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6226B1 - 배선분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선분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6226B1
KR101386226B1 KR1020130033656A KR20130033656A KR101386226B1 KR 101386226 B1 KR101386226 B1 KR 101386226B1 KR 1020130033656 A KR1020130033656 A KR 1020130033656A KR 20130033656 A KR20130033656 A KR 20130033656A KR 101386226 B1 KR101386226 B1 KR 101386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nch
wiring
coupling
wiring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한기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술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기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03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분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배선작업시 전원의 분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10)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수평결합되는 제2커넥터(12)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를 결합한 후, 결합되는 제3커넥터(13)로 구성되는 부도체부(1)와 상기 부도체부(1)의 내측에 구비되며, 접속클립(21)과 접속핀(22) 및 분기접속핀(23)으로 구성되는 도체부(2) 및 상측케이스(31)과 전측케이스(32) 및 후측케이스(23)으로 구성되는 케이스부(3)로 구성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Description

배선분기용 커넥터{ELECTRIC WIRING DISTRIBUTING CONNECTOR}
본 발명은 배선분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배선작업시 전원의 분기를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통상적으로 전기공급을 위해, 전기배선망 시공을 할 때, 다양한 배선용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선용부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커넥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의 역할은 다수개의 배선용 전선을 결선해주는 것으로, 여러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여러개의 전선을 분기해주는 크로스커넥터와 단순히 배선을 연장결선하는 결선용커넥터가 있다.
상기 크로스커넥터는 1개의 인입구와 다수개의 분기로 구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대표적으로는 1개의 인입구와 3개의 분기구로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크로스커넥터는 동일평면상에서 여러방향으로 배선을 분기하는 역할만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제10-1211945호(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이하 '선행기술 1'이라함.)는 서로 다른 커넥터부 측으로 분기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다수의 분기바가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되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구비하되, 각 배선분기유닛은 다른 인접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수지로 개별적으로 피복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배선분기장치는 다수의 분기바가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각 배선분기유닛을 만든 후 개별적으로 피복한 다음 다층으로 적층시키므로 각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뿐더러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각 배선분기유닛의 적층시 본래의 적층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546호(천장 배선용 분배기, 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케이스에서 분배기가 결합되는 전단부가 파형 곡선(S-Line)으로 구성되어 전단부의 좌우길이가 상이하게 되고, 케이스의 전단부 일측에는 관통 형성된 관통결합공과 타측에는 케이스 외부로 돌출 형성된 돌출결합공으로 구성되어 돌출결합공이 분배기의 결합시 상대 분배기의 케이스 내측으로 삽입되고, 케이스의 타측의 내부에 요홈과 돌기부가 형성된 결합스프링걸림부와, 일단은 절곡부가 타단은 컬링부가 구성되고 컬링부와 연결된 곡선의 록킹부와 록킹부와 록킹부와 절곡부를 연결하는 직선부로 구성된 결합편으로 된 결합장치가 구성되어, 분배기의 잘못 결합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1 및 2는 동일평면상에서만 분기작업이 가능할 뿐, 입체적인 분기작업은 용이하지 않거나, 배선 분기를 위한 별도의 리드선을 더 구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 구조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는 단순한 구조 그 생산성이 높으며, 입체적인 구조의 배선분기 작업이 용이한 배선분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는 제1커텍터(11)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배면부를 마주보도록 하여 수평결합하는 제2커넥터(12)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합부위의 하단부에 수직결합되는 제3커넥터로 이루어진 부도체부(1)와 상기 부도체부(1)에 내삽되데, 제1커넥터(11)에 내삽되는 접속클립(21)과 상기 접속클립(21)과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커넥터(12)에 내삽되는 접속핀(22)과 상기 접속클립(21) 및 접속핀(22)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커넥터(13)에 내삽되는 분기접속핀(23)으로 이루어진 도체부(2) 및 상기 부도체부(1)를 내포하는 외함역할을 하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케이스(31)와 상기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케이스(32) 및 상기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케이스(33)로 이루어진 케이스부(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11)는 수커넥터의 형상으로 일측 단부에 다수개의 접속단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111)와 연장되어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112)가 형성되며, 배면측면부에는 결합홈(114)이 형성되고, 배면상측면에는 연장편결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결합홈(116)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12)는 암커넥터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21)이 형성되고, 배면상측에는 연장편(122)이 더 형성되며, 배면하측에는 격벽(123)이 형성되고, 배면부 측면에는 결합홈(124)이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1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속홈(125)이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커넥터(13)는 암커넥터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31)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결합편(13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32)의 단부에는 단자걸림홀(133)이 더 형성되고, 배면부 일측에는 걸림쐐기(135)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체부(2) 접속핀(22)의 일측에는 걸림편(24)이 형성되고, 분기접속핀(23)의 일측에는 한쌍의 걸림편(25)이 더 형성되어, 부도체부(1)에 내삽되어 있는 도체부(2)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선분기용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3과 4는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부도체부(1)의 결합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1커넥터(1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2커넥터(12)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3커넥터(13)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도체부(3)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활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는 제1커넥터(11)와 상기 제1커넥터(12)와 수평결합되는 제2커넥터(12)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를 결합한 후, 결합되는 제3커넥터(13)로 구성되는 부도체부(1)와 상기 부도체부(1)의 내측에 구비되며, 접속클립(21)과 접속핀(22) 및 분기접속핀(23)으로 구성되는 도체부(2) 및 상측케이스(31)과 전측케이스(32) 및 후측케이스(23)으로 구성되는 케이스부(3)로 구성된다.
상기 부도체부(1)는 내측에 도체부(2)를 내삽하고 있으며, 제1커넥터(11)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12) 및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에 결합되는 제3커넥터(13)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는 수평결합되고, 상기 제3커넥터(13)는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가 결합된 후 제1커텍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합부위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11)는 인입선이 결합되는 곳이고, 제2커넥터(12)는 인출선이 결합되며, 제3커넥터(13)는 인출선 및 분기선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부도체부(1)에 내삽되는 도체부(2)는 제1커넥터(11)에 내삽되는 접속클립(21)과 상기 접속클립(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커넥터(12)에 내삽되는 접속핀(22) 및 상기 접속클립(21)과 접속핀(22)의 중간에 수직으로 분기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3커넥터(13)에 내삽되는 분기접속핀(23)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도체부(2) 또한 '┳'형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도체부(1)의 내측에 도체부(2)가 내삽되어 결합된 후, 부도체부(1)의 외측에 케이스부(3)가 결합되어 완성되는데, 상기 케이스부(3)는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케이스(31)와 상기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전방측에 결합되는 전측케이스(32) 및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후방측에 결합되는 후측케이스(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3)의 일측에는 락킹부재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락킹부재는 걸림쇠(34)와 누름버튼(35)으로 구성되고, 상측케이스(31)와 전측케이스(32)의 내측 측면부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케이스(31)와 전측케이스(32)의 일측면에 각각 걸림쇠홀(31a, 32a) 및 누름버튼홀(31b, 32b)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걸림쇠(34)가 위치하며, 상기 걸림쇠(34)의 일측에 누름버튼(35)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락킹부재는 배선망 구축시 커넥터간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부도체부(1)의 결합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1커넥터(1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2커넥터(12)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제3커넥터(13)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케이스부(3)의 내측에 구비되고, 도체부(2)를 내삽하고 있는 부도체부(1)는 제1커넥터(11)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수평으로 결합되는 제2커넥터(12) 및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가 결합부분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제3커넥터(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1)는 수커넥터의 형상으로 일측 단부에 다수개의 접속단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111)와 연장되어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획되어 형성된 공간부(112)와 접속단부(111)에 도체부(2)중 일부분이 내삽된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11)의 배면상측면 일측에는 연장편결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결합홈(116)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더 형성되며, 배면측면부에는 결합홈(114)이 더 형성된다.
이는 제2커넥터(12)를 수평결합할 때,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2커넥터(12)의 배면부를 제1커넥터(11)의 배면부와 마주보도록 하여 수평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11)의 배면상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에 의해 결합력이 유지되고, 제2커넥터(12)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제1커넥터(11)의 배면측면부에 결합홈(114)을 형성하여 결합시 두개의 커넥터(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커넥터(11)의 접속단부(111)에는 가이드(1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15)는 배선망 작업시 결선을 위한 또다른 배선용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와 결합될 때,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115)는 상측방향에 1개가 위치하고, 하측방향에 2개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커넥터(11)의 일측에 형성된 접속단부(111)중 가운데에 위치한 접속단부에는 상측방향에 가이드가 위치하고, 양측에 각각 위치한 두개의 접속단부에는 하측방향에 각각 가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115)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커넥터의 결합시 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커넥터(11)와 수평결합되는 제2커넥터(12)는 암커넥터의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21)이 형성되어 도체부(3)중 일부분이 내삽되고, 배면상측에는 연장편(122)이 형성되고, 배면하측에는 격벽(123)이 형성되며, 배면부 측면에는 결합홈(124)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편(122)은 제2커넥터(12)의 상측면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배면부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장편(1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속홈(125)이 더 형성되어, 제1커넥터(11)를 결합할 때,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내삽되어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장편(122)은 제1커넥터(11)의 배면부 상측 일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커넥터(11)의 연장편결합홈(116)에 결합되고, 결속홈(125)에 걸림돌기(113)가 내삽되어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속력유지 및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12)의 단자삽입홀(121)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홀(126)이 더 형성된다.
이 또한, 또다른 커넥터와 결합시 결합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에 수직결합되는 제3커넥터(13)는 암커넥터의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31)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결합편(13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삽입홀(131)은 내측에 도체부(3)중 일부분이 내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편(132)은 각각의 단자삽입홀(131)의 배면 측에 연장되어 각각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편(132)의 단부 일측에는 단자걸림홀(133)이 더 형성되어, 단자부(3)중 일부가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커넥터(13)의 단자삽입홀(131)의 일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가이드홀(134)이 더 형성되고, 또다른 커넥터와 결합시 결합방향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 및 제3커넥터(13)는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가 수평으로 결합되고, 제3커넥터(13)가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합부분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커넥터(11)의 배면부에 형성된 연장편결합홈(116)에 제2커넥터(12)의 연장편(122)이 위치하도록 하여 수평결합하고,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각각의 배면부를 마주보도록 하여 결합한 후, 생성되는 개방공간에 제3커넥터(13)를 끼워넣기하여 수직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커넥터(13)의 배면측면과 상기 배면측면과 인접한 결합편(132)의 사이에 제1커넥터(11)의 결합홈(114)과 제2커넥터(12)의 결합홈(124)이 내삽되도록 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커넥터(13)를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합부분에 끼워넣기 하여 결속하게 될 때, 제3커넥터(13)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쐐기(135)가 제1커넥터(11)의 배면부에 형성된 걸림단부(117)와 제2커넥터(12)의 배면부에 형성된 걸림단부(127)에 각각 걸리게 되어 결속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 및 제3커넥터(13)를 결합하여 부도체(1)가 완성되는 것이고, 상기 부도체부(1)의 내측에 도체부(2)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도체부(2)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부도체부(1)에 내삽되는 도체부(2)는 제1커넥터(11)에 내삽되는 접속클립(21)과 상기 접속클립(2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커넥터(12)에 내삽되는 접속핀(22) 및 상기 접속클립(21)과 접속핀(22)의 중간에 수직으로 분기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3커넥터(13)에 내삽되는 분기접속핀(23)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클립(21)은 암단자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한쌍의 연결핀의 측면부를 마주보도록 하여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또다른 커넥터의 접속핀이 내삽되어 결선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클립(21)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속핀(22)은 접속클립(21)의 중심과 가상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속클립(21)의 한쌍의 연결핀 사이의 중심부와 접속핀(22)이 가상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접속클립(21)의 연장부 일측을 절곡하여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속핀(22)의 일측에는 걸림편(24)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접속클립(21)에 적용되는 횡측압력에 의해, 도체부(2)가 부도체부(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클립(21)과 접속핀(22)의 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분기접속핀(23)은 일측에 한쌍의 걸림편(25)을 형성하여, 제3커넥터(13)에 내삽될 때, 결합편(132)의 단부 일측에 형성되는 단자걸림홀(133)에 내삽되어 도체부(2)를 지지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는 배선망 구축시 다수개의 커넥터를 결합할 때, 내측에 위치하는 도체부(2)의 유동성을 줄여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활용상태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는 천정 또는 바닥에 형성되는 전기배선망에 사용되며, 단일평면에 설치되는 배선망을 입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배선분기용 커넥터의 전원 인입구의 역할을 하는 제1커넥터(11)에 전원이 인입되는 인입선의 커넥터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통상의 끼움방식으로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커넥터(11)에 전원인입선을 결합한 후, 제2커넥터(12)에 전원인출선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며, 제3커넥터(13)에는 또다른 인출선 또는 분기선을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3커넥터(13)에 결합되는 분기선은 또다른 평면상에 형성되는 배선망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이거나, 전등과 같은 장치에 바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리드선을 적용하지 않고 전등 등에 직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기 배선망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1 : 부도체부 2 : 도체부 3 : 케이스부
11 : 제1커넥터 12 : 제2커넥터 13 : 제3커넥터
21 : 접속클립 22 : 접속핀 23 : 분기접속핀
24 : 걸림편 25 : 걸림편 31 : 상측케이스
32 : 전측케이스 33 : 후측케이스 34 : 걸림쇠
35 : 누름버튼 111 : 접속단부 112 : 공간부
113 : 걸림돌기 114 : 결합홈 115 : 가이드
116 : 연장편결합홈 117 : 걸림단부 121 : 단자삽입홀
122 : 연장편 123 : 격벽 124 : 결합홈
125 : 결속홈 126 : 가이드홀 127 : 걸림단부
131 : 단자삽입홀 132 : 결합편 133 : 단자걸림홀
134 : 가이드홀 135 : 걸림쐐기

Claims (8)

  1. 전기 배선작업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커텍터(11)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배면부를 마주보도록 하여 수평결합하는 제2커넥터(12)와 상기 제1커넥터(11)와 제2커넥터(12)의 결합부위의 하단부에 수직결합되는 제3커넥터로 이루어진 부도체부(1);와
    상기 부도체부(1)에 내삽되데, 제1커넥터(11)에 내삽되는 접속클립(21)과 상기 접속클립(21)과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커넥터(12)에 내삽되는 접속핀(22)과 상기 접속클립(21) 및 접속핀(22)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커넥터(13)에 내삽되는 분기접속핀(23)으로 이루어진 도체부(2); 및
    상기 부도체부(1)를 내포하는 외함역할을 하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케이스(31)와 상기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케이스(32) 및 상기 상측케이스(31)의 하단부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케이스(33)로 이루어진 케이스부(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1)는 수커넥터의 형상으로 일측 단부에 다수개의 접속단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부(111)와 연장되어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공간부(112)가 형성되며, 배면측면부에는 결합홈(11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1)의 배면상측면에는 연장편결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결합홈(116)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12)는 암커넥터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21)이 형성되고, 배면상측에는 연장편(122)이 더 형성되며, 배면하측에는 격벽(123)이 형성되고, 배면부 측면에는 결합홈(1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1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결속홈(12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13)는 암커넥터 형상으로 내측에 구획된 다수개의 단자삽입홀(131)이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다수개의 결합편(13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32)의 단부에는 단자걸림홀(13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13)의 배면부 일측에는 걸림쐐기(13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도체부(2)의 접속핀(22)의 일측에는 걸림편(24)이 형성되고, 분기접속핀(23)의 일측에는 한쌍의 걸림편(2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용 커넥터.

KR1020130033656A 2013-03-28 2013-03-28 배선분기용 커넥터 KR101386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656A KR101386226B1 (ko) 2013-03-28 2013-03-28 배선분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656A KR101386226B1 (ko) 2013-03-28 2013-03-28 배선분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226B1 true KR101386226B1 (ko) 2014-04-17

Family

ID=5065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656A KR101386226B1 (ko) 2013-03-28 2013-03-28 배선분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2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816B1 (ko) * 2013-09-10 2015-06-15 (주)한기술이엔지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KR20160076651A (ko) * 2014-12-23 2016-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WO2021161113A1 (en) * 2020-02-10 2021-08-19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with splice contact por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54A (ko) * 2006-04-28 2007-11-01 안광현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JP2011003402A (ja) 2009-06-18 2011-01-06 Toshiba Corp コネクタ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054A (ko) * 2006-04-28 2007-11-01 안광현 적층전원분배패널
KR20070107312A (ko) * 2006-05-02 2007-11-07 가온전선 주식회사 전기 배선용 커넥터
JP2011003402A (ja) 2009-06-18 2011-01-06 Toshiba Corp コネクタモジュー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816B1 (ko) * 2013-09-10 2015-06-15 (주)한기술이엔지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KR20160076651A (ko) * 2014-12-23 2016-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101666869B1 (ko) 2014-12-23 2016-10-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WO2021161113A1 (en) * 2020-02-10 2021-08-19 Avx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with splice contact portion
US11545763B2 (en) 2020-02-10 2023-01-03 KYOCERA AVX Components Corporation Wire-to-wire connector with splice contact por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4473B (zh) 电插接连接部的插接连接器以及由其形成的电插接连接部
US11411358B2 (en) Outlet connection schema for a PDU
US9806502B2 (en) Hybrid plug-on/pigtail neutral bar
KR101386226B1 (ko) 배선분기용 커넥터
TWM544135U (zh) 銅排連接器及端子組件
JP2009176688A (ja) 通信線用の分岐コネクタ
JP6567160B2 (ja) 多極の電気的な差込みコネクタ部材、および、差込みコネクタ装置
JPWO2017150567A1 (ja) 端子収容体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8510484A (ja) パッチボード
JP2018520489A5 (ko)
TWM617632U (zh) 電連接器
KR20090073878A (ko)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CN107431292B (zh) 蜂房式组合件
JP3217592U (ja) 差込み位置の自由なテーブルタップ
US20150111444A1 (en) Joint terminal
JP2014165048A (ja) ジョイントバスバー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TWI790796B (zh) 電連接器
JP5949647B2 (ja) 電線スプライス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1086594A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及び差し込み式電線コネクター
US3423722A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interfitting housing members
JPH10228968A (ja) 分岐配線用接続器
JP2015233016A (ja) 差込み位置の自由なテーブルタップ
KR101211945B1 (ko)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7091704A (ja) ジョイント端子およ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566730B2 (ja) 圧接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