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945B1 -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945B1
KR101211945B1 KR1020110044120A KR20110044120A KR101211945B1 KR 101211945 B1 KR101211945 B1 KR 101211945B1 KR 1020110044120 A KR1020110044120 A KR 1020110044120A KR 20110044120 A KR20110044120 A KR 20110044120A KR 101211945 B1 KR101211945 B1 KR 10121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wiring
wiring branch
units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5056A (ko
Inventor
이성균
Original Assignee
(주)원영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영이엔지 filed Critical (주)원영이엔지
Publication of KR2012011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서로 다른 커넥터부 측으로 분기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다수의 분기바가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되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구비하되, 각 배선분기유닛은 다른 인접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수지로 개별적으로 피복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배선분기장치는 다수의 분기바가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각 배선분기유닛을 만든 후 개별적으로 피복한 다음 다층으로 적층시키므로 각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뿐더러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각 배선분기유닛의 적층 시 본래의 적층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A branch device of the electric wi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배선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각 접속포트에 장착되는 다수의 커넥터부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전원을 나머지 커넥터부 측으로 연결하는 배선분기모듈을 포함하는 배선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기구 설비에는 필수적으로 천정내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정내 배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03899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천정배선 분기구는 소정형태로 절곡된 3개의 단자편들을 적층한 뒤 절연수지로 피복 성형하여 각 접속단자 측으로 접속공들이 형성되는 접속기를 포함한다.
개시된 천정배선 분기구의 각 단자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소정 형태로 절곡시켜 제조하는데,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절곡시켜 단자편을 제조하게 되면 플레이트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단자편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단자편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다수회 절곡시키는 과정을 거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 있다.
또, 개시된 천정배선 분기구에서는 각 단자편을 적층한 뒤 사출성형을 통해 접속기와 일체화시키는데, 이와 같이 각 단자편을 적층한 후 접속기를 사출성형하게 되면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에 의해 각 단자편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배선분기유닛의 제조 시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하는 그 제조공정이 간단한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선분기유닛의 제조 시 각 배선분기유닛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분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다수의 접속포트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각 접속포트에 장착되는 다수의 커넥터부와, 상기 다수의 커넥터부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전원을 나머지 커넥터부 측으로 연결하는 배선분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분기모듈은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은 서로 다른 커넥터부 측으로 분기되도록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고,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각 배선분기유닛은 다른 인접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수지로 개별적으로 피복되어 다층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을 구성하는 한 조의 분기바들은 각각 결합홈을 구비하여 서로 대응하는 결합홈끼리 결합하며,
상기 결합홈끼리 결합되는 부분의 높이는 상기 분기바의 높이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바는 상기 배선분기유닛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그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연수지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배선분기모듈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부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는 상기 케이스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 또는 상면에는 외면 접속포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포트에 배치되는 상기 배선분기유닛 중 어느 하나의 각 분기바에는 상기 외면 접속포트를 통해 인입되는 연결 접속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연결 접속단자는 고정 클립에 의해 상기 각 분기바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은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6개의 제1,2,3,4,5,6배선분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각 연결부 중 제2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호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각 연결부 중 제5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6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5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은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제1,2,3,4배선분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제4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은 상기 커넥터부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제1,2,3배선분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십(十)자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과 상호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과 상호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의 분기바들은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은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으로 이루어진 배선분기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배선분기모듈의 제조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만들고,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이 다른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접하지 않도록 다층으로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의 제조는,
다수의 분기바를 절단하고,
상기 각 분기바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각 분기바가 다수의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상호 대응시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분기바에 외면에 절연수지를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분기바를 절단한 후에는,
상기 다수의 분기바의 외측 단부를 압착시켜 접속단자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분기바에 접속단자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배선분기유닛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분기바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분기바를 절곡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소정 형태로 절곡시켜 제조하는 단자편을 갖는 종래와는 달리 각 분기바를 절단하고 결합홈을 형성시켜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함에 따라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쉽다.
또,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다수회 절곡시켜 제조하는 단자편을 갖는 종래와는 달리 일정 길이의 분기바를 절단하고 결합홈을 형성시켜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함에 따라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또,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각 단자편을 제조 후 적층한 뒤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배선분기장치의 제조 시 사출성형을 하지 않으므로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에 의해 배선분기유닛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배선분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선분기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각각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에서 각 배선분기유닛에 피복된 절연수지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에서 외부의 연결 접속단자가 각 배선분기유닛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배선분기유닛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배선분기유닛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배선분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선분기유닛 중 제1배선분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배선분기유닛에 대한 제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각 배선분기유닛에 절연수지가 피복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배선분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다수의 접속포트(15)가 형성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각 접속포트(15)에 장착되는 다수의 커넥터부(20)와, 다수의 커넥터부(20)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입력선의 전원을 나머지 커넥터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하는 배선분기모듈(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3)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3)의 결합에 의해 다수의 접속포트(15)를 형성한다. 이러한 다수의 접속포트(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후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데, 2방향, 3방향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수의 접속포트(15)가 형성되는 케이스(10)의 단부는 파형으로 마련되되, 좌우측 단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0)의 단부의 좌우측 길이가 서로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것은 사용자가 배선분기장치의 접속포트(15)의 어떤 부분이 좌측인지 우측인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배선분기장치와 외부의 커넥터(미도시)의 결합 시 서로 대응되는 케이스(10)의 단부와 외부 커넥터의 단부의 결합면이 동일한 파형을 가질 경우에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배선분기장치와 외부의 커넥터의 결합 시 서로 대응되는 케이스(10)의 단부와 외부 커넥터의 단부의 결합면이 동일한 파형을 가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호 파형 곡선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케이스(10)의 저면 또는 상면에는 조명기구의 전원선의 연결 접속단자(31)가 직접적으로 배선분기모듈(30)과 연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한 별도의 외면 접속포트(17)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각 접속포트(15)에 장착된다. 이러한 커넥터부(20)는 외부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일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20) 중 하나에 결합되는 외부의 커넥터는 나머지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출력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선일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부(20)에는 후술할 배선분기모듈(30)의 접속단자(37)가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21)은 후술할 배선분기모듈의 접속단자(37)와 대응되는 숫자를 갖는다.
배선분기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입력선의 전원을 나머지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출력선으로 분기시키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을 포함한다.
각 배선분기유닛(35)은 다수의 분기부재의 결합을 통해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각각 분기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은 커넥터부(20) 측에서 상호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여기서, 다수의 분기부재는 바형상의 분기바 및 박판형상의 분기판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분기바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각 배선분기유닛(35)은 다른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수지(36)로 개별적으로 피복되며,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각 배선분기유닛(35)이 상호 겹치는 부분에서는 다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배선분기유닛(35)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선분기유닛(35)은 제1배선분기유닛(40)과, 제2배선분기유닛(50)과, 제3배선분기유닛(60)과, 제4배선분기유닛(70)과, 제5배선분기유닛(80) 및 제6배선분기유닛(90)을 포함한다.
제1배선분기유닛(40)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제1,2,3,4분기바(41,42,43,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3,4분기바(41,42,43,44)는 4각형상의 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 1,2,3,4분기바(41,42,43,44)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4각형상뿐만 아니라 다각형상 또는 원가둥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2,3,4분기바(41,42,43,44)의 각 외측 단부에는 커넥터부(20)의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외부의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원형의 접속단자(37)가 형성된다. 이러한 접속단자(37)는 바형상의 분기바의 단부를 압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제1,2,3,4분기바(41,42,43,44)의 내측 단부는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다. 즉, 제1,2,3,4분기바(41,42,43,44)는 내측 부분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후 다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2,3,4분기바(41,42,43,44)에는 각 분기바(41,42,43,44)가 상호 결합되어 제1배선분기유닛(40)을 이루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의 결합홈(38)은 각 분기바(41,42,43,44)의 1/2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홈(38)끼리 결합되는 부분은 각 분기바(41,42,43,44) 자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선분기유닛(40)은 제1,2,3,4분기바(41,42,43,44)가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1연결부(45)가 마련된다.
제2배선분기유닛(50)은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 측을 향하는 제5,6,7,8분기바(51,52,53,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5,6,7,8분기바(51,52,53,54)는 제1배선분기유닛(40)의 제1,2,3,4분기바(41,42,43,44)의 좌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제5,6,7,8분기바(51,52,53,54)는 제1배선분기유닛(40)의 각 분기바(41,42,43,44)와 마찬가지로 그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가지며,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5,6,7,8분기바(51,52,53,54)는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때의 결합홈(38)은 제1배선분기유닛(40)에 형성되는 각 분기바(41,42,43,44)의 결합홈(38)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5,6,7,8분기바(51,52,53,54)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38)끼리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2연결부(55)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제2연결부(55)는 제1연결부(45)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3배선분기유닛(60)은 도 4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20) 측을 향하는 제9,10,11,12분기바(61,62,63,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9,10,11,12분기바(61,62,63,64)는 제2배선분기유닛(50)의 제5,6,7,8분기바(51,52,53,54)의 좌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제9,10,11,12분기바(61,62,63,64)는 제1,2배선분기유닛(40,50)의 각 분기바와 마찬가지로 그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가지며,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9,10,11,12분기바(61,62,63,64)는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제9,10,11,12분기바(61,62,63,64)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38)끼리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3연결부(65)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제3연결부(65)는 제2연결부(55)의 내측에 배치된다.
제4배선분기유닛(70)은 도 4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20) 측을 향하는 제13,14,15,16분기바(71,72,73,7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3,14,15,16분기바(71,72,73,74)는 제3배선분기유닛(60)의 각 분기바(61,62,63,64)의 좌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제13,14,15,16분기바(71,72,73,74)는 그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가지며,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3,14,15,16분기바(71,72,73,74)는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3,14,15,16분기바(71,72,73,74)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38)끼리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4연결부(75)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제4연결부(75)는 제3연결부(6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5배선분기유닛(80)은 도 4 및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20) 측을 향하는 제17,18,19,20분기바(81,82,83,8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7,18,19,20분기바(81,82,83,84)는 제4배선분기유닛(70)의 각 분기바(71,72,73,74)의 좌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제17,18,19,20분기바(81,82,83,84)는 그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가지며,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7,18,19,20분기바(81,82,83,84)는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7,18,19,20분기바(81,82,83,84)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38)끼리 결합될 때 각 분기바가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5연결부(85)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제5연결부(85)는 제4연결부(75)의 외측에서 제2연결부(5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6배선분기유닛(90)은 도 4 및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단부가 각 커넥터부(20) 측을 향하는 제21,22,23,24분기바(91,92,93,9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1,22,23,24분기바(91,92,93,94)는 제5배선분기유닛(80)의 각 분기바(81,82,83,84)의 좌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의 제21,22,23,24분기바(91,92,93,94)는 그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가지며,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1,22,23,24분기바(91,92,93,94)는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21,22,23,24분기바(91,92,93,94)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38)끼리 결합될 때 각 분기바가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제6연결부(95)가 마련되는데, 이때의 제6연결부(95)는 제5연결부(85)의 외측에서 제1연결부(4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은 다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배선분기유닛(35)과 통전되지 않도록 각 결합홈(38)끼리의 결합된 후 절연수지(36)로 피복되고, 절연수지(36)로 피복된 후 상호 겹치는 부분에서 다층을 이루도록 적층된다. 상기의 절연수지(36)는 PVC일 수 있다.
상기의 절연수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가 커넥터부(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절연수지(36)의 단부가 커넥터부(20)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선분기모듈(30)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각 배선분기유닛(35) 중 어느 하나에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 접속포트(17)를 통해 인입되는 조명기구의 전원선의 연결 접속단자(31)가 직접적으로 각 분기바에 접속된다.
이러한 연결 접속단자(31)는 커넥터부(20)의 내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바에 접속되되, ㄷ자형상을 가지는 고정 클립(33)을 통해 고정되어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배선분기장치는 4개의 배선분기유닛 즉, 제1,2,3,4배선분기유닛(140,150,160,170)을 갖는 배선분기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1,2,3,4배선분기유닛(140,150,160,170)은 제1실시예의 제2,3,4,5배선분기유닛(50,60,70,80)과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배선분기장치는 3개의 배선분기유닛 즉, 제1,2,3배선분기유닛(240,250,260)을 갖는 배선분기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1배선분기유닛(240)은 십(十)자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분기바(241)와 제2분기바(2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2분기바(241,242)는 4각형상의 바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홈(38)이 각각 형성된다.
제2배선분기유닛(250)은 그 외측 단부가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외측 단부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4,5,6분기바(251,252,253,2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3,4,5,6분기바(251,252,253,254)는 제1배선분기유닛(240)과 겹치는 부분에서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제3,4,5,6분기바(251,252,253,254)의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의 제3배선분기유닛(60)과 대응되므로 생략한다.
제3배선분기유닛(260)은 그 외측 단부가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외측 단부와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5,6,7,8분기바(261,262,263,2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5,6,7,8분기바(261,262,263,264)는 제1배선분기유닛(240)과 겹치는 부분에서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제5,6,7,8분기바(261,262,263,26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실시예의 제4배선분기유닛(70)과 대응되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선분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배선분기장치는 커넥터부(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입력선의 전원을 나머지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출력선으로 분기시키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을 포함하는 배선분기모듈(30)을 구비한다.
각 배선분기유닛은 다수의 분기부재(분기바,분기판)의 용접을 통해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각각 분기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은 3개의 배선분기유닛 또는 4개의 배선분기유닛 또는 6개의 배선분기유닛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배선분기유닛(340,350,360)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예를 들면, 상기의 배선분기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1,2,3배선분기유닛(340,350,360)을 포함하되, 이때의 제1배선분기유닛(340)은 제1,2분기부재(341,3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2분기부재(341,342)는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되는데, 제1분기부재(341)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제2분기부재(342)를 접촉시켜 용접한다. 제1,2분기부재(341,342)의 용접은 스팟용접 또는 아크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3배선분기유닛(350,360) 역시 제1배선분기유닛(340)과 마찬가지로 제2,3배선분기유닛(350,360)을 구성하는 각 분기부재를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각 배선분기유닛(340,350,360)이 상호 겹치는 부분에서 다층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되, 각 배선분기유닛의 분기부재들(341,342,351,352,353,354,361,362,363,364)은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각 배선분기유닛(340,350,360)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다수의 분기부재의 용접을 통해 각 배선분기유닛(340,350,360)을 완성한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선분기유닛(340,350,360)이 다른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수지(36)로 개별적으로 피복시킨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제1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이 다른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도록, 개별적으로 절연수지(36)가 피복되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을 각각 만든 후 다층으로 적층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배선분기유닛(35)을 제조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선분기유닛(35)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다수의 분기바를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각 분기바를 절단한 이후에는 각 분기바의 외측 단부를 압착시켜 원형의 접속단자(37)를 형성한다.
각 분기바의 외측 단부에 접속단자(37)를 형성한 이후에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이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각 분기바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게 절곡시킨다.
다음으로 각 분기바에는 각 분기바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38)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의 결합홈(38)은 본 발명의 배선분배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각 분기바의 1/2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분기바에 결합홈을 형성한 이후에는 각 분기바가 다수의 방향 예를 들면, 4방향으로 분기되도록 각각 대응하는 결합홈(38)에 상호 대응시켜 결합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각 배선분기유닛(35)은 각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호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45,55,65,75,85,95)가 각각 마련되는데, 이때의 각 연결부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의 위치에 따라 인접한 연결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배선분기유닛(35)을 다수의 분기바의 결합을 통해 결합한 후에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의 외면에 절연수지(36)를 피복함으로써 배선분기유닛(35)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4방향에 접속단자(37)를 갖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을 제조한 후에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의 접속단자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배선분기유닛(35)의 접속단자가 나란히 배치되면 각 배선분기유닛(35)의 위치에 따라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배선분기유닛(35)이 다층으로 적층되기 전 절연수지(36)에 의해 개별적으로 피복됨에 따라 배선분기장치의 슬림화를 꾀하면서도 각 배선분기유닛이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통전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얇은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소정 형태로 절곡시켜 제조하는 단자편을 갖는 종래와는 달리 각 분기바를 절단하고 결합홈을 형성시켜 상호 대응되는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함에 따라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쉽다.
또,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다수회 절곡시켜 제조하는 단자편을 갖는 종래와는 달리 일정 길이의 분기바를 절단하고 결합홈을 형성시켜 상호 결합홈끼리 결합시켜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함에 따라 그 제조공정이 간단하다.
또,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각 단자편을 제조 후 적층한 뒤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배선분기장치의 제조 시 사출성형을 하지 않으므로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에 의해 배선분기유닛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배선분기장치는 일정 길이의 분기부재를 절단하고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시켜 배선분기유닛을 제조함에 따라 배선분기유닛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쉬우면서도 각 배선분기유닛을 개별적으로 절연수지로 피복시킴에 따라 사출성형성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종래와는 달리 각 배선분기유닛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케이스 15 : 접속포트
20 : 커넥터부 21 : 관통공
30 : 배선분기모듈 31 : 외부의 연결 접속단자
33 : 고정 클립 35 : 다수의 배선분기유닛
36 : 절연수지 37 : 접속단자
38 : 결합홈

Claims (13)

  1. 다수의 접속포트(15)를 구비한 케이스(10)와, 각각은 복수개의 접속단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21)을 구비하고, 상기 각 접속포트(15)마다 1개씩 장착되는 다수의 커넥터부(20)와, 상기 다수의 커넥터부(20)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외부 전원을 나머지 다른 커넥터부 측으로 분기하는 배선분기모듈(30)을 포함하는 배선분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분기모듈(30)은 서로 절연되게 각각 절연수지(36)로 피복된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들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각 배선분기유닛(35)들은 서로 통전되게 내측단부에서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분기바를 포함하고, 각 분기바들은 외측단부에 상기 각 커넥터(20)의 관통공(21)의 내부로 연장되는 접속단자(37)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단부는 외측 단부에 대하여 상/하 방향중 어느 한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35)을 구성하는 한 조의 분기바들은 각각 결합홈(38)을 구비하여 서로 대응하는 결합홈(38)끼리 결합하며,
    상기 대응하는 결합홈(38)에서 서로 결합된 부분의 전체 높이는 상기 분기바의 높이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지(36)의 단부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배선분기모듈(30)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부(20)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접속포트(15)는 상기 케이스(1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저면 또는 상면에는 외면 접속포트(1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포트(15)에 배치되는 상기 배선분기유닛(35) 중 어느 하나의 각 분기바에는 상기 외면 접속포트(17)를 통해 인입되는 연결 접속단자(31)가 접속되고,
    상기 연결 접속단자(31)는 고정 클립(33)에 의해 상기 각 분기바에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은 상기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6개의 제1,2,3,4,5,6배선분기유닛(40,50,60,70,80,9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40,50,6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40,50,60)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45,55,65)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2,3배선분기유닛(40,50,60)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각 연결부 중 제2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55)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4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65)는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55)의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70,80,9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70,80,90)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호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75,85,95)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4,5,6배선분기유닛(70,80,90)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각 연결부 중 제5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85)는 상기 제6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95)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4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75)는 상기 제5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8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은 상기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제1,2,3,4배선분기유닛(140,150,160,170)을 포함하고,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140,15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140,150)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145,155)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1,2배선분기유닛(140,150)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145)는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155)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160,17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160,170)은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될 때 상기 다수의 분기바가 결합되어 연결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의 연결부(165,175)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제3,4배선분기유닛(160,170)이 상호 겹치지 않도록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165)는 상기 제4배선분기유닛의 연결부(17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은 상기 커넥터부(20) 측으로 향하는 부분이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3개의 제1,2,3배선분기유닛(240,250,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24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십(十)자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배선분기유닛(25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240)과 상호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고,
    상기 제3배선분기유닛(260)을 이루는 각각의 분기바는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240)과 상호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제1배선분기유닛(24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10. 다수의 배선분기유닛으로 이루어진 배선분기모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선분기모듈(30)의 제조는, 다수의 배선분기유닛(35)을 만들고,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35)이 다른 인접한 배선분기유닛과 접하지 않도록 다층으로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의 제조는,
    다수의 분기바를 절단하고,
    상기 각 분기바에 결합홈(38)을 형성하고,
    상기 각 분기바가 다수의 방향으로 분기되도록 상기 결합홈(38)에 상호 대응시켜 결합하고,
    상기 결합된 분기바에 외면에 절연수지(36)를 피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바를 절단한 후에는,
    상기 다수의 분기바의 외측 단부를 압착시켜 접속단자(37)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기바에 접속단자(37)를 형성한 후에는,
    상기 배선분기유닛(35)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다수의 분기바의 내측 단부가 외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수의 분기바를 절곡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선분기유닛의 분기바들은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분기장치.
KR1020110044120A 2011-04-07 2011-05-11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305 2011-04-07
KR20110032305 2011-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56A KR20120115056A (ko) 2012-10-17
KR101211945B1 true KR101211945B1 (ko) 2012-12-13

Family

ID=4728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120A KR101211945B1 (ko) 2011-04-07 2011-05-11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415B1 (ko) 2019-07-01 2020-09-15 유선아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415B1 (ko) 2019-07-01 2020-09-15 유선아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056A (ko)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290B2 (ja) 信号モジュールの成形方法
JP2017520091A (ja) 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ター
JP2017520091A5 (ko)
US10033116B2 (en) Terminal, terminal-equipped electrical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al wire
US9039442B2 (en) Solder-less electrical assembly
US8923006B2 (en) Assembly with LED housing
JP4916982B2 (ja) 多芯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CN106299844A (zh) 插头连接器
US6573453B2 (en) Wiring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1211945B1 (ko)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14573B1 (ko) 배선 분기장치
JP2011113930A (ja) 配索材の接続構造
TW202025557A (zh) 電氣裝置之次總成及製造此次總成之方法
US9425522B2 (en) Circuit board connector
CN103493304A (zh) 压接端子和接合连接器
KR101386226B1 (ko) 배선분기용 커넥터
JP2001035556A (ja) 接続用端子、該接続用端子を用いた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該ジョイントコネクタ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JP6133045B2 (ja) 電線の接続方法及び電線の接続構造
CN203839666U (zh) 制热地板连接线
JP4884321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TW201826631A (zh) 組合式連接器
JP5530244B2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装置用分岐導体の製造方法
JP2006351209A (ja) 接続プラグ
JP2004064894A (ja) 配線ユニ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
CN101505020A (zh) 电连接器及其结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