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509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509B1
KR100976509B1 KR1020080037434A KR20080037434A KR100976509B1 KR 100976509 B1 KR100976509 B1 KR 100976509B1 KR 1020080037434 A KR1020080037434 A KR 1020080037434A KR 20080037434 A KR20080037434 A KR 20080037434A KR 100976509 B1 KR100976509 B1 KR 100976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joint
terminal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702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50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W)가 연결된 터미널(t)이 삽입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조인트 스페이서(20)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는 상기 하우징(10)의 스페이서삽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단자(25)가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와이어(W)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C)에 결합되어 터미널(t)을 지지해주는 조인트 스페이서(20)에 의해 터미널(t)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커넥터(C)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비용 및 부품수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조인트 커넥터, 스페이서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A 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스페이서가 구비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둘 사이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커넥터에는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 타입(busbar type)의 터미널이 구비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조인트커넥터라고 칭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 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조인트커넥터(5)에는 상대커넥터(1)가 결합된다. 상기 상대커넥터(1)는 일반적인 커넥터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내부에 다수개의 상대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조인트커넥터(5)에는 다수개의 버스바터미널(6)이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터미널(6)은 상기 상대커넥터(1)의 상대터미널과 연결되어 상기 상대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스바터미널(6)은, 다수개의 터미널부(6a~6j)가 서로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부(6a~6j)가 상대터미널과 각각 연결됨으로써, 상대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 5개의 터미널부(6a~6e)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바터미널(6)이 구비되고, 이와는 별도로 다시 총 5개의 터미널부(6f~6j)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바터미널(6)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조인트커넥터(5)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로서, 설계자가 원하는 회로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터미널부(6a~6c)가 연결된다든가 혹은 두 개의 터미널부(6e,6f)가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인트커넥터(5)는 상기 상대커넥터(1)와는 별개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대커넥터(1)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 사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인트커넥터(5)가 구비되어야 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시켜 커넥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커넥터어셈블리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부품수가 증가하며 커넥터어셈블리 전체의 부피 역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대터미널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터미널(6)은 설계사양에 따라 바뀌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4개의 터미널부(6a~6d)가 연결된 버스바터미널(6)을 사용하는 중에, 3 개의 터미널부(6a~6c)가 연결된 버스바터미널(6)이 필요하게 되면 별도의 조인트커넥터(5)를 준비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스페이서가 결합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형상의 스페이서에 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커넥터에 구비된 터미널 사이의 다양한 회로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스페이서삽입구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고정슬릿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슬릿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피복을 파고들어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날이 형성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안착된 와이어를 향하는 상기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연결단자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의 양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삽입구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턱과 걸림턱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는 상기 장착공간에 안착된 터미널의 일측과 인접한 위치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가 삽입되면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가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삽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조인트스페이서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연속된 평면을 이룬다.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상대 조인트커넥터 없이, 커넥터에 결합되어 터미널을 지지해주는 조인트 스페이서에 의해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별도의 조인트커넥터 없이 조인트 스페이서에 의해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커넥터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비용 및 부품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조인트 스페이서에 다수개의 연결단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인트 스페이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연결단자만을 선택적으로 조립하면 되므로 제조비용이 감소하고 조인트 스페이서의 호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조인트 스페이서가 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연결단자가 와이어의 피복을 벗기고 이들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연결단자는 터미널 사이를 연결시킬 필요 없이 와이어 사이를 직접 연결하게 되므로,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와 같은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어 커넥터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스페이서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C)는 하우징(10)과 조인트 스페이서(20)를 포함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에 삽입되는 터미널(t)을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10)에는 터미널(t)이 삽입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t)은 하우징(10)의 장착공간(11')에 삽입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총 7개의 장착공간(11')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터미널(t)에는 와이어(W)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W)는 상기 터미널(t)의 바렐부(도면부호 부여 않음)에 의해 상기 터미널(t)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심선(W')과, 상기 심선(W')을 감싸는 절연성 재질의 피복(W'')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총 8개의 와이어(W)가 상기 8개의 터미널(t)에 각각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총 8개의 와이어(W)에 각기 번호를 부여(W1~W8)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하우징(10)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우징(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는 대략 6면체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착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공간(11')에는 상기 터미널(t)이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장착공간(11')의 개구된 일측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에는 스페이서삽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인트 스페이서(20)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는 상기 장착공간(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공간(11')의 일부와 교차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의 내면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인트 스페이서(20)의 걸이후크(24)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의 양 내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걸림턱(14)에는 후술할 조인트 스페이서(20)의 걸이후크(24)가 걸어져, 상기 하우징(10)과 조인트 스페이서(20) 사이가 체결된다. 물론, 상기 걸림턱(14)이 조인트 스페이서(20)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후크(24)가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는 상기 장착공간(11')에 안착된 터미널(t)의 일측과 인접한 위치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를 통해 조인트 스페이서(20)가 삽입되면 조인트 스페이서(20)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t)의 일측을 지지하여 터미널(t)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공간(11')에는 랜스(17)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17)는 상기 터미널(t)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조인트 스페이서(20)가 결합된다.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는 상기 터미널(t)의 일측을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터미널(t)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터미널(t)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는 상기 터미널(t)에 연결된 와이어(W)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터미널(t)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의 외관 및 골격은 스페이서몸체(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몸체(21)는 대략 긴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대수개의 요입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22)은 상기 스페이서몸체(21)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W)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대략 반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와 와이어(W)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몸체(21)에는 고정슬릿(2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23)은 상기 스페이서몸체(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단자(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요입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단 자(25)가 상기 고정슬릿(23)에 압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슬릿(23)의 폭은 연결단자(25)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몸체(21)의 양측면에는 걸이후크(24)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4)는 상기 하우징(10)의 걸림턱(14)에 대응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페이서몸체(21)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슬릿(23)에는 연결단자(25)가 삽입된다. 상기 연결단자(25)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W)의 심선(W')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단자(25)에는 상기 스페이서몸체(21)와 마찬가지로 요입홈(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25)의 선단에는 접속날(25'')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날(25'')은 상기 연결단자(25)가 상기 와이어(W)의 피복(W'')을 용이하게 파고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선단으로 갈수록 날카롭게 형성된다. 상기 접속날(25'')은 상기 연결단자(25)가 상기 고정슬릿(2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슬릿(23)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가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은 상기 와이어(W)의 피복(W'')을 뚫고 들어가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단자(25)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제1터미널(t) 내지 제8터미널(t)이 사이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가 상기 하우징(10)의 스페이서삽입구(12)를 통해 삽입되면 상기 조인트스페이서(2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은 연 속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조인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조인트 스페이서(120)는 크게 스페이서몸체(121)와 연결단자(125)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단자(125)는 상기 스페이서몸체(121)의 고정슬릿(12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125)는 다수개가 상기 고정슬릿(123)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요입홈(125')이 형성되는 연결단자(125)와 세 개의 요입홈(125')이 형성되는 연결단자(25)가 각각 상기 고정슬릿(123)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두 연결단자(125)에 의해 두 개의 인접한 와이어(제2와이어(W2) 및 제3와이어(W3)) 사이와, 세 개의 인접한 와이어(제5와이어 내지 제7와이어(W5~W7)) 사이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연결단자(125)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상기 제2와이어(W2) 및 제3와이어(W3)와, 제5와이어 내지 제7와이어(W5~W7) 사이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연결단자(125)를 고정슬릿(123)의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원하는 와이어(W) 사이만을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단자(25)와 스페이서몸체(21) 사이의 조립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연결단자(25)를 파지하고 상기 스페이서몸체(21)의 고정슬릿(23)에 연결단자(25)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의 반대편 선단이 상기 고정슬릿(23)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연결단자(25)가 상기 고정슬릿(23)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자(25)는 상기 고정슬릿(23)에 압입되므로, 상기 연결단자(25)는 스페이서몸체(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은 어느 정도 고정슬릿(23)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장착공간(11')에는 터미널(t) 및 이에 연결된 와이어(W)가 장착된 상태이다. 즉, 상기 터미널(t)이 상기 하우징(10)의 랜스(17)에 걸어져 고정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작업자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를 상기 하우징(10)의 스페이서삽입구(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25) 및 스페이서몸체(21)의 요입홈(25',23)이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를 삽입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의 걸이후크(24)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구(1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4)에 접하게 되고, 작업자가 힘을 주어 조인트 스페이서(20)를 누르면 상기 걸이후크(24)는 어느 정도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후크(24)가 상기 걸림턱(14)을 타고 넘으면, 걸이후크(24)와 걸림턱(14)이 서로 걸 어져,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은 상기 와이어(W)의 피복(W'')을 파고들게 된다. 즉, 상기 고정슬릿(23)의 외측으로 돌출된 접속날(25'')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상기 피복(W'')을 뚫고 들어가, 상기 와이어(W)의 심선(W')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은 상기 제1와이어(W) 내지 제8와이어(W)의 피복(W'')을 모두 파고 들게 되므로, 상기 제1와이어(W) 내지 제8와이어(W) 사이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터미널(t) 사이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페이서몸체(21)의 일단은 상기 터미널(t)의 일측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t)이 상기 장착공간(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인트 스페이서(20)에 의해 터미널(t) 사이가 연결되므로, 상기 커넥터(C)가 별도의 상대 조인트커넥터와 결합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원하는 사양대로 상기 연결단자(25)를 교체함으로써, 하나의 조인트 스페이서(20)로 다양한 회로변경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25)는 터미널(t) 사이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와이어(W) 사이를 연결하게 되므로, 터미널(t)과의 지속적인 전기적 연결을 위해 스프링부와 같은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으므로, 연결단자(25)의 구조는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인트 스페이서(20)에 총 8개의 요입홈(22)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단자(25) 역시 다양한 개수의 요입홈(25')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20)가 터미널(t)의 일측을 걸어 고정하는 역할도 하게 되지만, 단순히 와이어(w) 사이의 전기적 연결만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단자(25)의 접속날(25'')이 와이어(W)의 피복(W'')을 파고들어 심선(W')과 연결되나, 상기 터미널(t)과의 연결을 위해 일부 노출된 상기 와이어(W)의 심선(W')부분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인트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상대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인트 스페이서가 하우징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인트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커넥터 t: 터미널
W: 와이어 W': 심선
W'': 피복 10: 하우징
11: 하우징몸체 11': 장착공간
12: 스페이서삽입구 14: 걸림턱
17: 랜스 20: 조인트 스페이서
21: 스페이서몸체 22,25': 요입홈
23: 고정슬릿 25: 연결단자
25'': 접속날

Claims (6)

  1.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나란한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스페이서삽입구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인접한 상기 와이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조인트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고정슬릿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스페이서몸체와,
    전기전도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슬릿 외측으로 돌출된 선단에는 상기 와이어의 피복을 파고들어 와이어의 심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날이 형성되는 연결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장착공간에 안착된 와이어를 향하는 상기 스페이서몸체와 상기 연결단자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의 양측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삽입구 내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걸이후크와 걸림턱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5.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는 상기 장착공간에 안착된 터미널의 일측과 인접한 위치를 향해 개구되어, 상기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가 삽입되면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의 일단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스페이서가 상기 하우징의 스페이서삽입구를 통해 삽입되면 상 기 조인트스페이서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연속된 평면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080037434A 2008-04-22 2008-04-22 조인트 커넥터 KR100976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34A KR100976509B1 (ko) 2008-04-22 2008-04-22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434A KR100976509B1 (ko) 2008-04-22 2008-04-22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02A KR20090111702A (ko) 2009-10-27
KR100976509B1 true KR100976509B1 (ko) 2010-08-17

Family

ID=4153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434A KR100976509B1 (ko) 2008-04-22 2008-04-22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78B1 (ko) * 2013-06-17 2015-01-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KR101734656B1 (ko) 2015-06-26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991122B1 (ko) * 2017-06-23 2019-06-19 (주)티에이치엔 조인트바를 이용한 조인트 커넥터
CN109718497B (zh) * 2019-02-25 2024-01-23 志纳电器有限公司 一种消防泵自动巡检控制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66A (ko) * 1989-07-19 1991-02-28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코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866A (ko) * 1989-07-19 1991-02-28 제이 엘. 사이칙 전기 코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702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JP3311997B2 (ja) コネクタ
US20140357130A1 (en) Electric connector
US2020031335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6604952B2 (en)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KR100976509B1 (ko) 조인트 커넥터
JP5437498B2 (ja) 電気コネクタ
TW200841540A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KR20090073878A (ko)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KR20060047474A (ko) 암형 커넥터
JP2008077952A (ja) コネクタ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JP2001357944A (ja) プラグコネクタ
US7021956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terminal
JP2020155383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7484662B2 (ja) コネクタの端子構造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592232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0277220A (ja) コネクタ構造
JP2002233030A (ja) 電気接続箱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0428337Y1 (ko)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