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312A - 전기 배선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배선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312A
KR20070107312A KR1020060039640A KR20060039640A KR20070107312A KR 20070107312 A KR20070107312 A KR 20070107312A KR 1020060039640 A KR1020060039640 A KR 1020060039640A KR 20060039640 A KR20060039640 A KR 20060039640A KR 20070107312 A KR20070107312 A KR 2007010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terminals
connec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456B1 (ko
Inventor
김경종
전인석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인석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45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05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가 결합된 커넥터(Connector)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가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기 배선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단자, 접속단자, 배선구조, 픽스쳐, 리듀서

Description

전기 배선용 커넥터{Connector for distributing the electric power}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분해 사시도.
도2는 하부케이스의 사시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도2 및 도3의 A-A'선 단면도.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인입용 및 인출용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는 인출용 단자의 분해사시도.
도6은 인출용 단자의 결합사시도.
도7은 인출용 단자의 측면도.
도8은 인입용 단자의 분해사시도.
도9는 인입용 단자의 결합사시도.
도10은 인입용 단자의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2는 분해 사시도.
도13은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사시도.
도14는 평면도.
도1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3종류의 단자와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
도16은 본 발명 제2실시예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분기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3종류의 단자와 점퍼를 나타내는 도면.
도20은 본 발명 제3실시예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2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분기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자 112: 접속핀
200: 커넥터 210: 하부 케이스
211: 단자 삽입구 212: 분리벽
213: 접속단부 220: 상부케이스
230: 하부커버 231: 걸림편
232: 걸림돌기 240: 상부커버
250: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 251: 전선
본 발명은 단자가 결합된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천장이나 바닥 등에서 각종 전열기구나 조명등으로 연결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가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된 전기 배선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상변압기 등으로부터 건축물로 인입된 전선 케이블은 전력량계를 거쳐 분전반에서 분기되어 조명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천정이나 벽체 내부의 전선 분기장치(리셉터클)를 통하여 각종 전기기구(조명등)로 배선된다. 이를 위해 전선 분기장치는 전선 케이블과 결합된 각종 커넥터(아울렛, 콘센트 등)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0-0075192호는 전원공급을 위한 건물배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이 종래기술에 의한 플러그(커넥터)는 본체와 본체 내에 장착되는 숫합부재, 이 숫합부재를 커버하면서 상기 본체 사이에 덮여지는 덮 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플러그는 본체와 덮개가 조립에 의해 커버체를 이루며, 접착연부에 맞추어 조립체에 의하여 외측을 커버하는 플러그 형태를 갖추게 되고, 그 내부에 장착되는 숫합부재는 전선 터미널들을 단순하게 다수 집합시킨 공지의 플러그 구조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플러그 커버체는 숫합부재와의 조립을 위해 별도의 걸림턱, 밀착편, 삽착공, 지지슬릿 등이 형성되고, 숫합부재 자체도 6개의 사각통형이 일체로 결합되고, 별도의 걸림탄편, 삽지턱, 정착슬릿, 정착돌기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러그 커버체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이나 화재 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숫합부재와 플러그 커버체, 전선 등의 고정력이 약하므로 장기간 사용하면 커넥터의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접속 단자를 커넥터와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와 조립이 간편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탄성판을 구성하여 삽입된 전선이 빠지지 않고 단자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접속력이 강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단자 당 전선 삽입공을 복수로 구성하여 종래보다 많은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 효율을 보다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의 외부커버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화재 및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는 도전성 금속판에 전선과의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금속판이 연장되어 단일의 핀 형상 또는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상기 접속핀과 반대방향으로 일측에 도전성 금속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진 탄성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되, 가로방향의 상부 케이스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된 복수의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가 절단된 형태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핀이 연장하여 형성된 판상형의 연결부가 구성된 복수의 제2단자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로 구성되어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와 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나의 제3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며, 복수의 상부 케이스 통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통공의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며, 하단에 한 쌍의 접속핀이 구성된 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는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구성되어 각종 커넥터와 연결되는 분기장치(리셉터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장치(리셉터클)의 어느 한 접속부는 인출용 커넥터가 연결되고, 다른 접속부는 인입용 커넥터가 연결되되, 상기 인입용 커넥터중 하나로 선택적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커넥터(리듀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의 인입 또는 인출 여부에 따라 암커넥터 또는 숫커넥터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를 모두 포함한다.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이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은 분해 사시도, 도2는 하부케이스의 사시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도2 및 도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픽스쳐(Fixture)로써, 전선 분기장치(크로스 또는 리셉터클)와 연결되어 분전반으로부터 상기 분기장치로 전기를 인입시키 거나, 분기장치로부터 커넥터로 전기를 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의 커넥터는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의 두 종류로 구성된다.
도1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제1실시예 커넥터(200)는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100)가 결합되는 절연체로서의 하부 케이스(210), 상기 하부케이스(210)에 대응되는 상부케이스(220), 상기 하부케이스(210) 및 상부케이스(220)의 외주면에 각각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커버(230) 및 상부커버(240)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2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서 도2 및 도3과 같이 각각의 단자(1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211)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211) 사이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벽(212)이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210)에는 커넥터(200)가 타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 등과 접속되는 전방으로 단자(100)의 접속핀(112)이 향하도록 복수의 단자(100)가 나란히 장착 배열되어, 상기 각각의 단자의 접속핀(112)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기가 단자(100)와 결합된 전선(2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하부 케이스(210)에 6개의 단자(100)가 장착되는 6선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3개의 단자(100)가 장착된 3선 커넥터 또는 기타 다양한 숫자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자(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후 술하는 단자(100)의 구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210)는 단자(100)의 접속핀(112)이 향하는 전방으로 사각의 통공형태의 접속단부(213)가 형성되어 통공의 내부에 접속핀(112)이 위치한다. 상기 통공의 크기는 접속핀(112)의 용도(인입용 또는 인출용)에 따라 달라져,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인출용 커넥터(숫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 케이스(2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220)와 대향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220)는 하부 케이스(210)의 상단에 적층되어 하부 케이스(210)의 내부에 비치된 단자(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덮게 기능을 수행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210) 및 상부 케이스(220)의 외측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 커버(230) 및 상부 커버(240)가 구비되는데, 이렇게 금속재질의 외장을 사용하여 화재 등의 발생 시 난연특성을 가지고 외부에서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확보된다.
상기 하부 커버(230)는 전방 양 측면으로 걸림편(231) 또는 걸림돌기(232)를 구성하여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의 상호 결합 시, 또는 커넥터(200)와 분기장치의 결합 시에 결합된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231)과 걸림돌기(232)는 상호간 체결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암커넥터에는 걸림돌기(232)가 숫커넥터에는 걸림편(231)이 구성된다.
이러한, 하부 커버(230) 및 상부 커버(240)의 후방으로는 각 단자(100)와 결합되는 전선(251)들이 집합되어 이루어진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0)의 끝을 지지하기 위해 단부(233, 243)가 반원통형으로 둥글게 이루어져,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230) 및 상부 커버(240)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접지로 적용 가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240)의 단부(243)에 돌출홈(245)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홈(245)에 별도의 접지용 전선을 삽입,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상부 커버(230)의 전방으로는 커넥터(200)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244)을 형성하여, 결합 시 상하가 바뀌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홈(244)은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그 크기는 접속핀(112)의 용도(인입용 또는 인출용)에 따라 달라져, 오 체결 없이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인출용 커넥터(숫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230) 및 하부 커버(240)에는 커넥터 결합체의 체결을 위한 리벳 구멍을 구성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인입용 및 인출용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5 내지 도7은 인입용 단자, 도8 내지 도10은 인출용 단자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단자(100)는 소정의 개수 단위로 커넥터(200)와 조립되어, 단자(100)의 전선 삽입공(122)으로 삽입된 전선(251)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결합되는 단자(100)가 인입용인 경우 상기 커넥터(200)는 암커넥터가 되고, 단자(100)가 인출용인 경우 커넥터(200)는 숫커넥터가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200)와 결합되는 단자(100)는 도5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판을 성형하여 이루어지고,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탄성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에는 도5 및 도8과 같이 피복이 제거된 전선(251)과의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슬릿(111)이 형성되고, 도전성 금속판이 연장되어 단일의 핀 형상 또는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112)이 구성된다.
연결슬릿(111)은 단자(100)를 이루는 도전성 금속판을 성형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연결슬릿(111)에 각각 전선(251)의 피복이 제거된 나동선이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슬릿(111)은 복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단자로도 여러 개의 전선과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자에 2개의 연결슬릿(111)이 형성된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 나, 경우에 따라 연결슬릿(111)을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연결슬릿(111)이 형성된 금속판이 연장하여 이루어진 접속핀(112)은 단자(100)가 장착되는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 단일의 핀 형상 또는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접속핀(112)이 도5 내지 도7과 같이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단자(100)가 설치되는 커넥터는 숫커넥터가 되고, 접속핀(112)이 도8 내지 도10과 같이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단자가 설치되는 커넥터는 암커넥터가 된다.
이렇게 커넥터의 접속핀(112)의 형상이 두 개로 구성되는 것은 전기의 인출 또는 인입 여부에 따라 커넥터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가 인출되는 숫커넥터에 해당하는 접속핀(112)은 단일의 핀 형상이고, 이에 대응하여 전기가 인입되는 암커넥터에 해당하는 접속핀(112)은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는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며, 접속핀(112)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전기의 인입 및 인출에 따른 접속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연결슬릿(111)과 접속핀(112)이 구성된 단자(100)는 도6 및 도9와 같이 접속핀(112)과 반대방향으로 일측에 도전성 금속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진 탄성판(120)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판(120)은 판상형의 도전성 금속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절곡된 단면은 도7 및 도10과 같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되 일측에 개방부(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121)가 몸체(110)에 끼움 결합되어 단자를 이루게 된다.
위와 같이 절곡 성형되어 이루어진 탄성판(120)은 중앙부에 피복이 제거된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전선 삽입공(122)이 구성된다. 상기 전선 삽입공(122)으로 삽입된 전선은 몸체(110)의 연결슬릿(111)에 장착되어 전선과 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선 삽입공(122)의 개수 및 위치는 연결슬릿(111)의 개수 및 위치와 대응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전선 삽입공(122)의 크기 또한 삽입되는 전선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며, 그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통공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판(120)은 절곡 성형으로 직각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는 부위가 탄성작용을 하여 전선 삽입공(122)으로 삽입된 전선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빗변 부위는 일부 절개되어 상기 전선 삽입공(122)의 개수에 대응하게 절개편(123)을 이루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단자(100)는 커넥터(200)의 하부 케이스(210)에 끼움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커넥터(200)에 구비된 복수의 단자 삽입구(211)에 상기 단자(100)가 결합된다. 상기 단자 삽입구(211)의 개수는 결합되는 단자(100)의 개수에 대응되며, 또한 결합되어 배선구조를 이루는 숫커넥터, 분기장치 등의 단자 삽 입구의 개수와도 대응된다.
이렇게 단자(100)가 커넥터(200)에 끼움 고정되면,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0)에서 빠져나온 복수의 전선(251)이 단자(100)의 전선 삽입공(122)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삽입된 복수의 전선(251)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판(120)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삽입된 전선(251)이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11은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00), 하부케이스(210), 상부케이스(220), 하부커버(230) 및 상부커버(240)가 조립, 결합된 커넥터(200)는 내부의 단자(100)에 연결된 복수의 전선(251)이 집합되어 이루어진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0)의 양측으로 한 쌍이 구비되어 커넥터 결합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0)은 하부커버(230) 및 상부커버(240)의 단부(214) 내측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구성된 복수의 전선(251)이 단자(100)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수의 전선(251)이 다발로 내장되고 가요성 금속제(알루미늄) 피(皮: 껍질)에 의해 둘러싸여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제 피는 노이즈 등을 방지하는 접지로도 적용 가능하다.
도12 내지 도16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이다.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12는 분해 사시도, 도13은 하부케이스의 사시도, 도14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리듀서(Reducer)로써, 전선 분기장치(크로스 또는 리셉터클)와 분기장치로부터 커넥터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의 커넥터는 암커넥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2실시에는 내부에 단자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 상부케이스,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내부에 장착되는 단자의 구조 및 일단에 상기 제1실시예의 커넥터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면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12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 제2실시예는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300)가 결합되는 절연체로서의 하부 케이스(410), 상기 하부케이스(410)에 대응되는 상부케이스(420), 상기 하부케이스(410) 및 상부케이스(420)의 외주면에 각각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커버(430) 및 상부커버(440)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400)의 일측에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2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4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서 도13 및 도14와 같이 각각의 단자(3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자 삽입구(411)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411) 사이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벽(412)이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410)에는 커넥터(400)가 분기장치(리셉터클)와 접 속되는 전방으로 단자(300)의 접속핀(311, 312)이 향하도록 단자(300)가 나란히 장착 배열되어, 상기 각각의 단자의 접속핀(311, 312)을 통해 전기가 인입된다. 여기서 제2실시예의 커넥터(400)는 전기의 선택적 접속을 위한 장치로써,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3종류의 단자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300)의 구성에 대응되는 3가지 형태의 단자 삽입구(411)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300)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단자(300)의 구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410)는 단자(300)의 접속핀(312)이 향하는 전방으로 사각의 통공형태의 접속단부(413)가 형성되어 통공의 내부에 접속핀(312)이 위치한다. 상기 통공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제1실시예의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 케이스(4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420)와 대향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420)는 하부 케이스(410)의 상단에 적층되어 하부 케이스(410)의 내부에 비치된 단자(30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덮게 기능과 하부 케이스(410)에 장착된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의 배선량 절감을 위한 선택적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420)에는 가로방향의 상부 케이스 슬릿(4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421)을 따라 좌우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더(422)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 슬릿(421)의 길이는 후술하는 복수의 나열된 제2단자(320)의 너비 및 제3단자(330)의 연결부(332)의 너비와 대응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410) 및 상부 케이스(420)의 외측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 커버(430) 및 상부 커버(440)가 구비되는데, 이렇게 금속재질의 외장을 사용하여 화재 등의 발생 시 난연특성을 가지고 외부에서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확보된다.
상기 하부 커버(430) 및 상부 커버(440)는 전방 양 측면으로 걸림돌기(432, 442)를 구성하고 후방 양 측면으로는 걸림편(431)을 구성하여, 분기장치 및 제1실시예의 커넥터(200)와의 결합 시에 결합된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440)에는 상부 케이스(420)와 결합 시 상부 케이스 슬릿(4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커버 슬릿(443)이 구성되어 제2실시예 커넥터(400)가 조립 시에 외부에서 슬라이더(422)를 용이하게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상부 커버(440)의 전방으로는 커넥터(200)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444)을 형성하여, 결합 시 상하가 바뀌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홈(444)은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그 크기는 접속핀(312)의 용도(인입용 또는 인출용)에 따라 달라져,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인출용 커넥터(숫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440) 및 하부 커버(430)에는 커넥터(200) 결합체의 체결을 위한 리벳 구멍을 구성할 수 있다.
도1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3종류의 단자와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단자(300)는 소정의 개수 단위로 커넥터(400)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400)와 결합되는 단자(30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판을 3가지 형태로 성형한 제1단자(310), 제2단자(320) 및 제3단자(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422)가 별도로 구비된다.
제1단자(310)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리셉터클, 타 커넥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일단의 접속핀(311)은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의 접속핀(312)은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집게형상의 접속핀(31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분기장치(리셉터클)로부터 전기가 인입되고, 이에 따라 핀 형상의 접속핀(312)은 후방을 향하게 되어 연결된 제1실시예의 커넥터(200)로 전기가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31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전기를 단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단자(310)가 전기를 단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반해,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는 서로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단자(320)는 제1단자(310)가 절단된 형태로 일단에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3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핀(321)이 연장하여 형성된 판상형의 연결부(322)가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접속핀(321)이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3단자(33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332)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331)으로 구성되어 "┍" 형태를 이룬다. 상기 연결부(332)의 너비는 복수의 제2단자(320)가 배열된 너비와 대응되게 이루어져, 하나의 제3단자(330)가 제2단자(3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도13과 같이 이렇게 배열된 제1단자(310), 제2단자(320) 및 제3단자(330)는 하부 케이스(410)에 장착되고, 상부케이스(420)에 구비된 슬라이더(422)의 좌우 왕복운동에 따라 복수의 제2단자(320)가 하나의 제3단자(3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422)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커버의 내측으로 접속을 위한 도체부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420)에 형성된 슬릿(421)을 따라 좌우로 운동하면서 복수의 제2단자(320) 중 어느 하나와 제3단자(330)가 도체부에 의해 접속되어 제3단자의 부하 측 배선량이 절감되게 된다.
도16은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제2실시예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00), 하부케이스(410), 상부케이스(420), 하 부커버(430) 및 상부커버(440)가 조립, 결합된 커넥터(400)는 후방으로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1)이 연결된 제1실시예에 의한 3선용 커넥터(200)가 연결되어 커넥터 결합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분기장치(500)를 통해 인입된 전기는 제1실시예 커넥터(100)를 통해 제2실시예 커넥터(300)로 전달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인입/인출에 따른 접속핀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접속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17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분기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분기장치(리셉터클)(500)는 복수의 제1실시예 커넥터(픽스쳐)(200)와 하나의 제2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와 연결되어 전기 배선 시스템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제1실시예 커넥터(픽스쳐)(200) 중 하나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 전기를 인입시키는 숫커넥터가 되고, 나머지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부터 전기를 인입받는 암커넥터가 된다. 또한, 제2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부터 전기를 인입받는 암커넥터가 되며, 상기 제2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는 전기 배선시스템에 있어 분기장치(리셉터클)(500)에 하나 연결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 제3실시예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리듀서(Reducer)로써, 제2실시예의 커넥 터와 같이 전선 분기장치(크로스 또는 리셉터클)와 분기장치로부터 커넥터로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입시키는 암커넥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3실시예는 내부에 단자가 결합되고, 하부 케이스, 상부케이스, 하부커버 및 상부커버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장착되는 단자의 구조 및 일단에 제1실시예의 커넥터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면에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대신, 선택적 접속을 위한 점퍼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2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18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8을 참조하면, 본 발명 제3실시예는 내부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300)가 결합되는 절연체로서의 하부 케이스(410), 상기 하부케이스(410)에 대응되는 상부케이스(420), 상기 하부케이스(410) 및 상부케이스(420)의 외주면에 각각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커버(430) 및 상부커버(440)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400)의 일측에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200)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하부 케이스(4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서 도18과 같이 각각의 단자(30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단자(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단자 삽입구(411)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411) 사이에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분리벽(412)이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하부 케이스(410)에는 커넥터(400)가 분기장치(리셉터클)와 접속되는 전방으로 단자(300)의 접속핀(311, 312)이 향하도록 단자(300)가 나란히 장착 배열되어, 상기 각각의 단자의 접속핀(311, 312)을 통해 전기가 인입된다. 여기서 제3실시예의 커넥터(400)는 전기의 선택적 접속을 위한 장치로써, 각기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3종류의 단자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300)의 구성에 대응되는 3가지 형태의 단자 삽입구(411)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300)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단자(300)의 구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410)는 단자(300)의 접속핀(312)이 향하는 전방으로 사각의 통공형태의 접속단부(413)가 형성되어 통공의 내부에 접속핀(311, 312)이 위치한다. 상기 통공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제1실시예의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하부 케이스(4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상부 케이스(420)와 대향하여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 케이스(420)는 하부 케이스(410)의 상단에 적층되어 하부 케이스(410)의 내부에 비치된 단자(300)의 유동을 방지하고 고정시키는 덮게 기능과 하부 케이스(410)에 장착된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의 배선량 절감을 위한 선택적 연결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420)에는 복수의 상부 케이스 통공(4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통공(423)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는 점퍼(424)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 통공(423)의 개수는 후술하는 제2단자(3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 통공(423)의 형성 부위는 공지된 형상의 점퍼(424)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부 케이스(410) 및 상부 케이스(420)의 외측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로써 하부 커버(430) 및 상부 커버(440)가 구비되는데, 이렇게 금속재질의 외장을 사용하여 화재 등의 발생 시 난연특성을 가지고 외부에서의 물리적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확보된다.
상기 하부 커버(430) 및 상부 커버(440)는 전방 양 측면으로 걸림돌기(432, 442)를 구성하고 후방 양 측면으로는 걸림편(431)을 구성하여, 분기장치 및 제1실시예의 커넥터(200)와의 결합 시에 결합된 커넥터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440)에는 상부 케이스(420)와 결합 시 상부 케이스 통공(42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커버 통공(445)이 구성되어 제3실시예 커넥터(400)가 조립 시에 점퍼(422)를 용이하게 삽입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커버 통공(445)의 형성 부위는 상부 케이스(420)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상기 상부 커버(440)의 전방으로는 커넥터(200)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444)을 형성하여, 결합 시 상하가 바뀌어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슬라이딩홈(444)은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그 크기는 접속핀(112)의 용도(인입용 또는 인출용)에 따 라 달라져, 인입용 커넥터(암커넥터)와 인출용 커넥터(숫커넥터) 상호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440) 및 하부 커버(430)에는 커넥터(200) 결합체의 체결을 위한 리벳 구멍을 구성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의 내부에 끼움 고정되는 3종류의 단자와 점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 배선용 커넥터에 결합되는 단자(300)는 소정의 개수 단위로 커넥터(400)와 조립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동일하나, 일부 단자에 슬라이더(421) 대신 점퍼(424)와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통공(423)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400)와 결합되는 단자(300)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판을 3가지 형태로 성형한 제1단자(310), 제2단자(320) 및 제3단자(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점퍼(424)가 별도로 구비된다.
제1단자(310)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리셉터클, 타 커넥터 등과의 연결을 위한 접속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일단의 접속핀(311)은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단의 접속핀(312)은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집게형상의 접속핀(311)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분기장치(리셉터클)로부터 전기가 인입되고, 이에 따라 핀 형상의 접속핀(312)은 후방을 향하게 되어 연결된 제1실시예의 커넥터(200)로 전기가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자(31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전기를 단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단자(310)가 전기를 단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반해, 제2단자(320)와 제3단자(330)는 서로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단자(320)는 제1단자(310)가 절단된 형태로 일단에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3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핀(321)이 연장하여 형성된 판상형의 연결부(322)가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322)에는 점퍼(424) 하단에 구성된 접속핀이 삽입되는 통공(323)이 형성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제2단자(32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접속핀(321)이 전방을 향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된다.
제3단자(330)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332)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331)으로 구성되어 "┍" 형태를 이룬다. 상기 연결부(332)의 너비는 복수의 제2단자(320)가 배열된 너비와 대응되게 이루어지는데, 점퍼(424) 하단에 구성된 접속핀이 삽입되는 통공(333)이 복수로 형성되어, 하나의 제3단자(330)가 제2단자(3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22)에 형성된 통공(333)의 개수는 제2단자(320)의 개수와 대응된다.
도18과 같이 이렇게 배열된 제1단자(310), 제2단자(320) 및 제3단자(330)는 하부 케이스(410)에 장착되고, 상부케이스(420)에 결합되는 점퍼(424)의 삽입여부에 따라 복수의 제2단자(320)가 하나의 제3단자(3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점퍼(424)는 도19와 같이 부도체로 이루어진 상부의 하단으로 접속을 위한 한 쌍의 접속핀이 형성되어, 상부케이스(420)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 케이스 통공(423)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의 제2단자(320) 중 어느 하나와 제3단자(330)가 접속핀에 의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점퍼(424)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핀 중 하나는 제2단자(320) 중 제3단자(330)와 연결하고자 하는 단자의 통공(323)으로 삽입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핀은 제3단자(330)의 통공(333) 중 해당 제2단자(320)의 위치에 대응되는 통공(33)에 삽입 결합된다. 이로써 점퍼(424)의 삽입 결합에 따라, 선택적 접속이 이루어져 부하 측 배선량이 절감되게 된다.
도20은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된 제3실시예 커넥터 결합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300), 하부케이스(410), 상부케이스(420), 하부커버(430) 및 상부커버(440)가 조립, 결합된 커넥터(400)는 후방으로 가요성 알루미늄 피케이블(251)이 연결된 제1실시예에 의한 3선용 커넥터(200)가 연결되어 커넥터 결합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분기장치(500)를 통해 인입된 전기는 제1실시예 커넥터(100)를 통해 제3실시예 커넥터(300)로 전달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인입/인출에 따른 접속핀의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접속 오류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21은 본 발명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커넥터가 분기장치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분기장치(리셉터클)(500)는 복수의 제1실시예 커넥터(픽스쳐)(200)와 하나의 제3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와 연결되어 전기 배선 시스템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제1실시예 커넥터(픽스쳐)(200) 중 하나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 전기를 인입시키는 숫커넥터가 되고, 나머지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부터 전기를 인입받는 암커넥터가 된다. 또한, 제3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는 분기장치(리셉터클)(500)로부터 전기를 인입받는 암커넥터가 되며, 상기 제3실시예 커넥터(리듀서)(400)는 전기 배선시스템에 있어 분기장치(리셉터클)(500)에 하나 연결되거나,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나 수정 및 변환 실시가 가능한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다양한 형태의 접속 단자를 커넥터와 손쉽게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제조와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자에는 전선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탄성판을 구성하여 삽입된 전선이 빠지지 않고 단자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오랜 기간 사용해도 접속력이 강하게 유지된다.
또한, 하나의 단자 당 전선 삽입공을 복수로 구성하여 종래보다 많은 전선을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활용 효율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커넥터의 외부커버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화재 및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전기의 인입/인출에 따른 단자의 접속핀의 형태를 다르게 구성하여 접속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6)

  1.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도전성 금속판에 전선과의 연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성 금속판이 연장되어 단일의 핀 형상 또는 한 쌍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상기 접속핀과 반대방향으로 일측에 도전성 금속판이 절곡되어 이루어진 탄성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절곡된 단면이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되,
    중앙부에는 전선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전선 삽입공이 구성되고,
    빗변 부위에는 상기 전선 삽입공의 개수에 대응되는 절개편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각각 보강부재로써 금속재의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외함 접지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전방 양 측면으로 결합을 위한 걸림편 또는 걸림돌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6.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되, 가로방향의 상부 케이스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슬릿을 따라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된 복수의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가 절단된 형태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핀이 연장하여 형성된 판상형의 연결부가 구성된 복수의 제2단자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으로 구성되어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자와 슬라이더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나의 제3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각각 보강부재로써 금속재의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외함 접지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부 케이스와 결합 시 상부 케이스 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커버 슬릿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전방 양 측면으로는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가 구성되고, 후방 양 측면으로는 걸림편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1.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
    상기 단자가 결합되는 복수의 단자 삽입구가 구성되고, 각 단자 삽입구 사이에 분리벽이 구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대향하여 결합되며, 복수의 상부 케이스 통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통공의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며, 하단에 한 쌍의 접속핀이 구성된 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된 복수 의 제1단자와,
    상기 제1단자가 절단된 형태로 일단에는 한 쌍의 집게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이 구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접속핀이 연장하여 형성된 판상형의 연결부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점퍼 하단에 구성된 접속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제2단자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구성된 단일의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핀으로 구성되어 "┍"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에는 점퍼 하단에 구성된 접속핀이 삽입되는 통공이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제2단자와 점퍼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하나의 제3단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외측에 각각 보강부재로써 금속재의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는 노이즈 방지를 위한 외함 접지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부 케이스와 결합 시 상부 케이스 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 커버 통공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의 전방 양 측면으로는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가 구성되고, 후방 양 측면으로는 걸림편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16. 복수 방향으로 접속부가 구성되어 각종 커넥터와 연결되는 분기장치(리셉터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 배선용 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장치(리셉터클)의 어느 한 접속부는 인출용 커넥터가 연결되고, 다른 접속부는 인입용 커넥터가 연결되되,
    상기 인입용 커넥터중 하나로 선택적 접속 기능을 수행하여 배선량을 절감하는 커넥터(리듀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1020060039640A 2006-05-02 2006-05-02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100780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40A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6-05-02 전기 배선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640A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6-05-02 전기 배선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12A true KR20070107312A (ko) 2007-11-07
KR100780456B1 KR100780456B1 (ko) 2007-11-28

Family

ID=3906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640A KR100780456B1 (ko) 2006-05-02 2006-05-02 전기 배선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4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56B1 (ko) * 2012-09-27 2014-04-04 가온전선 주식회사 리듀서픽스처 커넥터
KR101386226B1 (ko) * 2013-03-28 2014-04-17 (주)한기술이엔지 배선분기용 커넥터
KR200475364Y1 (ko) * 2014-05-30 2014-12-01 한국탄소난방 주식회사 전열장치
KR101479445B1 (ko) * 2014-04-18 2015-01-05 가온전선 주식회사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2134880B1 (ko) * 2020-04-21 2020-07-16 가온전선 주식회사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CN112909609A (zh) * 2019-12-04 2021-06-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连接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10B1 (ko) 2008-03-28 2010-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0979265B1 (ko) 2008-12-24 2010-09-02 주식회사 이티에이 소켓단자의 변형 방지구조를 갖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 모듈용 프론트 콘넥터
KR100979266B1 (ko) 2008-12-24 2010-08-31 주식회사 이티에이 점퍼선의 결합구조를 갖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 모듈용 프론트 콘넥터
KR100979267B1 (ko) 2008-12-24 2010-08-31 주식회사 이티에이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 모듈용 프론트 콘넥터
KR100978548B1 (ko) 2008-12-31 2010-08-27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가동식 돌기와 고정식 돌기 및 반원추형 돌기와 반원통형 함몰돌기가 형성된 자동접속컨넥터
KR100996804B1 (ko) 2009-02-03 2010-11-26 한만경 노이즈가 개선된 rj45 잭
KR101251614B1 (ko) 2009-02-24 2013-04-08 주식회사 뉴지로 난방제품의 모듈형 전기 접속장치
KR200454226Y1 (ko) 2009-07-23 2011-06-24 주식회사 하엠 플러그 커넥터 및 이에 구비되는 마이크로타입의 웨이퍼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300B1 (ko) * 1998-03-23 2001-10-27 김태근 전기배선의분기결선을위한컨넥터
KR200275795Y1 (ko) 2002-01-31 2002-05-16 경신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KR20030025781A (ko) * 2002-04-12 2003-03-29 (주)신일전기 전선케이블 접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56B1 (ko) * 2012-09-27 2014-04-04 가온전선 주식회사 리듀서픽스처 커넥터
KR101386226B1 (ko) * 2013-03-28 2014-04-17 (주)한기술이엔지 배선분기용 커넥터
KR101479445B1 (ko) * 2014-04-18 2015-01-05 가온전선 주식회사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200475364Y1 (ko) * 2014-05-30 2014-12-01 한국탄소난방 주식회사 전열장치
CN112909609A (zh) * 2019-12-04 2021-06-0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连接器
KR102134880B1 (ko) * 2020-04-21 2020-07-16 가온전선 주식회사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456B1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456B1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US58554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modules
US6945815B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outlet
US6004163A (en) Electrical multi-pole plug-and-socket-type connector with associated socket part
US795096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US8226444B2 (en) Modular power strip
US20140099830A1 (en) One in four out connector
MX2007013482A (es) Puente de cuatro vias/bloque medio.
TW200402176A (en)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US7722392B2 (en) Expend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7683552B (zh) 多芯电缆断接器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US20160181751A1 (en) Plug element and plug system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US4547030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H02170373A (ja) 電線配線コネクタ
KR101737958B1 (ko) 조인트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조인트커넥터
EP4325669A1 (en) Connecting assembly, cable plug and cable assembly
CN101807759B (zh) 电连接器组件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CA2783131C (en) One in four out connector
KR101348194B1 (ko) 가변형 커넥터
FI124741B (fi) Kaksoispistor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