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880B1 -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 Google Patents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880B1
KR102134880B1 KR1020200047802A KR20200047802A KR102134880B1 KR 102134880 B1 KR102134880 B1 KR 102134880B1 KR 1020200047802 A KR1020200047802 A KR 1020200047802A KR 20200047802 A KR20200047802 A KR 20200047802A KR 102134880 B1 KR102134880 B1 KR 10213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ocket
cable
housing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라
김종희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와 연결되며,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에서 인출된 접지선과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선은 상기 하우징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CONNECTOR WITH GROUND FUNCTION}
본 발명은, 전선관과 전선이 일체화된 모듈로 구성된 ACF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금속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작업이나 배선 보수작업을 실시할 시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특히,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작업 과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은 각종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배선 작업은 전기 장치, 설치 장소, 전선의 규격과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배선 작업 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빠르고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금속형 커넥터가 모듈형으로 사용되고 있다.
커넥터는, 전선의 단부에 마련된 채 전선 분기장치 또는 또 다른 커넥터와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선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임과 동시에 배선 작업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커넥터가 ACF 케이블(Aluminum Clad Flex cable)과 같이 가요성이 우수한 케이블에 적용되면, 기존의 선(先)배관 후(後)배선의 제한적인 배선방식을 탈피할 수 있어서, 빠르고 안정적인 배선이 가능하고 특히 배관을 매입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건축구조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커넥터는, 그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가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지선을 케이블에서 인출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작업과정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ACF 케이블과 같이 금속재 외피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경우에는, 접지선을 인출하기 위하여, 금속재 외피를 절단하거나 탈피하는 부수적인 작업 과정이 요구되고, 또한, 전선 분기장치와 연결된 커넥터가 많을 수록 접지선을 인출 및 배선하기 하기 위한 작업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의 금속재 외피 케이블을 사용하면서도, 비전도성의 합성수지재 커넥터 연결 부위에서의 전기적 단락으로 인하여 매 구간마다의 접지작업은 사실상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고, 지속적 정전기 현상으로 인해 커넥터 하우징이 탄화되는 등 화재 발생의 위험까지도 안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0456호의 '전기 배선용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외장재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접지선과 외장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넥터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 배선 시스템에서 접지 작업을 작업자가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지기능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와 연결되며,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에서 인출된 접지선과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금속 외피와 접촉되는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에는 한 쌍의 소켓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켓구중 일측 소켓구에는 상기 접지선이 삽입되고, 나머지 타측 소켓구로는 상기 연결선이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커버에는 상기 연결선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 슬릿이 상기 결합구멍과 연통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결합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측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구멍을 구획 형성하는 상기 상측커버의 내면과 상기 하측커버의 내면은, 상기 금속 외피에 형성된 나선형 주름 형태와 대응되도록 산과 골이 연속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선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금속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은, MC 케이블, MCIF 케이블, AIA 케이블, ACF 케이블, SCF 케이블, 강제전선관, 금속가요전선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는, 케이블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선이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된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의 금속 외피와 접촉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케이블상에서 접지선을 인출하는 별도의 작업과정을 생략가능하게 하여 접지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는, 다수개의 커넥터에 의해 이루어진 전기 배선 시스템을 접지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작업과정을 간소화시킬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가 ACF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측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넥터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커버의 내측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선이 커넥터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커넥터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커넥터가 ACF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측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커넥터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커버의 내측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에 도시된 상측커버와 하측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선이 커넥터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기능을 구비한 커넥터(100)는,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와 연결되며,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에서 인출된 접지선(G)과 연결되는 소켓부(120); 및 상기 소켓부(120)에 삽입된 상기 접지선(G)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와 접촉되는 연결선(1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되는 상측커버(111) 및 하측커버(112)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커버(111)와 하측커버(112)는 마그네슘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참고로, 하우징(110)은, 케이블(C)과의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기의 발생을 줄이고, 특히,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측면에서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120)의 금속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이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제작되면, 서로간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정전기가 발생되거나 감전 또는 쇼크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하여 먼지나 수분, 기타 오염물질이 흡착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하우징(110)에 달라붙은 채 탄화되어 화재를 일으키거나 누전 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캐이블(C)의 금속 외피는 서로 동일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커버(111)와 상기 하측커버(112)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소켓부(120)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측커버(111)와 하측커버(1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10)은 그 일측과 타측이 각각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하우징(110)의 일측에는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와 결합되기 위하여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소켓부(120)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측커버(111)의 일측과 하측커버(112)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반원 형태의 홈부(113)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소켓부(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에서 노출된 다수 가닥의 전선과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소켓부(120)는, 수형 소켓과 암형 소켓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수형 소켓으로 이루어진 소켓부(120)가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반대로, 암형 소켓으로 이루어진 소켓부(미도시)는,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소켓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에서 노출된 접지선(G)이 삽입되는 제1소켓구(121)와, 상기 제1소켓구(121)에 삽입된 접지선(G)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선(CL)이 인출되는 제2소켓구(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소켓구(121)와 상기 제2소켓구(122)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채 상기 소켓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소켓구(121)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120)의 부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커버(112)와 접촉된 채 상기 제2소켓구(122)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120)의 부위보다 상기 하측커버(112)에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측커버(112)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소켓구(122)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120)의 부위는 상기 제1소켓구(121)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120)의 부위보다 상기 상측커버(111)에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상측커버(111)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선(130)은, 상기 소켓부(120)를 매개로 상기 접지선(G)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부(120)의 제2소켓구(122)에서 인출될 수 있다. 즉, 연결선(130)의 일단은 제2소켓구(122)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선(130)은,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하우징(110)의 내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와 접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연결선(130)이 하우징(110) 또는 금속 외장재 케이블(C)과 접촉된 상태를 이루면, 상기 연결선(G)과 상기 하우징(110) 및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금속 외장재 케이블(C)에서 접지선(G)을 인출하는 별도의 접지작업을 작업자가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접지작업을 위하여,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를 절단하거나 벗겨낸 뒤 접지선을 인출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의 접지작업을 생략하고 접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선(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측커버(111) 또는 하측커버(112)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연결선(13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선(130)을 통하여 작업자는 배선 시스템의 접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선(130)과 접촉되는 하우징(110)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선(130)을 하우징(110)의 상측커버(111) 또는 하측커버(112)와 접촉시킨 상태로 외부로 노출시키기만 하면, 이 연결선(130)이 또 다른 접지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선(130)을 이용하여 접지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선(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을 구성하는 금속 외피에 동시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선(130)은,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는 지점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연결선(13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구멍(113)을 경유한 채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상기 상측커버(1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130)의 길이방향 부위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 슬릿(11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111a)은, 상기 결합구멍(113)을 구획 형성하는 상측커버(111)의 내면에서, 상기 결합구멍(113)과 연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와 결합되기 위하여, 상측커버(111)와 하측커버(112)가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단부를 수용한 채 서로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슬릿(111a)에 안착된 연결선(130)이 결합구멍(113)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연결선(130)은, 상측커버(111)의 내면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에 동시 접촉된 상태로 노출된다.
위와 같이, 접지선(G)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선(130)을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 사이에 정렬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선(130)이 하우징(130) 또는 금속 외장재 케이블(C)과 비접촉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선(130)이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의 금속 외피와 접촉되는 구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다수개의 암형 커넥터(100)의 하우징(110)과 수형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이 서로 통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작업자는, 서로 결합된 다수개의 암형 커넥터(100)와 수형 커넥터(100), 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된 다수개의 케이블(C)상에서 접지 작업을 각각 수행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재로 제작된 하우징(110)과 금속 외장재 케이블(10)의 금속 외피 및 상기 연결선(1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수개의 커넥터(100)와 연결된 케이블(C)에서 접지선(G)을 인출하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다수개의 커넥터(100)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만으로 자연스럽게 전기 배선 시스템 전체가 접지된 상태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은, MC 케이블, MCIF 케이블, AIA 케이블, ACF 케이블, SCF 케이블, 강제전선관, 금속가요전선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ACF 케이블이 커넥터(100)와 연결되는 것을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C)이 외면에 나선형 주름 형태가 형성된 케이블로 사용되면, 상기 결합구멍(113)을 구획 형성하는 상기 상측커버(111)의 내면과 상기 하측커버(112)의 내면은, 상기 나선형 주름 형태와 대응되도록 산과 골이 연속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커넥터 110 : 하우징
111 : 상측커버 112 : 하측커버
113 : 홈부 120 : 소켓부
121 : 제1소켓구 122 : 제2소켓구
130 : 연결선 G : 접지선
C : 금속 외장재 케이블

Claims (9)

  1.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와 연결되며, 전기가 흐르는 금속재로 제작되고, 서로 결합되는 상측커버와 하측커버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에서 인출된 접지선과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기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금속 외피와 접촉되는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에는 한 쌍의 소켓구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소켓구중 제1소켓구에는 상기 접지선이 삽입되고, 나머지 제2소켓구로는 상기 연결선이 인출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단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구멍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커버에는 상기 연결선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가이드 슬릿이 상기 결합구멍과 연통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은,
    상기 결합구멍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측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며, 그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소켓구와 상기 제2소켓구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소켓부에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소켓구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의 부위는 상기 제2소켓구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의 부위보다 상기 하측커버에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하측커버가 형성하는 내측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2소켓구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의 부위는 상기 제1소켓구가 형성된 상기 소켓부의 부위보다 상기 상측커버에 근접하게 배치된 채 상기 상측커버가 형성하는 내측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멍을 구획 형성하는 상기 상측커버의 내면과 상기 하측커버의 내면은, 상기 금속 외피에 형성된 나선형 주름 형태와 대응되도록 산과 골이 연속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의 금속 외피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장재 케이블은,
    MC 케이블, MCIF 케이블, AIA 케이블, ACF 케이블, SCF 케이블, 강제전선관, 금속가요전선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KR1020200047802A 2020-04-21 2020-04-21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KR10213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02A KR102134880B1 (ko) 2020-04-21 2020-04-21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802A KR102134880B1 (ko) 2020-04-21 2020-04-21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880B1 true KR102134880B1 (ko) 2020-07-16

Family

ID=7183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802A KR102134880B1 (ko) 2020-04-21 2020-04-21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8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484U (ko) * 1984-09-25 1986-04-23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70116483A (ko) * 2006-06-05 2007-12-10 동양기전 주식회사 전력커넥터용 홀딩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484U (ko) * 1984-09-25 1986-04-23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KR20070116483A (ko) * 2006-06-05 2007-12-10 동양기전 주식회사 전력커넥터용 홀딩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367A (en) Electrical-installation system
KR200410147Y1 (ko) 전기뇌관 각선 커넥터
CN107800084B (zh) 通信系统的接地电缆组件
CN219696714U (zh) 用于通信连接器的触头以及通信连接器
CN101043109B (zh) 具有角形连接器的屏蔽电气捆束及其制造方法
US9645341B2 (en) Cable assembly with connector having twist ability for aligning mating features
US5711685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movable seal at cable entry end
US3193792A (en) Connector-contact adapter
CN107554445A (zh) 线束
JP3359760B2 (ja) 電気的接続要素及び接続
CA2604816A1 (en) Wire-line connection system
KR102134880B1 (ko) 접지기능을 구비한 금속형 프리와이어링 커넥터
KR101648781B1 (ko) 브라켓이 구비된 접지부 배선박스를 이용한 모듈화 전기배선 시공방법
CN201741888U (zh) 插座护套
JP201515349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RU24448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штекерных разъемов, имеющее компактную и упрощен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JP5325698B2 (ja) 電線接続ユニット
CN210007116U (zh) 一种10kV落地式快速供电取电连接装置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CN220556625U (zh) 取电线缆和作业机械
JP3838934B2 (ja) 電気配線連結器
CN104466874A (zh) 电缆用线对线连接器、电缆用线对线连接器组件及设置有线对线连接器的电缆组件
CN217182571U (zh) 二合一插接结构
CN210111212U (zh) 一种线束快速安装连接的新能源汽车控制器
CN217823411U (zh) 一种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