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55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556B1
KR101762556B1 KR1020167028243A KR20167028243A KR101762556B1 KR 101762556 B1 KR101762556 B1 KR 101762556B1 KR 1020167028243 A KR1020167028243 A KR 1020167028243A KR 20167028243 A KR20167028243 A KR 20167028243A KR 101762556 B1 KR101762556 B1 KR 10176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tact
terminal
accommodating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2450A (ko
Inventor
노리타카 니시야마
마사오 나가노
타카히토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토요타 찌도샤 카부시끼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토요타 찌도샤 카부시끼카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1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10)는 단자(12), 버스 바아(11),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전선(19)은 단자(12)에 접속된다. 상기 버스 바아(11)는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하우징(14)은 단자 수용 챔버(16) 및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를 갖는다. 상기 단자(12)는 단자 수용 챔버(16)에 수용된다. 버스 바아(11)는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에 수용된다. 상기 버스 바아는 접촉 부재(24), 결합 부분(25), 및 지지 부분(26)을 갖는다. 상기 지지 부분(26)은 결합 부분의 양단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접촉 부재가 접점 부분과 접촉하는 위치 및 상기 지지 부분에 제공되는 돌기(29a, 29b)가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로킹되는 위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 하네스 등의 전선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는 커넥터(예를 들어, 조인트 커넥터)는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는 암형(female) 타입 단자, 버스 바아,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은 암형 타입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버스 바아는 단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절연 수지로 제조된 하우징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하우징은 단자 수용 챔버 및 버스 바아 수용 챔버를 갖도록 형성된다. 단자는 단자 수용 챔버에 수용된다. 상기 버스 바아는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수용된다. 버스 바아는 일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 부재가 결합 부분에 의해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 부재는, 단자의 한쪽 단부 부분에 형성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접점 부분이 접촉 부재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다(특허 문헌 1 참조).
도 5는 버스 바아가 이러한 타입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버스 바아 및 단자가 접속되는 상태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 바아(51)는 접촉 부재(52), 및 이들 접촉 부재(52)를 결합하는 결합 부분(53)을 갖도록 형성된다. 돌기(54)는 상기 결합 부분의 폭방향 반대측 상에 제공된다. 버스 바아(51)는 하우징(55)의 버스 바아 수용 챔버(56) 내로 다음과 같이 삽입된다. 즉, 상기 버스 바아(51)는 버스 바아 수용 챔버(56)의 내벽에 대해 돌기(54)를 가압할 동안 전방으로 이동한다.
한편으로는, 단자(58)는 하우징(55)에 각각 형성된 단자 수용 챔버(57) 내로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58)는 단자 수용 챔버(57)의 설정 위치에서 랜스(lance)에 위치되며, 상기 버스 바아(51)의 접촉 부재(52)는 단자(58)의 전기 접속 부분(60) 내로 삽입된다. 각각의 전기 접속 부분(60)은 그 전방 단부측 상에 직사각형 원통체처럼 형성된다. 상기 전기 접속 부분(60) 내로 삽입된 접촉 부재(52)는, 전기 접속 부분(60)의 내측 상으로 절첩된 접점 부분인 탄성 아암(61)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단자(58) 및 버스 바아(51)가 접속되고, 상기 단자(58)는 버스 바아(5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A-2012-174432
이 타입의 커넥터에 사용된 하우징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온도가 변했을 때,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한 용적 변화, 즉 치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의 길이방향(축방향) 치수는 하우징의 임의의 다른 치수에 비해 비교적 크게 변한다.
예를 들어, 도 5 및 6에 도시된 커넥터에 있어서, 버스 바아(51)의 각각의 돌기(54)의 위치(P1) 및 상기 버스 바아(51)가 단자(58)의 전기 접속 부분(60)의 접점 부분[탄성 아암(61)]과 접촉하는 위치(P2)는, 하우징(55)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비교적 먼 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유발된 용적 변화가 하우징(55)에 발생할 때, 상기 위치(P2)가 위치(P1)에 대해 이동하도록, 상기 위치(P1)와 위치(P2) 사이의 거리의 용적 변화율에 대응하는 치수 변화가 발생한다. 즉, 버스 바아(51)와 단자(58) 사이의 접촉 부분의 변위가 발생한다. 그 결과, 버스 바아(51)와 단자(58)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상기 버스 바아(51) 및 단자(58)의 표면으로부터 도금이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아(51) 또는 단자(58)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또는 접촉 부분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감안하여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용적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단자와 버스 바아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1) 커넥터로서:
전선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단자;
상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버스 바아; 및
다수의 단자 수용 챔버 및 버스 바아 수용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수용 챔버가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단자를 수용 및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가 상기 버스 바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바아는 다수의 접촉 부재, 결합 부분, 및 지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는 다수의 단자에 제공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접점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는 일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 부분은 그 폭방향으로 결합 부분의 양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지지 부분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로킹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가 다수의 단자의 접점 부분과 접촉하는 위치 및 상기 돌기가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로킹되는 위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설정되는, 커넥터.
전술한 구성 (1) 에 따라, 하우징의 용적 변화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자와 버스 바아 사이의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단자와 버스 바아 사이의 접촉 상태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버스 바아는 접촉 부재로부터는 어려운, 지지 부분에 제공되는 돌기를 갖는다. 따라서, 버스 바아의 설계 시 자유도를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원하는 위치에 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전술한 구성 (1) 에 따른 커넥터에서, 다수의 접촉 부재, 결합 부분, 및 지지 부분은 버스 바아의 일 평면에 그리고 동일 평면 상에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 (2)에 따라, 버스 바아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의 용적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단자와 버스 바아 사이의 접촉 부분에서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버스 바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버스 바아가 배경기술 커넥터의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배경기술 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커넥터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된 커넥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의 커넥터가 역전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화살표(X)는 커넥터의 전방/후방 방향(길이방향으로 도시된 축방향)을 표현하고 있으며, 화살표(Y)는 커넥터의 폭 방향을 표현하고, 화살표(Z)는 커넥터의 두께 방향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들 정의는 다른 도면의 도시에도 적절히 적용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버스 바아(11), 전선이 접속되는 다수의(실시예에서는 4개의) 암형 타입 단자(12), 리테이너(13), 및 절연 수지로 제조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상기 버스 바아(11)는 단자(1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금속 전도체이다. 상기 하우징(14)은 버스 바아(11)를 수용하는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 및 단자(12)를 수용하는 다수의(4개의) 단자 수용 챔버(16)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4)은 그 전방 단부 부분, 후방 단부 부분, 및 측면 부분에 개구를 각각 갖는 직사각형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는 전방 단부 부분의 개구로부터 내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단자 수용 챔버(16)는 후방 단부 부분의 개구로부터 내향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 및 단자 수용 챔버(16)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단자 수용 챔버(16)는 하우징(14)의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제공되며, 인접한 단자 수용 챔버(16)가 격벽(17)에 의해 분할된다. 하우징(14)의 측면 부분의 개구는 단자 수용 챔버(16)와 마주하도록 설계되며, 또한 상기 리테이너(13)가 그 내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12)는 금속으로 제조된 판재를 프레싱함으로써 형성된다. 단자(12)는 버스 바아(11)와 접촉하는 전기 접속 부분(18), 상기 전선(19)의 단자의 전도체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 부분(20), 및 상기 전선(19)의 절연 부분을 압착하는 배럴 부분(21)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기 접속 부분(18)은 원통형 본체의 내측 상으로 절첩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아암(22)을 갖는 직사각형 원통체와 같은 형상의 원통형 본체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 아암(22)은 버스 바아(11)의 삽입 경로에서 갈매기 형상(chevron shape)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탄성 아암(22)은 접점 부분으로서 상기 절곡된 탄성 아암(22)의 정점(23)과 인접할 동안 버스 바아(11)에 대해 프레싱될 수 있다. 단자(12)에 형성된 접점 부분은 이런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버스 바아(11)를 이와 탄성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는 한, 임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단자가 단자 수용 챔버(16)의 설정 위치까지 각각 삽입될 때, 단자(12)는 단자 수용 챔버(16)의 내벽으로부터 단자(12)의 삽입 경로로 각각 연장하는 랜스(이하게 설명될 것임)에 로킹된다. 랜스에 로킹된 단자는 상기 단자 수용 챔버(16)의 설정 위치에 위치된다. 단자(12)가 단자 수용 챔버(16)에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단자(12)의 전기 접속 부분(18)의 후방 단부는 하우징(14)의 측면 부분의 개구로부터 조립된 리테이너(13)에 로킹된다. 이 방식으로, 각각의 단자(12)가 랜스와 리테이너(13)에 이중으로 로킹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13)는 커넥터의 구성 부품으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아(11)는 평판형의 금속 판재를 프레싱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버스 바아(11)는 일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실시예에서는 4개의) 접촉 부재(24), 이들 접촉 부재(24)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 부분(25), 및 상기 결합 부분(25)의 폭방향의 반대편 단부 부분으로부터 접촉 부재(24)의 연장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지지 부분(26)을 갖는다. 상기 접촉 부재(24), 결합 부분(25), 및 지지 부분(26)은 버스 바아(11)에서 일 평면에 그리고 동일한 평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 부재(24)는 결합 부분(25)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연장하고 태브(tab)와 같은 형상인 가늘고 긴 부재이다. 상기 접촉 부재(24)는 결합 부분(25)의 폭 방향으로 설정 간격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접촉 부재(24)의 각각의 전방 단부 부분(27)은 그 횡단 면적이 전방 단부면을 형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테이퍼진다. 접촉 부재(24)는, 단자(12)의 접점 부분[실시예에서 탄성 아암(22)의 정점(23)]이 접촉 부재(24)의 접촉 부분(28)과 접촉할 수 있도록, 단자(12)의 전기 접속 부분(18) 내로 각각 삽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 부재(24)의 치수 및 형상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이한 치수 및 형상을 갖는 접촉 부재가 대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 부분(26)은 접촉 부재(24)의 배열 방향의 반대측 상에 제공된다. 각각의 지지 부분(26)은 폭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부재(24) 보다 크며, 접촉 부재(24) 보다 강성도가 더 높다. 2개의 돌기가 상기 지지 부분(26)의 외측면[즉, 상기 접촉 부재(24)의 반대측 상의 측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된다. 각각의 돌기(28a, 29b)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직각 3각형 형상을 가지며, 지지 부분(26)의 연장 방향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29a, 29b)는 돌기(29a, 29b) 사이의 중심이 접촉 부재(24)의 연장 방향으로[하우징(14)의 전방/후방 방향으로] 각각의 접촉 부재(24)의 접촉 부분(28)과 동일한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위치된다. 버스 바아(11)는 지지 부분(26)의 돌기(29a, 29b)를 포함하는 버스 바아(11)의 최대 폭방향 치수(L1)가 상기 버스 수용 챔버(15)의 내측 폭방향 치수 보다 더 크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버스 바아(11)와 단자(12)의 조립 공정 및 조립된 구성이 도 2 및 4를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전체 커넥터(10)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분할된 공간이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에서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제공된다. 버스 바아(11)에 있어서, 접촉 부재(24) 및 지지 부분(26)은 상기 분리된 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버스 바아(11)는, 돌기(29a, 29b)를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의 내벽에 대해 가압할 동안, 정지 위치[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의 깊은 단부면과 버스 바아(11)의 지지 부분(26)의 전방 단부 부분이 서로에 대해 인접한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 경우에,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의 내벽은 돌기(29a, 29b)가 이를 통해 통과할 때 오목하게 변형된다.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의 내벽의 변형은 돌기(29a, 29b)가 통과한 후에 어느 정도 복원된다. 따라서 돌기(29a, 29b)가 상기 내벽에 로킹된다. 따라서 버스 바아(11)는 돌기(29a, 29b)를 통해 하우징(14)에 유지된다. 또한,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의 내벽에 오목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어서, 상기 돌기(29a, 29b)가 상기 오목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전선(19)이 접속되는 단자(12)가 하우징(14)의 단자 수용 챔버(16) 내로 각각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바아(11)의 접촉 부재(24)는 단자 수용 챔버(16)의 정지 위치에서 단자(12)의 전기 접속 부분(18) 내로 각각 삽입되며, 랜스(30) 위로 올라간 전기 접속 부분(18)은 단자 수용 챔버(16)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전기 접속 부분(18)에서 탄성 아암(22)의 정점(23)에 대해 가압되는 버스 바아(11)의 접촉 부재(24)는, 단자(12)에 각각 접속된다. 이 방식으로, 단자(12)는 버스 바아(1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리테이너(13)가 하우징(14)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12)가 하우징(14)의 더욱 확실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2 및 4에 있어서, 버스 바아(11)가 하우징(14)에 고정되는 위치[상기 돌기(29a, 29b)가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에 로킹되는 위치] 및 버스 바아(11)의 접촉 부재(24)[접촉 부분(28)]이 단자(12)의 접점 부분[정점(23)]과 접촉하는 위치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P2)로서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상기 위치(P1) 및 위치(P2)가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돌기(29)가 제공될 때, 상기 위치(P1)는 돌기(29)의 위치를 의미한다. 돌기(29)가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될 때, 위치(P1)는 갈이방향으로 반대편 단부에 위치된 2개의 돌기(29) 사이의 내부 영역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돌기(29a, 29b) 사이의 중심의 위치는 위치(P1)로서 설정된다.
다른 한편으로, 버스 바아(11)의 각각의 접촉 부재(24)와 각각의 단자(12)의 접점 부분[정점(23)]은 한 장소에서 서로 접촉하며, 위치(P2)는 상기 접촉 장소의 위치를 의미한다. 버스 바아(11)의 접촉 부재(24)와 단자(12)의 접점 부분이 하우징(14)의 길이방향의 장소에서 서로 접촉할 때, 위치(P2)는 길이방향으로 반대편 단부에 위치된 2개의 접촉 장소 사이의 내부 영역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 부재(24)의 접촉 부분(28)의 위치는 위치(P2)로서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에 있어서, 버스 바아(11)는 결합 부분(25)으로부터 접촉 부재(24)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부분(26)에 돌기(29a, 29b)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위치(P1) 및 위치(P2)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P1)와 위치(P2) 사이의 거리는 0이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용적 변화에 의해 유발된 위치(P1)와 위치(P2) 사이에서의 상대이동의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아(11)와 단자(12) 사이의 접촉 상태가 안정하게 되도록, 버스 바아(11)와 단자(12) 사이의 변위가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 바아(11)와 단자(12) 사이의 마찰로 인해 도금이 박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또는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의 전기적 신뢰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아(11)는 접촉 부재(24)와 다른 지지 부분(26)에 돌기(29a, 29b)를 갖는다. 따라서 버스 바아(11) 및 단자(12)의 설계 시 자유도가 강화될 수 있도록, 돌기(29a, 29b)는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9a, 29b)가 이렇게 구성된 지지 부분(26)에 제공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돌기(29a, 29b)와 단자(12)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각의 단자(12)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아(11)에 있어서, 4개의 접촉 부재(24), 결합 부재(25), 결합 부분(25), 및 한 쌍의 지지 부분(26)이 일 평면에 그리고 동일한 평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29a, 29b)는 버스 바아(11)의 두께를 변화시키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커넥터(10)의 전기적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재되었더라도, 전술한 실시에는 단지 발명의 예로서 기재되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발명의 요지로부터의 일탈 없이 설계 변화 등이 있더라도, 상기 설계 변경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2개의 돌기(29a, 29b)가 버스 바아(11)의 지지 부분(26)의 각각의 쌍에 제공된 경우가 전술한 실시예에 예로서 기재되었더라도, 대안적으로 하나의 돌기(29) 또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돌기(29)가 각각의 지지 부분(26)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24)의 크기 및 형상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로 동일한 것으로 설정되었더라도, 접촉 부재(24)는 서로 상이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예의 전술한 특징이 이하에 항목 [1] 내지 [3] 에 간결하게 요약되어 열거되어 있다.
[1] 커넥터(10)는
전선(19)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단자(12);
상기 다수의 단자(12)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버스 바아(11); 및
다수의 단자 수용 챔버(16) 및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를 가지며, 상기 단자 수용 챔버가 그 내부에 다수의 단자(12)를 수용 및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가 버스 바아(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바아(11)는 다수의 접촉 부재(24), 결합 부분(25), 및 지지 부분(26)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24)는 다수의 단자(12)에 제공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접점 부분[정점(23)]과 접촉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24)는 일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결합 부분(25)은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24)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 부분(26)은 그 폭방향으로 상기 결합 부분(25)의 양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24)의 연장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지지 부분(26)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에 로킹되도록 구성되는 돌기(29a, 29b)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24)가 다수의 단자(12)의 접점 부분[정점(23)]과 접촉하는 위치(P2) 및 상기 돌기(29a, 29b)가 버스 바아 수용 챔버(15)에 로킹되는 위치(P1)는, 하우징(1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설정된다.
[2] 전술한 항목 [1]에 따른 커넥터(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24), 결합 부분(25), 및 지지 부분(26)은 버스 바아(11)에서 일 평면에 그리고 동일한 평면에 제공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4년 4월 1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허출원 제2014-085425호)에 기초하며,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 인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따르면, 버스 바아와 단자 사이의 접촉 상태를 안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버스 바아와 단자 사이의 변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전기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버스 바아와 단자 사이의 마찰로 인해 도금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커넥터 11: 버스 바아
12: 단자 14: 하우징
15: 버스 바아 수용 챔버 15: 단자 수용 챔버
18: 전기 접속 부분 19: 전선
22: 탄성 아암 23: 정점(접점 부분)
24: 접촉 부재 25: 결합 부분
26: 지지 부분 29a, 29b: 돌기

Claims (2)

  1. 커넥터로서:
    전선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단자;
    상기 다수의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버스 바아; 및
    다수의 단자 수용 챔버 및 버스 바아 수용 챔버를 가지며, 상기 단자 수용 챔버가 그 내부에 상기 다수의 단자를 수용 및 위치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가 상기 버스 바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바아는 다수의 접촉 부재, 결합 부분, 및 지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다수의 단자에 제공된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접점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는 일 방향으로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를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 부분은 그 폭방향으로 결합 부분의 양단부 부분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상기 지지 부분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로킹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가 다수의 단자의 접점 부분과 접촉하는 위치 및 상기 돌기가 버스 바아 수용 챔버에 로킹되는 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설정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촉 부재, 상기 결합 부분, 및 상기 지지 부분은 상기 버스 바아에서 일 평면에 그리고 동일한 평면에 제공되는, 커넥터.

KR1020167028243A 2014-04-17 2015-03-27 커넥터 KR101762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5425A JP6254893B2 (ja) 2014-04-17 2014-04-17 コネクタ
JPJP-P-2014-085425 2014-04-17
PCT/JP2015/059733 WO2015159688A1 (ja) 2014-04-17 2015-03-2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450A KR20160132450A (ko) 2016-11-18
KR101762556B1 true KR101762556B1 (ko) 2017-07-27

Family

ID=5432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243A KR101762556B1 (ko) 2014-04-17 2015-03-27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3675B2 (ko)
JP (1) JP6254893B2 (ko)
KR (1) KR101762556B1 (ko)
CN (1) CN106233547B (ko)
WO (1) WO2015159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4893B2 (ja) * 2014-04-17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06392B2 (ja) * 2014-12-25 2017-10-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137737B2 (ja) * 2015-09-11 2017-05-31 株式会社安川電機 電気機器筐体及び電力変換装置
JP6422908B2 (ja) * 2016-03-15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8126615A1 (de) * 2018-10-25 2020-04-30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Steckverbinder mit einem elektrischen Verbindungselement für mehrere Schirmleiter
JP7089676B2 (ja) * 2019-01-31 2022-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088109B2 (ja) * 2019-03-28 2022-06-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088110B2 (ja) * 2019-03-28 2022-06-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140034B2 (ja) * 2019-04-10 2022-09-2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210033200A (ko) * 2019-09-18 2021-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E102020204456A1 (de) * 2020-04-07 2021-10-0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ungsanordnung
KR20220049945A (ko) * 2020-10-15 2022-04-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20220059799A (ko) 2020-11-03 202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432A (ja) 2011-02-18 2012-09-1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482U (ja) * 1982-04-22 1983-10-26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コネクタ
JPS61194282U (ko) * 1985-05-22 1986-12-03
JPH02101474U (ko) * 1989-01-27 1990-08-13
JP2903918B2 (ja) 1992-12-09 1999-06-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067471B2 (ja) * 1993-06-03 2000-07-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5403204A (en) 1993-03-03 1995-04-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Joint connector
US6746279B1 (en) * 2000-11-07 2004-06-08 Ixos Limited Power distribution system
BR112012023656A2 (pt) * 2010-03-25 2017-10-10 Yazaki Corp conector e método para identificação de padrão de barramento em conector
JP2013101856A (ja) * 2011-11-09 2013-05-23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5159094A (ja) * 2014-02-25 2015-09-03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6254893B2 (ja) * 2014-04-17 2017-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432A (ja) 2011-02-18 2012-09-10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54893B2 (ja) 2017-12-27
US10483675B2 (en) 2019-11-19
WO2015159688A1 (ja) 2015-10-22
US20170040731A1 (en) 2017-02-09
KR20160132450A (ko) 2016-11-18
JP2015207352A (ja) 2015-11-19
CN106233547A (zh) 2016-12-14
CN106233547B (zh)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56B1 (ko) 커넥터
KR101989442B1 (ko) 전기 단자 요소
US7887350B2 (en) Floating connector with a fixture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or
JP5831611B1 (ja)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KR100966225B1 (ko) 접촉 안정부를 갖춘 전기 소켓 단자
JP7154782B2 (ja) 可動コネクタ
US20130143451A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KR102425767B1 (ko)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을 위한 접촉 블레이드, 및 소켓 형태의 커넥터 부분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CN106257762A (zh) 连接器
KR20130067308A (ko) 전방 배치된 접촉 단자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9537256B2 (en) Connector
JP2022186850A (ja) 可動コネクタ
US20160372854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US10720717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JP6431277B2 (ja) コネクタ
CN110858686A (zh) 接触组件
JP2006172732A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190035501A (ko) 전기 커넥터 및 단자
CN111509448B (zh) 接头连接器
CN111509516B (zh) 接头连接器及汇流条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JP200610023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