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415B1 -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415B1
KR102156415B1 KR1020190078549A KR20190078549A KR102156415B1 KR 102156415 B1 KR102156415 B1 KR 102156415B1 KR 1020190078549 A KR1020190078549 A KR 1020190078549A KR 20190078549 A KR20190078549 A KR 20190078549A KR 102156415 B1 KR102156415 B1 KR 10215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wire
main body
center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오
유선아
Original Assignee
유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선아 filed Critical 유선아
Priority to KR102019007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15B1/ko
Priority to PCT/KR2020/008560 priority patent/WO20210026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연결과 해체가 간편한 동시에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며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을 접속시켜 상호 연동 작동이 가능한 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측 전선과 작동 조절측 위한 전선 및 작동기측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에 설치하며 전선이 삽입되는 한 쌍씩의 제1~3접속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3접점단자, 상기 제1~3접점단자를 커버하면 본체케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하여; 3개의 지점에서 전선이 삽입하는 작동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성이 없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multi-channel wire connec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전선을 접속시켜 상호 연동 작동이 가능한 통합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종 아파트나 주거용 건물, 집합건물이나 공장에서 전선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실내외에 전선을 배선함에 있어서는 전선의 길이나 전열기구들의 위치, 또는 여러 가지 건물의 조건에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작업은 물론이고, 하나의 메인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전선분배작업 등이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양측 전선의 끝단을 각각 일정간격만큼 피복한 후, 그 끝단의 벗겨진 전선끼리 서로 꼬아서 연결하고, 이어서 이의 연결부위를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히 감아서 마무리하는 방법으로 전선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연결방법은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 전선을 피복하여 이들의 끝단을 꼬아서 연결하는 방식임으로써 연결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 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후에도 감전이나 누선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절연테이프를 여러 번 감아서 마무리함에 따라 연결부위가 매끄럽지 못하고 외관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랜 사용이나 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높은 온도의 열이나 기타 기상조건 등에 따라서는 절연테이프의 접착력이 점차적으로 약해져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 틈새를 통하여 수분이 침투하게 됨으로써 감전이나 누선 등의 위험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전선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는 연결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연결 커넥터의 대체적인 구조는 일측 전선의 끝단에 콘센트를 장착하고, 타측 전선의 끝단에는 콘센트에 체결되는 플러그를 연결하여 이들을 통하여 두 개의 전선을 서로 연결토록 하는 구성임으로써 이는 각 전선에 콘센트와 플러그를 장착하는 선행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등 그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역시 숙련공이 아니면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하나의 메인 전선에서 여러 갈래의 전선으로 분배하는 형태의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연결작업이 불가능한 등의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 기술로써는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기구 설비에는 필수적으로 천정내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정내 배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038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천정배선 분기구는 소정형태로 절곡된 3개의 단자편들을 적층한 뒤 절연수지로 피복 성형하여 각 접속단자 측으로 접속공들이 형성되는 접속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천정배선 분기구의 각 단자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소정 형태로 절곡시켜 제조하는데,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절곡시켜 단자편을 제조하게 되면 플레이트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단자편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단자편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이와 같이 얇은 두께의 플레이트를 프레스장치를 통해 다수회 절곡시키는 과정을 거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한 문제점 있다.
또한, 개시된 천정배선 분기구에서는 각 단자편을 적층한 뒤 사출성형을 통해 접속기와 일체화시키는데, 이와 같이 각 단자편을 적층한 후 접속기를 사출성형하게 되면 사출성형 시 사출압력에 의해 각 단자편의 적층위치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동시에 해체가 용이하며 작동이 편리하고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선 연결용 커넥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번호 제10-0939502호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등록특허 제10-1026503호 (전선 이음 커넥터) 등록특허 제10-1211945호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개의 지점에서 전선이 삽입하는 작동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에 대한 비 전문가도 메인전원, 스위치, 전등과 같은 작동기를 동시적으로 간편하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점 위치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접점되어 발열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케이스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에 대한 제약점이 있을 경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위치를 발신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교체나 보수 관련 작업시 정확한 위치 판독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는 전원을 공급측 전선과 작동 조절측 위한 전선 및 작동기측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천정과 같은 곳에 설치면에 설치하며 전선이 삽입되는 한 쌍씩의 제1~3접속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삼각 배치로 설치하는 3개의 접점단자를 형성하되, 상기 접점단자의 제1~3접점단자의 각 끝단은 제1~3접속홀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걸림되는 제1~3걸림편을 형성하고, 상기 제1~3접점단자의 중앙은 본체케이스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전선의 접속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3접점단자는 본체케이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단자지지단에 지지되고, 상기 단자지지단의 중앙은 본체케이스의 중심을 향해 가변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변홈을 마주보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3접점단자의 중앙지점을 본체케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3걸림편을 전선과 이격시키는 가압구는; 본체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압단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단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의 형성하며, 상기 본체케이스에 설치하는 커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3개의 지점에서 전선이 삽입하는 작동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성이 없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기에 대한 비 전문가도 메인전원, 스위치, 전등과 같은 작동기를 동시적으로 간편하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접점 위치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접점되어 발열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체케이스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에 대한 제약점이 있을 경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 여건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설치 위치를 발신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교체나 보수 관련 작업시 정확한 위치 판독이 가능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서 본체케이스와 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에서 본체케이스와 커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가이드를 이용하여 본체케이스를 설치하는 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구를 이용하여 접점단자의 웨지기능을 해지하는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기와 해드폰과의 무선 통신을 나타낸 시연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케이스에 배전반, 스위치, 램프측의 전선을 연결하는 결선과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케이스에 배전반, 스위치, 램프측의 전선을 연결한 결선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커넉터의 설치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전원을 공급측 전선과 작동 조절측 위한 전선 및 작동기측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에 설치하며 전선이 삽입되는 한 쌍씩의 제1~3접속홀(11)(12)(13)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1~3접점단자(21)(22)(23),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를 커버하면 본체케이스(10)에 결합되는 커버(30)로 다채널커넥터(100)를 구성한다.
우선, 상기 본체케이스(10)는 통 형태로써 천정과 같은 곳에 설치면에 설치하며 전선이 삽입되는 한 쌍씩의 제1~3접속홀(11)(12)(13)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둥근 테두리(14)를 따라 한 쌍씩의 제1~3접속홀(11)(12)(13)이 삼각배치로 외부와 내부가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제1~3접속홀(11)(12)(13)의 외측에는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단(15)을 한 쌍씩 형성한다.
상기 제1~3접속홀(11)(12)(13)이 형성된 중앙 지점을 기준으로 본체케이스(10)의 중앙을 향해 함몰된 곡률면(16)을 형성하는 삼각 형상의 단자지지단(17)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지지단(17)의 중앙에는 설치면에 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1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단자(20)는 제1~3접점단자(21)(22)(23)로 구성되며 상부에서 투영했을 때 완만하게 곡률되어 단자지지단(17)의 곡률면(16)에 밀착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의 각 끝단은 제1~3접속홀(11)(12)(13)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걸림되는 제1~3걸림편(24)(25)(26)을 형성한다.
상기 제1~3걸림편(24)(25)(26)은 외측으로 절곡된 되어 안내단(15)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전선이 진입되어 걸림되는 웨지(Edige)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은 본체케이스(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전선의 접속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는 원활한 통전을 위하여 구리재질로 형성할 수 도 있으며 탄성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리와 다른 재질의 금속을 혼합하여 제작한 합금재질로 제작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설치하는 커버(30)를 구성한다.
상기 커버(30)는 본체케이스(10)의 제1~3접속홀(11)(12)(13)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씩의 3개로 형성되는 결합편(31)을 삼각배치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커버(30)를 본체케이스(10)에 체결시 결합편(31)이 제1~3접속홀(11)(12)(13)에 끼움되는 구조로 체결된다.
상기 커버(30)의 전면에는 배전반과 연결되는 전원측을 표시하는 'POWER', 스위치와 연결되는 스위치측을 표시하는 'S/W', 램프와 연결되는 작동측을 표시하는 'LAMP'의 문자를 표시하여 혼동 및 접속위치를 정확히 표시하며, 배전반을 기준으로 몇번의 전원측에 속한다는 차단기의 번호를 표시하는 'FROM', 배전반을 기준으로 몇 번째의 램프를 번호를 표시하는 'TO'의 문자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에 접점되어진 전선의 쉬운 해체를 위해서 가압구(50)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구(50)는 제1~3접점단자(21)(22)(23)가 본체케이스(10)의 중앙에 설치되는 단자지지단(17)에 지지된다.
상기 단자지지단(17)의 중앙은 본체케이스(10)의 중심을 향해 가변홈(19)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변홈(19)은 반원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변홈(19)을 마주보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지점을 본체케이스(1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3걸림편(24)(25)(26)을 전선과 이격시키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장착면에 설치되는 이송가이드(4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이송가이드(40)를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가이드(40)는 '+'형태로써 설치면(200)에 설치를 할 경우 프레임(201)에 볼트나 나사못을 이용하여 설치해야 하는데, 프레임(201)과 전선과 거리가 멀거나 프레임(201)에 전선의 길이가 미치지 못하여 본체케이스(10)를 설치면(200)에 설치하기 어려울 경우 보조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이송가이드(4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가이드홀(41)이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0)의 체결홀(18)을 통해 볼트나 나사못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가이드홀(41)에 고정한다.
상기 가압구(50)는 본체케이스(10)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5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압단(52)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홈(19)이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단(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53)을 삽입하여 형성한다.
상기 가압단(52)을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을 가압하면 제1~3접점단자(21)(22)(23)가 좀더 작은 'C' 형태로 변형되면서 제1~3걸림편(24)(25)(26)이 전선에서 이탈되어 전선을 쉽게 해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는 근거리통신을 하는 발신기(60)를 형성하여 설치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발신기(60)는 전원공급측이나 별도의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근거리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MM웨이브(밀리미터파), UMB(울트라 와이브밴드), WiFi(와이파이), 지그비(Zigbee), ANT, 피코캐스트, KNX, 블루투스, CDMA, GSM, 리비전A, WCDMA, 와이브로, LTE, 와이브로 에볼루션 중 1종 또는 2종으로 혼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신기(60)의 신호를 수신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신장비를 이용하거나 스마트폰에 전용 어플을 설치하여 신호의 수신을 확인하여 설치 위치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채널커넥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채널커넥터(100)는 본체케이스(10)의 단자지지단(17)의 곡률에 맞게 제1~3접점단자(21)(22)(23)를 삽입하여 제1~3걸림편(24)(25)(26)이 안내단(15)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후, 상기 다채널커넥터(100)설치를 위해서 전선의 길이와 위치를 확인한 후 본 발명에서는 천정에 설치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다채널커넥터(100)는 설치 위치가 정해지면 본체케이스(10)의 체결홀(18)을 통해 나사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천장에 고정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를 전선이 위치된 곳에 설치하지 못할 경우에는 이송가이드(40)를 설치한 후 본체케이스(10)의 체결홀(18)을 통해 나사못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가이드홀(41)에 고정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접속홀(11)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70)의 두 가닥을 삽입하고, 제2접속홀(12)을 통해 스위치전선(80)의 두 가닥을 삽입하며, 제3접속홀(13)을 통해 작동기의 램프전선(90)의 두 가닥을 삽입한다.
즉, 상기 전원공급전선(70), 스위치전선(80), 램프전선(90)을 각각 제1~3접속홀(11)(12)(13)을 삽입하면 전선의 끝단이 안내단(15)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3걸림편(24)(25)(26)에 접촉하여 미는 힘에 의해 강제 진입한다.
상기 전원공급전선(70), 스위치전선(80), 램프전선(90)의 끝단이 제1~3걸림편(24)(25)(26)의 제1~3걸림편단(27)(28)(29)을 지나면 제1~3걸림편단(27)(28)(29)이 탄성력에 의해 전원공급전선(70), 스위치전선(80), 램프전선(90)을 가압하면서 웨지 기능하게 되어 전선을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이탈되지 않도록 간단히 고정되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커버(30)를 체결하게 되는데 전원공급전선(70), 스위치전선(80), 램프전선(90)이 체결된 방향으로 배전반과 연결되는 전원측을 표시하는 'POWER', 스위치와 연결되는 스위치측을 표시하는 'S/W', 램프와 연결되는 작동측을 표시하는 'LAMP'의 문자를 일치시킨 다음 제1~3접속홀(11)(12)(13)에 커버(30)의 결합편(31)이 삽입되도록 체결하여 설치를 간단하고 빠르게 완료하는 간편하고 취급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다채널커넥터(100)에서 전원공급전선(70), 스위치전선(80), 램프전선(90)를 분리할 경우에는 커버(30)를 본체케이스(10)로부터 해체 한 다음 가압단(52)을 이동시켜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을 가압하면 제1~3접점단자(21)(22)(23)가 좀더 작은 'C' 형태로 변형되면서 제1~3걸림편(24)(25)(26)이 전선에서 이탈되어 전선을 쉽게 해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다채널커넥터(100)에 발신기(60)가 설치된 경우에는 건물에 진입하여 별도의 수신장비를 이용하거나 스마트폰에 전용 어플을 실행시켜 신호를 수신받음으로써 설치 위치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채널커넥터(100)는 3개의 지점에서 전선이 삽입하는 작동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성이 없으며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채널커넥터(100)는 전기에 대한 비 전문가도 메인전원, 스위치, 전등과 같은 작동기를 동시적으로 간편하게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여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채널커넥터(100)는 접점 위치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접점되어 발열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구조적으로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여 전기적 안전성이 확보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채널커넥터(100)는 본체케이스(10)의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에 대한 제약점이 있을 경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 여건에 따라 위치 조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채널커넥터(100)는 설치 위치를 발신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교체나 보수 관련 작업시 정확한 위치 판독이 가능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인 다채널커넥터(100)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케이스 11 : 제1접속홀
12 : 제2접속홀 13 : 제3접속홀
14 : 테두리 15 : 안내단
16 : 곡률면 17 : 단자지지단
18 : 체결홀 19 : 가변홈
20 : 접점단자 21 : 제1접점단자
22 : 제2접점단자 23 : 제3접점단자
24 : 제1걸림편 25 : 제2걸림편
26 : 제3걸림편 27 : 제1걸림편단
28 : 제2걸림편단 29 : 제13걸림편단
30 : 커버 31 : 결합편
40 : 이송가이드 41 : 가이드홀
50 : 가압구 51 : 가이드
52 : 가압단 53 : 스프링
60 : 발신기 70 : 전원공급전선
80 : 스위치전선 90 : 램프전선
100 : 다채널커넥터 200 : 설치면
201 : 프레임

Claims (5)

  1. 전원을 공급측 전선과 작동 조절측 위한 전선 및 작동기측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천정과 같은 곳에 설치면에 설치하며 전선이 삽입되는 한 쌍씩의 제1~3접속홀(11)(12)(13)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삼각 배치로 설치하는 3개의 접점단자(20)를 형성하되, 상기 접점단자(20)의 제1~3접점단자(21)(22)(23)의 각 끝단은 제1~3접속홀(11)(12)(13)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이 걸림되는 제1~3걸림편(24)(25)(26)을 형성하고,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은 본체케이스(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전선의 접속시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1~3접점단자(21)(22)(23)는 본체케이스(10)의 중앙에 설치되는 단자지지단(17)에 지지되고, 상기 단자지지단(17)의 중앙은 본체케이스(10)의 중심을 향해 가변홈(19)을 형성하며, 상기 가변홈(19)을 마주보도록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1~3접점단자(21)(22)(23)의 중앙지점을 본체케이스(10)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3걸림편(24)(25)(26)을 전선과 이격시키는 가압구(50)는;
    본체케이스(10)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51)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는 가압단(52)을 형성하고, 상기 가변홈(19)이 형성된 방향으로 가압단(52)을 원위치시키기 위한 스프링(53)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설치하는 커버(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8549A 2019-07-01 2019-07-01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215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49A KR102156415B1 (ko) 2019-07-01 2019-07-01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PCT/KR2020/008560 WO2021002659A1 (ko) 2019-07-01 2020-07-01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49A KR102156415B1 (ko) 2019-07-01 2019-07-01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15B1 true KR102156415B1 (ko) 2020-09-15

Family

ID=7246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49A KR102156415B1 (ko) 2019-07-01 2019-07-01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415B1 (ko)
WO (1) WO2021002659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827A (ko) * 2005-12-13 2007-06-18 송성태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KR100939502B1 (ko) 2009-05-28 2010-01-29 (주)정조이엔티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KR20100103937A (ko) * 2009-03-16 2010-09-29 (주)엘지하우시스 광원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조명 레일 시스템
KR101026503B1 (ko) 2009-09-17 2011-04-0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20120015019A (ko) * 2010-08-11 2012-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211945B1 (ko) 2011-04-07 2012-12-13 (주)원영이엔지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4132A (ja) * 2011-07-25 2014-09-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クイン型電線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16181432A (ja) * 2015-03-24 2016-10-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160143217A (ko) * 2015-06-05 2016-12-14 (주)페타리 위치추적용 전등어댑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2827A (ko) * 2005-12-13 2007-06-18 송성태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KR20100103937A (ko) * 2009-03-16 2010-09-29 (주)엘지하우시스 광원의 위치 이동이 자유로운 조명 레일 시스템
KR100939502B1 (ko) 2009-05-28 2010-01-29 (주)정조이엔티 다회로전선 커넥터유닛
KR101026503B1 (ko) 2009-09-17 2011-04-0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20120015019A (ko) * 2010-08-11 2012-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1211945B1 (ko) 2011-04-07 2012-12-13 (주)원영이엔지 배선분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4132A (ja) * 2011-07-25 2014-09-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ークイン型電線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2016181432A (ja) * 2015-03-24 2016-10-1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KR20160143217A (ko) * 2015-06-05 2016-12-14 (주)페타리 위치추적용 전등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02659A1 (ko)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2666B2 (en) The electric power connecting kit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20090194311A1 (en) Quick connect electrical box
US20090235515A1 (en) Plug and Play Utility Control Modules
CN102593772A (zh) 家庭和楼宇系统技术的电气/电子暗装安装设备
US9948079B2 (en) Quick-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es and methods
US3464052A (en) Electrical wiring systems
CN102804520A (zh) 用于电信模块的接线条的连接和切换接触元件
KR102156415B1 (ko) 다채널 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06099561B (zh) 通用电气安装系统
CN102804522A (zh) 用于电信模块的具有识别特征的接线条
KR20070104115A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JP3075695B2 (ja) エアコン用複合配電装置
JPH02170373A (ja) 電線配線コネクタ
KR102264859B1 (ko)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CN109950740B (zh) 一种母线配电模块
CN214226725U (zh) 一种新型的方便用户接线的温度控制箱
CN211958259U (zh) 一种环形配电盘
CN210951012U (zh) 一种吸顶盘接线结构
CN216488570U (zh) 一种电力通信调度交换用线路转接装置
CN210119684U (zh) 用于吊顶电器的接线扩展结构
CN107808786B (zh) 墙式开关
CN211062618U (zh) 一种新型按钮开关
KR101043974B1 (ko) 케이블 접속구를 갖는 매립형 스피커 조립체
US20210125743A1 (en) Electrical systems for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