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37Y1 -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 Google Patents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37Y1
KR200428337Y1 KR2020060020470U KR20060020470U KR200428337Y1 KR 200428337 Y1 KR200428337 Y1 KR 200428337Y1 KR 2020060020470 U KR2020060020470 U KR 2020060020470U KR 20060020470 U KR20060020470 U KR 20060020470U KR 200428337 Y1 KR200428337 Y1 KR 200428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using
connector
plate
pressur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노강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21)과,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말단은 와이어(14)의 피복을 뚫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포크형의 단자(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접단자(26)가 하우징(2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플레이트(10)에 장착되므로, 다수 개의 압접단자(26)가 와이어플레이트(10)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고, 상대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IDC, 압접단자, 압접커넥터, 와이어플레이트

Description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for wire-plate}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압접단자가 와이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와이어플레이트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압접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압접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와이어플레이트 11: 체결공
12: 와이어홈 14: 와이어
20: 압접커넥터 21: 하우징
24: 관통공 26: 압접단자
28: 압접부 28': 압접슬릿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선타입의 와이어플레이 트에 장착되는 압접커넥터(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압접단자가 와이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플레이트(1)는 정션박스 혹은 퓨즈박스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는 각종 단자가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는 전선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홈은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의 상면 혹은 저면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홈에는 와이어(2)가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2)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 상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는 압접단자(4)가 장착된다. 상기 압접단자(4)는 그 일단이 포크형상으로 되어, 상기 와이어(2)와 압접된다. 즉, 상기 와이어(2)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체인 피복을 벗겨내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와 압접단자(4)가 장착된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이때, 상기 압접단자(4)의 타단은 상기 커버를 통해 상대커넥터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압접단자(4)는 상기 와이어(2)와 압접되는 동시에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 장착된다. 즉, 상기 압접단자(4)의 포크형상의 말단에 상기 와이어(2)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압접단자(4)를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압접단자(4)와 상기 와이어(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상기 압접단자(4)는 다수 개가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 장착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상기 압접단자(4)를 일일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압접단자(4)가 바르게 장착되지 않아 압접단자(4) 사이에 간격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는, 상대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개의 압접단자가 와이어플레이트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압접단자에 상대커넥터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말단은 와이어의 피복을 뚫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포크형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접단자의 말단에는 와이어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와이어홈에 삽입되는 와이어의 피복을 뚫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크형의 압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접부의 폭은 상기 와이어홈의 폭보다 같거나 작다.
상기 압접슬릿의 폭은 상기 와이어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압접단자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된다.
상기 압접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돌출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압접단자의 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압접커넥터에 의하면, 압접단자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와이어플레이트에 장착되므로, 다수 개의 압접단자가 와이어플레이트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고, 상대커넥터와의 연결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와이어플레이트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압접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압접커넥터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 혹은 퓨즈박스에는 와이어플레이트(1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는 합성수지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후술할 와이어(14) 및 각종 단자가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는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의 일측에는 후술할 압접커넥터(20)가 안착된다. 그 리고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의 모서리 측에는 체결공(11)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는 나사 등 체결구에 의해 상부커버(미도시) 혹은 하부커버(미도시)에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는 와이어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12)에는 후술할 와이어(14)가 삽입되어 압접커넥터(20)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홈(12)은 와이어의 배선형태에 맞춰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홈(12)에는 후술할 압접부(28)가 삽입되므로, 상기 와이어홈(12)의 폭은 후술할 압접부(28)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홈(12)에는 와이어(14)가 삽입된다. 상기 와이어(14)는 절연전선으로서 단선이나 연선에 고무 혹은 에나멜 등을 피복하여 사용된다. 상기 와이어(14)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홈(12)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실장되는 각종 부품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는 압접커넥터(20)가 실장된다. 상기 압접커넥터(20)는 상기 와이어(14) 및 상대커넥터 등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접커넥터(20)의 골격은 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21)은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1)은 상대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후술할 압접단자(2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턱이 형성되어 후술할 압접단자(26)의 돌기(27)와 결합하여 단자가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1)에는 압접단자(26)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접단자(26)는 휴즈나 릴레이 등의 다양한 외부의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접단자(26)에는 돌기(27)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접단자(26)의 말단에는 압접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압접부(28)는 상기 와이어(14)의 피복을 벗기면서 압접되어 상기 와이어홈(1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압접부(28)는 사전에 피복을 벗겨내지 않고 절연피복을 뚫어 상기 와이어(14)와 상기 압접커넥터(20)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압접부(28)는 그 말단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포크형상으로 되며, 상기 와이어(14)의 피복이 용이하게 벗겨질 수 있도록 상기 압접부(28)의 내측은 날카롭게 형성된다.
상기 압접부(28)의 내측에는 압접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압접슬릿(28')은 상기 와이어(14)가 삽입되어 절연피복이 벗겨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4)가 상기 압접슬릿(28')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절연피복이 벗겨질 수 있도록 상기 압접슬릿(28')의 폭은 상기 와이어(14)의 폭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압접단자(26)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21)의 하방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압접커넥터(20)에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은 상기 압접부(28)가 상기 와이어(14)를 압접하는 방향과 직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의 저면은 상 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접단자(26)가 상기 하우징(21)의 후방으로 상기 하우징(21)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돌출되어 수직형의 압접커넥터(20)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하우징(21)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압접단자(26)의 말단이 상기 하우징(21)의 하방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수평형의 압접커넥터(20)가 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압접단자(26)가 상기 하우징(21)에 삽입되어 압접커넥터(2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한꺼번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접단자(26)에 형성된 압접부(28)를 상기 와이어홈(12)에 삽입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압접슬릿(28')에 상기 와이어(14)를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 방향으로 힘을 가해 상기 압접슬릿(28') 사이에 끼워진 와이어(14)의 절연피복이 벗겨지게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와이어(14)와 상기 압접커넥터(20) 사이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압접단자(26)를 일일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장착할 필요없이, 상기 압접커넥터(20)에 의해 다수 개의 압접단자(26)가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이 따라 상대커넥터와의 결합도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압접커넥터(20)가 장착된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의 체결공(11)을 통해,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0)와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를 나사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상대커넥터를 상기 압접커넥터(20) 와 연결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다수 개의 압접단자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커넥터를 구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압접단자를 개별적으로 와이어플레이트에 삽입하여 와이어와 압접할 필요없이, 압접커넥터를 통해 한꺼번에 연결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압접단자들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정렬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이 없이 상대커넥터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어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말단은 와이어의 피복을 뚫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포크형의 압접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단자의 말단에는 와이어플레이트의 표면에 형성된 와이어홈에 삽입되는 와이어의 피복을 뚫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크형의 압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접부의 폭은 상기 와이어홈의 폭보다 같거나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슬릿의 폭은 상기 와이어의 폭보다 작거나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압접단자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턱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단자는 상기 하우 징의 후방으로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연장되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압접단자의 말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KR2020060020470U 2006-07-28 2006-07-28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KR200428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0U KR200428337Y1 (ko) 2006-07-28 2006-07-28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0U KR200428337Y1 (ko) 2006-07-28 2006-07-28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37Y1 true KR200428337Y1 (ko) 2006-10-12

Family

ID=4177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70U KR200428337Y1 (ko) 2006-07-28 2006-07-28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85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03429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11024984B2 (en) Contact carrier, electrical contact unit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able assembly
US9502795B1 (en) Clamping wire structure of terminal block
KR20070012666A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US7244139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251114A (ja) 圧接端子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2005222924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4246131B2 (ja) 電線と素子内蔵ユニットとの接続構造
CN110391532B (zh) 连接器
US7674127B2 (en) Electrical contact-making element
CN108075272B (zh) 压接连接型触头和同轴连接器
KR200428337Y1 (ko) 포선타입 와이어플레이트용 압접커넥터
WO2014068847A1 (ja) 圧接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08269981A (ja) 貫通端子台及びそれに用いる端子金具
KR20090009562U (ko) 전선연결구
KR100952434B1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KR20160135882A (ko) 전선 접속용 전기 커넥터
JP448690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327273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4236416A (ja) 分岐接続箱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JP2001357912A (ja) コネクタ
US20150351270A1 (en) Electric wire pressure-contac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