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816B1 -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 Google Patents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816B1
KR101528816B1 KR1020130108237A KR20130108237A KR101528816B1 KR 101528816 B1 KR101528816 B1 KR 101528816B1 KR 1020130108237 A KR1020130108237 A KR 1020130108237A KR 20130108237 A KR20130108237 A KR 20130108237A KR 101528816 B1 KR101528816 B1 KR 101528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ront case
male connector
female connec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286A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한기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기술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한기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30108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8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배선용 리드선 커넥터로서, 전기배선시 전등배선과 같은 분기 및 배선연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면케이스(1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상기 수커넥터(30)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내측에 내삽되는 암커넥터(40)와 상기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결선해주는 연결단자(50) 및 상기 암커넥터(40)와 결선되어 연결단자(50)와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리드선(60)으로 구성되는 전기배선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A CONNECTOR WITH LEAD FOR LIGHTING}
본 발명은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로서, 전기배선시 직접형 또는 간접형의 전등배선과 같은 분기 및 배선연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결선되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기배선망을 구현시 커넥터와 또다른 전선의 커넥터를 손쉽게 결합하여 배선망 구축이 용이하도록 하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커넥터의 경우 분기를 위해서는 별도의 분기용 부재를 더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600호(자석을 이용한 부착수단을 구비한 천정배선접속구,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은 전선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 중 일개의 커넥터로부터 분기선을 인출하는 형태가 적용된 기술을 개시하고는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분기선을 인출하여 등기구에 결선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그 형태가 정형화되어, 전기배선현장의 특성과 상관없이 적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등기구용 분기커넥터와 일반커넥터 모두를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반커넥터에 결합하여 등기구에 분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전기배선망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면에 수커넥터안착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커넥터안착부(12)가 형성되며, 수커넥터안착부(11)와 암커넥터안착부(12)의 사이에 일측면에 개방홀(19)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1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대응하며, 일측에 수커넥터안착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안착부(22)가 형성되며, 전면케이스(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수커넥터안착부(11)와 배면케이스(20)의 수커넥터안착부(21)에 위치하며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암커넥터안착부(12)와 배면케이스(20)의 암커넥터안착부(22)에 위치하며 내삽되고, 상기 수커넥터(30)와 배면부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암커넥터(40)와 상기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결선해주며, 합성수지재질의 부도체(51)와 상기 부도체(51)상에 일부분이 내포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금속봉(52)으로 구성되는 연결단자(50) 및 상기 암커넥터(40) 또는 수커넥터(30)와 결선되어 연결단자(50)와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리드선(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에는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한쌍의 쐐기형클립(71)이 형성되는 고정클립(70) 또는 한쌍의 날개형클립(71A)이 형성되는 고정클립(70A)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에는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인접하는 일측 각각의 측면에 결합핀(8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에는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는 수커넥터결합턱(1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결합턱(16)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대응하며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의 일측에 수커넥터결합턱(2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결합턱(26)이 더 형성되어 내측에 결합되는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는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그네슘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단자(50)는 양측단부 일부분을 박피한 절연전선으로 대체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커넥터와 결합하여 등기구에 분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배선망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제공하여, 별도의 등기구용 커넥터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스(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커넥터(3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암커넥터(4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선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클립(70A)의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를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면케이스(10)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는 전면케이스(1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일측에 위치하며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상기 수커넥터(30)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내측에 내삽되는 암커넥터(40)와 상기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결선해주는 연결단자(50) 및 상기 암커넥터(40)와 결선되어 연결단자(50)와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리드선(6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는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고정클립(70)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수커넥터(30)와 인접하는 일측 각각의 측면에 결합핀(80)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는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그네슘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는 수커넥터(30)가 결합되는 수커넥터안착부(11)와 상기 수커넥터안착부(11)의 반대측에 암커넥터(40)가 결합되는 암커넥터안착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수커넥터안착부(11)와 암커넥터안착부(12)의 사이일측면에 개방홀(19)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홀(19)은 본선으로부터 분기되는 리드선(60)이 수커넥터(30) 또는 암커넥터(40)와 결선된 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리드선(60)은 배선용분기선 또는 전등에 직결되는 분기선으로 활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10)의 수커넥터안착부(11)의 측면에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결합핀돌출구(14)가 형성되고, 암커넥터안착부(12)측으로 인접한 측면에 결합핀버튼돌출구(13)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핀버튼돌출구(13)와 인접하며, 암커넥터안착부(12)측 측면에 결합핀결합구(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핀결합구(15)에는 결합핀(80)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핀(8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버튼(82)은 결합핀버튼돌출구(13)로 돌출되며, 일측단부에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 결합고리(81)가 결합핀돌출구(14)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면케이스(10)의 수커넥터안착부(1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암커넥터안착부(12)의 측면에는 결합핀걸림구(18)가 각각 형성된다.
이는 배선망 결합시 또다른 커넥터와 결합될 때, 또다른 커넥터의 결합핀의 결합고리가 결합되어 걸리도록 하는 것으로, 각각의 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10)에는 각각 수커넥터결합턱(17) 및 암커넥터결합턱(16)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커넥터결합턱(17)은 수커넥터안착부(11)와 인접하도록 전면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암커넥터결합턱(16)은 암커넥터안착부(12)와 인접하도록 전면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하여 각각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일측에 내삽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홀(19)에는 한쌍의 가이드(19a)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9a)는 전면케이스(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데, 상세하게 설명하면, 개방홀(19)의 원주상에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쌍의 가이드(19a)가 형성되어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클립(70)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클립(70)에 구비되는 한쌍의 쐐기형클립(71)이 각각 한쌍의 가이드(19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클립(70)이 전면케이스(10)에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클립 고정클립(70)은 평판부(72)의 일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의 쐐기형클립(7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클립(70)은 등기구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멍에 직접 결합되는 직부형으로써, 한쌍의 일측에 쐐기가 형성되는 쐐기형클립(71)한쌍이 등기구의 구멍에 내삽되어 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직부형에 적용되는 클립과 함께 또다른 고정클립(70A : 도 8참조)를 이용하여 간접형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클립(70A)는 평판부(72A)에 날개가 형성되는 한쌍의 날개형클립(71A)이 형성되어, 금속외장형 케이블 등을 내삽하게 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10)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는 전면케이스(10)와 대응하도록 각각 수커넥터안착부(21)와 암커넥터안착부(22)가 각각 단부형성되고, 결합핀(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핀돌출구(24), 결합핀버튼돌출구(23) 및 결합핀결합구(25)가 각각 전면케이스(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커넥터결합턱(17) 및 암커넥터결합턱(16)도 각각 전면케이스(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내측에는 각각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가 연결단자(50)에 의해 결선되고, 암커넥터(40) 또는 수커넥터(3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리드선(60)이 결선되고 결선된 리드선(60)을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로 돌출시켜 분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내측에 각각의 부품들이 식장된 후, 내측 측면에 한쌍의 결합핀(80)을 배치하고,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에 고정클립(70)의 일부를 돌출되도록 위치한 후,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단자(50)는 합성수지재질의 부도체(51)와 상기 부도체(51)상에 내포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금속봉(5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단자(50)는 각각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내측에 구비되는 각각의 단자와 결선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단자(50)는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일반적은 절연전선의 양측을 박피한 전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커넥터(3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수커넥터안착부(11, 21)에 각각 결합되는 수커넥터(30)는 커넥터몸체부(31)와 상기 커넥터몸체부(31)에 내삽되는 암단자부(33)와 상기 커넥터몸체부(31)와 결합되는 마감캡(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몸체부(31)는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접속단부(31a)를 일측에 형성하며, 마감캡(32)을 결합하기 위한 돌기홈(31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부(31a)의 일측에는 가이드(31c)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상기 가이드(31c)는 배선작업시 커넥터의 결합방향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커넥터(30)를 암커넥터부(40)에 결합할 때,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41c)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몸체부(31)의 내측에 내삽되는 암단자부(33)는 접속클립(33a)과 상기 접속클립(33a)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슬릿(33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클립(33a)은 한쌍의 연결핀의 측면부를 마주보도록 하여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며, 한쌍의 연결핀 사이에 접속핀(43a; 도 6참조)이 삽입되어 결선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접속클립(33a)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연결슬릿(33b)은 결선을 위한 심선의 피복이 박피된 곳의 도체가 접속되는 부분으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슬릿(33b)에 절개편(33c)이 결합되어 심선의 도체를 밀착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절개편(33c)의 절개된 부분에 연결슬릿(33b)이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때, 상기 절개편(33c)의 단부 절곡된 절개부는 탄성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절개편(33c)과 연결슬릿(33b)의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단자(50)의 금속봉(52) 또는 전선에 구비되는 심선의 도체를 가압하여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더상세한 설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80456호에도 개시되어 있듯이 당업계에 널러 알려진 공지기술임으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와 같은 암단자부(33)를 커넥터몸체부(31)에 내삽한 후 커넥터몸체부(31)의 일측에 마감캡(32)을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암단자부(33)의 접속클립(33a)은 커넥터몸체부(31)의 접속단부(31a)의 내측에 내삽되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각 구획되어 있는 접속단부(31a)에 다수개의 암단자부(33)의 접속클립(33a)이 각각 내삽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접속단부(31a)에 암단자부(33)의 접속클립(33a)가 구분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암단자부(33)에 또다른 커넥터의 단자부분이 결합될 때, 단락 및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암커넥터(4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의 사이에 내삽되고, 수커넥터(30)와 결선되는 암커넥터(40)는 암커넥터몸체부(41)와 상기 암커넥터몸체부(41)에 내삽되는 수접속단자(43)와 상기 암커넥터몸체부(41)에 결합되는 마감캡(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암커넥터몸체부(41)은 내측에 다수개의 격벽(41a)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마감캡(42)를 결합하기 위한 돌기홈(41b)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가이드홈(41c)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41a)은 암커넥터몸체부(41)의 내측을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수커넥터(30)가 암커넥터(40)에 결합될 때, 수커넥터(30)의 접속단부(31a)가 내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41c)은 접속단부(31a)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31c)가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암커넥터몸체부(41)의 내측에 위치하는 수접속단자(43)는 접속핀(43a)과 상기 접속핀(43a)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슬릿(43b)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핀(43a)은 수커넥터(30)의 암단자부(33)의 접속클립(33a)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접속핀(43a)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연결슬릿(43b)에 절개편(43c)에 의해 전선의 심선 또는 연결단자(50)의 금속봉(52)이 결속되는 것이다.
이는 앞서 서술한 수커넥터(30)와 동일한 기술임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접속단자(43)를 암커넥터몸체부(41)에 내삽한 후 마감캡(42)을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캡(42)의 일측에는 암커넥터몸체부(41)의 돌기홈(41b)에 삽입되는 돌기(42b)가 형성되며, 일측면에 전선의 심선 또는 연결단자(50)의 금속봉(52)이 내삽되는 통공(4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42a)은 상하 2열로 형성되고, 마감캡(42)에 인접하는 절개편(43c) 및 수접속단자(43)의 상하 2열로 형성된 연결슬릿(43b)가 인접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측 및 하측에 2열로 배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부피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측에 형성된 연결슬릿(43b)에 리드선(60)의 심선이 결합되고, 하측에 형성된 연결슬릿(43b)에 전선의 심선 또는 연결단자(50)의 금속봉(52) 이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선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연결단자(50)와 배선분기를 위한 리드선(60)으로 결선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커넥터(30)의 마감캡(32)와 암커넥터(40)의 마감캡(42) 부분을 마주보도록 배치한 후 연결단자(50)를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하여 결선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커넥터(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암접속단자(33)에 연결단자(50)의 금속봉(52)을 결선하며, 반대측에 위치하는 금속봉(52)은 암커넥터(40)의 수접속단자(43)를 결선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단자(50)를 이용하여 결선된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 중 수커넥터(30) 또는 암커넥터(40) 중 하나의 커넥터에 리드선(60)을 결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암커넥터(40)에 리드선(60)이 결선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연결단자(50)로 결선하고, 암커넥터(40)에 리드선(60)을 결선한 후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에 내삽시켜 완성하게 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형광등과 같은 매립형 전등에 직결한 직부형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백열등과 같은 전등에 리드선을 통한 분기 결합한 간접형의 예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완성된 전기배선용 리드선커넥터(1)의 양측에 각각 전선이 결선된 커넥터(2, 3)을 각각 결선한 다음 리드선커넥터(1)의 전면케이스 측에 형광등과 같은 매립형 전등(4)의 케이스에 직접결합하여 직부형으로 결속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에 일부분이 돌출되어 결합되는 고정클립(70)에 의해 전등의 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리드선커넥터(1)의 양측에 각각 전선이 결선된 커넥터(2, 3)을 각각 결선하여 배선망을 형성한 후, 인출되는 리드선(60)을 내포하는 금속외장케이블(6)의 단부에 백열등과 같은 노출형 전등(5)을 간접형으로 결선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선(60)을 내포하는 금속외장케이블(6)의 단부에는 노출형 전등(5) 뿐만 아니라 매립형 전등(4)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활용하여 천장에 배선망을 구축하고, 등기구에 적합하도록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10 : 전면케이스 11 : 수커넥터안착부
12 : 암커넥터안착부 13 : 결합핀버튼돌출구
14 : 결합핀돌출구 15 : 결합핀결합구
16 : 암커넥터결합턱 17 : 수커넥터결합턱
18 : 결합핀걸림구 19 : 개방홀
20 : 배면케이스 21 : 수커넥터안착부
22 : 암커넥터안착부 23 : 결합핀버튼돌출구
24 : 결합핀돌출구 25 : 결합핀결합구
30 : 수커넥터 31 : 커넥터몸체부
32 : 마감캡 33 : 암단자부
40 : 암커넥터 41 : 암커넥터몸체부
42 : 마감캡 43 : 수접속단자
50 : 연결단자 51 : 부도체
52 : 금속봉 60 : 리드선
70 : 고정클립 80 : 결합핀

Claims (7)

  1. 전기배선용 리드선 커넥터에 있어서,
    일측면에 수커넥터안착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암커넥터안착부(12)가 형성되며, 수커넥터안착부(11)와 암커넥터안착부(12)의 사이에 일측면에 개방홀(19)이 형성되는 전면케이스(1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대응하며, 일측에 수커넥터안착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안착부(22)가 형성되며, 전면케이스(10)의 배면에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수커넥터안착부(11)와 배면케이스(20)의 수커넥터안착부(21)에 위치하며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상기 전면케이스(10)의 암커넥터안착부(12)와 배면케이스(20)의 암커넥터안착부(22)에 위치하며 내삽되고, 상기 수커넥터(30)와 배면부를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암커넥터(40);와
    상기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를 결선해주며, 합성수지재질의 부도체(51)와 상기 부도체(51)상에 일부분이 내포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금속봉(52)으로 구성되는 연결단자(50) 및
    상기 암커넥터(40) 또는 수커넥터(30)와 결선되어 연결단자(50)와 수직방향으로 분기되는 리드선(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에는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한쌍의 쐐기형클립(71)이 형성되는 고정클립(7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의 개방홀(19)에는 일부분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결합되는 한쌍의 날개형클립(71A)이 형성되는 고정클립(70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와 배면케이스(20)에는 내삽되는 수커넥터(30)와 인접하는 일측 각각의 측면에 결합핀(8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전면케이스(10)의 일측에는 수커넥터결합턱(1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결합턱(16)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전면케이스(10)에 대응하며 결합되는 배면케이스(20)의 일측에 수커넥터결합턱(2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암커넥터결합턱(26)이 더 형성되어 내측에 결합되는 수커넥터(30)와 암커넥터(4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6. 제 1항 내지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0) 및 배면케이스(20)는 마그네슘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50)는 양측단부 일부분을 박피한 절연전선으로 대체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KR1020130108237A 2013-09-10 2013-09-10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KR10152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37A KR101528816B1 (ko) 2013-09-10 2013-09-10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37A KR101528816B1 (ko) 2013-09-10 2013-09-10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86A KR20150029286A (ko) 2015-03-18
KR101528816B1 true KR101528816B1 (ko) 2015-06-15

Family

ID=5302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37A KR101528816B1 (ko) 2013-09-10 2013-09-10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8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41A (ko) * 2012-09-27 2014-04-04 가온전선 주식회사 등기구용 스마트커넥터
KR101386226B1 (ko) * 2013-03-28 2014-04-17 (주)한기술이엔지 배선분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0941A (ko) * 2012-09-27 2014-04-04 가온전선 주식회사 등기구용 스마트커넥터
KR101386226B1 (ko) * 2013-03-28 2014-04-17 (주)한기술이엔지 배선분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86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504814A (ja) 改良されたロッキング手段を備える電気的コネクタ
JP2563707Y2 (ja) コネクタ
CN103262348A (zh) 用于接线装置的端子结构
CN109690880A (zh) 屏蔽金属板
JP6567160B2 (ja) 多極の電気的な差込みコネクタ部材、および、差込みコネクタ装置
CN106252952A (zh) 用于照明装置的连接器、相应的配件及方法
US11018466B2 (e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and outlet system
AU2007349106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JP2018520489A5 (ko)
KR101528816B1 (ko) 등기구용 리드선 커넥터
EP3783746A1 (en) Easily assembled connector
KR101391712B1 (ko) 등기구용 스마트커넥터
CN105244653A (zh) 一种接线端子
CN104600441A (zh) 快速接线端子
US9368949B2 (en) Channel system
CN210156599U (zh) 易于组装的连接器
CN205178097U (zh) 一种接线端子
JP3112507U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の構造
TWI393301B (zh) 電源連接器
CN105826708B (zh) 一种多芯插入式连接器的连接结构
JP3037093B2 (ja) 電源コード
CA2966347C (en) Electrical wire connector
US20070207678A1 (en) Contact Sleeve for Stranded Conductor Connections
JP2017098157A (ja) スプライス端子
CN214542749U (zh) 带多个接头的主电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