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656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656B1
KR101734656B1 KR1020150090976A KR20150090976A KR101734656B1 KR 101734656 B1 KR101734656 B1 KR 101734656B1 KR 1020150090976 A KR1020150090976 A KR 1020150090976A KR 20150090976 A KR20150090976 A KR 20150090976A KR 101734656 B1 KR101734656 B1 KR 10173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holder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53A (ko
Inventor
박세훈
사진성
고현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옵토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옵토라인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4656B1/ko
Priority to US14/929,142 priority patent/US9531104B1/en
Priority to CN201510819007.0A priority patent/CN106299828B/zh
Publication of KR2017000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장착통로와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통로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시키는 홀더로 구성되어, 일반 커넥터의 기능과 조인트 커넥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메일커넥터와 조인트버스바와 같은 부품을 감소할 수 있게 하여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작업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PCB 기술을 적용하여 금형이나 부품의 변경 수정 없이 패턴 변경이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 부품수를 축소시키고,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커넥터에는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타입(busbar type)의 터미널이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조인트커넥터라고 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피메일 하우징과 메일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홀더가 추가되고, 와이어를 포함하는 단자와 연결되는 조인트 버스바가 삽입되기 때문에, 부품수가 상당하여 조립 공정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02160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 부품수를 축소시키고,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장착통로와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통로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시키는 홀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단자의 연결부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에는 상기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와이어와 상호 연결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홀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누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 삽입 시 상기 체결돌기를 고정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록킹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체결돌기에 홈 형상의 음각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패턴에 구리, 니켈 및 금을 도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기는 8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각각의 체결돌기에 상기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8개의 체결돌기가 한 세트로 형성되거나, 4개의 체결돌기와 4개의 체결돌기가 각각 한 세트씩 형성되거나, 3개의 체결돌기와 5개의 체결돌기가 각각 한 세트씩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장착통로와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통로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삽입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시키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와이어와 상호 연결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단자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와 상기 체결돌기에 형성된 상기 회로패턴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와 연결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를 분기 또는 통합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장착통로와 상기 장착통로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형성된 홀더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반 커넥터의 기능과 조인트 커넥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메일커넥터와 조인트버스바와 같은 부품을 감소할 수 있게 하여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작업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PCB 기술을 적용하여 금형이나 부품의 변경 수정 없이 패턴 변경이 용이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 전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의 홀더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에서 단자와 홀더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에서 홀더 결합 시 누름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에서 홀더와 회로패턴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에서 홀더와 회로패턴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에서 홀더와 회로패턴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인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통로(101)와 체결홀(102)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장착통로(101)에 삽입되며 와이어(W)에 연결되는 단자(200)와, 하우징(100)의 체결홀(102)에 삽입되며 단자(200)를 하우징(100)에 체결시키는 홀더(11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일반적인 커넥터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면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와이어(W)가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10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장착통로(101)와 연통하는 체결홀(102)이 형성된다.
단자(200)는 하우징(100)의 장착통로(101)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W)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부(21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는 하우징(100)에 단자(20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우징(100)의 체결홀(102)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111)가 형성되어 체결홀(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200)를 가압하여 단자(200)를 하우징(100)에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단자(200)의 연결부(210)에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삽입홀 측면으로는 와이어(W)와 연결되어 회로 연결이 가능하게 하며, 삽입홀 상면으로는 홀더(110)의 체결돌기(111)가 삽입되도록 하여 홀더(1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의 체결돌기(111)에는 단자(200)의 삽입홀에 체결돌기(111)가 삽입될 때 와이어(W)와 상호 연결되도록 PCB(printed circuit board) 구조의 회로패턴(1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회로패턴(112)은 체결돌기(111)에 홈 형상의 음각패턴을 형성하고, 음각패턴에 구리, 니켈 및 금을 도금하여 홀더(110)와 단자(200)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0)에서 체결돌기(111)는 8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체결돌기(111)에 회로패턴(112)이 형성되어 8개의 체결돌기(111)가 한 세트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체결돌기(111)와 4개의 체결돌기(111)가 각각 한 세트씩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체결돌기(111)와 5개의 체결돌기(111)가 한 세트씩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체결홀(102)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누름부(103)가 구비되도록 하여 체결돌기(111)가 체결홀(102)에 삽입될 때 탄성체가 체결돌기(111)를 가압하여 하우징(100)과 홀더(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홀더(110) 양단에는 록킹돌기(113)가 형성되도록 하여 홀더(110)가 체결홀(102)에 삽입될 때 하우징(100)에 홀더(110)를 고정시켜 홀더(11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101)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장착통로(101)와 연통하는 체결홀(102)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장착통로(101)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W)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부(210)가 형성되는 단자(200)와, 하우징(100)의 체결홀(102)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111)가 형성되어 단자(200)를 하우징(100)에 체결시키는 홀더(110)로 이루어져 일반 커넥터의 기능과 조인트 커넥터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메일커넥터와 조인트버스바와 같은 부품을 감소할 수 있게 하여 사이즈, 원가 및 중량을 절감시키고 작업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PCB 기술을 적용하여 금형이나 부품의 변경 수정 없이 패턴 변경이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하우징 101 : 장착통로
102 : 체결홀 110 : 홀더
111 : 체결돌기 112 : 회로패턴
200 : 단자 210 : 연결부

Claims (10)

  1.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장착통로와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통로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시키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단자의 연결부에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에는 상기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와이어와 상호 연결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누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돌기 삽입 시 탄성체인 상기 누름부가 상기 체결돌기를 고정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에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록킹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체결돌기에 홈 형상의 음각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패턴에 구리, 니켈 및 금을 도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8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각각의 체결돌기에 상기 회로패턴이 형성되어 8개의 체결돌기가 한 세트로 형성되거나, 4개의 체결돌기와 4개의 체결돌기가 각각 한 세트씩 형성되거나, 3개의 체결돌기와 5개의 체결돌기가 각각 한 세트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8. 외부에서 내부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착통로가 복수 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장착통로와 연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장착통로에 삽입되며, 복수의 와이어를 통해 외부의 회로와 연결되도록 삽입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에 수직하게 삽입되며, 저면에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체결시키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단자의 삽입홀에 삽입 시 상기 와이어와 상호 연결되도록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누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돌기 삽입 시 탄성체인 상기 누름부가 상기 체결돌기를 고정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단자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의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와 상기 체결돌기에 형성된 상기 회로패턴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10. 회로와 연결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회로를 분기 또는 통합하는 조인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가 삽입되는 장착통로와 상기 장착통로에 삽입된 상기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단자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상기 체결돌기에 형성된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체결홀 내측에는 탄성체로 형성된 누름부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홀에 상기 체결돌기 삽입 시 탄성체인 상기 누름부가 상기 체결돌기를 고정 가압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150090976A 2015-06-26 2015-06-26 조인트 커넥터 KR10173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76A KR101734656B1 (ko) 2015-06-26 2015-06-26 조인트 커넥터
US14/929,142 US9531104B1 (en) 2015-06-26 2015-10-30 Joint connector
CN201510819007.0A CN106299828B (zh) 2015-06-26 2015-11-23 接头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976A KR101734656B1 (ko) 2015-06-26 2015-06-26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53A KR20170001253A (ko) 2017-01-04
KR101734656B1 true KR101734656B1 (ko) 2017-05-11

Family

ID=5758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976A KR101734656B1 (ko) 2015-06-26 2015-06-26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1104B1 (ko)
KR (1) KR101734656B1 (ko)
CN (1) CN10629982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33A (ko) 2020-09-07 202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0504A1 (en) * 2016-02-25 2017-08-31 Hyundai Motor Company Joint connector
KR102601166B1 (ko) * 2016-11-25 2023-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JP6790838B2 (ja) * 2017-01-06 2020-11-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722386B2 (ja) 2017-01-06 2020-07-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7089676B2 (ja) * 2019-01-31 2022-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11489279B2 (en) 2020-06-24 2022-11-01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11742606B2 (en) * 2021-06-18 2023-08-2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CN117438857B (zh) * 2023-11-03 2024-03-29 广东扬志电子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大电流压线接头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584Y2 (ko) * 1988-04-28 1990-12-13
JPH0749750Y2 (ja) * 1990-06-27 1995-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回路構成体
JP2861661B2 (ja) * 1992-08-25 1999-02-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7296877A (ja) * 1994-04-22 1995-11-10 Yazaki Corp コネクタ
JP2951843B2 (ja) 1994-05-31 1999-09-20 株式会社健正堂 非導電性物質上にメッキ導電路を有する物品
JPH08250247A (ja) 1995-03-08 1996-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製造方法
US5769650A (en) * 1995-06-19 1998-06-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ver therefor
US5971801A (en) * 1996-09-11 1999-10-26 Yazaki Corporation Service plug having a lever mechanism for positioning circuit terminals and short-circuiting terminals
JPH11214101A (ja) * 1998-01-20 1999-08-06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該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ジョイント回路成形方法
DE29910867U1 (de) * 1999-06-28 1999-09-30 Stocko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Kabelsteckverbinder mit Kurzschlußüberbrückung
US6261123B1 (en) * 2000-03-20 2001-07-17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manual disconnect
DE102004034396B4 (de) * 2003-07-17 2011-12-2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Verbindungsteil und Verbindungsstecker für einen Kabelbaum
JP4519539B2 (ja) * 2003-07-17 2010-08-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用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6100183A (ja) 2004-09-30 2006-04-13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7883361B2 (en) * 2005-10-27 2011-02-08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Connection member and harness connection body using the connection member
JP2007220590A (ja) 2006-02-20 2007-08-30 Fujikura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4898296B2 (ja) * 2006-05-24 2012-03-1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部材
KR20090073878A (ko)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76509B1 (ko) 2008-04-22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JP5176803B2 (ja) * 2008-09-11 2013-04-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
KR20120002160A (ko) 2010-06-30 2012-01-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JP5778509B2 (ja) 2011-07-19 2015-09-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133A (ko) 2020-09-07 2022-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US11749930B2 (en) 2020-09-07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Joint connecter having an isolation terminal and connec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99828A (zh) 2017-01-04
US9531104B1 (en) 2016-12-27
KR20170001253A (ko) 2017-01-04
CN106299828B (zh) 2019-06-21
US20160380377A1 (en)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656B1 (ko) 조인트 커넥터
JP5885343B2 (ja) 電気コネクタ
US8911258B2 (en) Right angle transition adapter with interchangeable gender components and method of use
US751725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170078621A (ko)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KR20150135372A (ko) 전기 커넥터
KR20160000223U (ko) 체결 전후 확인 마킹부를 구비한 커넥터 어셈블리
TWI396336B (zh) 連接器
CN108174621B (zh) 连接器单元、装入电气部件的连接器以及带连接器的电气部件
US998002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icrophone unit and a microphone unit
JPH0511679B2 (ko)
KR20100035085A (ko) 접속단자 구성체, 커넥터, 및 커넥터의 조립방법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JP4758512B1 (ja) 電気部品の取付構造及びコネクタ用アダプタ
US9437992B2 (en) Busbar
KR102662082B1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 및 그 형성 방법
JP2014165048A (ja) ジョイントバスバー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11428438U (zh) 一种一字型夹板式连接器
JPH0212889A (ja) 回路の接続方法並びに回路基板
CN108336522B (zh) 连接器组件及其制造方法
CN106877047B (zh) 一种连接器
JP5651204B2 (ja) コネクタ
KR20120069002A (ko)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장치
US20080176434A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