO2013012010A1 (ja) 2013-01-24
US20140134869A1 (en) 2014-05-15
JP5778509B2 (ja)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682B1 (ko) 조인트 커넥터
KR101989442B1 (ko) 전기 단자 요소
JP4372138B2 (ja) 電気接点
KR10094073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949628B2 (ja) コネクタ
JP6771989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66943B2 (ja) バスバーの組付構造
KR100851709B1 (ko) 전기 커넥터
US8821197B2 (en) Fuse terminal
US20120119041A1 (en) Bracket structure in electrical junction box
US10734745B2 (en) Connector
US8668532B2 (en) Connector for low profile fuse
JP201303127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JP7339018B2 (ja) 圧接端子、端子付き電線、及び、コネクタ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37044A (ko) 전기 커넥터용 로우 프로파일 쇼팅 바아
KR2004009856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20150027232A (ko) 조인트 단자
JP693409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360310B2 (ja)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JP7404879B2 (ja) コネクタ
US2023029114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