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328B1 -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 Google Patents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328B1
KR101082328B1 KR1020110098657A KR20110098657A KR101082328B1 KR 101082328 B1 KR101082328 B1 KR 101082328B1 KR 1020110098657 A KR1020110098657 A KR 1020110098657A KR 20110098657 A KR20110098657 A KR 20110098657A KR 101082328 B1 KR101082328 B1 KR 101082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cc
circuit breaker
integrated circui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그너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시그너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9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3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1Mechanical coupling for side-by-side moun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4Mounting through openings
    • H02B1/048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 컨트롤 센터(MCC)의 소형 집약화를 위하여 고밀도 실장을 할 수 있도록 차단기의 접촉단자에 착탈식으로 스탭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2차인출커넥터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축소형 전동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Motor control center using a breaker integrated with stab connectors}
본 발명은 스탭 커넥터(stab connector)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전동기 컨트롤 센터(MCC: motor control cent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 컨트롤 센터의 소형 집약화를 위하여 고밀도 실장을 할 수 있도록 차단기의 접촉단자에 착탈식으로 스탭 커넥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2차인출커넥터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고강도 축소형 전동기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 센터는 전력용 플랜트 등의 시설에서 모터나 조명 등의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연결되고, 각 설비기기에 전력을 배전하는 동시에 설비기기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는 모터의 기동제어 및 보호를 실시하는 배전반으로서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이 수납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유닛단위로 구성되어 설비기기를 제어하고 보호하기 위한 브레이커(NFB) 또는 퓨즈 스위치 또는 릴레이 스위치 등이 내장되어 있고, 모선으로부터의 전력을 설비기기에 배전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외부로부터의 수동조작에 따라 배전을 제어한다.
유닛단위로 구성된 제어유닛을 갖는 컨트롤 센터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은 집약형 컨트롤 센터가 제안되었으나, 각 제어유닛이 좌우방향으로 폭이 넓어 대형이고 아주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
종래의 집합형 고정 제어유닛은 각종 전동기 제어용 부품이 수직으로 세워진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 고정되어 있어, 용량에 따라 달라져 유닛의 크기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의 활용도가 떨어지고 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는 유닛의 수가 제한되며, 전동기의 용량 변경에 따른 유닛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배선이 까다롭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어, 특허문헌 2(도 1)과 같은 서랍방식의 인출형 제어유닛이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2의 전동기 제어반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유닛의 착탈이 가능하고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며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하지만, 수직 모선이 직사각형태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힘에 대하여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여 상간 반발력으로 인하여 단락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되고, 케이블의 배선시 곡률을 고려해야 하는 등 여전히 실장 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발전소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배전 설비는 아무런 인증 없이 납품되는 현실이지만, 수배전반의 단락 사고는 수배전반 자체 피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산업 설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단락에 대비한 고강도의 모선 구조와 고밀도 실장을 할 수 있는 일체형 커넥터 등이 필요하다.
또한 설치공간을 고려한 제작표준과 인증 시험에 통과할 수 있는 성능, 내구성, 사후관리의 편리성, 안정성 및 친환경성을 만족하는 MCC(motor control center)가 요구된다.
1. 일본공개특허 소58-033908호 2. 한국공개특허 제2004-0100029호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제어유닛의 크기를 축소하여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는 고강도의 MCC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유닛을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차단기와 스탭(stab) 커넥터를 착탈식의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케이블 배선을 꺾을 때 필요한 곡률 반경을 줄이기 위하여 방향전환이 편리한 소켓-플러그형 2차인출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의 구성은, 복수의 서랍형 MCC(motor control center)유닛, 상기 MCC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선 어셈블리, 상기 MCC 유닛과 모선 어셈블리를 결합 지지하는 프레임 및 및 전동기에 배전하는 케이블과 접속하는 2차인출커넥터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MCC 유닛(10)은 수직 모선과 연결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와 인입된 전원을 분배하는 2차인출커넥터(200) 및 개폐 도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닥판(12)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인입 인출되고,
상기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는 MCC 유닛(10)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차단기(110)에 스탭 커넥터(18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차단기(110)의 제1 접촉단자(120)는 제1 절연부재(130)를 개재하여 연결바(140)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접촉되는데,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접촉단자(120)의 안쪽에 제1 판상 스프링(170)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 접촉단자(120)를 연결바(140)쪽으로 밀착시켜 안정적인 접촉을 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절연부재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과 연결바를 장착할 수 있는 요홈(131)이 형성되고, 제2 절연부재(150)의 일측에는 스탭 커넥터(180)를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끼움홈(160)이 수직 모선의 간격에 맞추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스탭 커넥터(180)는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클립(181)과 클립을 밀어주는 항 쌍의 제2 판상 스프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립은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자형으로 형성하고 한 쌍의 제2 판상스프링(182)을 이용하여 밀착시켜 협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2차인출커넥터(200)는 소켓 커넥터(210)와 플러그 커넥터(220)로 구성되되, 상기 소켓 커넥터(210)는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되는 하부부재(214)의 홈이 곡면(216)으로 형성되어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 홈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20)의 삽입이 용이하고 제3 판상 스프링(212)과 협동으로 협지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소켓 커넥터(220)0)는 제3 접촉단자(223)의 일단이 소켓 커넥터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타단은 케이블 단자 등에 볼트 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MCC 유닛의 높이가 150cm이고 유닛 서랍의 인출 깊이가 180cm로서, 하나의 큐비클 크기가 600(h) x 500(w) x 180(d) c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제2 절연부재(150)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60)은 스탭 커넥터(180)와 접속하는 수직 모선의 간격에 맞추어 형성되되, 제2 절연부재(150)의 타측에는 수직 모선의 간격이 다른 규격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비적으로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2차인출커넥터(200)는 케이블 방향에 따라 상하로 플립(flip)시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시 예로서, 모선 어셈블리(16)의 수직 모선은 고강도를 위하여 'L'형 또는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1
'형 부스바(bus bar)를 사용하고, 수직 모선을 프레임에 결합 지지하기 위한 인슐레이터(133)의 수직홈(133-31)과 수평홈(133-11)은 '│'형 및 'L'형 부스바를 결합지지하고, 하나의 본체(133-1)를 180°회전시키는 경우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2
' 형 부스바를 결합지지하는 가변형 인슐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MCC는 기존의 MCC보다 30% 이상의 공간을 축소하여 고밀도 실장의 MCC를 제공한다. 즉, 종래의 200 cm 높이의 MCC 유닛을 150cm로 낮추면서 기존의 300cm 짜리 유닛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고, 서랍의 인출 깊이를 기존의 280 cm에서 180cm로 줄일 수 있다. 종래의 큐비클이 600(h) x 550(w) x 280(d) cm3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큐비클은 600(h) x 500(w) x 180(d) cm3으로 축소할 수 있어, 하나의 큐비클에 종래의 9개의 MCC 유닛이 수용되었다면 본 발명은 12 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4개의 큐비클로 구성된 MCC를 본 발명은 3개의 큐비클로 구성하여 MCC의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부드럽고 안정성 있게 제어유닛을 인출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유닛과 도아가 일체형으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또한, 전기적 접촉부위의 확대로 신뢰성 있고 안정성 있는 전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서랍형 전동기 배전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C 큐비클의 조립 및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C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차단기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를 결합한 차단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인출커넥터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A),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B) 및 단면도(C).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차단기의 스탭 커넥터와 접속되는 모선 어셈블리의 고강도 수직 모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모선을 프레임에 결합 지지하기 위한 인슐레이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일체형 스탭 커넥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 도시하였고, 비본질적인 요소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MCC의 하나의 면인 큐비클(cubicle, 1)로서 (A)는 조립도이고 (B)는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MCC 큐비클(1)은 MCC 유닛(10), 프레임(13), 2차인출커넥터(14), 2차 배선덕트(15), 모선 어셈블리(16) 및 전후면 도어(17,18)로 구성된다. MCC 유닛(10)은 격판(12)에 의해 지지되고, 모선 어셈블리(16)는 수직 모선과 수평 모선으로 구성되며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또는 베이크라이트 재질의 가변형 인슐레이터에 의하여 결합지지 된다.
도 3은 MCC 유닛(10)의 사시도이다. MCC 유닛(10)에는 전압 트랜스포머, 전류 트랜스포머, 개페기, 릴레이, 차단기(100), 휴즈, 타이머, 2차인출커넥터(200) 등 전동기 제어 필요한 각종 부품이 실장되며 전면에는 조작버튼(310) 및 각종 표시기 등이 부착된 개폐 도아(300)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보여주는 2차인출커넥터(200)는 도 2의 도면부호 14에 해당하며 플러그 커넥터(220)부분만 보이나 MCC 유닛 외측에 소켓 커넥터(210)가 접속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MCC에 실장되는 차단기(100), 2차인출커넥터(200) 및 개폐 도아(300)에 있으므로 MCC에 실장되는 다른 공지의 부품들(400)은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유닛 도아는 MCC 유닛과 분리되는 구조로서 도어를 분리하여 열고 유닛을 빼내는 구조이었으나, 본 발명은 MCC 유닛(10)과 일체로 되어 일측에 힌지를 달아 개폐 도어(300)를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조작 버튼(310)과 계기판의 배선은 개폐 도어(300)의 후면에 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MCC 유닛은 서랍형 인출방식으로 종래에는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서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격판(12)에 형성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부드럽게 작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은 스탭(stab) 커넥터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차단기(100)를 보여준다. 도 4의 우상면에 도시된 (A)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의 전면인 A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좌하면에 도시된 (B)는 후면인 B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는 MCC 유닛(10)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차단기(110)에 스탭 커넥터(18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차단기(110), 제1 접촉단자(120), 제1 절연부재(130), 연결바(140), 제2 절연부재(150), 판상 스프링(170), 스탭 커넥터(180) 및 체결 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의 일측 단자들은 수직 모선과 접속되고 타측 단자들은 MCC 유닛 내의 부품이나 2차인출커넥터(200)에 접속된다.
차단기(110)의 제1 접촉단자(120)는 제1 절연부재(130)를 개재하여 연결바(140)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접촉된다.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접촉단자(120)의 안쪽에 제1 판상 스프링(170)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 접촉단자(120)를 연결바(140)쪽으로 밀어붙여 안정적인 접촉을 하도록 한다. 제1 절연부재(130)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과 연결바를 장착할 수 있는 요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절연부재(150)의 일측에는 스탭 커넥터(180)를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끼움홈(160)이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끼움홈(160)은 스탭 커넥터(180)와 접속하는 수직 모선의 간격에 맞추어 형성되며, 수직 모선의 간격이 다른 규격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제2 절연부재(150)의 타측에 형성된 다른 규격의 끼움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예비적으로 끼움홈을 형성하여 모선 간격 변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180)의 분해 사시도로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클립(181)과 클립을 밀어주는 항 쌍의 제2 판상 스프링(182), 상/하측 커버(184,185) 및 체결 볼트/너트로 구성된다. 종래의 스탭 커넥터는 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삽입구 선단쪽을 절곡하여 협지편을 형성하고 측면에서 코일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협지력을 증대시키는 구조이나, 본 발명은 많은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협지편을 사용하지 않고 '││'자형으로 형성하고 한 쌍의 제2 판상스프링(182)을 이용하여 협지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사용한다.
도 6은 스탭 커넥터를 결합한 차단기(100)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는 연결을 위한 케이블 배선이 필요 없어 고밀도로 실장을 할 수 있으며, 고정 커버(190)와 체결 볼트를 분리하여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바(140)와 제1 접촉단자(120)를 제1 판상 스프링(170)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많은 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차인출커넥터(200)를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A),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B) 및 단면도(C)를 보여준다. 2차인출커넥터(200)는 소켓 커넥터(210)와 플러그 커넥터(220)로 구성된다. 소켓 커넥터(210)는 제2 접촉단자(213)와 제3 판상스프링(212)와 상/하부재(211,214) 및 체결 볼트 등으로 구성되고, 플러그 커넥터(220)는 제3 접촉단자(223)와 상/하부재(221,222) 및 체결 볼트 등으로 구성된다.
도 8은 소켓 커넥터(210)의 분해 단면도로서,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되는 하부부재(214)의 홈이 곡면(216)으로 형성되어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 홈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제3 판상 스프링(212)과 협동으로 협지력을 향상시키며 플러그 커넥터(220)의 삽입이 용이하고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동기 등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2 접촉단자(213)와 나사 결합되어 2차 배선덕트(15)를 통하여 배선된다. 보호커버(217)은 일측이 힌지되어 있어 케이블 배선을 열고 작업하고 평상시에는 덮어 단락 등을 방지한다.
도 9는 플러그 커넥터(220)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3 접촉단자(223)의 일단은 소켓 커넥터(210)에 삽입하여 접속하고 타단은 케이블 단자 등에 볼트 결합되어 연결된다. 보호커버(221)은 한쪽이힌지되어 있어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2차인출커넥터(200)는 케이블 방향에 따라 상하로 플립(flip)시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케이블을 방향 전환할 때 둥글림(rounding)하기 위한 반경이 불필요하여 배선면적을 줄이는 고밀도 배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체형 차단기(100)의 스탭 커넥터(180)와 접속되는 모선 어셈블리(16)의 고강도 수직 모선을 예시한 것으로서, 휨 강도가 우수한 'L'형 또는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3
'형 부스바(bus bar)를 사용한다.
도 11은 수직 모선을 프레임에 결합 지지하기 위한 인슐레이터(133)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부스바의 두께에 맞도록 수직홈(133-31)과 수평홈(133-11)을 형성하여 부스바를 끼우고 나사 결합체결을 하고 프레임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슐레이터(133)의 수직홈(133-31)과 수평홈(133-11)은 '│'형 및 'L'형 부스바를 결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본체(133-1)를 180°회전시켜 결합할 경우에는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4
' 형 부스바를 결합지지하는 가변형 인슐레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MCC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와 플러그형 2차인출커넥터를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클립과 연결 케이블을 사용하던 방식에서 케이블 배선을 없애고 부품을 MCC 유닛의 바닥면 및 벽면 등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유닛 공간을 30% 이상을 줄일 수 있다. 즉, 종래의 200 cm 높이의 MCC 유닛을 150cm로 낮추면서 기존의 300cm 짜리 유닛의 용량을 수용할 수 있고, 서랍의 인출 깊이를 기존의 280 cm에서 180cm로 줄일 수 있다. 종래의 큐비클이 600(h) x 550(w) x 280(d) cm3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큐비클은 600(h) x 500(w) x 180(d) cm3으로 축소할 수 있어, 하나의 큐비클에 종래의 9개의 MCC 유닛이 수용되었다면 본 발명은 12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종래에 4개의 큐비클로 구성된 MCC를 본 발명은 3개의 큐비클로 구성하여 MCC의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1 : MCC 큐비클 10:MCC 유닛
16: 모선 어셈블리 14, 200: 2차인출커넥터
100: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 300: 개폐 도아
110: 차단기 120: 제1 접촉단자
130: 제1 절연부재 140: 연결바
150: 제2 절연부재 160: 끼움홈
170: 제1 판상 스프링 180: 스탭 커넥터
210: 소켓 커넥터 220: 플러그 커넥터
133: 인슐레이터

Claims (4)

  1. 복수의 서랍형 MCC(motor control center)유닛(10)과 상기 MCC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선 어셈블리, 상기 MCC 유닛과 모선 어셈블리를 결합 지지하는 프레임 및 전동기에 배전하는 케이블과 접속하는 2차인출커넥터를 포함하는 MCC에 있어서.
    상기 MCC 유닛(10)은 수직 모선과 연결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와 인입된 전원을 분배하는 2차인출커넥터(200) 및 개폐 도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격판(12)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입 인출되되,
    상기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100)는 MCC 유닛(10)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차단기(110)에 스탭 커넥터(180)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로서, 차단기(110)의 제1 접촉단자(120)는 제1 절연부재(130)를 개재하여 연결바(140)에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접촉되고, 전기적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접촉단자(120)의 안쪽에 제1 판상 스프링(170)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 접촉단자(120)를 연결바(140)쪽으로 밀착시켜 안정적인 접촉을 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절연부재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과 연결바를 장착할 수 있는 요홈(131)이 형성되고, 스탭 커넥터(180)를 장착하는 제2 절연부재(150)의 일측에는 복수의 끼움홈(160)이 수직 모선의 간격에 맞추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스탭 커넥터(180)는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클립(181)과 클립을 밀어주는 항 쌍의 제2 판상 스프링(18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클립은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자형으로 형성하고 한 쌍의 제2 판상스프링(182)을 이용하여 클립(18)외측에서 내측으로 밀착시켜 협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2차인출커넥터(200)는 소켓 커넥터(210)와 플러그 커넥터(220)로 구성되고, 상기 소켓 커넥터(210)는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되는 하부부재(214)의 홈이 곡면(216)으로 형성되어 제2 접촉단자(213)가 안착 홈을 따라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20)의 삽입이 용이하고 제3 판상 스프링(212)과 협동으로 협지력을 향상시키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220)는 제3 접촉단자(223)의 일단이 소켓 커넥터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타단은 케이블 단자 등에 볼트 결합되어 연결되며, 상기 2차인출커넥터(200)의 소켓과 플러그는 케이블 방향에 따라 상하로 플립(flip)시킴으로써 케이블의 곡선부분을 줄여 배선면적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C 유닛(10)은 높이가 150cm이고 서랍의 인출 깊이가 180cm로서, 상기 MCC 유닛을 다단으로 조립한 하나의 큐비클은 600(h) x 500(w) x 180(d) 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재(150)의 일측에 형성되는 끼움홈(160)은 스탭 커넥터(180)와 접속하는 수직 모선의 간격에 맞추어 형성되되, 제2 절연부재(150)의 타측에는 수직 모선의 간격이 다른 규격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예비적으로 끼움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 어셈블리(16)의 수직 모선은 고강도를 위하여 'L'형 또는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5
    '형 부스바(bus bar)를 사용하고, 수직 모선을 프레임에 결합 지지하기 위한 인슐레이터(133)의 수직홈(133-31)과 수평홈(133-11)은 '│'형 및 'L'형 부스바를 결합지지하고, 하나의 본체(133-1)를 180°회전시키는 경우 '
    Figure 112011076003103-pat00006
    ' 형 부스바를 결합지지하는 가변형 인슐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1020110098657A 2011-09-29 2011-09-29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Expired - Fee Related KR10108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57A KR101082328B1 (ko) 2011-09-29 2011-09-29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657A KR101082328B1 (ko) 2011-09-29 2011-09-29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328B1 true KR101082328B1 (ko) 2011-11-11

Family

ID=4539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6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2328B1 (ko) 2011-09-29 2011-09-29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3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98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너솔라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CN109507573A (zh) * 2018-07-13 2019-03-22 西安益翔航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断路器高低温性能测试装置
KR102042621B1 (ko) *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CN113904172A (zh) * 2020-07-06 2022-01-07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插入式电连接装置及其电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19Y1 (ko) 2002-08-28 2002-11-29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스탭 콘넥터
KR100961776B1 (ko) 2008-05-02 2010-06-0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519Y1 (ko) 2002-08-28 2002-11-29 제일중전기산업 주식회사 스탭 콘넥터
KR100961776B1 (ko) 2008-05-02 2010-06-0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398A (ko) * 2013-12-30 2015-07-08 주식회사 에너솔라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KR101623761B1 (ko) 2013-12-30 2016-06-07 주식회사 에너솔라 클립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CN109507573A (zh) * 2018-07-13 2019-03-22 西安益翔航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断路器高低温性能测试装置
CN109507573B (zh) * 2018-07-13 2021-06-01 西安益翔航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断路器高低温性能测试装置
KR102042621B1 (ko) * 2019-04-08 2019-11-08 주식회사 월드인텍 모듈형 mcc
CN113904172A (zh) * 2020-07-06 2022-01-07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插入式电连接装置及其电器装置
CN113904172B (zh) * 2020-07-06 2024-04-09 上海量乘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插入式电连接装置及其电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642B2 (en) Busbar system
JP7080139B2 (ja) 低電圧配電盤
CN101540484B (zh) 开关机构
US9124077B2 (en) Meter socket and load center combination apparatus,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KR101336969B1 (ko)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US8829346B2 (en) Bus bar retention snaps for a base pan assembly
JP3820809B2 (ja) スイッチギヤの断路装置
EP3163695A1 (en) Fixed vertical distribution bus bar
RU113080U1 (ru) Монтажные рейки и элект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содержащий упомянутые рейки
EP3163694B1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KR101257240B1 (ko) 전동기 제어반의 복수 유닛 어댑터
US9667051B2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CN106451185B (zh) 具有1/4抽出式功能单元的低压开关柜
KR101615602B1 (ko)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
JP4807843B2 (ja) 分電盤
JPH10336807A (ja) 配電盤
KR101890109B1 (ko) 배전반용 컴팩트 컨트롤 박스
JP4636608B2 (ja) 分電盤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KR200479887Y1 (ko) 전동기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6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