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020B1 -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 Google Patents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020B1
KR101864020B1 KR1020160088492A KR20160088492A KR101864020B1 KR 101864020 B1 KR101864020 B1 KR 101864020B1 KR 1020160088492 A KR1020160088492 A KR 1020160088492A KR 20160088492 A KR20160088492 A KR 20160088492A KR 101864020 B1 KR101864020 B1 KR 10186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insertion hole
bus b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715A (ko
Inventor
김상진
김윤
Original Assignee
김상진
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김윤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6008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0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는, 상부면에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부스바 안착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된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체결너트와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부스바를 고정하는 몸체와, 상기 부스바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 상에 보호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장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가 돌출 형성된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스페이서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에는 상기 체결너트 및 장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가 형성된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는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의 측벽의 일부가 "
Figure 112016067721363-pat00004
" 형태로 절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탄성고정부의 상부면이 상기 체결너트의 하부면과 장볼트의 볼트머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바 지지대의 몸체와 장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금형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 및 보호커버와 체결되는 장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너트삽입구와 볼트삽입구에는 체결너트와 장볼트의 볼트머리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진 후 체결 후 원상복원되는 탄성고정부가 구비되어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조립 공정 시간을 대폭 줄여 인건비 등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Busbar support for panel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외부 전력을 배분하는 부스바를 연결 지지하고, 그 일단부에 설치되는 분기과전류차단기 및 그에 대응하여 기판상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복수의 부스바 안착홈이 형성되고, 부스바 안착홈의 하부에 고정볼트와 결합되어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가 고정되며, 부스바 안착홈 사이에서 상부로 돌출된 스페이서를 관통하여 보호커버와 결합되는 장볼트가 형성되는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결너트가 고정되는 몸체와 스페이서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금형 제작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하부에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할 시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진 후 체결후 원상복원되어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고정하는 탄성고정부가 형성된 너트삽입구와 볼트삽입구가 형성되어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하는 단순한 작동으로 몸체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조립 과정이 매우 편리한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분기과전류차단기(分岐過電流遮斷器)를 기판(基板)에 모아서 장착한 것으로서, 분기과전류차단기는 전원 쪽에서 보면 최초의 개폐기이며 과전류의 차단 능력이 있다. 분전반을 내장하는 상자를 캐비닛이라고 하는데 넓은 뜻에서는 캐비닛을 포함하여 분전반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기판상에 분기과전류차단기와 누전차단기 등 각종 차단기를 모아 설치하고, 상기 차단기들은 각각 건물 등의 옥내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공급함과 동시에 전력공급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예로, 분전반은 2차원의 평면 기판상에 종,횡방향으로 부스바를 교차 배치하고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종방향의 모선부스바의 일측에는 주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부스바 고정홀더를 설치하여 연결한다. 또, 횡방향 자선부스바 양측에는 다수의 보조과전류차단기 및 누전차단기 등을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더의 일예로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5392호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의 구성을 살펴보면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부스바를 연결 지지하기 위하여 그 일 단부에 설치되는 분기과전류차단기 및 그에 대응하여 기판상에 설치되는 고정홀더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 고정홀더는 기판상에 부착되는 하받침부와 그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상커버로 나누어 구성되고, 상기 하받침부는 다수의 걸림턱과, 부스바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체결너트를 보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커버는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다수의 후크와, 부스바 고정볼트가 관통 결합되는 볼트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체결너트와 장볼트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고정홀더는 하받침부와 상커버가 분리되는 구조로 금형 제작에 따른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부품수의 증가로 조립 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인건비 등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부스바 지지대의 몸체와 장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금형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 및 보호커버와 체결되는 장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너트삽입구와 볼트삽입구에는 체결너트와 장볼트의 볼트머리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진 후 체결 후 원상복원되는 탄성고정부가 구비되어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조립 공정 시간을 대폭 줄여 인건비 등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는 상부면에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부스바 안착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 안착홈의 중앙에 관통된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체결너트와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부스바를 고정하는 몸체와, 상기 부스바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 상에 보호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장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가 돌출 형성된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스페이서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격벽에 의해 복수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에는 상기 체결너트 및 장볼트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가 형성된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는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는 상기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의 측벽의 일부가 "
Figure 112016067721363-pat00001
" 형태로 절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며,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의 상부면이 상기 체결너트의 하부면과 장볼트의 볼트머리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스바 지지대의 몸체와 장볼트가 관통되는 스페이서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금형 제작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하부에 부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 및 보호커버와 체결되는 장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육각형태의 너트삽입구 및 볼트삽입구를 각각 구비하고 너트삽입구와 볼트삽입구에는 체결너트와 장볼트의 볼트머리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진 후 체결 후 원상복원되는 탄성고정부가 구비되어 체결너트와 장볼트를 삽입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조립 공정 시간을 대폭 줄여 인건비 등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의 저면도.
도 5는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이하, '부스바 지지대'라함)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원 발명의 부스바 지지대(1)는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3)를 고정하고, 분전반의 보호커버(2)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스바(3)는 2차원의 평면 기판상에 종,횡방향으로 다수개가 교차 배치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모선부스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스바(3)는 기판상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분기과전류차단기(미도시)와 상기 부스바 지지대(1)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여기서 부스바 지지대(1)에 체결너트(10)를 고정하고, 이 체결너트(1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4)를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부스바(3)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볼트(4)가 관통될 수 있도록 볼트공(3a)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스바 지지대(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3)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부스바 안착홈(120)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 안착홈(120)의 중앙에 관통된 볼트삽입공(122)을 관통하여 체결너트(10)와 결합되는 고정볼트(4)에 의해 부스바(3)를 고정하는 몸체(100)와, 상기 부스바 안착홈(120)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130) 상에 보호커버(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장볼트(5)가 관통되는 스페이서(110)가 돌출 형성된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스페이서(11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격벽(101)에 의해 복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102)에는 상기 체결너트(10) 및 장볼트(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132,142)가 형성된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격벽(101)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10)에는 상기 장볼트(5)가 관통될 수 있도록 장볼트공(112)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부스바 안착홈(120)의 중앙에 관통된 볼트삽입공(122)과 상기 너트삽입구(130)는 상호 연통되고, 상기 스페이서(110)에 관통된 장볼트공(112)과 상기 볼트삽입구(140)는 상호 연통되어 상기 너트삽입구(130)로 삽입된 체결너트(10)는 부스바(3)의 단부에 관통된 볼트공(3a)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삽입공(122)을 통해 체결너트(10)와 결합되고, 상기 볼트삽입구(140)로 삽입된 장볼트(5)는 보호커버(2)에 형성된 볼트결합공(2a)을 관통하여 커버너트(6)와 결합되어 상기 부스바 지지대(1)에 부스바(3) 및 보호커버(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스바 지지대(1) 중 상기 몸체(100)는 단차가 형성된 사각기둥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배전반(미도시)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홀(10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격벽(101)에 의해 복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102)에는 체결너트(10)가 삽입되는 육각 통체의 너트삽입구(130) 및 장볼트(5)가 삽입되는 육각 통체의 볼트삽입구(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를 경량화할 수 있어 원재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02)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너트삽입구(130)와 볼트삽입구(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되는 부스바(3)의 개수에 따라 각 볼트삽입구(140) 사이에 너트삽입구(130)의 개수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너트(10)의 개수와 장볼트(5)의 개수에 따라 상기 너트삽입구(130)와 볼트삽입구(140)의 개수와 배열을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너트삽입구(130)와 볼트삽입구(140)는 각각 하부가 개방된 육각 통체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는 규격화된 육각너트 및 육각머리볼트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부스바 지지대(1)의 금형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는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132,142)는 상기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의 측벽의 일부가 "
Figure 112016067721363-pat00002
" 형태로 절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며,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33,14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33,143)의 상부면이 상기 체결너트(10)의 하부면과 장볼트(5)의 볼트머리(5a)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를 몸체(100)의 개방된 하측으로 각각 너트삽입구(130)와 볼트삽입구(140) 내측으로 상기 탄성고정부(132,142)에 의해 고정될 때까지 밀어 넣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너트(10)는 상기 너트삽입구(130)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탄성고정부(132,142)의 상부면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장볼트(5)는 상기 스페이서(110)의 장볼트공(112)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머리가 상기 볼트삽입구(140)의 내측 상부면과 상기 탄성고정부(132,142)의 상부면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고정부(132,142)는 육각형태의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의 측벽 중 2~3개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삽입구(130)의 3개 측벽에 형성되고, 볼트삽입구(140)의 2개 측벽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탄성고정부(132,142)의 지지돌기(133,143)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133a,143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를 삽입할시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의 볼트머리가 상기 경사면(133a,143a)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돌기(133,143)가 탄성적으로 외측으로 밀리고,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의 볼트머리가 완전히 결착된 상태 즉 너트삽입구(130)와 볼트삽입구(140)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 상기 지지돌기(133,143)가 원상복원되어 상기 체결너트(10)와 장볼트(5)의 볼트머리 하부면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너트(10)와 장볼트(5)를 각각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에 삽입하는 단순한 작동에 의해 체결너트(10)와 장볼트(5)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어 조립이 매우 편리하고,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여 대량생산에 따른 제품 단가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부스바 지지대 2: 보호커버
3: 부스바 4: 고정볼트
5: 장볼트 6: 커버너트
10: 체결너트 100: 몸체
101: 격벽 102: 공간부
103: 결합홀 110: 스페이서
112: 장볼트공 120: 부스바 안착홈
122: 볼트삽입공 130: 너트삽입구
132: 탄성고정부 133: 지지돌기
140: 볼트삽입구 142: 탄성고정부
143: 지지돌기

Claims (3)

  1. 상부면에 외부 전력을 배분하기 위하여 분전반 내에 설치되는 부스바(3)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부스바 안착홈(120)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 안착홈(120)의 중앙에 관통된 볼트삽입공(122)을 관통하여 체결너트(10)와 결합되는 고정볼트(4)에 의해 부스바(3)를 고정하는 몸체(100)와, 상기 부스바 안착홈(120)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돌기(130) 상에 보호커버(2)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장볼트(5)가 관통되는 스페이서(110)가 돌출 형성된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스페이서(11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격벽(101)에 의해 복수의 공간부(102)가 형성되고, 각 공간부(102)에는 상기 체결너트(10) 및 장볼트(5)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고정부(132,142)가 형성된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가 형성되며, 상기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는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고정부(132,142)는 상기 너트삽입구(130) 및 볼트삽입구(140)의 측벽의 일부가 "
    Figure 112018041091918-pat00011
    " 형태로 절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며,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33,14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33,143)의 상부면이 상기 체결너트(10)의 하부면과 장볼트(5)의 볼트머리(5a) 하부면을 지지하되 상기 격벽(101)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133,143)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133a,14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2. 삭제
  3. 삭제
KR1020160088492A 2016-07-13 2016-07-13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KR101864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92A KR101864020B1 (ko) 2016-07-13 2016-07-13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92A KR101864020B1 (ko) 2016-07-13 2016-07-13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15A KR20180007715A (ko) 2018-01-24
KR101864020B1 true KR101864020B1 (ko) 2018-06-04

Family

ID=6102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92A KR101864020B1 (ko) 2016-07-13 2016-07-13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11A (ko) * 2018-06-14 2019-12-26 김상진 분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376B1 (ko) * 2019-12-11 2022-01-11 김상진 분전반
KR102316424B1 (ko) * 2020-02-25 2021-10-25 김상진 부스바 지지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820A (ja) * 2000-05-02 2001-11-16 Giichi Kitamura ブスバー取付用サポータ及びその成型方法
KR100805392B1 (ko) 2006-11-21 2008-02-20 박명자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200477487Y1 (ko) * 2014-11-19 2015-06-16 김태원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390Y1 (ko) * 2012-01-02 2016-05-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기기의 케이싱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820A (ja) * 2000-05-02 2001-11-16 Giichi Kitamura ブスバー取付用サポータ及びその成型方法
KR100805392B1 (ko) 2006-11-21 2008-02-20 박명자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KR200477487Y1 (ko) * 2014-11-19 2015-06-16 김태원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811A (ko) * 2018-06-14 2019-12-26 김상진 분전반
KR102083420B1 (ko) 2018-06-14 2020-03-02 김상진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15A (ko)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4348B2 (en) Modular system for plug connector modules, plug connector unit and modular housing frames for same
KR101864020B1 (ko)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US9601241B2 (en) Cable clamp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US7473146B2 (en) Busbar assembly
KR20080030417A (ko)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US7813110B1 (en) Electrical enclosures having configurable panel layouts
KR101189211B1 (ko) 기기 장치 기부의 설치 지점을 표지하는 멀티스테이션전기기기용 소켓
US20060240683A1 (en) Section for supporting electrical components
US8730653B2 (en) Interior assembly for a three phase load center
KR101200761B1 (ko) 고저압 수배전반, 분전반 및 모터제어반을 위한 판넬 조립용 장치
KR20170034123A (ko) 조립블록을 이용한 전원분배장치
KR101551908B1 (ko) 배전반 버킷의 부스바 커넥터용 콘택트
KR101153392B1 (ko) 조립식 고정 단자대
KR20090071484A (ko) 수평 및 수직으로 장착되는 멀티스테이션 전기기기용 지지체, 스페이서가 구비된 상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유닛, 전기부품이 설치된 상기 유닛을 포함하는 전기기기 조립체
EP1169761B1 (en) Supporting module for electrical apparatuses
KR880000764Y1 (ko) 회로 차단기의 소호장치
KR101787655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 받침대
KR200450185Y1 (ko) 분전반용 부스바 홀더
KR101399474B1 (ko) 차단기 받침대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KR100924727B1 (ko) 수평형 부스바에 결속력이 강화되어 장착된 분리형 절연커버
CN220065589U (zh) 一种隔板组件及断路器
KR102316424B1 (ko) 부스바 지지대
KR102378764B1 (ko) 분전반의 차단기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