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859B1 -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859B1
KR102264859B1 KR1020200170251A KR20200170251A KR102264859B1 KR 102264859 B1 KR102264859 B1 KR 102264859B1 KR 1020200170251 A KR1020200170251 A KR 1020200170251A KR 20200170251 A KR20200170251 A KR 20200170251A KR 102264859 B1 KR102264859 B1 KR 10226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outlet
magnet
sub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영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석영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영,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석영
Priority to KR102020017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는 전기가 통하는 접속선 내외부에 자석이 설치되는 메인전선과, 상기 전선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되는 제1콘센트와, 상기 서브전선에 설치되는 제2콘센트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Multi outlet with free connection}
본 발명은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멀티콘센트를 통하여 복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분기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멀티콘센트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내 배선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배선과, 각종 전기 장치, 조명 장치, 배선반 등을 연결하는 제어용 배선과, TV 안테나 및 케이블 등을 위한 케이블 배선 및, 홈네트워크용 통신 배선 등이 있다.
특히, 이들 배선은 벽면 내부나 전력선 통로에 설치된 후 그의 끝단 접속 부위들이 스위치 접속부위 내지 전기 기구 접속부위 또는 전원 콘센트, 분전함, 전선 접속함 등에서 외부로 표출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작업자가 전기 기구와 전선 및 전선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동선이나 일반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이에 따라 외부로 표출된 동선의 와이어코어 또는 와이어다발을 서로 트위스트 시켜서 연결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천장 등에 위치하여 고공 배선 작업이 요구되는 형광등이 고장나 형광등 전체를 교체하는 등의 전기 배선 작업시, 작업이 매우 힘들고, 정확한 배선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가정내 측벽, 천장 등의 배선은 통상 직경이 굵어 건장한 성인이 쉽게 손가락으로 변형시키기 어려운 두께의 실축 와이어 단면의 동선이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손에 자국이 남을 정도로 작업이 어렵고, 전문 배선 기술자가 아닌 비전문 가가 소정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할 경우 안전 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접속구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7-1909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형관을 종단으로 절단하여 내면에 접속용 복수의 바늘을 장착시켜 단면이 'U' 형으로 형성된 전선 연결접속용 금속편과, 이런 금속편을 전선 삽입용 홈의 중앙부에 각각 고정하고 있는 한 쌍의 상판과 하판을 제공한다. 상판과 하판에서 전선 삽입용 홈의 중앙부의 양측에는 전선 물림용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런 상판과 하판은 접시머리 나사로 결속될 때, 상기 금속편을 서로 맞닿게 압착시킨다.
따라서, 전선들의 끝단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상기 금속편의 사이에 개재될 경우, 압착되는 금속편의 바늘이 각각 전선의 끝단을 뚫고 들어가 통전 상태로 만듦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선들이 피복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전선접속구는 금속편, 상판, 하판, 접시머리 나사 등과 같이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많은 필수 구성들을 구비함과 동시에, 피복을 벗기는 작업에 대응할 만큼의 나사 조립 작업 및 시간이 소요되고, 비전문가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천장 등의 고공에서 나사 조임 작업을 하는 경우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선접속구는 나사를 힘을 들여 꽉 조이지 않을 경우 접속 부위가 벌어지게 되어 연결 부위가 지저분해질 수 있고, 습기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물론, 종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압착식, 나사조임식, 트위스트방식 일 반전선(동선)의 접속구의 경우 힘이 많이 들어가고 특정 공구가 필요한 단점이 있으며, 연결부위가 일반전선(동선)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지저분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일반전선(동선)의 축심방향(전기 배선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상대적으로 저항 증가율이나 열 발생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7542호,(2005년06월13일)
이를 통해, 기존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멀티콘센트를 통하여 복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분기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멀티콘센트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는 전기가 통하는 접속선 내외부에 자석이 설치되는 메인전선과, 상기 전선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되는 제1콘센트와, 상기 서브전선에 설치되는 제2콘센트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전선과 서브전선은 전기가 통하는 제1전선과, 상기 제1전선 외주연에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전선과 제1자석을 내부에 수용하고 외주연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2전선과, 상기 제2전선 외주연에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선을 관통한 접속핀이 제1자석과 접촉되어 제1전선에 도통되는 전기를 공급받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브 전선에는 다른 개소의 서브전선 및 제2콘센트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는 전기가 통하는 접속선 내외부에 자석이 설치되는 메인전선과, 상기 전선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되는 제1콘센트와, 상기 서브전선에 설치되는 제2콘센트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기존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멀티콘센트를 통하여 복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분기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멀티콘센트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는 메인전선 130과, 제1콘센트 110 및 제2콘센트 120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전선 130은 전기가 통하는 접속선 내외부에 자석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전선 130은 전원의 공급원과 전기로 연결되는 플러그(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에는 메인전선 130이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메인전선 13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다양한 자유굴곡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콘센트 110는 상기 메인전선 130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된다.
즉, 상기 제1콘센트 110는 메인전선 13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며, 이동 또는 멈춤시에도 항시 메인전선 130의 전기가 제1콘센트 110로 통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콘센트 120는 상기 서브전선 140에 설치된다. 상기 서브전선 140은 메인전선 13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동일 구성인 상기 메인전선 130과 서브전선 140은 아래와 같다.
먼저, 메인전선 130과 서브전선 140의 구성은 제1전선 131과, 제1자석 132과, 제2전선 133과, 제2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전선 131은 플러그와 직접 연결되어 전기가 도통되고 통상적으로 구리 재질로 적용된다.
상기 제1전선 131의 외주연에는 제1자석 132이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자석 132의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제1전선 131이 관통된다.
이때, 구멍의 내주연 지름이 제1전선 131의 외주연 보다 작게 형성시켜 억지끼움 방식으로 제1전선 131이 구멍에 결합되도록 하여 이동은 가능하되 항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전기의 통전을 보장받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전선 133은 상기 제1전선 131과 제1자석 132을 내부에 수용하고 외주연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다.
상기 제2전선 133은 피복재 재질로 이루어져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전선 133의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선 133b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선 133b은 제2전선 133의 외주연과 내주연을 관통하는 가느다란 절취선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2전선 133 외주연에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개선 133b을 관통한 접속핀 133a이 제1자석 132과 접촉되어 제1전선 131에 도통되는 전기를 공급받는다.
결국, 제2전선 133 내주연에 설치한 제1자석 132과 외주연에 설치한 제2자석은 상호 자력에 의해 일체로 제2전선 133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2자석 내주연에 설치한 접속핀 133a이 절개선 133b을 관통하여 제1자석 132과 접촉하여 전기가 제2자석으로 통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 통전 순서는 플러그, 제1전선 131, 제1자석 132, 제2전선 133, 제2자석 방향으로 통전된다.
또한, 상기 서브 전선에는 다른 개소의 서브전선 140 및 제2콘센트 12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 100 100는 다양한 실시예로 적용이 가능하다.
첫 번째의 실시예는, 플러그, 메인전선 130, 제1콘센트 110, 서브전선 140 및 제2콘센트 120로 구성한다.
두 번째 실시예로는, 플러그, 메인전선 130, 제1콘센트 110, 서브전선 140, 제2콘센트 120, 상기 서브전선 140에 연결된 또 다른 서브전선 140 및 제3콘센트로 구성한다.
이렇게, 전선들을 다양한 형태로 분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복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적용할 필요없이 하나의 멀티콘센트를 통하여 복수개의 콘센트를 병렬로 분기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멀티콘센트의 자유로운 위치 선정 및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멀티 콘센트
110 : 제1콘센트 120 : 제2콘센트
130 : 메인전선 140 : 서브전선
131 : 제1전선 132 : 제1자석
133 : 제2전선 133a : 접속핀

Claims (3)

  1. 전기가 통하는 접속선 내외부에 자석이 설치되는 메인전선과,
    상기 전선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통전되는 제1콘센트와,
    상기 제1콘센트에 연결되는 서브전선에 설치되는 제2콘센트로 구성한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메인전선과 서브전선은
    전기가 통하는 제1전선과,
    상기 제1전선 외주연에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자석과,
    상기 제1전선과 제1자석을 내부에 수용하고 외주연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제2전선과,
    상기 제2전선 외주연에 접촉되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전선의 외주연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선을 관통한 접속핀이 제1자석과 접촉되어 제1전선에 도통되는 전기를 공급받는 제2자석으로 이루어져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0251A 2020-12-08 2020-12-08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KR10226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51A KR102264859B1 (ko) 2020-12-08 2020-12-08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0251A KR102264859B1 (ko) 2020-12-08 2020-12-08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59B1 true KR102264859B1 (ko) 2021-06-14

Family

ID=7641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251A KR102264859B1 (ko) 2020-12-08 2020-12-08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69Y1 (ko) * 2002-04-09 2002-07-19 유형진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200387542Y1 (ko) 2005-02-24 2005-06-20 조선인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KR20070104319A (ko) * 2007-10-05 2007-10-25 장세일 조립식 멀티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469Y1 (ko) * 2002-04-09 2002-07-19 유형진 전원 연결용 케이블 컨넥터
KR200387542Y1 (ko) 2005-02-24 2005-06-20 조선인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
KR20070104319A (ko) * 2007-10-05 2007-10-25 장세일 조립식 멀티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938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 conductor insulated cable wiring
AU2003273622B2 (en) Electrical wiring for buildings
US7851704B2 (en) Modular wiring system
US5785551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box
US3723948A (en) Electrical component
JPH027152B2 (ko)
RU2467440C2 (ru) Модульный разъе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GB2582046A (en) LED strip connector
US2719957A (en)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for duplex lamp cords
US2709246A (en) Connectors for lamp cords
KR102264859B1 (ko)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JP2597397B2 (ja) 電線配線コネクタ
GB2490146A (en) Wiring of electrical fittings
PL197279B1 (pl) Urządzenie rozdzielcze
KR200333811Y1 (ko) 전선접속구
JP2005057866A (ja) 屋内配線システム
NL2023687B1 (en) Assembly of a housing, an electronic or electric component and a preferably quick-connect cable adapter/connector
KR200270402Y1 (ko) 전선 연결용 스크류
CZ33296A3 (en) Electrical structural element
JP3112507U (ja) ケーブルコネクタの構造
KR200400489Y1 (ko) 전원분배용 접속장치
KR100379864B1 (ko) 전선연결기
AU66960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963922B1 (ja) コネクタ
JP3493034B2 (ja) 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