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319A - 조립식 멀티콘센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멀티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319A
KR20070104319A KR1020070100208A KR20070100208A KR20070104319A KR 20070104319 A KR20070104319 A KR 20070104319A KR 1020070100208 A KR1020070100208 A KR 1020070100208A KR 20070100208 A KR20070100208 A KR 20070100208A KR 20070104319 A KR20070104319 A KR 2007010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groove
fastening
connection
prefabricated mul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320B1 (ko
Inventor
장세일
Original Assignee
장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일 filed Critical 장세일
Priority to KR102007010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32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삽입구를 추가하기 위하여 주콘센트에 다수의 연결콘센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콘센트와 연결콘센트 간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과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어린이 등의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지단자를 구비한 한국표준규격으로 설계된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단자(P1a)가 구비된 전원플러그(P1)가 전면(110a)에 연결되고 '전원 및 차단 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플러그삽입구(113)가 상면(110c)에 요입 형성되고, 후면(110b)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는 주콘센트(110)와, 상면(120c)에는 플러그삽입구(123)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후면(120b)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120a)에는 접속단자(124a)가 구비된 삽입돌부(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콘센트(120)로 구성되어서, 플러그삽입구를 필요에 따라서 추가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 후면(110b)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16) 및 상기 체결홈(116)에 억지 끼움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콘센트(120) 전면(120a)의 네 귀퉁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12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콘센트와 연결콘센트 간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과 아래 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콘센트, 멀티, 조립식 멀티콘센트, 체결, 처짐, 접지단자, 한국표준규격

Description

조립식 멀티콘센트{A Assembling Multi-Receptacle}
본 발명은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삽입구를 추가하기 위하여 주콘센트에 다수의 연결콘센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콘센트와 연결콘센트 간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과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어린이 등의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지단자를 구비한 한국표준규격으로 설계된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배선에서 실내에 사용하는 코드를 접속하기 위해 배선에 연결하여 플러그를 삽입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다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또는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멀티콘센트는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플러그삽입구가 미리 정해져 있게 되어 사용상 불합리하였는데 이를 개선한 것이 등록실용신안 20-0387542호에 개시된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와 등록실용신안 20-0255394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이다.
등록실용신안 20-0387542호에 개시된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는, 추가 멀티콘센트를 멀티탭 콘센트에 연달아 나란하게 일자로 꽂을 수 있고 멀티콘센트의 전원 단자가 90°회전하여 벽면과 같이 수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한 멀티콘센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등록실용신안 20-0255394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는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멀티타입 전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필요숫자에 따라 콘센트의 숫자를 증감시켜 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콘센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20-0387542호에 개시된 수평 접속 멀티콘센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주콘센트와 추가연결콘센트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체결구성이 없어서 체결이 느슨하고 나아가, 연결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아래로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추가연결콘센트의 단자삽입공이 개방되어 있어서 어린이 및 사용상에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등록실용신안 20-0255394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형 전기 콘센트의 경우에는, 주콘센트와 추가연결콘센트를 체결하는 구성은 있으나 항상 위에서 아래로만 체결하여야 했으므로(등록실용신안 20-0255394호 등록공보 도1에서 도 7 참조) 체결이 불편하였고 또한, 체결 자체가 느슨하였고 연결이 길어지는 경우에는 아래로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추가연결콘센트의 단자삽입공이 개방되어 있어서 어린이 및 사용상에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목적은, 플러그삽입구를 추가하기 위하여 주콘센트에 다수의 연결콘센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콘센트와 연결콘센트 간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과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어린이 등의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접지단자를 구비한 한국표준규격으로 설계된 조립식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조립식 멀티콘센트는, 접지단자가 구비된 전원플러그가 전면에 연결되고 전원 및 차단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이상의 플러그삽입구가 상면에 요입 형성되고, 후면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주콘센트와, 상면에는 플러그삽입구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후면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는 접지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접속단자가 구비된 삽입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콘센트로 구성되어서, 플러그삽입구를 필요에 따라서 추가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 후면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 및 상기 체결홈에 억지 끼움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콘센트 전면의 네 귀퉁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조립식 멀티콘센트는 플러그삽입구를 추가하기 위하여 주콘센트에 다수의 연결콘센트를 연결하는 동시에 주콘센트와 연결콘센트 간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과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어린이 등의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접지가 있는 한국표준규격으로 설계되어서 안전규격을 지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인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의한 조립식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에 의한 조립식 콘센트의 전면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요부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분해 동작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다른 요부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 티콘센트(100)는, 접지단자(P1a)가 구비된 전원플러그(P1)가 전면(110a)에 연결되고 '전원 및 차단 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플러그삽입구(113)가 상면(110c)에 요입 형성되고, 후면(110b)에는 단자삽입공(미도시)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는 주콘센트(110)와, 상면(120c)에는 플러그삽입구(123)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후면(120b)에는 단자삽입공(미도시)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120a)에는 접속단자(124a)가 구비된 삽입돌부(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콘센트(120)로 구성되어서, 플러그삽입구를 필요에 따라서 추가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 후면(110b)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16)과 상기 체결홈(116)에 억지 끼움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콘센트(120) 전면(120a)의 네 귀퉁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12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여 전체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느슨해지지 않고 아래로 처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의 내주면을 따라서 요입형성된 끼움요홈띠(116b)(???) 및 상기 끼움요홈띠(116b)에 억지 끼움되어서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상기 체결돌기(126)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된 돌기테(126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체결을 더욱 더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전체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느슨해지지 않고 아래로 처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은 빗변이 상기 삽입홈(114)을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체결돌기(126)는 빗변이 상기 삽입돌부(124)를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체결을 더욱 더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분리 해제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은 측면(110d)으로 개방된 개방부(116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콘센트(110)로부터 연결콘센트(120)를 분리 해제하는 경우 측면으로 젖혀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의 삽입홈(114)에의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홈(114)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가이드홈(115)와, 상기 가이드홈(115)에 삽입되어서 상기 연결콘센트(120)가 주콘센트(110)에 삽입을 정확하고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돌부(124)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돌부(12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25)와, 상기 삽입홈(114,114')에 구비된 접지단자(111,111')와 접속하도록 상기 삽입돌부(124)에 구비된 접지단자(124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콘센트(120)의 후면에는 상기 체결홈(116)과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빗변이 상기 삽입홈(114')을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연결콘센트(120) 후면(120b)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콘센트(120)의 측면(110d)으로 개방된 개방부(116c'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16')과, 상기 체결홈(116')의 내주면을 따라서 요입형성된 끼움요홈띠(116b')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단자삽입공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인입 내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어린이 등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후면(110b, 120b)에 각각 체결될 수 있는 박판 형상의 마감캡(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캡(130)은, 박판의 몸체부(132)와, 상기 몸체부(132)의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콘센트(1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삽입홈(114')에 끼움 체결되는 끼움디스크(134) 및 빗변이 상기 끼움디스크(134)를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끼움디스크(134)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몸체부(132)의 네 모퉁이에 돌출 형성되어서, 끼움요홈띠(116b')에 억지 끼움되도록 돌기테(136b)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136)로 구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측면(110d, 120d)에 각각 요입 형성된 끼움공(118, 128)와, 일단이 상기 마감캡(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상기 체결공(118, 128)에 끼움 체결되어서 마감캡(13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고리(138)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실방지고리(138)는 예컨대,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마감캡(13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는,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에 형성된 체결홈(116'')에 개방부(116c, 116c')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실시예이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좌우측면으로 흔들어 젖히면서 분리하지 않고 전후방으로 당겨서 분리해야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가이드돌기(125)가 가이드홈(115)의 안내를 받으면서 삽입돌부(124)가 삽입홈(114)으로 삽입되면, 삽입돌부(124)가 삽입홈(114)에 일차적으로 삽입 끼움 체결되고, 체결돌기(136)가 체결홈(116)에 2차적으로 억지끼움 체결되며, 마지막으로 돌기테(126b)가 끼움요홈띠(116b)에 억지끼움체결되면서 체결이 견고하게 되고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느슨하거나 아래로 처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체결돌기(136)가 체결홈(116)가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콘센트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조립된 주콘센트(110)로부터 연결콘센트(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으로 젖히면 개방부(116c)의 구성에 의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린이 등의 감전 사고를 예방하고 먼지나 이물질 등의 흡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캡(130)을 연결콘센트(120) 또는 주콘센트(110)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조립식 콘센트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의한 조립식 콘센트의 전면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분해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다른 요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멀티콘센트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주콘센트 110a ; 주콘센트의 전면
110b ; 주콘센트의 후면 110c ; 주콘센트의 상면
111, 111'; 접지단자 112 ; 전원 및 차단 스위치
113 ; 플러그삽입구 114, 114'; 삽입홈
115 ; 가이드홈 116 ; 체결홈
116b ; 끼움요홈띠 116c ; 개방부
120 ; 연결콘센트 120a ; 연결콘센트의 전면
120b ; 연결콘센트의 후면 120c ; 연결콘센트의 상면
123 ; 플러그삽입구 124 ; 삽입돌부
124a; 접속단자 124b ; 접지단자
125 ; 가이드돌기 126 ; 체결돌기
126b ; 돌기테 130 ; 마감캡

Claims (8)

  1. 접지단자(P1a)가 구비된 전원플러그(P1)가 전면(110a)에 연결되고 '전원 및 차단 스위치'(11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플러그삽입구(113)가 상면(110c)에 요입 형성되고, 후면(110b)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는 주콘센트(110)와,
    상면(120c)에는 플러그삽입구(123)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후면(120b)에는 단자삽입공이 구비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4')에는 접지단자(1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면(120a)에는 접속단자(124a)가 구비된 삽입돌부(1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콘센트(120)로 구성되어서,
    플러그삽입구를 필요에 따라서 추가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 후면(110b)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된 체결홈(116); 및
    상기 체결홈(116)에 억지 끼움 체결되도록 상기 연결콘센트(120) 전면(120a)의 네 귀퉁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12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의 내주면을 따라서 요입형성된 끼움요홈띠(116b); 및
    상기 끼움요홈띠(116b)에 억지 끼움되어서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하도록 상기 체결돌기(126)의 측면을 따라서 돌출 형성된 돌기테(126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은 빗변이 상기 삽입홈(114)을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체결돌기(126)는 빗변이 상기 삽입돌부(124)를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은 측면(110d)으로 개방된 개방부(116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의 삽입홈(114)에의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홈(114)의 길이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가이드홈(115);
    상기 가이드홈(115)에 삽입되어서 상기 연결콘센트(120)가 주콘센트(110)에 삽입을 정확하고도 원활하게 안내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돌부(124)의 일측과 타측에 삽입돌부(124)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125); 및
    상기 삽입홈(114,114')에 구비된 접지단자(111,111')와 접속하도록 상기 삽입돌부(124)에 구비된 접지단자(124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단자삽입공에 이물질이 인입되거나 감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후면(110b, 120b)에 각각 체결될 수 있는 박판 형상의 마감캡(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빗변이 상기 삽입홈(114')을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연결콘센트(120) 후면(120b)의 네 귀퉁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콘센트(120)의 측면(110d)으로 개방된 개방부(116c')가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16'); 및
    상기 체결홈(116')의 내주면을 따라서 요입형성된 끼움요홈띠(116b')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마감캡(130)은,
    박판의 몸체부(132);
    상기 몸체부(132)의 중앙부에서 상기 연결콘센트(1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삽입홈(114')에 끼움 체결되는 끼움디스크(134); 및
    빗변이 상기 끼움디스크(134)를 향하도록 형성된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상기 끼움디스크(134)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몸체부(132)의 네 모퉁이에 돌출 형성되어서, 끼움요홈띠(116b')에 억지 끼움되도록 돌기테(136b)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홈(116')에 억지 끼움 체결되는 체결돌기(13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콘센트(110)와 연결콘센트(120)의 측면(110d, 120d)에 각각 요입 형성된 끼움공(118, 128); 및
    일단이 상기 마감캡(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상기 체결공(118, 128)에 끼움 체결되어서 마감캡(13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고리(138)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멀티콘센트.
KR1020070100208A 2007-10-05 2007-10-05 조립식 멀티콘센트 KR100869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08A KR100869320B1 (ko) 2007-10-05 2007-10-05 조립식 멀티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08A KR100869320B1 (ko) 2007-10-05 2007-10-05 조립식 멀티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319A true KR20070104319A (ko) 2007-10-25
KR100869320B1 KR100869320B1 (ko) 2008-11-18

Family

ID=3881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08A KR100869320B1 (ko) 2007-10-05 2007-10-05 조립식 멀티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3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65B1 (ko) * 2006-12-22 2008-07-04 박창연 가변형 멀티콘센트
KR20210037065A (ko) * 2019-09-26 2021-04-06 주식회사 경신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KR102264859B1 (ko) * 2020-12-08 2021-06-14 박석영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375Y1 (ko) 2001-08-08 2001-12-13 신상희 멀티 콘센트
KR20030023842A (ko) * 2001-10-08 2003-03-20 김용호 멀티탭
KR200286366Y1 (ko) 2002-05-02 2002-08-22 김지웅 조립식 연결구조의 전기콘센트
KR200366378Y1 (ko) * 2004-08-02 2004-11-10 (주)벽진시스템 디지탈 멀티 콘센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665B1 (ko) * 2006-12-22 2008-07-04 박창연 가변형 멀티콘센트
KR20210037065A (ko) * 2019-09-26 2021-04-06 주식회사 경신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KR102264859B1 (ko) * 2020-12-08 2021-06-14 박석영 자유 연결이 가능한 멀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320B1 (ko) 2008-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936B2 (en) Plug connector having retainer attached mold case
US6261109B1 (en) Fastener for all-purpose power supply sockets
CN103378490B (zh) 电连接器组合
US9647375B2 (en) Power connector products with improved safety shutters
CN201041866Y (zh) 一种电连接器防尘盖
JPH0450716B2 (ko)
US5997318A (en) Structure of an electrical socket
KR100869320B1 (ko) 조립식 멀티콘센트
US5934921A (en) Power supply and the joint structure of adaptor plug thereof
JPH0732045B2 (ja) 電話ジャック
US11575226B2 (en) Pass-through plug
US20170005430A1 (en) Vehicle power connector
US5272281A (en) Electrical outlet safety cover
CN211530248U (zh) 一种安全保护插座
KR20170006029A (ko) 조립식 콘센트
CN210006984U (zh) 充电电池插座
CN214899121U (zh) 一种可通过大电流的可靠性高的内锁式端子线对板连接器
CN220291142U (zh) 一种欧规插头结构
CN114824934B (zh) 防舀挖连接器插头、防舀挖连接器插座及连接器组件
CN218300392U (zh) 一种带有防尘保护结构的电线插头
CN219163316U (zh) 一种慢熔保险丝卡子、保险丝接头和电器盒
CN212811204U (zh) 一种组合式接线盒
US2252454A (en) Plug receptacle
CN218385023U (zh) 接线端隔断结构
CN216354919U (zh) 一种易裁切防插错型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