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442B1 - 전기 단자 요소 - Google Patents
전기 단자 요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9442B1 KR101989442B1 KR1020130084181A KR20130084181A KR101989442B1 KR 101989442 B1 KR101989442 B1 KR 101989442B1 KR 1020130084181 A KR1020130084181 A KR 1020130084181A KR 20130084181 A KR20130084181 A KR 20130084181A KR 101989442 B1 KR101989442 B1 KR 1019894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arm
- electrical connection
- spring
- connection elem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자 섹션과 하나 이상의 소켓 섹션을 갖는 베이스 요소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켓 섹션은, 상기 소켓 섹션 내로 도입될 수 있는 플러그-인 접점과 접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접점 아암을 가지고, 삽입된 플러그-인 접점의 접속이 일어나는 접속 영역에서 상기 접점 아암이 2개 이상의 서브 접점으로 나뉘는, 상기 베이스 요소를 포함하는 전기 단자 요소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기 단자 요소는 상기 소켓 섹션의 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를 둘러싸는 추가적인 스프링으로서,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상기 접속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접점 아암과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을 가져서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복원력에 대해 상기 접점 아암이 편향될 수 있는,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단자 섹션과 하나 이상의 소켓 섹션을 갖는 베이스 요소를 구비한 전기 단자 요소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켓 섹션은, 상기 소켓 섹션 내로 도입될 수 있는 플러그-인 접점과 접속하도록 하나 이상의 접점 아암을 갖는 전기 단자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형의 전기 단자 요소는 플러그-인 접점과 단자 요소 사이의 해제가능한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자동차에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플러그-인 접속은 극도의 온도뿐만 아니라 강한 진동을 견디는 동시에, 고전류를 전도할 수 있어야 한다. 단자 요소의 수명 동안에는, 단자 요소와 플러그-인 접점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전기 연결이 또한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인 접점의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접속을 허용하는 전기 단자 요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전기 단자 요소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는 하나 이상의 단자 섹션과 하나 이상의 소켓 섹션을 갖는 베이스 요소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단자 섹션은 단자 요소를 전기 케이블에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한편, 상기 소켓 섹션은 접점 아암에 의해 플러그-인 접점을 수용하여 접속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플러그-인 접점과 전기 케이블 사이의 전기 연결을 이룬다.
삽입된 플러그-인 접점의 접속이 일어나는 접속 영역에서, 상기 접점 아암이 2개 이상의 서브 접점으로 나뉜다. 이로써, 플러그-인 접점과 접점 아암 사이의 접속 신뢰성이 증대되는데, 그 이유는 통상적으로 단일의 서브 접점이 접속을 위해 충분할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정도의 불필요한 접속(certain extent redundant contacting)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상기 소켓 섹션의 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 요소는 추가적인 스프링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접속 표면의 영역에서 적어도 접점 아암과 연동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을 가져서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복원력에 대해 접점 아암이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접점 아암을 위한 스프링 지지를 어느 정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예컨대 특수강, 바람직하게 스프링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이 추가적인 스프링의 일부를 형성함으로써, 소재에 대한 최소한의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소성 변형 없이 광범위하게 탄성 운동가능하다.
접점 아암과 플러그-인 접점 사이의 전기 접점의 품질 및 신뢰성은 만약의 경우에 추가로 존재하는 접점 아암의 고유 탄성 및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에 의해 크게 증대된다. 특히, 접점의 법선력(normal force), 즉 플러그-인 접점이 도입될 때의 접촉력에 대한 완화 위험이 추가적인 스프링에 의해 크게 최소화된다. 따라서, 높은 진동 응력(vibrational stresses) 및/또는 높은 온도 변동(temperature fluctuations)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쳐 신뢰성 있는 접촉이 보장된다.
또한,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지지 효과로 인해, 상기 접점 아암은 보다 값싼 소재, 예컨대 낮은 강도를 갖는 가공된 구리 합금(wrought copper alloy)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결과 단자 요소가 전체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플러그-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내측방향으로 만곡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소켓 섹션의 전단부의 영역에 위치된 삽입 개구를 구속하는데 기여하여, 단자 요소의 후방 영역에 위치된 단자 섹션의 반대편에 놓인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서브 접점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하는 2개 이상의 지지 텅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에서, 플러그-인 접점이 삽입되지 않으면, 상기 지지 텅은 서브 접점과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변형적으로 서브 접점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브 접점이 플러그-인 접점의 도입 동안에 외측방향으로 강제되면, 그 결과 상기 지지 텅 및 그에 따른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이 편향되어 플러그-인 접점에 대해 서브 접점을 강제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서브 접점과 지지 텅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 상기 서브 접점이 지지 텅과 접촉할 시점까지 서브 접점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에만 지지 텅에 의해 복원력이 발생된다. 각각의 서브 접점이 그 자신의 지지 텅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서브 접점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지지 텅에 의해 독립적으로 지지가 제공된다. 이러한 불필요한 구성에 의해 접점의 신뢰성이 더욱 증대된다. 또한, 예컨대 비대칭으로 형성된 플러그-인 접점은 단자 요소와 접촉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플러그-인 접점을 지지하는 서브 접점 및 지지 텅이 상이한 정도로 편향될 수 있으므로, 비대칭 플러그-인 접점의 형상으로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텅은 플러그-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텅은, 다시 말하면,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데, 그 이유는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이 전방으로 연장되므로, 삽입 개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텅은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지지 섹션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 섹션은 지지 텅보다 큰 표면적을 가지므로,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섹션은, 상기 지지 섹션(40)에 대해 유리하게 테이퍼지는 웹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지지 섹션의 부분적인 기계적 분리를 성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섹션은 소정 한계 내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텅으로부터 지지 섹션에 작용하는 힘은 다른 지지 섹션으로 부분적으로만 전달된다. 그 결과, 상기 서브 접점은 각각에 관련된 지지 텅 및 지지 섹션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부분적으로 이동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요소의 접촉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 섹션은 연결 섹션에 의해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에 각각의 경우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섹션은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추가적인 아암의 외측 벽으로부터 돌출하여 내측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요소는 2개의 상호 대향된 접점 아암을 갖고,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접점 아암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하는 2개의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을 갖는다. 따라서, 반대로 비대칭적으로 대향된 접점 아암들(nversely symmetrically opposed contact arms) 사이에 플러그-인 접점이 도입되어, 접점 아암에 의해 양측부 상에서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점 아암은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총 4개의 서브 접점으로 2개의 측부 상에서의 이중 접촉으로 인해, 우선, 접점 아암과 플러그-인 접점 사이의 접점 표면적이 2배가 되고, 둘째로 접점의 신뢰성이 더욱 증대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플러그-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의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러그(inwardly bent guide lug)를 가지며, 하나 이상의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러그는 그 내부 상에서 접점 아암 중 하나의 단부 영역과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러그는 3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우선, 플러그-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를 형성하여, 예컨대 부적합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과도하게 큰 플러그-인 접점이 삽입 개구 내에 도입될 수 없다. 둘째로, 그 내부 상의 접점 아암을 수용하는 것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러그는 접점 아암 뒤에서 플러그-인 접점의 삽입에 대한 보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인 접점은 추가적인 스프링의 내부 벽과 접점 아암 사이에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셋째로, 상기 플러그-인 접점은 가이드 러그에 의해 삽입 개구 내로 안내되어, 플러그-인 접점을 삽입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 경우에, 상기 플러그-인 접점의 핀의 사이즈는 변경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핀 치수는 0.8 mm x 4.8 mm 내지 0.8 mm x 6.3 mm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러그는 접점 아암을 외측방향으로 가압(바이어스)한다. 따라서, 상기 접점 아암은 소켓 섹션 내로 플러그-인 접점을 도입하는 감소된 대항력을 플러그-인 접점에 제공하므로, 플러그-인 접점 및 단자 요소가 함께 합쳐질 때에 인가되는 삽입력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러그는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외측 벽으로부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이 돌출한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 러그는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은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돌출하는, 즉 상기 가이드 러그가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의 연결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에 있는 리세스 내에 특히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요 래치 스프링(outwardly extending primary latch spring)을 포함한다. 상기 주요 래치 스프링은 하우징 내의 단자 요소를 보유 및 래치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조와 관련하여, 하우징 내의 단자 요소를 보유 및 래치함으로써 몇 가지의 단자 요소의 신속한 구성이 가능해진다. 주요 래치 스프링은 추가적인 스프링의 외측 벽에 있는 리세스 내에 보호됨으로써, 주요 래치 스프링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요소와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별개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베이스 요소에 폼-로킹 관계(form-locking relationship)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조 동안에, 베이스 요소와 추가적인 스프링은 별개로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와 추가적인 스프링의 조립은 구성요소들의 폼-로킹 관계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 요소는 전기적으로 특히 전도성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특히 높은 기계적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요소 및/또는 상기 추가적인 스프링은 스탬핑 및 만곡된 부품으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는 제조하기 용이하고 또한 값싸게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의 도움으로 예로서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의 사시도,
도 2는 소켓 섹션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를 통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의 소켓 섹션을 통한 수평방향 단면도로서, 접점 아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의 소켓 섹션을 통한 또 다른 수평방향 단면도로서,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소켓 섹션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를 통한 수직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의 소켓 섹션을 통한 수평방향 단면도로서, 접점 아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단자 요소의 소켓 섹션을 통한 또 다른 수평방향 단면도로서,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소켓 섹션(12)과 단자 섹션(14)을 갖는 전기 단자 요소(10)를 도시한다. 단자 섹션(14)의 영역에서 크림핑(crimping)함으로써, 단자 요소(10)는 전기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단자 요소(10)는 스탬핑되고 만곡된 부품의 형태로 가공된 구리 합금으로 형성된 베이스 요소(15)를 원피스로 갖는다. 소켓 영역(12)의 영역에서, 베이스 요소(15)는 2개의 접점 아암(28)을 갖는다.
소켓 섹션(12)의 영역에서, 베이스 요소(15)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추가적인 스프링(16)(이하, "봉지형 스프링(16)"으로도 부름)에 의해 둘러싸인다. 추가적인 스프링(16)은 스탬핑 및 벤딩 공정에 의해 스프링으로부터 원피스로 제조된다.
단자 요소(10)를 하우징(미도시) 내에 고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스프링(16)은 대향된 각각의 외측 벽(17) 상에 주요 래치 스프링(18)을 가지며, 상기 1차 래치 스프링(18)은 추가적인 스프링(16)의 외측 벽(17)에 있는 리세스(2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한다. 각 경우에 추가적인 스프링(16)의 전방 영역에 있는 1차 래치 스프링(18)은 가이드 러그(24)와 합쳐지며, 상기 러그는 추가적인 스프링(16) 내로 라운드형으로 만곡되며 소켓 섹션(12) 내로 도입되는 플러그-인 접점용 삽입 개구(26)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러그(24)는, 그 내부에서 접점 아암(28)의 단부 영역과 연동하고, 접점 아암(28)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즉 접점 아암(28)을 약간 이격되게 스프레드함으로써, 접점 아암(28)의 접점 표면(30)들 사이에 플러그-인 접점을 도입하는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는 접점 갭(31)을 형성한다.
접점 표면(30)으로부터 시작하면, 접점 아암(28)이 추가적인 스프링(16)의 대향된 내부 표면에 대해 인접할 때까지 접점 아암(28)이 후방으로 분기한다. 이러한 영역에서, 접점 아암(28)은, 각각의 측부 상에, 접점 아암(2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스페이서(33)를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라운드되게 만곡됨으로써 하나의 접점 아암(28)의 스페이서(33)가 다른 접점 아암(28)의 스페이서(33) 상에 안착된다. 각 쌍의 스페이서(33)들 사이에는 로킹 개구(20)를 형성한다. 추가적인 스프링(16)의 측면 러그(46)는 로킹 개구(20) 내에서 결합하므로, 추가적인 스프링(16)을 베이스 요소(15)에 폼-로킹 방식(form-locking manner)으로 고정한다.
접점 아암(28)은 전방 영역 내에서 2개의 서브 접점(32)으로 각각 나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접점 아암(28)의 서브 접점(32)은 갭(36)(도 3 참조)에 의해 서로 분리됨으로써, 서로 독립적으로 운동하기 위한 서브 접점(32)의 소정 수용력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서브 접점(32)은, 삽입 개구(26) 쪽으로 면하는 영역에서, 삽입된 플러그-인 접점과 접촉하는 접점 표면(30)을 갖는다. 따라서, 플러그-인 접점은 총 4개의 접점 표면(30)에서 4개의 서브 접점(32)에 연결된다.
접점 표면(30)의 영역에서, 각각의 접점 아암(28)은 추가적인 스프링(16)의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34)(이하,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으로도 부름)과 연동한다. 각각의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34)은, 삽입 개구(26)의 영역에서 추가적인 스프링(16)의 외측 벽(27)의 에지 영역으로부터 돌출하여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2개의 연결 섹션(38)을 갖는다. 연결 섹션(38)은 내측방향으로 테이퍼져서 플레이트 형상인 지지 섹션(40)과 합쳐진다. 지지 섹션(40)은 허리 모양의 웹(42)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서로를 향하는 운동을 위해 지지 섹션(40)의 소정 수용력을 발생시킨다.
서브 접점(32)에 대해 인접하고 서브 접점(32)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 텅(44)이 전방 방향으로 지지 섹션(40)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서브 접점(32) 및 그에 따른 접점 아암(28)의 스프링 강도를 전체적으로 증대시킨다(도 2 및 4 참조). 구체적으로, 각각의 서브 접점(32)은 접점 표면(30)의 영역에서 각각의 서브 접점(32)과 연동하거나 또는 더욱 정확하게 접점 갭(31)의 방향으로 서브 접점(32)을 강제하는 지지 텅(44)에 할당된다.
플러그-인 접점이 삽입 개구(26) 내로 도입되면, 서브 접점(32)을 외측방향으로 강제한다. 이에 따라, 서브 접점(32)은 지지 텅(44) 및 그에 따른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34)을 차례로 편향시킴으로써, 서브 접점(32) 및 지지 텅(44)에 의해 플러그-인 접점 상에 복원력이 발휘되고, 단자 요소(10) 내의 플러그-인 접점의 신뢰성 있는 접촉을 보장한다.
10: 전기 단자 요소
12: 소켓 섹션
14: 단자 섹션
15: 베이스 요소
16: 추가적인 스프링
17: 외측 벽
18: 주요 래치 스프링
20: 로킹 개구
22: 리세스
24: 가이드 러그
26: 삽입 개구
28: 접점 아암
30: 접점 표면
31: 접점 갭
32: 서브 접점
33: 스페이서
34: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
36: 갭
38: 연결 섹션
40: 지지 섹션
42: 웹
44: 지지 텅
46: 측면 러그
12: 소켓 섹션
14: 단자 섹션
15: 베이스 요소
16: 추가적인 스프링
17: 외측 벽
18: 주요 래치 스프링
20: 로킹 개구
22: 리세스
24: 가이드 러그
26: 삽입 개구
28: 접점 아암
30: 접점 표면
31: 접점 갭
32: 서브 접점
33: 스페이서
34: 추가적인 스프링 아암
36: 갭
38: 연결 섹션
40: 지지 섹션
42: 웹
44: 지지 텅
46: 측면 러그
Claims (14)
- 전기 접속 요소(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섹션(14)과 적어도 하나의 소켓 섹션(12)을 갖는 베이스 바디(15)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켓 섹션(12)은, 상기 소켓 섹션(12) 내로 삽입가능한 플러그 접점과 접속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접점 아암(28)을 가지고, 상기 접점 아암(28)은 삽입된 플러그 접점의 접속이 일어나는 접속 영역에서 적어도 2개의 서브 접점(32)으로 나뉘는, 상기 베이스 바디(15); 및
상기 소켓 섹션(12)의 영역 내에서 상기 베이스 바디(15)를 둘러싸는 봉지형 스프링(encapsulating spring)(16)으로서, 상기 플러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26)의 영역에서 상기 접점 아암(28)의 단부 영역과 내측으로 중첩하고 상기 접점 아암(28)을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러그(24)를 포함하는, 상기 봉지형 스프링(16)
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적어도 상기 접속 영역에서 상기 접점 아암(28)과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을 포함하여, 상기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의 복원력에 대해 편향가능하고,
상기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은 상기 플러그 접점을 위한 상기 삽입 개구(26)의 영역 내에서 내측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은 상기 서브 접점(32)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텅(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텅(44)은 상기 플러그 접점을 위한 삽입 개구(26)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텅(44)은 상기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의 지지 섹션(40)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40)은 웹(42)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웹(42)의 맞은 편에서 상기 지지 섹션(40)이 테이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섹션(40) 각각은 연결 섹션(38)에 의해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의 외측 벽(17)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5)는 2개의 상호 대향된 접점 아암(28)을 갖고,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상기 접점 아암(28) 중 하나와 각각 연동하는 2개의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러그(24)는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의 외측 벽(17)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외측 벽(17)으로부터 봉지형 스프링 아암(34)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의 외측 벽(17)의 리세스(22)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요 래치 스프링(outwardly extending primary latch spring)(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5)와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별개의 구성요소를 형성하며,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상기 베이스 바디(15)에 능동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15)는 프레스 만곡부(press-bent-part)로서 형성되고 또는 상기 봉지형 스프링(16)은 프레스 만곡부로서 형성되고, 직육면체(cuboid)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 요소.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2177673.6 | 2012-07-24 | ||
EP12177673.6A EP2690716B1 (de) | 2012-07-24 | 2012-07-24 |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3939A KR20140013939A (ko) | 2014-02-05 |
KR101989442B1 true KR101989442B1 (ko) | 2019-09-30 |
Family
ID=4654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181A KR101989442B1 (ko) | 2012-07-24 | 2013-07-17 | 전기 단자 요소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011186B2 (ko) |
EP (1) | EP2690716B1 (ko) |
KR (1) | KR101989442B1 (ko) |
CN (1) | CN10357980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90716B1 (de) * | 2012-07-24 | 2018-05-02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
JP2014160545A (ja) * | 2013-02-19 | 2014-09-04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雌端子金具 |
JP2014170709A (ja) * | 2013-03-05 | 2014-09-18 | Sumitomo Wiring Syst Ltd | 雌端子金具 |
CN105284010B (zh) | 2013-06-07 | 2019-06-21 |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 线缆连接器 |
CN105934855B (zh) * | 2013-12-03 | 2020-01-17 | 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
JP6357334B2 (ja) * | 2014-03-28 | 2018-07-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圧着端子と電線の接続構造 |
US10122108B2 (en) * | 2014-04-24 | 2018-11-06 | Molex, Llc | Terminal fitting |
JP5831611B1 (ja) * | 2014-09-19 | 2015-12-09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
DE102015104377B4 (de) * | 2015-03-24 | 2020-04-02 | Lisa Dräxlmaier GmbH | Kontaktte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Kontaktteils |
KR102003652B1 (ko) * | 2015-07-23 | 2019-07-24 | 몰렉스 엘엘씨 | 단자 피팅 |
EP3182525A1 (en) * | 2015-12-18 | 2017-06-21 | Delphi Technologies, Inc. | Contact terminal assembled from at least two parts |
JP6341225B2 (ja) * | 2016-04-27 | 2018-06-13 | 第一精工株式会社 | 端子及びコネクタ |
DE102016110231A1 (de) * | 2016-06-02 | 2017-12-07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Kontaktelement und Kontaktsystem |
US10027037B2 (en) * | 2016-07-06 | 2018-07-17 | Te Connectivity Corporation | Terminal with reduced normal force |
US9905953B1 (en) | 2016-09-30 | 2018-02-27 | Slobodan Pavlovic |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
JP6543284B2 (ja) * | 2017-02-10 | 2019-07-10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雌型コンタクト、及び、コンタクトの嵌合構造 |
DE112018001099T5 (de) * | 2017-03-01 | 2019-12-19 | Molex, Llc | Elektrischer Anschluss und Verbinderanordnung |
DE102018106646A1 (de) * | 2017-03-22 | 2018-09-27 | Hirschmann Automotive Gmbh |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
ES2789598T3 (es) * | 2017-04-19 | 2020-10-26 | Aptiv Tech Ltd | Terminal de contacto montado a partir de al menos dos partes |
JP6556786B2 (ja) * | 2017-05-17 | 2019-08-07 | 矢崎総業株式会社 | 端子 |
IT201700075884A1 (it) * | 2017-07-06 | 2019-01-06 |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 Connettore elettrico |
US10193247B1 (en) * | 2017-11-14 | 2019-01-29 | Lear Corporation | Electrical contact spring with extensions |
DE102018103096A1 (de) | 2018-02-12 | 2019-08-14 | Lisa Dräxlmaier GmbH | Kontaktvorrichtung |
WO2019164536A1 (en) | 2018-02-26 | 2019-08-29 | Inventive Consulting Llc |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power applications |
DE102019104754A1 (de) * | 2018-03-15 | 2019-09-19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Außenleiteranordnung |
MX2020009647A (es) | 2018-03-16 | 2021-02-26 | Fci Usa Llc | Conectores electricos de alta densidad. |
CN112930624B (zh) | 2018-06-07 | 2023-10-03 |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 具有内部弹簧部件的电连接器系统 |
DE112020000459T5 (de) | 2019-01-21 | 2021-11-25 |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 Stromverteilungsanordnung mit schraubenlosem sammelschienensystem |
CN112350092B (zh) * | 2019-08-08 | 2023-07-18 |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 连接器及端子 |
US11721942B2 (en) | 2019-09-09 | 2023-08-08 |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
CN114787815A (zh) | 2019-09-09 | 2022-07-22 |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 具有可读和可记录标记的连接器记录系统 |
US11069999B2 (en) * | 2019-12-20 | 2021-07-20 | Lear Corporation |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with connection retainer |
US10992073B1 (en) * | 2019-12-20 | 2021-04-27 | Lear Corporation |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with increased contact area |
TWI744854B (zh) * | 2020-04-07 | 2021-11-01 | 大陸商東莞立訊技術有限公司 | 電連接器 |
CN116075986A (zh) | 2020-07-29 | 2023-05-05 |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 带有柱形端子主体的电连接器系统 |
EP4080687A1 (de) | 2021-04-21 | 2022-10-26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Steckverbinderanordnung und steckverbindung |
CN113258372B (zh) | 2021-05-26 | 2022-12-02 | 宣城立讯精密工业有限公司 | 电性连接套件及电性连接器 |
CN113258352B (zh) * | 2021-05-26 | 2022-11-29 | 宣城立讯精密工业有限公司 | 电性连接套件及电连接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44105A1 (fr) | 2002-08-27 | 2004-03-05 | Framatome Connectors Int | Dispositif de connexion comportant un contact entoure d'un ressort |
US20060252294A1 (en) | 2005-05-03 | 2006-11-09 | Eduard Cvasa |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
US20110076901A1 (en) | 2009-06-17 | 2011-03-31 | Lear Corporation | Power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225885D0 (en) * | 1992-12-11 | 1993-02-03 | Amp Gmbh | Vibration proof electrical receptacle |
US5938485A (en) * | 1996-09-30 | 1999-08-17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terminal |
JP3473899B2 (ja) * | 1999-05-11 | 2003-12-08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雌端子 |
DE19944280C1 (de) * | 1999-09-15 | 2001-02-01 | Framatome Connectors Int | Elektrischer Buchsenkontakt mit Führungssteg |
DE10054661C2 (de) * | 2000-11-03 | 2003-01-30 | Phoenix Contact Gmbh & Co |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einrichtung |
JP4181307B2 (ja) * | 2001-01-19 | 2008-11-12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カードコネクタ |
DE10143057A1 (de) * | 2001-09-03 | 2003-03-20 | Delphi Tech Inc | Elektrisches Anschlußelement |
DE10302138A1 (de) * | 2002-02-19 | 2003-08-21 | Tyco Electronics Amp Gmbh | Steckverbinder |
GB0304442D0 (en) * | 2003-02-27 | 2003-04-02 | Delphi Tech Inc | Female electrical terminal |
JP4951306B2 (ja) * | 2006-10-13 | 2012-06-13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
EP2690716B1 (de) * | 2012-07-24 | 2018-05-02 | Delphi Technologies, Inc. |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
-
2012
- 2012-07-24 EP EP12177673.6A patent/EP2690716B1/de active Active
-
2013
- 2013-06-25 US US13/926,463 patent/US9011186B2/en active Active
- 2013-07-17 KR KR1020130084181A patent/KR1019894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23 CN CN201310310379.1A patent/CN10357980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44105A1 (fr) | 2002-08-27 | 2004-03-05 | Framatome Connectors Int | Dispositif de connexion comportant un contact entoure d'un ressort |
US20060252294A1 (en) | 2005-05-03 | 2006-11-09 | Eduard Cvasa |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
US20110076901A1 (en) | 2009-06-17 | 2011-03-31 | Lear Corporation | Power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690716B1 (de) | 2018-05-02 |
US20140030934A1 (en) | 2014-01-30 |
EP2690716A1 (de) | 2014-01-29 |
CN103579806A (zh) | 2014-02-12 |
KR20140013939A (ko) | 2014-02-05 |
US9011186B2 (en) | 2015-04-21 |
CN103579806B (zh) | 201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9442B1 (ko) | 전기 단자 요소 | |
JP5974087B2 (ja) |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 |
KR101762556B1 (ko) | 커넥터 | |
KR101529682B1 (ko) | 조인트 커넥터 | |
CN110226266B (zh) | 屏蔽连接器及阳侧屏蔽端子 | |
US10290966B2 (en) | Joint connector | |
KR100966225B1 (ko) |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 |
US9318829B2 (en) |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tact thereof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gaging arm | |
US9799980B2 (en) |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 |
US20100144195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lip member | |
US20210044055A1 (en) | Connector and terminal | |
CN106257762A (zh) | 连接器 | |
US11158972B2 (en) | Socket connector assembly | |
US7556530B2 (en) | Connector in which defecti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lurality of shell components is suppressed | |
JP2022186850A (ja) | 可動コネクタ | |
JP2013258067A (ja) | コネクタ | |
CN110858686A (zh) | 接触组件 | |
KR101714402B1 (ko) |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 |
JP2013214438A (ja) | 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 |
JP7306885B2 (ja) | コネクタ | |
KR101925219B1 (ko) | 전기 단자 | |
US20210159617A1 (en) | Contact and Connector | |
JP2016046181A (ja) | コネクタ | |
JP2024127021A (ja) | 構造体 | |
JP2022019613A (ja) | 導電端子および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