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376B1 - 분전반 - Google Patents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376B1
KR102350376B1 KR1020190164945A KR20190164945A KR102350376B1 KR 102350376 B1 KR102350376 B1 KR 102350376B1 KR 1020190164945 A KR1020190164945 A KR 1020190164945A KR 20190164945 A KR20190164945 A KR 20190164945A KR 102350376 B1 KR102350376 B1 KR 10235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upling
distribution board
protective cove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030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9016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3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다른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의 전체 크기가 상기 부스바에 대응하는 크기로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전반{DISTRIBUTION BOARD}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분기 과전류 보호기를 집합해서 설치한 것으로서, 배전반에서 배선된 간선을 다시 각 방면으로 분기 배선하기 위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분전반은 아파트, 빌라, 공공건물 등과 같은 건물에서 단위 세대별로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각 전기부하로 전원을 분산 공급하여 누전 또는 과부하 발생 시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이나 전기부하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메인 차단기 및 보조 차단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분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된다. 이때, 부스바는 일측이 메인 차단기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모선 부스바와, 모선 부스바에 연결되어 분배 받은 전력을 각각의 보조 차단기에 공급하는 자선 부스바로 구성된다. 부스바는 그 표면이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전반을 보수하거나 점검하고자 할 때, 접촉으로 인한 고압전류의 감전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용 과정에서 부스바 및 부스바와 차단기의 연결부에 인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커버의 사용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735호에는 분전반에 구비된 부스바를 안전커버를 이용하여 덮음으로써 감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전반용 안전커버는 부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차단기 및 부스바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735호 (2005.03.15.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호 커버를 다양한 사이즈의 부스바에 사용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 커버가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 커버의 표면이 매끄러운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 커버가 다양한 지지 부재의 형태 또는 위치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 커버의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한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다른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의 전체 크기가 상기 부스바에 대응하는 크기로 변할 수 있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출 돌기; 상기 제1 돌출 돌기로부터 좌우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제2 돌출 돌기; 상기 제2 돌출 돌기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3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제2 돌출 돌기보다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결합 돌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결합 돌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바디의 상면보다 낮게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3 돌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에 대한 돌출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돌출 돌기를 수용하는 제1 결합 홈; 상기 제2 돌출 돌기를 수용하는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홈의 상측 일부에는 상기 제3 돌출 돌기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합 홈과 연결되는 상기 바디의 일부에는 상기 제3 돌출 돌기의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복수 개의 상기 바디 중 양끝에 결합되는 2개의 상기 바디에만 형성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바디에 각각 3개씩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는 아크릴 소재로 제공되는 분전반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전반은 그 보호 커버를 다양한 사이즈의 부스바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가 견고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커버의 표면이 매끄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호 커버를 다양한 지지 부재의 형태 또는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전반에서 보호 커버를 제외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호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보호 커버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보호 커버의 하나의 바디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전반에서 보호 커버를 제외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1)은 차단기(10)와, 차단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20)와, 부스바(20)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30)와, 차단기(10)를 고정할 수 있는 베이스 패널(40)과, 부스바(20)를 지지하기 위한 이음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메인 차단기(110)와, 공급받은 전력을 외부로 분배하는 보조 차단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차단기(110)와 보조 차단기(120) 및 이음재(50)는 베이스 패널(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패널(40)은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설치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치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메인 차단기(110), 보조 차단기(120) 및 이음재(50)가 위치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부스바(20)는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되어 메인 차단기(110)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자선 부스바(2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자선 부스바(220)는 모선 부스바(210)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 보조 차단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선 부스바(210)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차단기(110)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접속단자에 모선 부스바(210)가 연결됨으로써, 메인 차단기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이 모선 부스바(2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메인 차단기(110)와 모선 부스바(210)의 연결은 커넥터(7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보조 차단기(120)는 외부로 전력을 분배하는 것으로서, 부하 용량에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보조 차단기(120)는 양 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p 보조 차단기(120) 1개와, 3p 보조 차단기(120) 1개 및 1p 보조 차단기(120) 2개가 각각 양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설치되는 보조 차단기(120)의 종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메인 차단기(110)의 전력을 공급받아 자선 부스바(220)에 전달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이음재(50) 상에 놓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 단부는, 메인 차단기(110)의 일측에 제공되는 이음재(50) 상에 놓여, 커넥터(70)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와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70)는 모선 부스바(210)와 메인 차단기(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70)는 일측이 메인 차단기(110)의 접속단자와 결합되고, 타측이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와 이음재(50)의 높이가 같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일자형의 커넥터(7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7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넥터(70)는 절곡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자선 부스바(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선 부스바(220)는 그 길이 방향이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보조 차단기(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는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연결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와 자선 부스바(220)는 보호 커버(30)를 통해 보호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는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의 상측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음재(50) 상에 놓이는 기둥 형태의 지지 부재(6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보호 커버(30)는 절연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커버(30)는 내부 구성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아크릴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60)는 보호 커버(3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음재(50)의 상측에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60)의 외측으로 장볼트가 관통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60)가 보호 커버(30)에 제공되는 슬릿(33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어, 별도의 너트를 통해 장볼트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보호 커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호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보호 커버를 결합 돌기가 형성된 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보호 커버의 하나의 바디에 대한 배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모선 부스바(210)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게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220)의 길이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하겠다.
보호 커버(3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바디(30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30a)는 제1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바디(30a)의 일측면에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310)가 제공될 수 있다. 바디의 타측면에는 결합 돌기(310)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 홈(320)은 결합 돌기(310)의 크기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바디(30a)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310)가 다른 바디(30a)에 제공되는 결합 홈(320)에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310)는 결합 홈(3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 홈(320)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 돌기(310)와 결합 홈(320)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되어 보호 커버(30)를 형성하는 바, 보호 커버(30)의 전체 길이는 모선 부스바(2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변화 가능할 수 있다. 즉, 보호 커버(30)는 다양한 길이를 갖는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바디(30a)에 결합 돌기(310) 및 결합 홈(320)이 각각 3개씩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결합 돌기(310) 및 결합 홈(3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결합 돌기(310) 및 결합 홈(320)은 바디(30a)에 각각 4개씩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310)는 제1 돌출 돌기(311)와 제2 돌출 돌기(313)와 제3 돌출 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 돌기(311)는 바디(30a)의 일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 돌기(311)의 높이는 바디(30a)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 돌기(313)는 제1 돌출 돌기(311)로부터 좌우 방향(제2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 돌기(313)는 제1 돌출 돌기(311)를 기준으로 양측에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 돌기(313)는 제1 돌출 돌기(311)의 높이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돌출 돌기(313)의 높이도 바디(30a)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 돌기(311)가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돌출 돌기(313)가 제1 돌출 돌기(311)로부터 제2 방향 양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결합 홈(320)에 결합된 결합 돌기(310)가 제1 방향(길이 방향) 및 제2 방향(좌우 방향)의 외력으로 인해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3 돌출 돌기(315)는 제1 돌출 돌기(311)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 돌기(313) 중 하나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 돌기(315)의 최상단부는,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디(30a)의 상면보다 낮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되어 보호 커버(30)가 형성되었을 때, 보호 커버(30)의 상측으로 제3 돌출 돌기(315)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아, 보호 커버(30)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 돌기(315)는 제2 돌출 돌기(313)보다 좌우 방향 중 일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 돌기(315)가 제2 돌출 돌기(313)로부터 상측 및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제3 돌출 돌기(315)가 결합 홈(320)의 걸림턱(327)에 걸릴 수 있고, 이에 의해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돌출 돌기(315)가 걸림턱(327)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상하 방향에 대한 외력에 의해, 결합 돌기(310)와 결합 홈(3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걸림턱(327)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하나의 바디(30a)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310)에 각각 형성된 제3 돌출 돌기(315)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에 대한 돌출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 돌기(310)에 형성되는 제3 돌출 돌기(315)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됨으로써, 바디(30a)가 일측 방향의 외력을 받을 때, 상호 결합된 바디(30a)가 결합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기준으로 첫 번째 결합 돌기(310)의 제3 돌출 돌기(315)는 제1 돌출 돌기(311)를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될 수 있고, 좌측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결합 돌기(310) 및 세 번째 결합 돌기(310)의 제3 돌출 돌기(315)는 제1 돌출 돌기(311)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돌출 돌기(315)는,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7 참조), 제3 돌출 돌기(315)은 그 폭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의 하측에서 결합 홈(320) 내부로 삽입되어 걸림턱(327)에 걸릴 수 있으며, 제3 돌출 돌기(315)가 걸림턱(327)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 홈(320)은 결합 돌기(310)가 걸려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제1 결합 홈(321)과 제2 결합 홈(323)과 홀(325)과 걸림턱(3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홈(321)은 제1 돌출 돌기(311)를 수용할 수 있는 홈으로서, 제1 돌출 돌기(31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홈(321)은 제1 돌출 돌기(311)의 폭 및 높이보다 같거나 큰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결합 홈(323)은 제2 돌출 돌기(313)를 수용할 수 있는 홈으로서, 제1 결합 홈(321)의 좌우방향 양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홈(323)은 제2 돌출 돌기(313)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돌출 돌기(313)의 폭 및 높이보다 같거나 큰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홀(325)은 제1 결합 홈(321)의 좌우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 홈(323) 중 하나로부터 상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3 돌출 돌기(315)의 일부가 홀(325)을 통해 관통될 수 있다.
걸림턱(327)은 제2 결합 홈(323)과 연결되는 바디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27)은 홀(325)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돌출 돌기(315)의 일부가 걸림턱(327)에 걸릴 수 있다.
이때, 홀(325) 및 걸림턱(327)의 위치는, 대응되는 결합 돌기(310)의 제3 돌출 돌기(31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바디(30a)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 홈(320)에 각각 형성된 홀(325) 및 걸림턱(327)는 각각의 제1 결합 홈(321)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기준으로 첫 번째 결합 홈(320)에 형성되는 홀(325) 및 걸림턱(327)은, 제1 결합 홈(321)을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을 기준으로 두 번째 결합 홈(320) 및 세 번째 결합 홈(320)에 형성되는 홀(325) 및 걸림턱(327)은, 각각의 제1 결합 홈(321)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30a)에는 보호 커버(3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6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330)은 지지 부재(6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330)은 바디(30a)의 길이 방향(제1 방향)에 대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330)은 복수 개로 제공되어, 바디(30a)의 길이 방향(제1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슬릿(330)은 바디(30a)의 길이 방향(제1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3개씩 제공될 수 있다.
슬릿(330)이 제1 방향에 대해 길게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바디(30a)는 다양한 형태의 지지 부재(6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330)의 모양이 사각형인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슬릿(330)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 부재(6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330)은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 커버(30)를 구성하는 모든 바디(30a)에 슬릿(330)이 제공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호 커버(30)를 이루는 복수 개의 바디(30a) 중 제1 방향에 대해 양끝에 결합되는 2개의 바디(30a)에만 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베이스 패널(40) 상에 메인 차단기(1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메인 차단기(110) 및 베이스 패널(40)의 설치홀(미도시)을 관통함으로써 메인 차단기(110)가 베이스 패널(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접속단자 및 커넥터(70)를 통해 메인 차단기(110)와 모선 부스바(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차단기(110)의 일측에는 이음재(50)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재(50)는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2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이음재(50)의 상측에는, 보호 커버(30)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형태의 지지 부재(60)가 제공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이음재(50) 상에 놓이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모선 부스바(210)의 일측은 커넥터(70)를 통해 메인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의 상측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자선 부스바(220)가 제공될 수 있다. 자선 부스바(220)는 양측이 보조 차단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모선 부스바(210)는 메인 차단기(110)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을 자선 부스바(220)에 전달할 수 있고, 자선 부스바(220)는 전달받은 전력을 보조 차단기(120)에 전달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는 보호 커버(30)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모선 부스바(210) 및 자선 부스바(220)는 그 표면이 대기 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분전반을 보수하거나 점검하고자 할 때, 접촉으로 인한 고압전류의 감전 위험이 있다. 보호 커버(30)는 사용 과정에서 부스바(20)에 인체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30)는 절연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호 커버(30)는 내부 구성이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의 아크릴로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는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30a)의 일측면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3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바디의 타측면에는 결합 돌기(310)의 크기, 형태 및 개수에 대응되는 결합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30a)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결합 돌기(310)가 다른 바디(30a)의 타측면에 제공되는 결합 홈(320)에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 홈(320)으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310)는, 바디(30a)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돌기(311)와, 제1 돌출 돌기(311)로부터 제2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2 돌출 돌기(313)와, 제2 돌출 돌기(313) 중 하나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3 돌출 돌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 돌기(315)의 최상단부는,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바디(30a)의 상면보다 낮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되었을 때, 보호 커버(30)의 상측으로 제3 돌출 돌기(315)가 돌출되지 않아, 보호 커버(30)의 표면이 매끄러울 수 있다.
제3 돌출 돌기(315)는 제2 돌출 돌기(313)보다 좌우 방향 중 일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 돌기(315)가 좌우 방향 중 일방향 및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제3 돌출 돌기(315)가 결합 홈(320)의 걸림턱(327)에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에 걸려,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홈(320)은, 제1 돌출 돌기(311)를 수용하는 제1 결합 홈(321)과, 제2 돌출 돌기(313)를 수용하는 제2 결합 홈(323)과, 제3 돌출 돌기(315)의 일부가 관통되는 홀(325) 및 홀(325) 내부에 제공되어 제3 돌출 돌기(315)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327)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바디(30a)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310)에 각각 형성된 제3 돌출 돌기(315)는 각각의 제1 돌출 돌기(311)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에 대해 상이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3 돌출 돌기(315)가 제1 돌출 돌기(311)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방향이 다른 바, 보호 커버(30)는 일측으로 외력을 받았을 때, 바디(30a)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3 돌출 돌기(315)는,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310)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7 참조), 제3 돌출 돌기(315)은 그 폭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돌기(310)가 결합 홈(3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 홈(3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제3 돌출 돌기(315)가 걸림턱(327)에 쉽게 걸릴 수 있으며, 결합 후에는 제3 돌출 돌기(315)가 걸림턱(327)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바디(30a)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는 상기와 같은 형태의 결합 돌기(310) 및 결합 홈(320)을 구비하는 바, 길이 방향(제1 방향), 좌우 방향(제2 방향), 상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에 대한 외력에 의해, 결합 돌기(310)와 결합 홈(320)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디(30a)에는 지지 부재(60)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슬릿(33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330)은 길이 방향에 대해 길게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슬릿(330)은 제1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양측에 제공될 수 있다.
슬릿(330)이 바디(30a)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길게 형성되고, 바디(30a)의 길이 방향에 대해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바디(30a)는 다양한 형태를 갖고 다양한 위치에 놓이는 지지 부재(6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호 커버(30)는 복수 개의 바디(30a)가 상호 결합되어 조립식으로 형성되는 바, 다양한 길이의 모선 부스바(210)를 갖는 분전반에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차단기 110: 메인 차단기
120: 보조 차단기 20: 부스바
210: 모선 부스바 220: 자선 부스바
30: 보호 커버 30a: 바디
310: 결합 돌기 311: 제1 돌출 돌기
313: 제2 돌출 돌기 315: 제3 돌출 돌기
320: 결합 홈 321: 제1 결합 홈
323: 제2 결합 홈 325: 홀
327: 걸림턱 330: 슬릿
40: 베이스 패널 50: 이음재
60: 지지 부재 70: 커넥터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기가 인접하는 다른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의 전체 크기가 상기 부스바에 대응하는 크기로 변할 수 있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출 돌기;
    상기 제1 돌출 돌기로부터 좌우 방향 양측으로 연장된 제2 돌출 돌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돌출 돌기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제3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분전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제2 돌출 돌기보다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분전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결합 돌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분전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 돌기는,
    상기 결합 돌기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바디의 상면보다 낮게 제공되는
    분전반.
  6. 제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제3 돌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좌우 방향에 대한 돌출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되는
    분전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제1 돌출 돌기를 수용하는 제1 결합 홈;
    상기 제2 돌출 돌기를 수용하는 제2 결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 홈의 상측 일부에는 상기 제3 돌출 돌기의 일부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
    분전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홈과 연결되는 상기 바디의 일부에는 상기 제3 돌출 돌기의 일부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제공되는
    분전반.
  9.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력을 분배하는 차단기;
    상기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스바;
    상기 부스바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 커버는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이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돌기가 인접하는 다른 상기 바디에 형성된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보호 커버의 전체 크기가 상기 부스바에 대응하는 크기로 변할 수 있고,
    상기 보호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분전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분전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분전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 개의 상기 바디 중 양끝에 결합되는 2개의 상기 바디에만 형성되는
    분전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홈은 상기 바디에 각각 3개씩 제공되는
    분전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투명한 소재로 제공되는
    분전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는 아크릴 소재로 제공되는
    분전반.
KR1020190164945A 2019-12-11 2019-12-11 분전반 KR10235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45A KR102350376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945A KR102350376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30A KR20210074030A (ko) 2021-06-21
KR102350376B1 true KR102350376B1 (ko) 2022-01-11

Family

ID=765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945A KR102350376B1 (ko) 2019-12-11 2019-12-11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3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63B1 (ko) 2010-06-30 2011-01-06 (주)시그너스시스템 일체형 표준 분전반
KR101236917B1 (ko) * 2012-08-29 2013-02-2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
KR101506672B1 (ko) 2014-11-24 2015-03-30 주식회사 태성기전 전원 분배장치
KR101506670B1 (ko) * 2014-08-07 2015-03-30 주식회사 태성기전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735Y1 (ko) 2004-12-23 2005-03-23 형제전기주식회사 분전반용 부스바 안전커버 고정장치
KR20060073182A (ko) * 2004-12-24 2006-06-28 (주)제일피앤피 안전커버가 구비된 분배전반
KR101864020B1 (ko) * 2016-07-13 2018-06-04 김상진 일체형 분전반용 부스바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463B1 (ko) 2010-06-30 2011-01-06 (주)시그너스시스템 일체형 표준 분전반
KR101236917B1 (ko) * 2012-08-29 2013-02-25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
KR101506670B1 (ko) * 2014-08-07 2015-03-30 주식회사 태성기전 레일식 전원 분배장치
KR101506672B1 (ko) 2014-11-24 2015-03-30 주식회사 태성기전 전원 분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30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458A (en) Collective conenction device for wire conductors
EP2181487B1 (en) Panelboard
JPH03210724A (ja) レール上のパッケージ内に設けられた複数のモジューラ自動回路遮断器を同時に電気的接続するための組立品部材セット
KR102083420B1 (ko) 분전반
KR100543964B1 (ko)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의 접속방법 및 측면 결합 구조를갖는 모선부스바와 자선부스바
BG62673B1 (bg) Заземителен модул
KR100981271B1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KR102350376B1 (ko) 분전반
KR100825379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KR102357979B1 (ko) 분전반
KR101885709B1 (ko) 전원 분배장치
US4413307A (en) Bus bar extensions to outside of busway for external connections
ES2274562T3 (es) Dispositivo de ensamblaje y de conexion electrica de aparatos electricos modulares de potencia tales como disyuntores.
PL205243B1 (pl) Urządzenie rozdzielcze energii elektrycznej dla aparatury elektrycznej umieszczonej w rzędach równoległych tablicy albo szafy elektrycznej oraz tablica albo szafa rozdzielcza elektryczna
KR200302957Y1 (ko) 분전반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KR20190004404A (ko) 버스바를 구비한 분전반
US20050136719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JP4582691B2 (ja) 配電盤
KR200370969Y1 (ko) 분전반용 모선지지대
JP6704648B2 (ja) 分電盤
KR102310037B1 (ko) 분전반용 부스바연결장치
KR20060117647A (ko) 분,배전반용 모선버스 바와 자선버스 바의 접속방법 및 장치
KR102606958B1 (ko)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ES2225930T3 (es) Un panel de distribucion electrica para conmutadores de potencia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