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026B1 - 전기 배선 분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배선 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026B1
KR100734026B1 KR1020050116479A KR20050116479A KR100734026B1 KR 100734026 B1 KR100734026 B1 KR 100734026B1 KR 1020050116479 A KR1020050116479 A KR 1020050116479A KR 20050116479 A KR20050116479 A KR 20050116479A KR 100734026 B1 KR100734026 B1 KR 10073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member
electrical wiring
bent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152A (ko
Inventor
김경종
전인석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인석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02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배선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배선을 분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재와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인 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하부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을 분기시키는 장치이다.
분기, 케이스, 커버, 연결부재, 분리벽, 커넥터

Description

전기 배선 분기장치{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분기장치로서 하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기 배선 분기장치로서 하부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분리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 커버 12: 하부 커버
20: 상부 케이스 21-24, 31-34: 접속부
26, 68: 고정돌기 30: 하부 케이스
31a-34a: 벽체 31b-34b: 요홈
36, 67: 고정공 37: 분리벽
38: 안착홈 39: 격벽
50: 제1연결부재 51: 절곡부
52, 53: 유동 방지편 54: 통공
60: 제2연결부재 61, 62, 65, 66, 71-74: 결합편
63, 64: 결합슬릿 70: 고정수단
100: 분기장치 110, 120, 130: 커넥터(픽스쳐)
140: 커넥터(리듀서)
본 발명은 전기 배선 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하부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을 분배하는 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상변압기 등으로부터 건축물로 인입된 전선은 전력량계를 거쳐 분전반에서 분기되어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천정 내로 배선되거나, 벽체 내부를 통해 각종 스위치 및 아울렛(콘센트 또는 리셉터클) 등으로 배선된다. 또한 사 무실 등과 같이 바닥이나 벽체로부터 전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별도의 바닥재 내에 배선이 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배선된 전선을 분기시켜 복수의 조명등이나 스위치 및 아울렛 등으로 배선하기 위하여 분기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456호로 천정배선 분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천정배선 등에 유리하도록 플러그가 동시에 5축 방향으로 접속 가능한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분리 구성되되, 5방면으로 접속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케이스의 각 접속 개구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5개의 암합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리셉터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천정배선 분기장치는 분기를 위한 도체로서 구리선을 사용하고, 각 도체간의 결합을 압착이나 납땜 등에 의한 접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결합 부위의 접속 상태에 따라 불균일한 단면적이 형성되어 전기저항의 증가로 발열에 따른 화재의 위험이 있었다.
그리고 도체가 분기되는 리셉터클의 몸체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사방 및 하부로 도체가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체의 배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체가 3개로 구성되어 설치 위치에 따라 길이 및 형상이 상이하며, 누전방지를 위하여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몸체 내부에 절연물을 충진하는 경우에는 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도나 확산이 용이하지 않아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셉터클로 전기 배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전기 배선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구별되어 있지 않아 접속방향이 불분명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가 발생할 소지가 있었다. 더욱이 리셉터클의 외주에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화재발생에 따른 취약성이 노출되어 있고, 리셉터클의 외주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는 별도로 접속을 위한 연결부분에 접속개구부와 암합부재 등을 취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입된 하나의 전기 배선을 복수 방향으로 인출하기 위하여 교차하는 제1 및 제2연결부재를 배치하되,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분리벽을 형성하여 연결부재 사이의 절연을 도모함으로써, 전기적인 특성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배선이 인입되는 인입구와 인출되는 인출구를 구분하여 접속에 따른 오류를 방지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주에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강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시에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배선을 분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대향되게 결합되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재와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인입단과 복수의 인출단을 갖는 전기 배선의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촉을 위한 절곡부에 통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와 전기 접촉을 위한 고정수단이 결합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는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 접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 분기장치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전기 배선 분기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 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다.
먼저,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분전반 등으로부터 부하측으로 전기를 배전함에 있어서, 천장 등으로 분기되는 배선을 간단한 구조 및 절연 구조로 보다 효과적으로 배전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내충격성과 내열성이 강한 전기 배선 분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절연체로서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로 이루어진 분기장치(100)에 여러 방향에서 복수의 커넥터(110, 120, 130, 140)들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 내에 인입된 전기를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배치 및 결합된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를 이용하여 분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의 외주면에는 각각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서 상부 커버(10) 및 하부 커버(12)가 장착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도 1의 분리 사시도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복수의 방향, 즉 사방으로 각각 접속부(21-24, 31-34)가 돌출된 형태이고, 하부 케이스(30)에 대향하여 상부 케이스(2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의 결합은 상부 케이스(20)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고정돌기(26)이 하부 케이스(30)의 고정공(36)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더욱이 별도의 볼트나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상부 케이스(20)와 하부 케이스(30)를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부 케이스(20)는 절연체로서 합성수지 등이 적용되는 것으로 사방으로 접속부(21-24)가 돌출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20)는 하부 케이스(30)의 상단에 적층 되어 하부 케이스(30) 내부에 배치된 연결부재(50, 6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덮개 기능을 도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3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37)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벽(37)은 하부 케이스(30)에 배치되는 연결부재(50, 60)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분리벽(37)은 하부 케이스(3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단은 요철(凹凸) 형상이다. 즉 분리벽(37)의 상단은 제1연결부재(50)가 일렬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38)과 제1연결부재(50)를 각각 분리시킬 수 있도록 격벽(39)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6개씩의 제1연결부재(50)와 제2연결부재(60)가 공간적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이므로, 이러한 연결부재(50, 60)의 배치 개수에 따라 분리벽(37)의 형성 개수가 정해지지만, 연결부재(50, 60)의 배치 개수에 따라 분리벽(37)의 형성 개수도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분리벽(37) 사이에는 제2연결부재(60)가 배치되므로 제2연결부재(60)의 너비에 따라 분리벽(37)의 형성 간격도 달라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30)는 가로 및 세로로 연결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격자 구조를 갖는다.
제1연결부재(50)는 분리벽(37) 상단에 형성된 격벽(39) 사이의 안착홈(38)에 횡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안착되고, 제2연결부재(60)는 제1연결부재(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리벽(37) 사이에 종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안착된다. 제1연결부재(50)는 금속의 띠 형태이되, 소정 위치에 하방으로 구부러진 절곡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51)는 분리벽(37) 사이에 배치된 제2연결부재(60)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부(51)의 중앙부위에 가로방향 으로 돌출 연장된 한 쌍의 유동 방지편(5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연결부재(50)의 양단은 각각 하부 케이스(30)의 제1접속부(31) 및 제3접속부(33)까지 걸쳐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재(60)는 분리벽(37) 사이에 배치되는 금속의 띠 형태이되, 일정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결합슬롯(63, 64)을 두고 돌출 연장된 한 쌍의 결합편(61, 62)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61, 62)은 제2연결부재(60)로부터 수평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가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와 결합될 때에는 제2연결부재(60)의 내측으로 세워 결합시킨다. 즉 제2연결부재(6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편(61, 62)은 제1연결부재(5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리벽(37) 사이에 펼쳐진 상태로 있다가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와 결합될 때에는 직각으로 세워 제2연결부재(60)와 결합편(61, 62) 사이에 형성된 결합슬롯(63, 64)에 끼워 고정시킨다. 더욱이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1, 62)은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형성된 한 쌍의 유동 방지편(52, 53)을 사이에 두고 결합된다. 제1연결부재(50)의 유동 방지편(52, 53)은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1, 62)이 결합된 후에 제2연결부재(6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 유동 방지편(52, 53)이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중앙부위로부터 양측으로 한 쌍이 형성된 것은 제2연결부재(60)와 결합편(61, 62) 사이에 형성된 결합슬롯(63, 64)의 형성 위치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60)의 양단은 각각 하부 케이스(30)의 제2접속부(32) 및 제4접속부(34)까지 걸쳐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30)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벽(37) 상단에 형성 된 복수 격벽(39) 사이의 안착홈(38)에 제1연결부재(50)가 배치되고, 분리벽(37) 사이에 제2연결부재(60)가 각각 배치되며,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선택적으로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1, 62)이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더욱이 횡방향의 제1연결부재(50)에 종방향의 제2연결부재(60)가 하나씩 각각 연결되고, 이에 따른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위치가 달라진다.
한편, 하부 케이스(30)에는 내측에 복수로 형성된 분리벽(37)으로부터 각 접속부(31-34)로 연장되는 위치에 벽체(31a-34a)가 형성된다. 벽체(31a-34a)에는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의 단부가 관통되는 요홈(31b-34b)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하부 케이스(30)에 상부 케이스(20)가 결합되는 분기장치(100)의 접속부(21-24, 31-34)는 편의상 제1 내지 제4접속부로 나누고, 제1접속부(21, 31) 및 제3접속부(23, 33)는 제1연결부재(50)의 단부가 위치되고, 제2접속부(22, 32) 및 제4접속부(24, 34)는 제2연결부재(60)의 단부가 위치된다. 제1 내지 제4접속부(21-24, 31-34)에는 분기장치(100)로부터 접속되는 커넥터로서 픽스쳐(Fixture)(110, 120, 130)가 각각 연결되거나, 제2연결부재(60)와 선택적인 접속을 위한 리듀서(Reducer)(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1-24, 31-34) 중에서 어느 한 접속부, 예를 들어, 접속부(110)로 전기가 인입되고, 다른 모든 접속부(120, 130, 140)는 전기가 인출된다. 즉 4개의 접속부 중에서 하나의 접속부로는 전기가 인입되고, 다른 3개의 접속부는 전기가 인출된다. 따라서 전기가 인입되는 접속부(110)의 단부 구조와 전기가 인 출되는 접속부(120, 130, 140)의 단부의 구조는 상이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1 내지 제3접속부(120, 120, 130) 및 제4접속부(140)에 대하는 단부의 구조도 각각 상이할 것이다. 즉 전기가 인출되는 분기장치(100)의 접속부(22-24, 32-34)에 해당하는 단부는 단일의 핀 형상이고,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120, 130, 140)의 접속부에 해당하는 단부(도시하지 않음)는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넥터(110, 120, 130, 140)의 단부에는 전선이 결합되어 있고, 전선은 복수의 전선이 다발로 내장된 가요성 알루미늄 피(皮; 껍질) 케이블이 배선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140)의 접속부는 분기장치(100)의 어느 한 접속부(21-24, 31-34)에 연결되어 연결부재(50, 60)를 통해 전기를 인출하면서 필요로 하는 개수의 라인만을 선택스위치를 이용하여 인출해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20) 및 하부 케이스(30)의 외측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서 상부 커버(10) 및 하부 커버(12)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 커버(10) 및 하부 커버(12)에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접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 배선 분기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하부 케이스(30)에 형성된 복수의 분리벽(37) 사이에 제2연결부재(60)를 각각 배치시키고, 하부 케이스(30)의 분리벽(37) 상단에 형성된 격벽(39) 사이의 안착홈(38)에 제1연결부재(50)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각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중앙부위에 형성된 유동 방지편(52, 53)을 사이에 두고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1, 62)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더욱이 제1연결부재(50)와 제2연결부재 (60)가 미리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30)의 분리벽(37) 사이 및 상단에 위치시켜 배치하여도 좋다.
하부 케이스(30)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가 배치되면, 하부 케이스(30)에 대응하는 상부 케이스(20)를 덮어 결합시킴으로서 분기장치(100)를 조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의 단부가 각 접속부(21-24, 31-34)의 요홈(31b-34b)에 정확히 배치되어야 하고, 상부 케이스(20)에 의해 해당하는 연결부재(50, 60)의 단부가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기장치(100)의 접속부(21-24, 31-34)에 전기가 인입되는 부분과 전기가 인출되는 부분을 구별하여 해당하는 커넥터로서 픽스쳐(110, 120, 130) 및/또는 리듀서(140)를 접속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분기장치(100)를 천장, 즉 콘크리트 천장으로부터 천장재가 설치되는 사이의 소정 공간에 설치하여 전기 배선을 하는 경우에 전기가 인입되는 커넥터로서 픽스쳐(110)를 분기장치(100)의 어느 한 접속부(21, 31)에 연결시키고, 다른 접속부(22-24, 32-34)에는 전기를 분기시켜 인출할 수 있도록 픽스쳐(120, 130) 또는 리듀서(140)를 접속하여 연결시킨다. 이때 분기장치(100)의 접속부(21-24, 31-34)에는 인입용과 인출용 단부가 구별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른 픽스쳐(110, 120, 130) 또는 리듀서(140)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분기장치(100)의 외측, 즉 상부 커버(10)에도 인입 및 인출에 따른 위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접속의 오류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분기장치(100)에서 픽스쳐(110, 120, 130)나 리듀서(140)를 통해 분기 되어 인출된 배선은 다시 분기장치(100)를 이용하여 다른 픽스쳐 또는 리듀서를 통해 반복적으로 분기시켜 배선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분기장치(100)는 상기 천장뿐만 아니라, 사무실 등과 같이 바닥재가 설치된 경우에도 바닥재 하부의 공간을 통해 전기 배선을 분기시켜 연결할 수 있고, 배선 공간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벽체 내에도 시공 및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a 내지 도 6e는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6a는 제2연결부재(60)의 중앙 부위를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결합편(65)을 형성한 것으로, 절개는 제2연결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어느 한 부분이 제2연결부재(60)와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절개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5)을 상부로 절곡한 다음 다시 수평으로 절곡하여 결합편(65)의 결합슬릿(65a)이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를 감싸듯이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도 6b는 제2연결부재(60)의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하여 결합편(66)을 형성한 것으로, 절개는 제2연결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측면의 어느 한 부분이 제2연결부재(60)와 연결되고, 다른 부분은 절개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66)을 상부로 절곡한 다음 다시 수평으로 절곡하여 결합편(66)의 결합슬릿(65a)이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를 감싸듯이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6c는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중앙 부위에 통공(5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연결부재(60)의 중앙 부위에 고정공(67)을 형성하여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70)으로 통공(54) 및 고정공(67)을 일치시킨 후에 고정하여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d는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중앙 부위에 통공(5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연결부재(60)의 중앙 부위에 고정돌기(68)를 형성하여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형성된 통공(54)에 제2연결부재(60)의 고정돌기(68)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연결부재(50) 및 제2연결부재(60)가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 6e는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와 제2연결부재(60)의 표면이 단순히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30)의 분리벽(37) 사이에 배치된 제2연결부재(60) 위에 제1연결부재(50)가 거치되도록 한 후에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에 별도의 가압부재나 상부 케이스(20)의 하부 표면에 가압돌기 등을 형성하여 가압에 의하여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f는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 중앙 부위에 유동 방지편(52, 53)이 형성되어 있고, 제1연결부재(50)의 하부에 직각으로 배치된 제2연결부재(60)에는 복수의 결합편(71-7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71-74)은 제2연결부재(6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형태이다. 제2연결부재(60)의 측면 양단에 형성된 결합편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도 6f는 도 3의 하부 케이스(30)에 형성된 분리벽(37) 사이에 제2연결부재(60)를 배치하고, 분리벽(37)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홈(38)에 제1연결부재(50)를 배치시킨다. 이때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71-74) 사이에 제1연결부재(50)의 절곡부(51)가 배치되고, 절곡부(51)의 유동 방지편(52, 53) 하부에 위치한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71-74)을 유동 방지편(52, 53) 내측으로 꺾어 올린 다음에 다시 유동 방지편(52, 53)의 상단으로 꺾어 누른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50)의 유동 방지편(52, 53)을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71-74)이 감싸면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꺾어진 제2연결부재(60)의 결합편(71-74)을 압착수단 등으로 압착하여 유동 방지편(52, 53)과 결합편(71-74)이 가압되어 전기적인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배선 분기장치는 각 연결부재를 주석 등으로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함으로서 부식의 의한 전류용량의 감소를 최소화시키고,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의 전기적인 접촉을 단순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부재에 변형 가능성을 배제시키며, 연결부재의 결합부위가 일정한 접속 단면적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기적 특성이 안정적이고, 발열에 의한 화재의 가능성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에 복수의 분리벽을 형성하여 연결부재 사이의 효과적인 절연구조를 제공하고, 그리고 분기장치에 인입용과 인출용 접속부를 각각 구분하여 접속의 오류를 배제하며, 외부에 접속방향 등을 표시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또한, 분기장치의 외관에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를 부착하여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을 강하고, 화재 등으로부터 내화성능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기 배선을 분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와 대향하여 결합되되, 내측에 하나 이상의 분리벽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의 분리벽 사이에 배치되고, 제1연결부재와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제2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각각 보강부재로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부착되고, 노이즈 방지를 위한 접지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어느 하나의 제2연결부재와 접촉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유동 방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기 배선 분기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에 형성된 유동 방지편을 감싸면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의 상단은 제1연결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안착홈과 격벽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어느 한 접속부는 인입단으로 인입용 커넥터가 연결되고, 다른 접속부는 인출단으로 인출용 커넥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8. 단일의 인입단과 복수의 인출단을 갖는 전기 배선의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촉을 위한 절곡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와 전기 접촉을 위한 착탈식 결합편이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는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 접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결합편은 제2연결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소정 간격의 결합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결합편은 제2연결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11. 단일의 인입단과 복수의 인출단을 갖는 전기 배선의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촉을 위한 절곡부에 통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와 전기 접촉을 위한 고정수단이 결합되도록 고정공이 형성된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는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 접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12. 단일의 인입단과 복수의 인출단을 갖는 전기 배선의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촉을 위한 절곡부에 통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연결부재와, 제1연결부재의 절곡부에 형성된 통공과 전기 접촉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는 단순 결합에 의한 전기 접촉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 분기장치.
KR1020050116479A 2005-12-01 2005-12-01 전기 배선 분기장치 KR10073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479A KR100734026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 배선 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479A KR100734026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 배선 분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52A KR20070058152A (ko) 2007-06-07
KR100734026B1 true KR100734026B1 (ko) 2007-06-29

Family

ID=3835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479A KR100734026B1 (ko) 2005-12-01 2005-12-01 전기 배선 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71B1 (ko) 2008-08-22 2010-11-10 (주)원영이엔지 일체형 소켓 및 분기장치의 천장 배선용 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071B1 (ko) * 2008-07-04 2010-04-13 (주)원영이엔지 천장 배선용 분배기의 분기장치
KR101529276B1 (ko) * 2014-05-09 2015-06-29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다 채널 분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4975B1 (en) * 1999-06-16 2001-09-04 The Wiremold Company Divider for raceway tee assembly
KR20030062025A (ko) * 2002-01-15 2003-07-23 세홍산업 주식회사 천정배선 분기장치
KR20050002813A (ko) * 2002-01-07 2005-01-10 크레센다스 엠이시 (에스) 피티이. 리미티드 커넥터
KR20050074722A (ko) * 2004-01-14 2005-07-19 김성환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050109051A (ko) * 2005-03-22 2005-11-17 전경철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4975B1 (en) * 1999-06-16 2001-09-04 The Wiremold Company Divider for raceway tee assembly
KR20050002813A (ko) * 2002-01-07 2005-01-10 크레센다스 엠이시 (에스) 피티이. 리미티드 커넥터
KR20030062025A (ko) * 2002-01-15 2003-07-23 세홍산업 주식회사 천정배선 분기장치
KR20050074722A (ko) * 2004-01-14 2005-07-19 김성환 배전선로용 전선 분기접속구
KR20050109051A (ko) * 2005-03-22 2005-11-17 전경철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471B1 (ko) 2008-08-22 2010-11-10 (주)원영이엔지 일체형 소켓 및 분기장치의 천장 배선용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152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7152B1 (en) Poke-through floor fitting
CA2330504C (en) Bus bars for poke-through floor fitting
US7264499B2 (en) Power entry assembly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5322458A (en) Collective conenction device for wire conductors
KR101297487B1 (ko) 멀티 모듈러를 구비하는 분전반
KR20070107312A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100734026B1 (ko) 전기 배선 분기장치
US7201593B2 (en) Jump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JPH05135837A (ja) 配線付電気分配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導体支持部材並びにその結合機構
JP3113266U (ja) ユニット式分電盤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US6074073A (en) Extension device for decorative lamps
US5035636A (en) Disc stack connector
KR101236917B1 (ko) 조립식 컴팩트형 표준 분전반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0594909B1 (ko) 분,배전반용 주차단기와 모선부스바의 접속장치
JPH09107608A (ja) 配電用分岐箱
US9960580B1 (en) Universal electrical box
KR101120596B1 (ko) 조립식 표준 분전반
KR100967735B1 (ko) 부스 덕트장치용 트위스트 피더
KR20080022892A (ko) 전선접속장치
JP2019213410A (ja) 配電盤システム
KR100717890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2357979B1 (ko) 분전반
KR102606958B1 (ko) Mcc용 전기 접속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